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Sn-4.0wt%Ag-0.5wt%Cu 솔더 접합계면의 강도특성과 미세파괴거동에 대한 In-situ관찰

        이경근,최은근,추용호,김진수,이병수,안행근,Lee, Kyung-Keun,Choi, Eun-Geun,Chu, Yong-Ho,Kim, Jin-Soo,Lee, Byung-Soo,Ahn, Haeng-Keun 한국재료학회 2008 한국재료학회지 Vol.18 No.1

        The micro-structural changes,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micro-fractural behaviors at the joint interface between a Sn-4.0wt%Ag-0.5wt%Cu solder ball and UBM treated by isothermal aging are reported. From the reflow process for the joint interface, a small amount of intermetallic compound was formed. With an increase in the isothermal aging time, the type and amount of the intermetallic compound changed. The interface without an isothermal treatment showed a ductile fracture. However, with an increase in the aging time, a brittle fracture occurred on the interface due mainly to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intermetallic compounds and voids. As a result, a drastic degradation in the shear strength was observed. From a microshear test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generation of micro-cracks was initiated from the voids at the joint interface. They propagated along the same interface, resulting in coalescence with neighboring cracks into larger cracks. With an increase in the aging time, the generation of the micro-structural cracks was enhanced and the degree of propagation also accelerated.

      • KCI등재
      • KCI등재

        윤리적 리더십과 부하의 윤리적 행동지향의 관계에서 관계동일시의 역할

        이경근(Lee, Kyung-Geun) 한국산업경제학회 2021 산업경제연구 Vol.34 No.6

        이 연구에서는 관계정체성이론에 기초하여 윤리적 리더십과 부하의 윤리적 직무수행 및 문제보고의지 간의 관계가 관계동일시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가설과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현장경험자료를 확보하여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모형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 간의 관계와 역할을 3개의 가설로 구체화하였으며, 공변량구조분석을 주된 분석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윤리적 리더십은 부하들이 지각하는 관계동일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관계동일시에 대한 지각이 윤리적 리더십과 부하의 윤리적 직무수행, 그리고 직무수행과정에서 인지한 윤리적 문제에 대한 보고의지와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조직현장에서 구성원들의 비윤리적 직무수행과 일탈이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수행과 관련된 윤리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와 같은 관계를 설명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 실무적 차원의 기여가 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과정에서 연구가 지니는 의미와 연구의 한계, 그리고 추후연구방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Under theoretical background of relational identity theory,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roles of relational identification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employees’ ethical behavior. Based on related theory and literature review, 3 hypotheses were developed and tested using the sample of 229 empirical field data. The linear structural equation analyses(LISREL) were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es and the research model. The overall adequacy of fit was found to be acceptable.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is, as hypothesized, ethical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relational identification of employees. Results revealed that the perception of employees’ relational identific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ethical job performance of employees and the willingness to report unethical problems to their supervis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lationship identity theory can provide a useful theoretical basis for explaining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제3자의 반응행동, 상사책임귀인의 관계

        이경근(Lee, Kyung Geun),이은숙(Lee, Eun Suk)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8 No.2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을 비롯하여 조직 내의 부당한 상사행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음에도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상사와 부하 간의 당사자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며, 이를 목격하거나 간접적으로 경험한 제3자 관점에서의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이론 및 실증적 증거들에 기초하여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제3자의 반응행동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 같은 과정에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이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제3자로 하여금 분노감정과 함께 가해자로 인식되는 상사에 대한 일탈행동, 그리고 부당한 처우를 받은 동료에 대한 지원행동을 이끌 것으로 기대하였으며, 특히 비인격적 감독의 원인이 상사에게 있다고 지각할수록 제3자의 분노감정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와 관련된 가설과 연구모형을 검정하기 위해 다양한 조직에 근무하는 184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현장의 경험자료를 확보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를 경우 이 연구에서 설정한 모든 가설이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조직 내에서 이루어지는 부당한 처우와 종업원의 반응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앞으로 제3자의 관점에서의 연구로 확대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과정에서 주요 연구결과 및 시사점, 연구의 한계와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To date, theory and research on abusive supervision of supervisors has focused on the victim’s perspective, and the third party’s perspective has received little systematic attention. In this study, the third parties’ reactions on employee mistreatment of supervisors were examined under theoretical and empirical background. To examine those relationships, 4 hypotheses were developed and tested using survey data from 184 employees of multiple organiz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nd results showed that abusive supervis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third parties’ anger, and the anger emotions experienced by our samples motivated supervisor directed deviant behaviors and coworker support behaviors. Th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on the third parties’ anger emotions was moderated by the attribution of supervisory responsibility, such that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the third parties’ anger emotions was found when attribution of supervisory responsibility was high.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 sections.

      • KCI등재
      • KCI등재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경근(Lee, Kyung-Geun),조용현(Cho, Yong-Hye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3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7 No.4

        이 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의 협력행동에 대한 사회정체성이론의 주장을 바탕으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조직시민행동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자부심과 존중감의 역할을 연구하였다. 연구모형의 설계과정에서는 이론적 근거와 선행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조직시민행동 및 이직의도간의 관계가 자부심과 존중감의 두 가지 조직적 위상과 관련된 평가에 의해 설명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자부심은 조직대상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에, 그리고 존중감은 상사대상 조직시민행동에 유의적인 효과를 지닐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와 같은 가설과 연구모형을 검정하기 위해 금융기관 종사자 217명을 대상으로 현장의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분석결과에 따를 경우 이 연구에서 설정한 대부분의 가설이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태도 및 행동변수 간의 관계에서 자신이 속한 조직과 그 조직 내에서 자신의 위상에 대한 평가가 의미있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조직구성원의 행동의도 및 행동에 대한 사회정체성이론의 역할을 더욱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과정에서 주요 연구결과 및 시사점, 연구의 한계와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In this study, the roles of pride and respect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turnover intention were examined und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ocial identity theory. To examine those relationships, 6 hypotheses were developed and tested using survey data from 217 employees of insurance compani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abusive supervision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subordinates’ pride and respect, and that pride and respect related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turnover intention. In particular, Abusive supervision had indirect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mediated through pride on OCBO and turnover intention. And, abusive supervision had indirect positive effect, mediated through respect on OCBI.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 sections.

      • KCI등재

        기대이론을 이용한 노조참여행동 모델연구

        이경근(Kyung-Geun LEE)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10 기업과 혁신연구 Vol.3 No.2

        기대이론(expectancy theory)은 조직 내에서 인간의 동기를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노동조합 구성원들의 노조에 대한 참여행동을 기대이론을 구성하는 유의성모형과 힘모형에 의해 설명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산업현장의 노조원들을 대상으로 확보한 자료에 기초한 실증분석결과에 따르면 노조원들이 지각하는 노조의 역량강화가 지니는 유의성 지각은 노조원들의 노조참여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났다. 또한 힘 모형의 분석결과에 따를 경우 노조원들의 노조참여행동의도를 기대감과 유의성의 곱의 형태를 통해 설명하는 모형은 통계적 타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가적 분석결과에 따를 경우 기대감과 유의성의 합(合)의 모형 역시 노조참여행동을 설명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대이론이 노조원들의 노조에 대한 참여행동을 설명하는데 일정부분 유효성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부에서 연구결과가 지니는 의미 및 한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Union participation is increasingly being recognized as an important variables for understanding unions. The model of union participation of this study is derived from expectancy theory. The expectancy theory of motivation provides a good framework for explaining why individual workers do or do not join in the efforts to participate a union.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valence of 1st performance(V×I)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union participation behaviors of workers. And, the force model of E(V×I) on union participation was also significant. However, the E(V×I) model did not result in predictive power any different from those obtained by adding the two components: E+(V×I).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discussion and conclusion.

      • KCI등재

        세법해석 사전회신(Advance Ruling) 제도의 도입 방안

        이경근(Kyung Geun Lee),김범준(Beom June Kim) 한국세법학회 2008 조세법연구 Vol.14 No.2

        현행 질의회신 및 예규 제도만으로는 납세자가 바라는 수준으로 세법 해석의 일관성이나 세무 행정의 예측가능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단지 과세관청의 개략적인 방침을 확인하는 정도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하여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세법해석 사전회신(Advance Ruling) 제도를 도입하여야 한다는 경제계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Advance Ruling 제도를 개관하면서 세법해석 사전회신 제도의 도입에 관한 여러 가지 쟁점을 살펴본 후,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세법해석 사전회신 제도 도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이 글에서 주로 검토한 쟁점은 세법해석 사전회신 제도의 핵심인 과세관청에 대한 기속력인데, 세법해석 사전회신 제도의 과세관청에 대한 기속력은 우리에게 낯선 제도이므로 이에 관한 진지한 고민 없이는 현행 세무행정 및 조세소송과 체계정합성을 가질 수 없고 결국 사전적 구제수단으로서 실무에 연착륙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기속력에 관한 쟁점은 크게 다음의 네 가지, 즉 ⅰ) 기속력의 법적 근거를 국세기본법에 규정할 것인지, ⅱ) 기속력의 구체적인 내용 및 소멸 요건을 어떻게 법리적로 구성하여야 하는지, ⅲ) 기속력의 제3자효적 관점에서 세법해석 사전회신의 신청인이 아닌 제 3자도 평등 원칙이나 비과세관행을 근거로 자신의 사안에도 세법해석 사천회신의 적용을 주장할 수 있는지, ⅳ) 기속력의 적용대상을 실질적으로 확대하기 위한 일환으로 국세청 외에 기획재정부로 하여금 세법해석 사전회신의 생산에 어떠한 방식으로 관여하게 하여야 하는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기속력 쟁점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도입 방안을 살펴보면, 먼저 세법해석 사전회신 제도의 법적 근거는 기본통칙이 아닌 국세기본법에 두어야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세기본법 제7장의 2 납세자의 권리”가 적절한 위치라고 생각한다. 또한 기속력의 구체적인 내용은 “세법해석 사전회신이 생산된 경우 그 내용에 반하여 납세자에게 불이익한 처분을 할 수 없다”라는 취지로 규정하여야 하며, 세법해석 사전회신 생산 과정에서의 납세자의 성실성을 담보하고 그 생산 이후의 사정변경에 대처하기 위하여 일정한 사유가 발생할 경우 소급하거나 장래에 향하여 기속력을 부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세법해석 사전회신의 신청인이 아년 제3자가 평등 원칙 또는 비과세관행을 근거로 자신의 사안에 대해서도 세법해석 사전회신의 적용을 주장할 수는 없다고 생각된다. 나아가 기속력의 적용대상을 실질적으로 확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일정한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국세청장이 반드시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세법 법령의 해석을 요청하거나 국세청과 기획재정부가 함께 심의위원회를 열어 세법해석 사전회신을 생산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를 통하여 한편으로는 국세청과 기획재정부의 입장을 통일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세법해석 사전회신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실 오인 또는 법리 오해를 사전에 막을 수 있다. 이 밖에도 이 글에서는 세법해석 사전회신 제도에 관한 여러 가지 쟁점을 종합하여 우리나라의 구체적인 도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글이 세법해석 사전회신 제도의 도입 방안에 관한 다양하면서도 깊이 있는 논의를 촉발시키고 나아가 실효성 있는 제도를 구축하는 데 일조하기를 바라 마지않는다. Current tax ruling system has failed to provide the consistency in interpretation of tax laws or predictability of tax administration at a level that taxpayers wish and just played a role in confirming sketchy rules of tax authorities. Thus the Korean economic community is voicing its opinion that Korea also should introduce the advance ruling system as other countries. This essay outlines the advance ruling system of the U.S. and Japan, examines several issues to arise from introduction of such system and suggests ways to introduce the advance ruling system that would fit into Korea's realities. In particular, the key issue primarily examined in this essay is a binding force imposed on tax authorities, which is a key to the advance ruling system. Since Korea has never imposed such binding force of the advance ruling system on tax authorities, without any serious thoughts on the said issue, the advance ruling system will not have any systemic conformity with current tax administration and tax litigations and may not make a soft landing in practice as an advance remedy. The issue of such binding force can be divided into four: ⅰ) whether legal grounds for such binding force should be provided for in the Basic National Tax Act : ⅱ) how concrete details and extinguishment requirement of such binding force can be constituted based on legal principles: ⅲ) whether in terms of such binding force's effects on third parties a third party other than claimants for advance rulings can claim application of such advance ruling into his/her case based on equality principle and non-taxation practices : ⅳ) In order to substantially enlarge the scope of entities which are subject to such binding force, how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other than the National Tax Service can be gotten involved in the issuing of advance rulings. If ways to introduce the advance ruling system in Korea is to be examined with a focus on such binding force-related issues, we believe that legal grounds for the advance ruling system should be provided in not by basic and general rules but by the Basic National Tax Act and more concretely, they should be aptly located in "Chapter Ⅶ-2 Taxpayers' Rights thereof". In addition, concrete details of such binding force should be provided to the effect that "after an advance ruling has been issued, less favorable disposition than such ruling shall not be made for taxpayers". An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axpayers' sincerity and dealing with changes in situations after issuance of such advance ruling, in case of certain events, such binding force shall be retroactively applied or shall be denied in the future. In our opinion, a third party other than claimants for advance rulings cannot claim application of advance rulings to his/her case on the basis of equality principle or non-taxation practices. Furthermore, in order to substantially expand the scope of entities which are subject to such binding force, in case of certain events. Commissioner of the National Tax Service should request Minister of Strategy and Finance to interpret statutory provisions or the National Tax Service and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should hold a joint deliberation committee to issue an advance ruling, which could unify positions of the said organizations on one hand and prevent misinterpretation of facts or of legal principles arising during the course of issuing advance rulings on the other hand. Other than the above issues, we dealt with several other issues on the advance ruling system together and suggest the concrete ways to introduce such system into Korea. We wish this essay will contribute to facilitating various and in-depth discussions on ways to introduce the advance ruling system and further to building the effective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집합투자기구(CIV)와 역외소득탈루

        이경근(Kyung Geun LEE) 한국국제조세협회 2011 조세학술논집 Vol.27 No.1

        Globalization in economic and investment activities, deregulation of foreign exchange control and rapid development of financial instruments facilitate expansion of offshore tax evasion in size. On the other hand, tax authorities in leading countries, including Korean tax authority, have stepped up their efforts to curve the rampant increase of offshore tax evasion by strengthening their coordinated measures against tax haven jurisdictions The proliferation of CIV industry expedites outbound investment of Korean investors. The recent report of National Tax Service shows that a number of Korean taxpayers have used offshore funds (or offshore financial centers) as their main tools for evading tax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analyzes current tax rules on CIV and various patterns of outbound investment through CIVs, especially focusing on the interplay between the regulatory regime and tax rules on outbound investment through offshore funds. Having found that there are much room to be desired in Korean tax rules in relation to outbound tax through offshore funds, this article proposes ⅰ) introduction of additional tax rules (based on each investor’s investment size) against corporate type CIV established in tax haven jurisdictions, ⅱ) different treatments on the foreign CIV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transparency or cooperative information exchange with Korean tax authorities, and ⅲ) legislation of the obligatory exchange of investment information (gathered by financial regulatory bodies) to tax authorities. Further, this article suggest some incentive measures to help early stabilization of the regime on “reporting obligation of foreign financial accou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