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엄경』 「입법계품」의音과 字에 대한 고찰‒ 인도와 중국의 고대음악문화를 통하여 ‒

        윤소희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6 No.-

        Since ancient times, the vibration of the voice has been seen as the ultimate origin of the way of truth’s being, such as in the “beom” of the Beompae chants which had their roots in Brahman. The voice of the celebrants was connected with the Indian function words of particular sacrificial rites and the vibration of the voice was also emphasised as playing a role in the ruling dynasty. In ancient China the establishment of tone order was regarded as consolidating the dynasty’s basis. Although their musical philosophy was highly developed, the Mantra tones and Buddhist chants were overpowered just by the ‘nothingness’ or ‘naught’ idea of Buddhism. Among all Buddhist chants, the Whoaeomjamo chant consists of the 42 letters of the visible mantra alphabet is the greatest Beompae suit form. Within it contains the idea of the Buddhãvatamsakasutra which is that one is all and all is one. Although the 42 mantra alphabet had and has been conveyed through other sutras before and since, the mantra alphabet songs is only Whoaeomjamo chant which in Buddhãvatamsaka-sutra. I believe there is a necessary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ãvatamsaka-sutra and this music. At that time, Social status and order was together the musical theory assigned the yin and yang benevolence, in all musical tones was used to support the basic ideology of the ruling dynasty, in order to attempt to establish an ideal dynasty through formal courtesy and music. Through just that musical culture, I have been able to understand and solve the secret chord of the Ganda-vyũha Lit in the Buddhãvatamsakasutra. It is that the order of the 53 Buddhist saints is the mantra of 『화엄경』 「입법계품」의 音과 字에 대한 고찰 / 윤소희 253 Bodhisattva’s teachings. Migajangja(Jangja means sinior) was a senior of Theravada Buddhism, which transmitted the sutra orally early Buddhism. Sunjijungyedongja was a Saint of Mahayana Buddhism, which had just been formed at that time so his name was Dongja, meaning young person. Also, the Jung of Jungye (‘jung’, 衆, means popular and people) points toward private music rather than court or official music. Meanwhile, the Ye of Jungye (‘Ye’, 藝, means art) indicates that he was a professional musician and a spiritual guide of Buddhism, because musicians at that time were elite philosophers and the senior spiritual intuitions steeped in musical culture. There are, however, no Whoaeomjamo chants in Korea. The tradition may have become extinct due to the suppression of Buddhism during the Josun dynasty, or in the era of Japanese colonalism. In the 21st century, Whoaeomjamo chants have a role to play both in the culture of Buddhism and in private meditation.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Korean Buddhists pay more attention to music for creating variety music include Whoaemojame chant. The benefits would, I believe, make a more fertile Buddhism and peaceful society. 범패의 ‘梵’이 브라만의 음성과 연결되듯이 소리의 진동은 고래로부터 진리의 원초적 존재방식으로 인식되어왔다. 그리하여 인도에서는 소리와 音이제례적 기능과 결합되었고, 중국에서는 治世의 역할이 강조되어 樂律의 정립이 곧 국가기반을 다지는 것이었다. 불교가 들어오기 전부터 정교한 樂論이형성되어 있었던 중국에 인도의 梵音이 압도할 수 있었던 것은 더 이상의 여지가 없는 空사상과 진동의 결합에 있었다. 모든 音과 字가 ‘아’자로 회귀되어 一卽多卽一의 화엄사상을 담고 있는 화엄자모는 모든 범패 중에 가장 장엄한 형태인 套曲式1)으로 연행되어 왔다. 경전을 이루는 種字인 42자모는 『화엄경』 이전과 이후에도 여러 경전을 통하여 출현해 왔으나 범패로 불리는 것은 화엄자모가 유일하다. 문자는 언어의진동을 기호화한 2차적 매개인 점에 미루어 볼 때, 『화엄경』, 「입법계품」에내재하는 音과 字의 배열순서는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있다. 범어 『화엄경』 이 한문으로 번역되면서 중국인의 의식체계가 반영되었음을 감안해 볼 때, 중국의 고대 樂論과 불교 유입 이후, 특히 『화엄경』이 번역될 당시의 중국 음악문화는 화엄자모를 이해하는 중요한 코드였다. 禮와 樂을 통해 이상 국가를 실현하고자 했던 중국에서는 각각의 음에 사회질서와 음양오행 등 그들의 가치관과 우주관을 대입하였는데, 이는 「입법계품」에 내재한 音과 字에 얽힌 코드를 푸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했다. 그결과 「입법계품」의 53선지식의 배열을 보살도의 만다라로, 다라니음의 미가장자는 口傳으로 법을 전해온 초기불교를, 자모행법의 선지중예는 당시 새로이 형성된 문자경과 대승보살을 의미하여 童子로, 衆藝의 ‘衆’은 중국의 궁중음악인 宗廟나 天祭음악과 대칭되는 음악을 의미하였으며, ‘藝’는 보살도를이룬 道人으로써 악가무를 두루 잘하는 전문 예인이었음을 당시 음악문화를조명함으로써 풀어내었다. 漢語 범패가 주로 불보살을 찬탄하는 것과 달리, 음 자체의 진동상태에 몰입하며 삼매에 드는 화엄자모 범패는 다른 어떤 종교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불교적 음의 세계이다. 찬류 범패에 속하는 화엄자모에는 ‘아’자로 돌아가는휴지부분이 있어 화엄의 궁극점인 空사상이 드러나고 있다. 이렇듯 미가장자1) 序曲, 豫讚, 本曲, 後奏 악곡이 하나의 세트를 이룬 형식. 『화엄경』 「입법계품」의 音과 字에 대한 고찰 / 윤소희 215 와 선지중예동자의 행법은 音과 字를 통해서도 一切智의 깨달음을 성취할 수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수행 방편으로서의 음악, 명상음악과 연결될 수 있는화엄자모는 佛曲을 위한 창작적 모티브를 비롯하여 21세기 문화시대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일응스님 범패의 융합적 세계

        윤소희 한국정토학회 2012 정토학연구 Vol.18 No.-

        본고에서는 일응스님의 삶과 그의 음악 세계를 탐구하기 위하여 일응스님께 범패와 작법을 배우거나 일응스님과 함께 재식 활동을 한 승려들을 찾아 경향 각지를 다니며 증언을 녹취하여 이루어졌다. 이로써 일응스님의 범음성이 어떻게 성숙되고 발전되고, 그것이 어떻게 전승되었는지 알 수 있었고, 나아가 일응스님의 범패가 한국 불교음악의 지역적 특성들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고 있는지, 민간음악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도 알 수 있었다. 한 승려를 통하여 이와 같은 다양한 연구 결과가 도출 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삶이 그 만큼 다양한 여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전주 출신으로 완제 범패를 익힌 후에 서울의 동교파와 서교파를 오가며 경제 범패를 익혔고, 한 때는 승려가 아닌 국악인으로서 시조창 활동을 하며 가야금산조와 북 가락을 익히다가 다시금 승려로 되돌아와 서울에서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작법보유자가 되었으나 이후에는 전주와 광주 익산 등지에서 후학 양성에 주력한 것이 그것이다. 1년여에 걸쳐 현지조사와 증언과 일응스님 범패 음원을 악보로 채보하여 음악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일응스님 범패에는 경제 범패로 인한 정제된 음정과 세련된 가락을 지니면서도 호남지역의 향토적인 성음이 각 악곡에 용해되어 있었다. 높은 고음으로 올라갈 때는 간혹 가성을 쓰기도 하는데 이는 시조창의 영향으로 보이며, 화청에서 자유자재로 장단을 타고 넘나드는 범패 가락은 가야금산조와 북가락과 같은 민간 한국 전통음악의 영향으로 보인다. 이로써 일응스님 범패의 특징은 지역을 뛰어 넘는 성격과 한국 전통 음악의 기법을 자신의 범패 가락으로 활용하는 융합적 세계에서 찾을 수 있다. 주목할 것은 민간의 음악 기법을 불교음악으로 수용하면서도 절제되고 무게감을 잃지 않는 점이 일응스님 범패의 가장 큰 덕목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process of characterizing and hand down of a monk's chants Beompae(梵唄) through Ven Ileung's life on the condition of Korean Buddhist society and tradition. For this study, I met his students and colleagues whole area of Korea and recorded the evidences. After that I recorded his songs on western music notation and analysed it. Ven Ileung was born on 1920 in Jeonju of Jeolla province, died on 2003 in Seoul. That days on Korea history was the convulsions period under Japan's colonial rule , before and after Korean war, so Buddhist monks should be experienced their fragmentation. Ven Ileung became a monk 1931(his age was 11) learned and exercised the songs and dancing in the Buddhist ritual, it was Woanje style of the Jeolla province. After 5 years he went to Seoul to learn Geonggi style chants for his advanced song. At one time, He return to secular society to escape from the fragmentation of Buddhist monk's society and school. At that time he acted as a singer of Sijo a kind of Korean traditional lyric song also learned Gayagum(Korean 12 stringed Zither) Sanjo and the rhythm of drum. After several years, he came back to be a monk and harder to exercise Buddhist ritual song and dancing for ceremony service then before. The result he could get the accredit as his songs and dancing and became a initiator of the Korea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50 in Seoul. After that He went to his home town Jeolla province and instruct his students Buddhist ritual and song and dancing. By his effort his students could became initiators of Jeolla provinc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analysis of his various chants is that some time there were falsetto voice on high pitched melody, it is came from Korean traditional lyric song Sijo. Some time there were a vocalization like Jeolla province fork song mostly on low pitched melody, it is due to his home town jeolla's fork song style. But his song is more purified and collected the pitch and interval of his melody then his students and colleagues in Jeolla district, it is because of that he learned and acted in Seoul. Especially when he song Hoacheong, song very delicate emotionally and express rhythmically, it is influenced by Gayagum Sanjo and Korean traditional rhythm pattern of drum. Given his life, acting of Buddhist ritual and 10the feature of his Buddhist song Beompae, the character is in the fusion and harmonious condition with Seoul and region, the religious sprit and layperson music. The noteworthy on his songs is the temperance of emotional expression and dignified vocal although receptive of the common musical skill. It is the most virtue on his songs.

      • KCI등재

        일본의 시아귀회와 쇼묘(聲明)에 관한 연구 -교잔오하라(魚山大原)산젠인(三千院)을 중심으로-

        윤소희 한국정토학회 2020 정토학연구 Vol.33 No.-

        In this study, I researched Sanjenn-in temple’s ritual and chanting. The Sanjen-in is the central temple in Ōhara. The Ohara area was known as Gyozan for more than a thousand years. It is the birthplace of the Buddhist ritual chant, Shomyo, and known as a sacred spot among Nembutsu-Hijiri (prayer mendicant priests) in the belief system of ‘Pure Land Buddhism Jodo’. The Sanzen-in Temple was originally established as a hermitage by Saicho (767~822), or Dengyo Daishi, when he founded Enryakuji Temple on Mt. Hiei, Shiga Prefecture. The temple, also known as Kajii Monzeki or Nashimoto Monzeki, is one of the five Tendai Monzeki temples, and certain members of the imperial family served here in the priesthood throughout the temple’s history. It was officially named Sanzen-in in 1871, according to documentation written by Emperor Reigen in the Jibutsu-do hall of Kajii Goten (the temple building), following the departure of an imperial prince priest from the priesthood. Through this field work, I was able to determine that the ritual of Sanzen-in is very formal and elegant due to a relationship with the imperial family. The complex and long melodies of Somyo were very ordered and neat, although it involved eight monks without any conductor or rhythm beat. This was because they had all learned it from Enryakuji temple college using neuma pieces and musical theory. The Kannon-do Hall houses a standing golden figure of Kannon, and there are 13 small Bodhisattva images to the rear, which were dedications by worshippers as symbols of their wishes. The service and prayer follows the small figure’s kannon order for the spirit of a deceased member of the imperial family for some 32 years. I believe the Japanese Segaki ritual to be the predecessor and progenitor of the Suryuk ceremony(水陸齋), following which the Suryuk ritual text was completed during the Song dynasty. The Segaki ritual to the spirit is from Tang Buddhist culture. On the other hand, we can see the same vocabulary of music theory in the Japanese Shomyo coexisting with the music of the Silla Dynasty in Korea and Tang dynasty in China. But today’s Korean Buddhist chants are distinct to the Japanese Somyo, because Buddhism was suppressed during the Josun dynasty. Confucian Music occupied the role of court ritual, becoming more refined and elegant with the musical theory of court music. Meanwhile, Buddhist chants became folk music. 엔라쿠지의 초암이자 일본범패의 발상지 교잔오하라(漁山大原) 산젠인(三千院)은 역사와 도량구조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쌍계사와 상통하는 점이 많다. 산젠인의 우란분․시아귀회는 20여명에 이르는 참례자에 비해 설행 승단은 주지(引導), 錫杖師, 鈸師, 鐃師, 始經師, 讚頭, 同音僧 및 기타 僧任까지 15명이었다. 참여자의 수와 맞먹는 승임규모는 황실 추선기도를 담당하는 궁문적사찰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986년 에신소즈(惠心僧都)에 의해 건립된 산젠인 왕생극락원의 아미타여래불 후광에는 13불보살이 조성되어 있는데, 이는 황실 영령을 위해 32년간 봉행되는 추선기도의 순서이자 산젠인 의례설행 및 천태종과 정토불교의 융합성을 드러내었다. 일본의 시아귀회는 수륙재 이전의 면모를 지니고 있는 점에서 주목된다. 산젠인 외에 종파가 다른 다수의 사찰을 조사해 보니 전반의 공양, 찬탄 및 신행에 관한 절차가 확연히 달랐다. 이는 송대 이후 통불교적인 성격을 지닌 수륙재가 일본에 수용되기 어려웠던 실상을 반영하였다. 반면 후반 절차인 시아귀작법은 종파가 달라도 일치하는 점이 많았다. 이는 시아귀회와 수륙재가 하나로 연결되는 맥락으로 파악되었다. 엄격한 次第와 쇼묘(聲明)는 무박절에 유리(ユリ, 시김새)등의 장식음도 한 치의 어긋남이 없었다. 이는 엔라쿠지 강원에서 교육 받은 오하라류 쇼묘의 거장들이 산젠인 일대 암자에 주석하며 전통을 지속해온 저력이었다. 산젠인 시아귀회에서의 쇼묘는 사설조 의문, 칭명염불, 패찬 율조까지 다양한 가운데 구조석장이 중심에 있었다. 엔닌으로부터 시작된 구조석장의 악보에는 율명과 악조에 관한 표기가 있는데 이는 신라 향악과 당나라 天寶13년(754) 당시의 악조와도 일부 상통하는 용어가 있었다. 한국은 조선조에 이르러 불교의례가 궁중과 전문 악인의 조력에서 벗어나 민속화 되므로써 범패의 악론이 형성되지 못했다. 이에 비해 일본은 쇼묘의 樂理와 기보(博士)가 궁중 악론과 함께 성립․전개되어 많은 사료를 보존하고 있음을 본 연구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자료와 원리는 한국의 불교의례와 음악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일본의 쇼묘를 통한 한국불교음악에 관한 많은 연구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티베트 참 의례의 상징체계와 의미 -북인도 따시종 캄빠갈 사원을 통하여-

        윤소희,강대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7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symbol methods and meaning of the Cham ritual in the Tibetan Buddhist temple Khampagar Monastery in northern India, following my field work survey in 2009. They danced in colourful dress, wore a great variety of masks, and used a number of ritual instruments. Each colour of clothes and masks was fixed toward a particular direction and religious message, whilst the grasped instruments were also fixed. The symbols report the early history of defending Buddhism since Padmasambaba, and the later driving away of the forces of King Langdarma who persecuted Buddhism. In doing all that, they changed the instruction of Tibetan Esoteric Buddhism. The symbolic expressions and their temple pictures were the same as Mandara, meaning Tibetan Cham dances maintains mandara by physical gesture. Choosing three key points among many kinds of instruments, we might alight on Dorje, black hat, and skeleton. Dorje is played as a club, killing the inner and outer obstacles of delusion and hereticism. The black hat symbolizes the defending of buddhism. The skeleton symbolizes the pure condition after extinguishing all that is extrinsic and vainglorious. Following my research,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focus of future study on Korean Buddhist rituals should shift from Chinese ritual texts to a wider view, on taking into account cultural context and acting methods, since the implementation style of the Korean ritual is more familiar with a Tibetan style than Chinese. 북인도 따시종에 있는 캄빠갈 곰빠의 참 의식에는 티베트 초기 불교 시기 파드마삼바바의 호법춤과 불교를 배척한 랑다르마의 세력을 물리친 이후 신불교 부흥에 이르는 호법 역사와 밀교적 교의, 이를 성취하는 수행 정신이 치밀하게 짜여져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각 절차에서 무승들이 쓰는 탈과 무복의 색깔은 각각의 방위와 상징하는 의미에 맞추어져 있으며, 의물을 비롯한 제반 형상은 티베트 만다라와 불화에서 나타내는 색깔 및 구조와 일치하고 있어 참무는 밀교적 설법이자 몸짓으로 빗는 만다라였다. 각 춤에는 상징하는 탈, 의물, 복색이 다양하였는데, 이들 중 핵심적인 것은 금강저, 黑帽, 해골,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외적ㆍ내적 장애를 깨부수는 금강저는 스스로의 망상이 짓는 내적 원인에 강조점이 주어졌고, 흑모는 티베트 호법 역사를, 해골은 육신이 썩어 없어진 뒤 원래 상태로 돌아온 순수 상태를 의미하였다. 한국의 재 의식에서 괘불을 내어 걸고 태평소와 나발을 불고 북을 치며 작법무를 하는 것은 중국에서는 볼 수 없고, 티베트 방식이다. 앞으로 한국의 불교의식에 대한 연구는 중국에서 유래한 텍스트 중심에서 벗어나 설행 방식과 문화적 양상으로 폭을 넓힐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짓소리의 개념과 음악적 실체 - 경제·완제·영제를 비교하여 -

        윤소희 한국음악사학회 2014 한국음악사학보 Vol.52 No.-

        Chissori 짓소리 is take long hours performing almost chanted in form of chorus, the way of vocalization is very strongly and grand in low pitch and have humming parts. But some time hossori 홋소리 also possess like that characteristics except the strong and grand vocalization in very low pitch. Then the vocalization is the peculiarity of kyŏngje 京制 style, it resemble to Tibetan Buddhist chant especially very low pitch and tough vocalization. This is because that Kyŏnggi province is near Kaesŏng where the capital of Koryŏ dynasty, that period Tibetan Buddhism came to Korea through the Western Xia Dynasty. While in Yŏngnam province Kyŏngju the capital of Silla dynasty located. So the chissori among of Yŏngnam pŏmp'ae 梵唄 is different from kyŏongje 京制. hey prolong the melody from hossori to chissori and kyŏpsori, the characteristics are almost same with kyŏngje but don’t have the vocalization like Tibetan vocalization style. I think it is caused by the regional, the people’s character in Yŏngnam conservative disposition. In the early days, Korean buddhist chants were Silla and Tang of china style. until now they would like to keep the original style. 선행연구에 의하면 짓소리는 선율이 길고, 반탁성으로 꿋꿋하고 장엄하게 발성하는 잣는소리와 자출이는 소리가 있고, 합창을 하고, 그 가운데 허덜품이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한국 범패의 전반적인 면모를 살펴보면, 홑소리에도 잣는소리와 자출이는 소리와 허덜품이 있는 경우가 있고, 짓소리 이상으로 선율이 긴 곡도 있고, 합창을 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짓소리만의 고유한 특징은 반탁성으로 꿋꿋하고 힘찬 발성으로 시김새의 폭이 깊고 우람하게 표현되는 잣는소리 혹은 자출이는 성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고려시대에 원나라를 통해 들어온 티베트 범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개성범패의 영향을 받은 경기 범패의 특징과 연결된다. 영남지역에는 홑소리, 짓소리, 겹소리로 늘려간다. 영남지역에서 쓰는 ‘겹성 음소리(허덜품)’이라는 말을 경기지역 어장 스님들도 써 왔던 것을 그들의 동음집에서 발견하였다. 이러한 점을 보면 예전에는 겹성· 겹소리· 음소리라는 용어가 승려들 사이에 두루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홋소리’라는 표기도 겹의 반대인 홑소리로 바뀌어야 한다. 이 외에도 서울과 영남 짓소리의 공통된 내용을 간추려 보면, 선율을 길게 늘이고, 저음의 구사가 홑소리 보다 폭이 깊고, 합창으로 노래하고, 허덜품이 있는 점이다. 반면 호남 지역의 짓소리는 높은 소리로 질러 내는 것이 독특한 점이었다. 결론적으로 각 지역의 말씨가 다르듯이 범패와 염불 또한 지역별 특징이 있었듯이 짓소리도 마찬가지였다. 그 중에 호남지역은 짓소리 전승이 끊긴 반면 영남지역은 짓소리와 겹소리까지 단계별로 있고, 경기지역은 15곡 정도가 전승되지만 실제로 재장에서 불리는 곡은 ‘인성’ 정도이다. 현재 전승되고 있는 짓소리 중에 경제 범패는 개성 범패 즉 티베트의 영향을 받은 굵고 장식적 폭이 잣는소리(자출이는 소리 포함)를 지니고 있고, 영남지역은 당나라로부터 들어온 신라풍 전통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KCI등재

        일본의 범찬(梵讚) 쇼묘 연구 -고야산 진언종 사지찬(四智讚)을 통하여-

        윤소희 한국국악학회 2022 한국음악연구 Vol.72 No.-

        일본 쇼묘는 범찬․한찬․화찬(민요조)의 세 가지가 있고, 범찬에는 진언․다라니와 더불어 전찬(前讚)으로 불리는 협의의 범찬이 있다. 진언과 다라니는 만뜨라찬팅이라 할 수 있지만 범찬은 동일한 제목의 한찬과 뜻과 형식이 일치한다. 고야산 곤고부지 의례와 고야산 대학의 쇼묘 강의 자료를 통하여 전찬의 사지범찬(四智梵讚)과 후찬의 사지한찬(四智漢讚)을 채보․분석해 보니 범찬은 한찬 문형에 맞추어 동일한 자수(字數)로 짓다보니 글자가 늘어나서 한어찬 보다 1구가 많았다. 음악적으로 범찬은 시작음과 종지음이 동일하고, 주로 시작음인 라(D)에서 음을 늘이며 잣는 창법을 구사하였다. 이에 비해서 한찬은 범찬 보다 4도 위에서 시작하여 선율 움직임의 폭이 크고, 다양한 선율과 시김새를 구사하다가 종지음은 전찬인 범찬과 동일한 음으로 마쳤다. 범찬이 한찬보다 10자가 많지만 한찬이 모음을 좀더 늘여 지으므로 두 곡의 소요시간은 거의 비슷했다. 또한 종지음과 종지형도 같아서 두 악곡은 한 쌍을 이루었다. 범어범패 중 진언과 다라니는 범음 자체에 초점이 맞추어진 만뜨라 찬팅인데 비해 범찬은 의례의 핵심 경전을 송(誦)하기 전에 하는 범문 찬탄이므로 전찬이라 하고, 송경이 끝나면 한문 후찬을 하는 점에서 용도의 차이가 있다. 범찬은 한찬과 쌍을 이룬데다 범자를 한자 문형과 맞추어 7언 절구 형태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범찬은 중국이나 한국에는 없는 일본의 독특한 범어범패 장르이다. 범찬이 태밀(台密)의 천태종 보다 순밀(順密)의 진언종에서 더 많이 불리는 이유는 범어쇼묘가 밀교행법과 관련이 깊기 때문이다.

      • KCI등재

        세종⋅세조 악보와 佛典⋅梵文의 관계

        윤소희 한국기호학회 2019 기호학연구 Vol.61 No.-

        During this study I examined clos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stem of the Jeongganbo and the Buddhist sutra and Sanskirt grammatical particles. King Sejong invented the Jeongganbo during the Josun Dynasty. It had 32 cells on one line and next king Sejo reformed it to have 16 cells with 4 partitions. From ancient times in Eastern music, any numbers with each instrument, music piece, tone scale, mode -even if it was just one tone- were symbolized with some meaning. Consequently, despite being unable to locate the appropriate records, I never doubted that the musical systems of Sejong and Sejo had meaning. Finally, I discovered the same numbers and symbolized meaning in Buddhist sutra as had the system of word formation in ancient Indian sanskrit. Moreover, it related to the Korean alphabet characters, Hangeul, invented by King Sejong. Firstly, there is a story that a person who has 32 moral characters entering the priesthood may become a Great Buddha. Alternatively, if he lives a secular life he will be a great leader, this according to the Buddhist sutra, Dīrghāgama. This myth goes back to two dharmas of Nivṛtti lakṣha and Pravṛtti Lakṣhaone in Veda. In later days, most Buddhist sutra described the 32 virtued person as embodying the character of Buddha. Especially in the [Goanchaljebeobhang Sutra(觀察諸 法行經)], it is said that a significant man has 32 virtues, and the 16 sanskrit character as the door to entrance to the enlightened world. Initially Siddhaṃ, which is one kind of ancient sanskrit, was a 12 vowel alphabet. Thereafter a further 4 characters were added and it became 16 letters. In Buddhism, this alphabet was utilized as the method for the practice of Buddhistic austerities by recitation or imagining one after another. Finally, it became a mantra chanting. King Sejong formulated Hangeul to be a phonetic symbol script like sanskrit rather than Chinese characters. After its creation, several mantra books were written using the newly made Hangeul, Siddhaṃ and Chinese characters together. Also Hangeul was used for writing Buddha’s life story and praising Buddha and the Bodhisattvas. Notable also is the resemblance in structure and pattern of rhythm between Korean and Indian traditional music. Considering these elements and factors, I was able to postulate that the Jeongganbo, with 32 cells and 16 cells, resulted from Buddhism and Siddhaṃ characters. But what we could not establish on record was the link with Josun Dynasty suppression of Buddhism. At that time, Confucianism was the official policy, but the King and common people believed and followed Buddhism, following long established customs since the Silla area. 한국에서는 고도로 발전한 중국의 樂論과 律程算式을 적극 수용해왔으나 음의 時價 를 표시할 수 있는 유량악보는 중국이 아닌 조선의 세종에 의하여 최초로 창제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모든 음악이 언어로부터 출발한 점에 착안하여 정간보에 영향을 준조어체계와 樂律전개의 史的 배경을 통해 그 연유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상형문자로부터 시작된 漢語는 폐쇄어이자 독립문자로써 高低乘降의 성조에 집중하여 音價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에 비해 인도의 범어는 언어의 미세한 발성을 분절하여 자음화하였고, 모음의 시가에 의해 운율과 음률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하므로써 정간보 창제가 한글 및 범문 체계와 관련있음을 확인하였다. 고래로부터 중국에서는 갖은 숫자들이 음의 상징으로 활용되었지만 세종이 창안한32정간보와 연결되는 32라는 숫자는 그 어떤 樂書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이와 달리고대 인도의 世間⋅出世間의 덕목이 불경의 32상호로 상징화되었고, 세종⋅세조대의궁중음악을 기록한 『악학궤범』에는 讚佛가사와 함께 백성의 소리에 32妙音으로 답하는 악가무가 있어 32가 숫자만으로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 백성을 위하는 세종의 염원이 담겨있음을 확인하였다. 여러 佛典 중에 [觀察諸法行經]은 32덕상에 이어 16字門다라니로써 世間大人의덕목을 설하고 있어 세종의 32정간보와 세조의 16정간보와 연결되었다. 세조의 16정간은 3⋅2⋅3⋅3⋅2⋅3의 정간이 6개의 대강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2음보가 주를이루는 漢語보다 2음보와 3음보 혼합이 많은 범어율조와 친연성이 높았다. 중국에서는 리듬 절주를 박⋅박자⋅박절이라 하지만 한국에는 ‘장단’이라는 용어가 하나 더있어 리듬 싸이클이 긴 인도 음악의 리듬 절주와 상통하였다. 뿐만 아니라 마뜨라(모음)→악사라(韻律)→파다(行)→딸라로 확산되는 범어 운율은 소안(소박)→정간(보통박)→대강(대박)→각(장단)으로 이루어진 한국 장단의 심층구조와도 상통하였다. 따라서 세종⋅세조의 정간보 창제는 한민족 언어에서 비롯된 리듬적 잠재성이 佛典⋅梵 文을 만나 음악적 실용성을 갖춘 동양최초의 유량악보 창제의 근저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ㆍ중ㆍ일 천수다라니의 송주신행에 관한 연구

        윤소희 한국정토학회 2021 정토학연구 Vol.35 No.-

        2005년-2019년까지 한․중․일 불교의례와 주․진언․다라니 암송율조를 조사 해 보니 중국은 범문과 국어(한문)의 두 가지 버전이지만 한국과 일본은 범문, 한문 그리고 자국 언어까지 세 가지 버전이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일본은 어디서 어떤 시기에 배웠는가에 따라 미세한 발음의 차이가 있지 만 범문과 音寫 한문을 병기하고 있어 원문에 대한 추정이 가능하다. 이 에 비해 한국에서는 “진언은 뜻을 모른 체 암송하는 것”으로 하여 범문의 원리와 내용에 대한 이해가 희박하였다. 중국의 대비주, 일본의 대비심주 라는 명칭은 다라니의 내용을 압축하고 있으나 한국은 ‘신묘장구’라는 수 식어만 지칭되고 있어 본고에서는 이를 ‘천수다라니’라 하였다. 이는 천 수경 이라는 틀을 갖추어 송주하는 한국 신행의 특징을 살리면서 다라니 내용을 나타낼 수 있다. 한ㆍ중ㆍ일 삼국의 經學과 다라니신행을 조사해 보니, 중국과 대만은 특정 신행에 치우침 없이 여러 경전과 다양한 다라니를 연중 일정에 고르게 분 배하여 설행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한국에는 화엄경에 대한 비중이 좀 더 큰 가운데 범문 신행은 천수다라니가 압도적이다. 일본은 종파불교의 성격 으로 각기 중점을 두는 신행의 차이가 있으나 주류 종파인 천태종과 진언 종의 밀교적 신행이 강한 가운데 법화경 신앙이 좀더 확산되어 있었다. 이 러한 가운데 주목되는 현상은 천수다라니가 密僧에 의해 불교로 유입되었 으나 정작 일본의 密宗에서는 천수다라니가 그다지 송주되지 않고 있었다. 이는 천수다라니가 密義작법 보다 민간의 대중적 기복신행과 연결되기 때 문이다. 반면 일본의 여러 종파 중 禪宗에 속하는 임제종과 조동종에서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천수다라니 신행이 왕성하였다. 천수다라니가 선종에서 주된 신행으로 송주되는 것은 禪과 敎를 추구하며 주밀행법을 타파한 후 밀교적 성격이 그다지 없는 천수다라니 하나만을 남겨 呪密신행을 포용해 온 결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2005 to the present through field research o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ritual tunes. Looking at the mantras of Korea, China, and Japan, it could be seen that China has two versions of the Siddham, in Sanskrit and Chinese. However, Korea and Japan have three versions in addition to their own languages In Korea, “a mantra is to be recited without knowing its meaning.” The principle of the original Sanskrit sentence is sung in a form that has been destroyed. The names Dàbēi zhòu(大悲呪) in China, and Daihisin tarani(大悲心呪) in Japan compress the contents of the Cheonsu-dharani. But in Korea only the modifier, ‘Shinmyojanggu(神妙章句)’, is referred to. In Korea, the Cheonsudharani was mainly worshiped during the Cheonsu-sutra, so I will refer to it as the Cheonsu, which means the bodhisattva with a thousand hands-dharani. A survey of the Religious Practices of Korea, China, and Japan revealed that China and Taiwan preached by distributing various scriptures and various dharani evenly throughout the year without bias toward particular sects.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 proportion of Hwaeomgyeong(華嚴經) was a little larger, whilst the practice and faith of Cheonsu-dharani was dominant. Japan differs according to sect. A notable phenomenon was that the Cheonsudharani was introduced into Buddhism by the Esoteric Buddhist monks, but Cheonsu-dharani was not used very much in Japanese Esoteric Buddhism. I think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Cheonsudharani was more connected with the popular piety of the private sector than with the methods of Esoteric ritual. On the other hand, among the various sects in Japan, the Rinzaishū(臨 濟宗) and Sōdōshū(曹洞宗), which belong to the Zen sect, used the Cheonsu-dharani in like fashion to Korea. I believe the reason that Cheonsu dharani was used as the main dharani Mantra in Zen Buddhism was that breaking through the Esoteric method caused negative phenomena such as Shamanistic magic. Following this, it changed to the Zen sect, which focuses on practicing and studying the scriptures. Just the Cheonsu-dharani remained for people as an expression of Esoteric practice or popular piety.

      • KCI등재

        화엄자모와 범어 범패

        윤소희 한국국악학회 2014 한국음악연구 Vol.55 No.-

        대만에서 불리는 화엄자모 범패는 멜리스마 선율에 의한 느리고 아정한 곡태를 지닌 ‘찬(讚)’류 악곡이다. 가사 자체의 발음과 진동 현상, 그리고 그것이 인체에 미치는 신비적 체험을 목적으로 하므로 갖추어 노래하면 약 30분이 소요된다. 이렇듯 장황한 것이 화엄자모 범패이므로 수륙법회나 비로자나불을 주불로 모시는 특별한 의식이 아니고는 듣기가 어렵다. 화엄경 중에 선지중예동자가 노래하는 화엄자모는 다라니의 종자(種字)로써 42개의 자모가 수백 개의 음으로 파생되는 원리를 지니고 있다. 화엄경의 원본은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졌는데, 그 중에 화엄자모는 석가모니의 모국어인 마가다어(실담 범자)를 음사하여 기록하였다. 범자 가사(다라니와 진언 등)들은 암송하기 쉽도록 의성어나 의태어, 혹은 동일한 문장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다. 소리 그 자체의 암송과 진동에 집중하는 행위는 고대 인도의 바라문 사제들이 행하던 밀교적 수행법에서 출발하여 불교에서는 이를 통해 반야바라밀문으로 들고자 한다. 화엄자모 범패는 수륙법회 중 중국식 천도재라고 할 수 있는 ‘유가염구’ 절차 중에 부르는 것을 보았다. 이를 볼 때 화엄자모 범패에는 고대 인도의 수행법과 중국 유불도 의례 행위가 융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화엄자모는 불교의 사상체계를 소리의 만다라로 형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석가모니는 다라니나 진언이 주술적으로 쓰이는 것을 경계하여 제자들에게 금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음향학․파동 역학․의학 분야에서 소리의 파장이 인체에 미치는 긍정적 결과들에 주목하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소리 그 자체를 중시하는 범음창송은 오히려 현대 과학 사회에서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는 연구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영남지역에서는 범패를 지칭할 때 ‘범음범패’라고 부른다. 이는 ‘범음’과 ‘범패’가 서로 다른 경계 지점이 있음을 암시하고 있는데, 여기서의 범음은 곧 발음 그 자체를 중시하는 화엄자모나 다라니와 진언 계열의 창송일 가능성이 높다. 이 점에서 화엄자모에 대한 연구는 현재의 범패와 당풍범패, 나아가 ‘범음’과 ‘범패’에 대한 구분이 확실해졌고, 나아가 ‘범음’과 ‘범패’에 대한 근원적이고 폭 넓은 연구 가능성이 마련되었다. Whoaeomjamo (華嚴字母)[the seeds alphabet of mantra in the Avatamska Sutra] is originally written in Sanskrit copied the Sildam(Pali) language in Flower Garland Sutra. Whoaeomjamo songs are a kind of Prase(讚) family which is the melody is slow melisma and graceful among of Taiwanese Buddhist chant, The letters of Whoaeomjamo are the seed of mantra composed with 42 alphabet by Sildam Buddha’s mother language, Those alphabet derive over 500 sound accordingly the way of pronounce, so it could to be said Whoaeomjamo is a sound matrix or mandara of Buddhist philosophy and view. In ancient period of Indian history, Brahman priest used to retreat with some Vibration of language pronunciation or some vowel sounds and use it as cham. But Buddha prohibit his disciple like that activity by the cause of superstition and shaman. After Buddha dead, as the developing Buddhism the method of retreating with Mantra inflowed into Mahayana and Tantric Buddhism. By this result, Whoaeomjamo could be mentioned in Flower Garland Sutra and it used for the method of Buddhist’s play or retreating. Now it has been indigenized in China on the cultural base of Confucianism and Taoism so now it is sung at the Yougayeomgu (瑜伽焰口) ritual in shuǐlù ceremony. But In Korea, Whoaeomjamo chants have not hand down although the Flower Garland Sutra is popular and have transmitted Buddhism the ritual and chants from China but I could not find why Whoaeomjamo chants are not sung. In these days as developing the science of sound, the study of wave Epidemiology or medical study about the bio rhythm by pronunciation sound, the retreating method with mantra or vibration of vocal sound became to be noteworthy. Also, it is important to study on Buddhist chants, because it is earned positive reviews from today’s people. The other side in Youngnam province of Korea, Buddhist chants are given the term of “Beomeum Beompae”. By this fact, I could to estimate that Beomeum and Beompae are different realm each other. The former is just the chants with Sildam language sound, the latter is the chants written in Chinese letter like the verse for praise Buddha and Bodhisattva etc. I believe that it will give the clue the relationship, historical developing and original aspect of today’s Korean, Silla and Tang dynasty’s Beompae especially about the Sildam ch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