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리활성 확인을 통한 EM 발효 비트의 효과

        유종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트는 사탕무, 근대의 비슷한 작물이며, 기원은 남부 유럽과 중앙 아시아의 지중해 연안이다. 비트 뿌리의 효능으로는 항산화, 면역 강화, 항암, 빈혈 개선 및 간 기능 개선 등이 있다. 이러한 비트 뿌리의 효능을 높이기 위해 EM 발효를 하였고, 결과적으로 EM 발효 비트 뿌리 추출물은 기존의 비트 뿌리 추출물에 비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 (SODA)이 증가하여 항산화 효능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고,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향상됨을 확인해 미백 효능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EM 발효 비트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스킨 크림은 pH, 점도, 광 안정성 및 온도 안정성 측정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어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원료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비트 뿌리 추출물의 EM 발효가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증가시키고 화장품의 원료로서도 가치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EM 발효의 우수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식물의 EM 발효를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기업광고에서 英文 기업슬로건의 사용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유종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많은 기업들은 자신들의 기업 이미지 조성을 목적으로 기업광고를 집행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광고는 대부분 광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요소의 하나로 기업슬로건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기업슬로건이란 기업의 생각이나 주장 또는 특성 등을 일정기간이나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좋은 인상을 유지·누적·정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광고카피라고 정의할 수 있다(우에조 노리오 1991, 47). 그런데 최근 우리 나라 기업들의 경우 자사의 기업슬로건을 영문으로 많이 작성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렇게 급증하고 있는 영문 기업슬로건의 사용은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에서 타 기업과 차별화를 이루기 위한 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소비자의 주의를 끌고 타 기업과의 이미지 차별화를 획득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했던 국문 기업슬로건을 영문 기업슬로건으로 대치함으로써 차별화를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결국 각 기업들이 수용자들로부터 광고에 대한 관심을 끌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영문 기업슬로건을 사용하는 것이며 영문 기업슬로건을 사용하면 광고효과가 증대될 것이라는 막연한 믿음으로 영문 기업슬로건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 기업광고에서 영문 기업슬로건이 과다하게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유에 대한 다양한 믿음과 관련하여 과학적으로 검증된 바가 없으며 그러한 시도가 전무한 상태에서 오로지 광고인들의 임의적인 판단에 의해서만 영문 기업슬로건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문으로 작성된 기업슬로건과 비교해서 영문으로 작성된 기업슬로건을 사용한 기업광고가 어떤 광고효과를 갖느냐' 라는 근본적인 물음을 통해 영문으로 작성된 기업슬로건이 광고효과(광고태도/ 기업에 대한 태도)에 있어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리고 특히 영문 슬로건의 사용시 기업명의 인지도, 슬로건의 난이도, 남녀 성별의 차이 등 3가지 매개변인의 개입에 따른 광고효과(광고태도/ 기업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함께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사용된 광고물은 총8편으로 ①기업의 인지도가 높고 국문 슬로건을 사용하는 식품기업 기업광고 ②기업의 인지도가 높고 난이도가 낮은 영문 슬로건을 사용하는 식품기업 기업광고 ③기업의 인지도가 낮고 국문 슬로건을 사용하는 식품기업 기업광고 ④기업의 인지도가 낮고 난이도가 낮은 영문 슬로건을 사용하는 식품기업 기업광고 ⑤기업의 인지도가 높고 국문 슬로건을 사용하는 화학기업 기업광고 ⑥기업의 인지도가 높고 난이도가 높은 영문 슬로건을 사용하는 화학기업 기업광고 ⑦기업의 인지도가 낮고 국문 슬로건을 사용하는 화학기업 기업광고 ⑧기업의 인지도가 낮고 난이도가 높은 영문 슬로건을 사용하는 화학기업 기업광고로 구분된다. 실험은 남, 여 대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피험자들은 식품기업과 화학기업 2개의 광고물에 대해 각각 답함으로써 총 560부의 설문을 가지고 결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슬로건의 사용에 따라 형성된 슬로건에 대한 태도는 광고효과(광고태도/ 기업에 대한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여져, 슬로건의 사용은 광고효과(광고태도/ 기업에 대한 태도)에 커다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oday, many corporations use corporate advertising to create positive images, and choose corporate slogans to heighten the effects of corporate advertising. Generally, a corporate slogan is a kind of advertising copy to publicize corporation's philosophy over the long-term and maintain its good images. Recently, some Korean corporations have begun to use English slogans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corporations. Even though there is no evidence to this effects, many people believe that using English slogans is a good way to create a unique identify because most corporations currently employ slogan in Korean. Accordingly, English slogans are every where. It is a reality of the Korean advertising industry. With this background, I will discuss the advantages of using an English slogan as opposed to a Korean slogan. Specifically, I will consider the advertising attitude and the corporate attitude in three sections: corporate name recognition, linguistic difficulty of the slogan and difference in responses according to gender. For this study, I have used a total of 8 advertising resources: 1)corporate advertising using a Korean slogan for a food company with high corporate name recognition 2)corporate advertising using an English slogan with the low level of linguistic difficulty for a food company with high corporate name recognition 3)corporate advertising using a Korean slogan for a food company with low corporate name recognition 4)corporate advertising using an English slogan with the low level of linguistic difficulty for a food company with low corporate name recognition 5)corporate advertising using a Korean slogan for a chemical company with high corporate name recognition 6)corporate advertising using an English slogan with the high level of linguistic difficulty for a food company with high corporate name recognition 7)corporate advertising using a Korean slogan for a chemical company with low corporate name recognition 8)corporate advertising using an English slogan with the high level of linguistic difficulty for a food company with low corporate name recognition.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280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y responded to questions regarding advertising for both a food corporation and a chemical corpor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took into account a total of 580 questionnaires. These questionnaires suggested that a slogan has a direct impact on advertising attitude and advertising effect. In spite of my expectations. my result refused one hypothesis. Korean slogans create a more effective advertising attitude among respondents than English slogan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porate attitude between English and Korean slogans.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porate name recognition and gender about using English slogans. But using an English slogan with high level of linguistic difficulty brings good advertising effects. Even though I had many difficulties studying this topic, I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bring useful results. I hope those results help advertising man to create effective corporation advertising.

      • 게임 인터페이스 사용성 평가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MMORPG를 중심으로

        유종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점차 그 중요성이 부각되어 질적, 양적으로 성장 가능성을 보이고 있는 게임 유저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평가 프로세스에 관해 연구한 것이다. 특히 그 중에서도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 시점에서의 게임은 더이상 소수를 위한 컨텐츠가 아닌 더 넓고 다양한 층의 유저를 대상으로 하는 산업으로 확장 되고 있고 기술력, 3D그래픽 품질의 상향 평준화로, 차별화 고급화 요소로서의 인터페이스가 더욱 부각되고 있는 추세이다 실제, 게임업계 종사자의 인식 조사 결과 응답자의 대부분이 게임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플레이의 쾌적함에 영향을 주고, 이것이 흥행의 성공 여부와 직결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인터페이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규격화된 프로세스 도입이나 평가의 실행에 있어서는 그 사례가 많지 않았고 특히, 제품을 공개하기 전인 알파 테스트(Alpha Test), 즉 프로토타입(Prototype) 단계에서는 그 사례가 전무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게임의 긴 개발기간과 폐쇠적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보았을 때, 출시 직전 뿐만 아니라 개발 초/중기에도 인터페이스에 대한 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그 방법으로서 전문가를 통한 발견적 평가 방법인 휴리스틱 평가를 활용, 게임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고려한 평가 체크리스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체크리스트의 기준이 될 원칙은 게임에서 경주/전투와 같이 성공이나 실패, 승부에 영향을 미치는 '재미(Fun)' 우선 영역과 구매/설정/채팅과 같이 게임의 제반, 부가적인 영역을 포함하는 '편의(Usability)' 우선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체크리스트를 통해 게임 인터페이스의 평가가 개발 초기에 이루어짐으로서, 온라인 게임 인터페이스의 질적 품질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is to study the evaluation process of game interface usability of which the importance has been brought into attention with potential growth in both quality wise and quantity wise. Particularly, the study is basis on MMORPG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At this point, games are expanding as an 'industry' that is no longer for a small number of users but for a wide and various class of users and the interface has been brought into attention as a factor to differentiate from others due to the standardization of the technology and increased 3D graphic quality. As a matter of fact, a survey of people in the game industry shows that the user interface does affect the game users and it directly leads to the success of a game. However, there are few cases in which a scandalized process or evaluation has been done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interface, especially there is no case in the prototype level, that is, before the Alpha Test, the introduction of the game.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evaluation of the interface should not only be performed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game but also be continued in the middle and end of the development. As a method to do so, this thesis suggests the evaluation checklis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ame interface with the heuristic evaluation. The principle to be the standard of checklist includes two priorities: Priority for Fun that affects the battle and Priority for Usability such as Buy, Set, and Chat. Priority for Fun is again divided into 'Visibility of Information', 'Control', and 'Strike Sensation' and a guideline is suggested to evaluate the suitability depending on the propensity of games. This thesis expects to improve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online game interface with the checklist suggested in this thesis performing the evaluation of game interface in the early phase of development.

      • 전과정평가의 농업적 적용: 시설 상추 생산체계에 대한 전과정평가 및 사례분석

        유종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농업생산체계에 대한 전과정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적용을 위하여 LCI 구축과 LICA 수행을 위한 방법론을 고찰하고, 상추작물을 대상으로 농업적 전과정평가 방법론 및 인벤토리 목록을 구축하고 이를 통하여 상추생산체계에 대한 탄소 성적을 산정하였다. 더불어 구축한 전과정평가 방법론을 남양주 상추재배 농가에 적용하여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제1장에서는 LCA의 농업적 적용을 위하여 전과정평가 방법론을 고찰하고, ISO 14040 (2006)에 준하여 목적 및 범위설정(Goal and Scope Definition), 전과정 목록분석(LCI, Life Cycle Inventory), 전과정 영향평가(LCIA,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전과정 해석(Interpretation)의 4단계로 구성된 상추체계에 대한 LCA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연구 목적은 시설 상추재배체계에 대한 LCA 방법론 적용으로 정의하고, 기능단위는 상추 1 kg을 생산하는 1 작기를 기준으로 하였다. LCI 구축을 위한 영농 투입물과 산출물에 대한 자료 수집은 농진청의 농축산물 소득자료를 중심으로 관련 통계, 문헌자료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LCI 구축을 위한 자료 수집결과 상추를 재배할 때 투입되는 물질 중 유기질 비료와 무기질 비료의 시용과 식물보호제의 투입이 주요 배출인자로 분석되었다. 농업활동으로 배출하는 주요 환경부하물질은 비료가 시용된 토양으로부터 대기로 발생되는 N2O와 수계로 배출되는 NO3-, PO43-과 농약잔류물질로부터 발생하는 유기화학물질, 농기계에 쓰이는 화석연료 연소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등이었다. LCIA는 국외의 LCA 방법론과 LCA 적용사례를 조사하여 농업분야 LCIA 방법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LCIA는 분류화, 특성화, 정규화(일반화), 가중화의 4단계로 이루어지며, 이 중 의무절차인 분류화와 특성화까지 수행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LCA 수행에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지식경제부에서 개발하여 보급하는 'PASS 4.1.3'으로 정하였다. 제2장은 제1장에서 구축한 LCA방법론을 바탕으로 시설재배 상추생산체계에 대한 인벤토리목록 DB를 구축하고 이를 통하여 상추의 탄소 성적산정과 전과정 영향평가를 수행하였다. LCI 구축을 위한 영농 투입물과 산출물에 대한 자료 수집결과 시설 상추 1 kg 생산하는데 투입되는 물질 중 비료 투입량이 가장 많았고, 이 중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가 각각 7.85E-01 kg kg-1 lettuce, 4.42E-02 kg kg-1 lettuce였다. 비료와 더불어 에너지의 투입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였다. 영농단계에서 발생하는 포장에서 직접 대기로 발생하는 배출물 CO2, CH4, N2O의 합은 3.23E-02 kg kg-1 lettuce이었다 LCI분석 결과 시설 상추 생산체계 전과정을 통하여 상추 1 kg 생산하는데 발생하는 온난화 가스는 CO2가 8.65E-01 kg CO2 kg-1 lettuce으로 가장 많았고, CH4와 N2O가 각각 8.59E-03 kg CH4 kg-1 lettuce, 2.90E-04 kg N2O kg-1 lettuce이었다. 온실가스 배출에 가장 크게 이바지하는 공정은 비료생산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산화질소 발생은 질소비료 시용으로 인하여 상추를 재배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각 온난화 가스들의 발생량을 CO2-eq.로 환산하여 시설 상추 생산체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탄소 성적 값으로 산정하였다. 시설 상추 생산체계의 탄소 성적 값은 1.14E-+00 kg CO2-eq. kg-1 lettuce였다. CO2-eq.로 환산된 탄소배출량은 CO2는 발생비중이 총 배출량에 약 76%, CH4는 16%, N2O는 8%를 차지하였다. LCI 분석결과 영농작업 단계에서 배출되는 온난화 가스는(CO2, CH4, N2O)의 주요 원인은 농기계사용으로 말미암은 화석연료의 연소 중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메탄과 질소비료 시용 때문에 대기로 발생하는 아산화질소였다. 전과정 영향평가 결과 지구온난화 범주(GWP, Global Warming Potential) 의 특성화 값은 1.14E+00 kg CO2-eq. kg-1이었고, POCP 특성화 값은 9.45E-05 kg C2H4-eq. kg-1이었다. 비료생산에 의한 환경영향 기여도가 가장 컸고, 그 다음으로 농자재생산 공정과 에너지생산 공정이 환경영향에 대한 기여도가 높았다. 제3장은 남양주의 실제 상추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전과정평가를 적용하여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하여 현장을 방문하여 청취 조사를 하였고, 대상농가는 유기농가 2곳, 무농약 인증 농가 1곳, 관행농가 2곳이었다. 포장상태는 모두 시설농가였다. 국가 통계를 사용한 2장과 달리 현장자료 수집과 산정에서 데이터 값 및 오차범위가 넓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냉난방이 없는 가을 1 작기를 기준으로 평가하였고, 비료와 전기사용량 변화에 대한 민감도 분석 및 여름 작기를 기준으로 하는 시나리오 분석을 추가하였다. GTG 목록작성 결과 상추 1 kg 생산하는데 투입되는 물질 중 비료와 에너지 투입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농약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냈다. 농가별 투입 형태는 복합비료(21-17-17)와 요소, 퇴비를 모두 투입하는 농가 1과 2의 경우 복비 투입량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퇴비, 요소의 순이었다. 모든 투입물질 중 육묘단계가 없었던 농가 1을 제외한 모든 농가에서 전기의 투입량이 가장 많게 나타났다. 상추재배 중 포장에서 직접 배출되는 CO2, CH4, N2O 합은 각각 6.79E-03(농가 1), 8.10E-03(농가 2), 1.82E-02(농가 3), 7.51E-02(농가 4), 1.61E-02(농가 5) kg kg-1 lettuce이었다. 전과정 목록분석 결과 시설상추 1 kg 생산하는데 발생하는 온난화가스 발생량은 CO2가 배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이 N2O, CH4 순으로 나타났다. 농가별 CO2 배출량은 각각 2.92E-01(농가 1), 3.76E-01(농가 2), 4.11E-01(농가 3), 9.40E-01(농가 4), 5.37E-01 kg CO2 kg-1 lettuce(농가 5)이었다. CO2는 투입량이 가장 많았던 에너지생산 과정에서 가장 많이 배출되었고, 농가별로 전체 공정별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약 67∼91%를 차지하였다. 관행농은 에너지생산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비중이 유기농보다 적었고 대신 복비생산에 의한 배출비중이 그 차이만큼 늘었다. CH4는 유기농가는 에너지 공정이 전체 발생량의 약 87%를 차지하지만, 요소비료를 시용하는 농가 3은 비료생산 공정이 57%로 에너지 공정보다 발생 비중이 컸고, 복합비료와 요소, 퇴비를 시용하는 농가 1, 2는 에너지 생산에 의한 발생량이 약 24%이고 비료생산 공정이 약 76%를 차지하였다. N2O는 무기질 비료 투입이 많아질수록 상추재배공정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나타났는데 농가 3은 전체 아산화질소 발생량의 64%, 농가 1, 2는 87%를 차지하였다. 탄소 성적 값은 농가별로 각각 3.40E-01(농가 1), 4.31E-01(농가 2), 5.32E-01(농가 3), 1.08E+00(농가 4), 6.14E-01(농가 5) kg CO2-eq. kg-1 lettuce였다. 전과정 영향평가 결과 GWP 특성화 값은 농가 1이 3.40E-01 kg CO2-eq. kg-1, 농가 2가 4.31E-01 kg CO2-eq. kg-1, 농가 3이 5.32E-01 kg CO2-eq. kg-1, 농가 4가 1.08E+00 kg CO2-eq. kg-1, 농가 5가 6.14E-01 kg CO2-eq. kg-1이었다. 모든 농가에서 비료 공정에 의한 환경영향 기여도가 가장 컸다. 상추재배 농가에서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한 인자인 비료와 에너지 사용에 대하여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민감도 분석 결과 유박 사용량 변화에 따른 아산화질소 발생량이 민감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례분석에 투입되는 모든 비료 중 아산화질소 발생량이 가장 민감한 값을 보였다. 요소 사용량에 대한 민감도 분석결과 아산화질소의 민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이 메탄, 이산화탄소로 유박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퇴비 사용량 변화에 대한 온실가스 발생량 변화는 메탄의 변화율이 가장 높았다. 분석된 네 가지 비료 중에서 복합비료의 민감도가 가장 낮았고, 온실가스 변화량 중 아산화질소 발생량이 가장 민감하게 변화하였다. 전기 사용량 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은 이산화탄소의 민감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메탄이었고, 아산화질소는 민감도가 0에 가까워 전기 사용에 의한 아산화질소 발생은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산화질소를 제외한 메탄과 이산화탄소 발생량에서 전기 사용에 대한 민감도가 비료 사용에 대한 민감도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상추 재배에서 여름 작기에 대한 탄소 성적 시나리오 분석결과 생산량이 봄이나 가을에 비하여 약 1/2∼1/3정도 작았고, 이에 따라 탄소성적도 30∼40배 높은 값을 보였다. In chapter 1, the adoption of carbon foot print system is being activated mostly in the developed countries as one of the long-term response towards tightened up regulations and standards on carbon emiss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excluded the primary agricultural products from the carbon foot print system due to lack of LCI (life cycle inventory) database in agriculture. Therefore, the research on and the establishment of LCI database in the agriculture for adoption of carbon foot print system are urgent. Development of LCA (life cycle assessment) methodology for application of LCA to agricultural environment in Korea is also very important. Application of LCA methodology to agricultural environment in Korea is an early stage.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ffect of lettuce cultivation on agricultural environment by establishing LCA methodology. Data collection of agricultural input and output for establishing LCI was carried out by collecting statistical data and documents on income from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prepared by RDA. LCA methodology for agriculture was reviewed by investigating LCA methodology and LCA applications of foreign countries. Results based on 1 kg of lettuce production showed that inputs including N, P, organic fertilizers, compound fertilizers and crop protectants were the main sources of major emission factor during lettuce cropping process. The amount of inputs considering the amount of active ingredients was required to estimate the actual quantity of the inputs used. Major emissions due to agricultural activities were N2O (emission to air) and NO3-/PO4- (emission to water) from fertilizers, organic compounds from pesticides and air pollutants from fossil fuel combustion in using agricultural machines. The softwares for LCIA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and LCA used in Korea are 'PASS' and 'TOTAL' which have been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owever, the models used for the softwares are the ones developed in foreign countries.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models and optimization of factors for characterization, normalization and weighting suitable to Korean agricultural environment need to be done for more precise LCA analysis in the agricultural area. In chapter 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carbon emission using LCA and to establish LCI database for lettuce production system in protected cultivation. The results of data collection for establishing LCI DB showed that the amount of fertilizer input for 1 kg lettuce production was the highest. The amounts of organic and chemical fertilizer input for 1 kg lettuce production were 7.85E-01 kg and 4.42E-02 kg, respectively. Both inputs of fertilizer and energy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The amount of field emission for CO2, CH4 and N2O for 1 kg lettuce production was 3.23E-02 kg. The result of LCI analysis focused on GHG showed that the emission value to produce 1 kg of lettuce was 8.65E-01 kg CO2. The emission values of CH4 and N2O to produce 1 kg of lettuce were 8.59E-03 kg CH4 and 2.90E-04 kg N2O, respectively. Fertilizer production process contributed most to GHG emission. Whereas, the amount of emitted nitrous oxide was the most during lettuce cropping stage due to nitrogen fertilization. When GHG was calculated in CO2-equivalents, the carbon footprint from GHG was 1.14E-+00 kg CO2-eq. kg-1 lettuce. Here, CO2 accounted for 76% of the total GHG emissions from lettuce production system. Methane and nitrous oxide held 16%, 8% of i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life cycle assessment (LCIA) showed that GWP (Global Warming Potential) and POCP were 1.14E+00 kg CO2-eq. kg-1 and 9.45E-05 kg C2H4-eq. kg-1, respectively. Fertilizer production is the greatest contributor to the environmental impact, followed by energy production and agricultural material production. In chapter 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pply LCA methodology to lettuce (Lactuca sativa L.) production systems in Namyang-ju as a case study. Five lettuce growing farms with three different farming systems (two farms with organic farming system, one farm with a system without agricultural chemicals and t재 farms with conventional farming system) were selected at Namyangju city of Gyeonggi-province in Korea. The input data for LC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with the farmers. The system boundary was set at a cropping season without heating and cooling system for reducing uncertainties in data collection and calculation. Sensitivity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he results of establishing GTG inventory revealed that the quantity of fertilizer and energy input had the largest value in producing 1 kg lettuce, the amount of pesticide input the smallest. In farm 1 and 2 which used compound fertilization (21-17-17), urea and compost as fertilizer, input of compound fertilization was the largest, followed by compost and urea. The amount of the input electricity was the largest in all farms except farm 1 which purchased seedlings from outside. The quantity of direct field emission of CO2, CH4 and N2O from farm 1 to farm 5 were 6.79E-03 (farm 1), 8.10E-03 (farm 2), 1.82E-02 (farm 3), 7.51E-02 (farm 4) and 1.61E-02 (farm 5) kg kg-1 lettuc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LCI analysis focused on GHG, it was observed that CO2 emission was 2.92E-01 (farm 1), 3.76E-01 (farm 2), 4.11E-01 (farm 3), 9.40E-01 (farm 4) and 5.37E-01 kg CO2 kg-1 lettuce (farm 5), respectively. Carbon dioxide contribute to the most GHG emission. Carbon dioxide was mainly emitted in the process of energy production, which occupied 67~91% of CO2 emission from every production process from 5 farms. Due to higher proportion of CO2 emission from production of compound fertilizer in conventional crop system, conventional crop system had lower proportion of CO2 emission from energy production than organic crop system did. Methane emitted from energy production occupied 87% of total CH4 emission in organic farms. In farm 3 with urea application, fertilizer production process shared 57% of total CH4 emission, which was larger than energy production. In case of compound fertilizer, urea and compost application (farm 1, 2), CH4 emitted from energy production was 24% of total CH4 emission, whereas 76% from fertilizer production. With increasing inorganic fertilizer input, the process of lettuce cultivation covered higher proportion in N2O emission. Therefore, farms 1 and 2 covered 87% of total N2O emission; and farm 3 covered 64%. The carbon footprints from farm 1 to farm 5 were 3.40E-01 (farm 1), 4.31E-01 (farm 2), 5.32E-01 (farm 3), 1.08E+00 (farm 4) and 6.14E-01 (farm 5) kg CO2-eq. kg-1 lettuc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LCIA on GWP from farm 1 to farm 5 were 3.40E-01 kg CO2-eq. kg-1 (farm 1), 4.31E-01 kg CO2-eq. kg-1(farm 2), 5.32E-01 kg CO2-eq. kg-1(farm 3), 1.08E+00 kg CO2-eq. kg-1 (farm 4) and 6.14E-01 kg CO2-eq. kg-1 (farm 5), respectively. Within GWP, fertilizer production process held the highest contribute rate to environment effect. Sensitivit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ffect of type and amount of fertilizer and energy use on GHG emis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variation of amount of soybean meal affected N2O emission. The soybean meal was the most sensitive among 4 types of fertilizer. Among GHG emission, urea showed the highest sensitivity on N2O variation, which was similar to soybean meal. Compost was the most sensitive on CH4 variation. The value of compound fertilizer was the least sensitive among every fertilizer imput. Nitrous oxide variation was the most sensitive with changing input of compound fertilizer. Electricity showed the largest sensitivity on CO2 emission. However, the value of N2O variation was almost zero. The electricity sensitivity on CH4 and CO2 were higher than fertilizer sensitivity. Appendix

      • 수도권 거주자의 자연장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에 관한 조사 분석

        유종희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장사문화는 초고령사회 진입과 사망인구의 지속적인 증가, 화장률의 급증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장사문화 흐름 속에서 수도권 거주자의 자연장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에 관한 조사 분석을 통해 자연장 제도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8년 기준 전체 사망인구의 40%가 밀집해 있는 수도권 거주자를 대상으로 자연장 인지도 및 선호도를 양적방법론에 입각하여 조사 분석하였고, 그 결과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거주자의 자연장 인식 및 선호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자연장 제도가 2008년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을 통해 본격적으로 제도화되었으나, 설문조사에 응답한 사람들 중 50.4%가 자연장에 대해 잘 알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자연장 제도가 2008년 법으로 제정된 이후 현재까지 12년간 운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반인들의 인식 속에 자연장이 자리 잡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조사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수도권 거주자의 자연장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제시함으로써 자연장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 學校社會에 있어서 指導類型·權限配分·士氣와의 關係

        유종희 全北大學校 大學院 1980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improve efficient administration of secondary schools, it was attempted to bring light on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ree variables : principal's leadership styles, authority delegation to teachers, and teachers' morale in their respective school. In classifying leadership styles, Halpin's leader behavior description questionaire(L. B. D. Q. ) was quested. To measure the amount of authority delegation the questionaire was developed by myself, the questionaire for measuring teachers' morale was developed by Byeong-Eui Han. 570 teachers were sampled at random from 36 secondary educational schools. For data anylysis, means(M) and standard deviation(S.D.) were computed, and the critical ratio(C. R.) test was applied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among the subject groups The finding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amount of anthority delegation, and teachers' morale were highest under the administrator's effective leadership style and were lowest under the ineffective one. 2. The relation between the authority delegation and teachers moral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uthority delegation was an important variable to teachers' morale. 3. The amount of authority delegation and teachers' morale in public schools were higher than in private schools. 4. The amount of authority delegation and teachers' moral of larger schools were higher than that of smaller ones. 5. According to C.R. test, the age of the principals was not correlated to authority delegation and teachers' morale. 6. The amount of authority delegation and teachers' morale in urban schools were higher than that of rural on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remarks are urged ; 1. For effective administration, it is desirable for a principal to pay attention to both consideration structure and imtiating structure. 2. The school administrator should promote teachers' morale, self-regulation, specialization, and creativity through appropriate authority delegation. 3. The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encourage his teachers' morale by improving physical condition of education as well as by satisfying teachers' psycological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