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크리켓 실내 위치 시스템에서 실시간 무인 로봇 위치 추정

        유재봉(Jaebong Yoo),서정택(Jungtaek Seo),최헌식(Heonsik Choi),박찬영(Chanyoung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D

        유비쿼터스 컴퓨팅 애플리케이션은 빈번히 위치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모바일 노드들의 위치를 파악하여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것이 점차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여기서 모바일 노드들의 위치 추정은 센서 네트워크에서 노드들에게 좌표를 할당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노드위치 추정을 다루는 연구들이 늘어나고 있으나, 현재 제안된 거의 모든 연구들의 위치 추정 실험에서는 엔코더, 자이로,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해서 실제 이동량을 측정해야만 한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어떤 추가적인 센서를 추가하지 않고 실험에서 얻은 모바일 노드의 좌표들을 카메라로 획득한 실제 영상에 맵핑시킴으로써 위치 추정 실험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제안한 방법론을 이용하여 크리켓 실내 위치 시스템(Cricket Indoor Location System)의 대표적인 두가지 구조인 Active and Passive Infrastructure에서 무인 로봇의 위치 추정 실험 결과를 보여 준다.

      • 실내 환경에서 RF Navigator를 이용한 자동 주행 시스템

        유재봉(Jaebong Yoo),신현준(Hyeonjun Shin),서정택(JungTaek Seo),김상윤(Sangyun Kim),박찬영(Chanyoung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1D

        현재 다양한 기능의 로봇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사람들의 관심 또한 확대되고 있다. 그 기능과 이용 분야 또한 다양하게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인 로봇의 이동에 있어서 지정된 동작만을 반복하는 단순한 이동 로봇이 아니라 사람의 눈과 같이 로봇이 방향과 거리를 스스로 계산하여 스스로 제어가 가능하고 동작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크리켓(Cricket)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인 이동 로봇의 자가 제어(Self-Control)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자동 주행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무인 이동 로봇의 자동 제어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해 봄으로써 크리켓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로봇의 위치 측정 및 제어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 KCI등재

        phronēsis로서의 수사학 가능성 탐색: 이소크라테스의 관점

        이영주 ( Lee Youngju ),유재봉 ( Yoo Jaeb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2

        수사학은 흔히 상대방을 설득하는 말과 언어의 기술로 그동안 알려져 왔다. 수사학을 말과 언어의 기술로 보는 것은 상당 부분 소피스트의 영향 때문이다. 그러나 수사학을 단순히 말과 언어 기술로 보아도 좋은가? 이 논문은 이 질문에 대해 대답하기 위한 시도이다. 아닌 게 아니라, 희랍 시대부터 수사학이 테크네(technē)인가하는 문제는 지식인들 사이에 중요한 질문 중의 하나로 제기되어 왔다. 이소크라테스는 수사학이 단순히 말과 언어에 관한 기술이라기보다는 좋은 삶을 살아가는 데 요구되는 실천적 지혜(phronēsis)로 보아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듯이 보인다. 이소크라테스의 수사학은 실제 삶에서 사태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문제해결이 가능한 올바른 의견 혹은 마음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하여 수사학 교육은 단순히 말과 언어 기술을 가르치거나 테크닉의 적용을 넘어서, 말과 언어를 통해 올바른 마음의 형성을 추구하고 삶에서 실천적 지혜를 기를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Rhetoric is the study of speech and language that emerged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Athens, Greece. Especially, rhetoric was rapidly developed in the fifth century B. C., by Sophists who taught wanting to be a politician young Athenian peopl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rhetoric as phronēsis. To this end, firstly, we critically examine Sophists' conception of rhetoric. Secondly, we explore Isocrates' view of rhetoric. Finally, we suggest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nature of rhetoric as phronēsis. For Sophists, rhetoric has been regarded as technē, a language skill to persuade each other. However, is rhetoric merely technē?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this question. Isocrates seems to see rhetoric as phronēsis in terms of cultivating the sound opinion(doxa) or mind capable of correctly understanding situations and solving problems in life, beyond acquiring a skill of speech. Therefore, rhetoric educa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goes beyond simply teaching speech and language skills, and suggests a direction to pursue the formation of a sound mind which is related to the cultivation of phronēsis in life by speech and writing.

      • KCI등재

        존 화이트의 『학교에서의 웰빙 탐색』에 나타난 웰빙(well-being) 개념과 교육

        정문선 ( Jung¸ Moonsun ),유재봉 ( Yoo¸ Jaebo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3

        교육의 목적이 무엇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지만, 학생들을 행복하게 혹은 잘 살도록 하는데 있다는 점에서는 별 이견이 없는 듯이 보인다. 화이트는 피터스와 허스트의 이론적 활동을 추구하는 자유교육론을 비판하며, 개인의 웰빙에 목적을 둔 교육을 제안했다. 그의 웰빙 개념은 시기에 따라 ‘반성 후 욕구 충족’, ‘검증된 욕구 충족’, ‘내재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과 관계에 전심으로 참여하며 성공적인 삶’으로 수정되어 왔다. 그러나 그의 웰빙 개념은 여전히 분명하지 않다. 이 논문의 목적은 모호한 화이트의 웰빙 개념을 명료화하고, 그의 웰빙 교육관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그의 웰빙 개념의 변천과정을 개관하고, 최근 웰빙 개념을 ‘내재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과 관계’, ‘전심으로 참여’, ‘성공적인 삶’이라는 세 가지 준거를 중심으로 분석하며, 그의 웰빙 개념과 교육관을 검토한다. 그에 의하면, 웰빙은 개인의 선호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에서 나아가 내재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과 관계를 추구해야 한다. 화이트에 의하면, 개인의 웰빙에서 가치 있는 것의 기준이 자의적인 것이 아니라 문화 의존적일 수밖에 없다. 화이트의 웰빙 개념을 명료하게 하는 것은 ‘웰빙 교육’이 정확히 무엇이며,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한 가지 예시를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and discuss White’s conception of well-being and education. Many people agree that education should be the promotion of a pupil’s well-being, although they have different views on what constitutes well-being. White criticized Peters and Hirst’s liberal education as the pursuit of theoretical knowledge. He has revised his conceptions of well-being from time to time: “post-reflection desire satisfaction,” “informed desire satisfaction,” and “successful and whole-hearted engagement in intrinsically worthwhile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Nevertheless, his concept of well-being remains unclear. In this paper, we analyze his recent concept of well-being based on three criteria: “intrinsically worthwhile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whole-hearted engagement,” and “successful life.” We also critically discuss his well-being education. White addresses the promotion of a pupil’s well-being, but he does not deny the overlapping objective values list. The overlapping objective values list implies that the criteria of personal preferences or desires for a successful life are culture-dependent. Well-being education is understood as helping everyone to enjoy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