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가족 친화적 근무 제도가 공무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95

        개인들이 일과 가정생활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치관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조직과 사회는 이러한 가치관을 포용하고 개인의 능력을 사장시키지 않기 위한 제도를 발전시켜야 한다. 우리 정부는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하기 위해 각종 가족 친화적 근무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족 친화적 근무 제도에 대한 공무원의 만족도가 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분석하며, 공무원의 소속 집단에 따른 인적 특성에 따라 이러한 영향력의 정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6년 한국행정연구원 사회조사센터에서 실시한「공직생활에 대한 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해당 자료는 중앙행정부처 및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일반직 공무원 2,07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집계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TATA 11을 이용해 실시하였다. 검증을 위해 독립변수로는 가족 친화적 근무정책(육아휴직제도, 직장 내 보육시설, 유연근무제)에 대한 공무원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는 삶의 질, 조절변수로는 성별, 혼인여부, 소속기관 유형, 직급, 연령을 사용하였으며, 업무강도, 후생복지제도에 대한 만족도, 보수의 공정성, 보상의 정당성을 통제변수로 두고 연구 모형을 설계하였다. 연구결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에서는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만족도, 직장 내 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 유연근무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공무원의 삶의 질이 높아진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공무원 인적 특성별 조절효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여성의 경우 육아휴직제도 만족도와 공무원 삶의 질 관계에 있어서는 부(-)의 조절효과가, 직장 내 보육시설 만족도와 공무원 삶의 질 관계에 있어서는 정(+)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둘째, 기혼자의 경우 육아휴직제도 만족도와 공무원 삶의 질 관계에 있어서는 정(+)의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직장 내 보육시설 만족도와 공무원 삶의 질 관계에 있어서는 부(-)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셋째, 국가공무원의 경우 직장 내 보육시설 만족도와 공무원 삶의 질 관계에 있어서는 부(-)의 조절효과가, 유연근무제 만족도와 공무원 삶의 질 관계에 있어서는 정(+)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넷째, 관리자 직급 공무원의 경우 육아휴직제도와 공무원 삶의 질 관계에 있어서 정(+)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조절효과의 원인 분석을 통해 각각의 제도의 만족도가 더 높은 삶의 질로 이어질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육아휴직제도를 활용하는 공무원의 경우 경력 단절 및 인사상 불이익의 문제를 겪지 않도록 업무 재교육 및 합리적 인사조치가 필요하다. 직장 내 보육시설은 경력 단절이 없고 육아 부담을 덜어주어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크므로, 인프라의 양적, 질적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유연근무제도의 경우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중앙정부와 같은 적극적인 활성화 방안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 현대 패션에 적용된 생체모방의 표현특성과 내적의미

        유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Biomimicry has historically continued as part of efforts to ensure the survival and convenience of mankind and mimic the aesthetic beauty of nature. Today, its applications spread across so many different fields due to the development of state-of-the-art science and technology that the scope is immeasur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meanings of biomimicry applied to contemporary fashion based on multilateral and comprehensive discussions about it. As for research content,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nd the concepts of imitation to build a systematic theoretical ground for biomimicry. Second, it examined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modern development of biomimicry based on its concepts, types, and historical cases. Third, it analyzed the cases and expressive methods of biomimicry in such formative areas as biomorphic art, digital architecture surface, and product design to apply biomimicry visually and categorized its expressive characteristics. Fourth, it analyzed the frequency of biomimicry fashion and its expressive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meanings. As for methodology, the investigator conducted literature study based on books, papers and news articles about living organisms, environment, and biomimicry and then collected and analyzed the cases of photographs found in books, fashion collections, and designers' personal websites related to biomimicry fashion from the S/S season of 2000 to the F/W season of 2017. The findings show that biomimicry fashion had the following expressive characteristics: First, biomimicry fashion embodying organic life force was categorized into organic life curves, volume structures, and geometric bio-pattern structures. The biomimicry fashion in organic curves and volume structures used soft transparent materials to make the boundary between the wearer's body and clothes blurry, creating a mutated body image evolved biologically. The biomimicry fashion with a sense of volume through sequential pleats expressed the flow of time and organic sense of rhythms such as the birth, growth, and extinction of life. The biomimicry fashion in a geometric bio-pattern structure put an emphasis on the order and regularity of nature according to the modular growth method of living organisms. The biomimicry fashion with a geometric bio-pattern based on folding, laser cutting, and 3D printing technologies altered its materials flexibly or changed according to an exter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wearer. The clothes in a three-dimensional module associated with a bio-skin worked as a means of redesigning the body of the wearer. Second, the fashion that mimicked the bio-functions for environmental adjustment was divided into the type of protecting the body and that of reinforcing and expanding the bio-functions. The biomimicry fashion designed to protect the body can protect the body from external physical shocks or extreme cold thanks to the bio-skin and structure of a living organism applied to new functional materials. Protective and aposematic colors, which have long been applied to clothes, are consistently used in military and working clothes today. They recently fulfill the purposes of protecting the body of the wearer and ensuring his or her psychological stability in the form of smart wear. The biomimicry fashion to promote the reinforcement and expansion of the bio-functions is launched in the forms of new functional material and extreme sports wear to help the wearer perform in a more pleasant state. Third, the biomimicry fashion based on an efficient ecological system application was classified into the types of cyclical material recycling and various item direction styles. The common principle was that of the ecosystem to make the most use of energy with the minimum resources. Trying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environment, the biomimicry fashion based on cyclic material recycling used biomaterials whose natural degradation would be easy, fabricated modular materials whose degradation and recombination would be possible, and needlework-free knit materials. The biomimicry fashion showing various direction styles expanded a single piece of clothes to various forms and functions with manual work or mechanical operation and proposed ways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unnecessary clothes. When a piece of fashion was transformed into the form of another item based on the disorganization of fabricated modular materials, it would perform multiple functions and, at the same time, allow for playful experiences. The fashion performance changed the forms of clothes according to mechanical operation, embodying the life phenomena of mysterious nature. Biomimicry fashion had the following internal meanings: First, biomimicry fashion as the practice of environment-friendly acts proposed specific ideas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environment in the treatment process after clothes making and consumption and delivered a social message about environment preservation. Needlework-free knit materials whose cyclic recycling would be possible were used as ethical materials that could serve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with uncomfortable movements based on their superior elasticity. Biomimicry fashion also showed ways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unnecessary clothes by introducing various direction styles for a single item. The premise of such environment-friendly biomimicry fashion was the ecocentric world view to regard all living organisms as equals and pursue mutual survival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Second, the biomimicry fashion to meet the need f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safety was used as a medium to protect people living these days. Clothes made of new high-functional materials developed through biomimicry were used as safety devices to protect human beings from extreme environment conditions and external physical shocks by modern people that were exposed to abnormal climate derived from serious environment pollution and preferred various leisure activities. The fashion items that created a sense of volum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earer and hugged the body reminded people of animals' instinctive acts at risk and provided them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Being exposed to tension and stress in an excessively competitive society, people found a sensory means of defense and healing to protect themselves in these fashion items. Third, the biomimicry fashion to communicate with the environment displayed futuristic fashion beyond the traditional concepts and forms of clothes, reflecting some aspects of modern civilization that had been diversified with the boundaries among different genres collapsing. When biomimicry fashion contained internal sensors to react and chang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earer and the external light and temperature condition, it would serve useful functions in the forms of new materials or smart wear. I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that are under the influence of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make constant interactions with them throughout life. The biomimicry fashion combined with many different media such as remote control and beam projection took the form of performance or film. As it depicted delicately the various intentions of designers or aspects of life phenomena, it generated enough effects to stimulate the interest and curiosity of the audience. Finally, the biomimicry fashion was a way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natural body and embodying a fantasy. It became a means of expressing diverse human fantasies and desires about the body. When biomimicry fashion copied the abilities or elements of living organisms not found in human beings, it woul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innate body and express the body that had its functions upgraded or its sexual attraction maximized. It allowed the wearers to hav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and create a new persona or enjoy a playful experience. When the organic curves and volumes of living organisms were embodied in fashion, they would create a sense of rhythm and dance and invoke fun emotions in the audience through association with various sens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biomimicry fashion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ality of the fashion industry as sustainable fashion characterized by design beyond timeless design, excellent functionality, and consideration into both human being and nature. Biomimicry fashion stimulates multi-dimensional senses and sentiments of people based on its organic life force and contains original designs and functionalities and environment-friendly advantages, thus meeting people's desire and aesthetics about the body. Biomimicry fashion continues to advance functionally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and holds infinite potential and possibility as a key to solving various tasks ahead in the history of clothes based on efforts for human safety and conveni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made a new approach to biomimicry, which has been investigated usually in the field of engineering,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of fashion and presented an encounter between different disciplines. Since the study covered comprehensively the forms, functions, and systems of biomimicry fashion, its findings will hopefully offer a model useful for basic theoretic materials and creative design education in other fields including fashion, as well. 생체모방은 역사적으로 인류의 생존과 편리함, 자연의 미적인 아름다움을 모방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으며, 오늘날에는 첨단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그 적용범위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생체모방에 대한 다각적이고 전반적인 논의를 통해 현대 패션에 적용된 생체모방의 표현특성과 내적의미를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내용은 첫째, 생물의 특성과 모방의 개념을 고찰하여 생체모방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생체모방의 개념과 유형, 역사적 사례를 통해 생체모방의 내적특성과 현대적 발전배경을 알아보았다. 셋째, 생체모방을 시각적으로 적용한 바이오모픽 아트, 디지털 건축표면, 제품디자인과 같은 조형분야에서의 사례와 그 표현방법을 분석하여 생체모방의 표현특성을 범주화하였다. 넷째, 생체모방 패션의 출현빈도를 분석하고, 표현특성과 내적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생물 및 환경, 생체모방과 관련된 전문서적, 논문, 뉴스기사를 바탕으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2000년 S/S시즌부터 2017년 F/W시즌까지 생체모방 패션과 관련된 전문서적, 패션컬렉션, 디자이너들의 개인 웹사이트에 발표된 사진자료를 수집하여 사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생체모방 패션의 표현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기적 생명력을 형상화한 생체모방 패션은 생물의 유기적 곡선과 볼륨구조, 기하학적인 생체패턴구조로 분류되었다. 유기적 곡선과 볼륨구조가 나타난 생체모방 패션은 착용자의 신체와 의복 사이의 경계가 불분명하게 보이는 투명한 연질의 소재 등을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진화된 돌연변이 신체이미지를 연출하였다. 또한 연속적인 주름을 통해 볼륨감이 형성된 생체모방 패션은 생물의 탄생과 성장, 소멸과 같은 시간의 흐름과 유기적인 리듬감이 표현되었다. 기하학적인 생체패턴구조가 나타난 생체모방 패션은 생물의 모듈식 성장방식에 따른 자연의 질서와 규칙성이 강조되었다. 폴딩과 레이저 컷팅, 3D프린팅 기술로 기하학적인 생체패턴의 나타낸 패션은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소재가 유연하게 변형되거나, 외부의 환경 반응하여 변화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또한 생체스킨을 연상시키는 입체적인 모듈로 이루어진 의상은 착용자의 신체를 재디자인 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작용하였다. 둘째, 환경적응을 위한 생체기능을 모방한 패션은 신체보호기능과 신체기능의 강화와 확장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먼저 신체보호기능의 생체모방 패션은 생물의 생체스킨과 구조가 기능성 신소재에 적용되어 외부 물리적인 충격이나 극한의 추위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었다. 또한 과거부터 의복에서 적용되어온 보호색과 경고색은 현재에도 군사적인 용도와 작업복으로 꾸준히 사용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스마트웨어의 형태로 착용자의 신체보호와 심리적인 안정감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었다. 신체기능의 강화와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생체모방 패션은 착용자가 더 쾌적한 상태에서 운동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신소재나 익스트림 스포츠용 웨어로 출시되고 있었다. 셋째, 효율적 생태시스템을 적용한 생체모방 패션은 재료의 순환적 재활용과 아이템의 다양한 연출방식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최소한의 자원과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는 생태계의 원리를 적용한 것이었다. 우선 재료의 순환적 재활용을 통한 생체모방 패션은 환경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자연적으로 분해가 쉽게 이루어지는 바이오소재를 이용하거나 분해와 재조합이 가능한 조립식 모듈소재 및 무봉재 방식의 니트 소재가 의복의 재료로 사용되었다. 다양한 연출방식을 보여주는 생체모방 패션은 수작업이나 기계적인 조작으로 한 가지 의복에서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확장하며, 불필요한 옷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조립식 모듈소재를 해체하여 다른 아이템의 형태로 변형하는 패션은 다기능성을 가지는 동시에 유희적인 체험이 가능하였다. 기계적 조작으로 의상의 형태가 변화하는 패션 퍼포먼스는 신비로운 자연의 생명현상을 형상화하였다. 생체모방 패션이 가지는 내적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적 행위의 실천으로서 생체모방 패션은 의복제작과 소비 후 처리과정에서 환경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환경보존에 관한 사회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 중 순환적 재활용이 가능한 무봉제 방식의 니트는 뛰어난 신축성을 바탕으로 움직임이 불편한 노약자나 장애를 가진 이 모두가 착용할 수 있는 윤리적인 소재로도 사용되었다. 또한 생체모방 패션은 한 가지 아이템의 다양한 연출방식을 통해서 결과적으로는 불필요한 옷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친환경적인 생체모방 패션은 모든 생명체를 평등한 존재로 여기고, 인간과 자연의 공생을 추구하는 생태중심적인 세계관이 전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신체와 심리적 안전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생체모방 패션은 현대인을 보호하는 하나의 매개체로서 작용하였다. 극심한 환경오염에서 비롯된 이상기후에 노출되어 있으며, 다양한 여가활동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에게 생체모방을 통해 개발된 고기능성 신소재의 의복은 극한의 환경조건과 외부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는 안전장치처럼 활용되었다. 또한 착용자의 상태에 따라 볼륨감이 형성되며, 신체를 감싸 안아주는 패션 아이템은 위험에 처한 동물들의 본능적인 행위를 연상시키며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하였다. 이는 지나친 경쟁사회 속에서 긴장감과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현대인들에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감각적인 방어수단이자 치유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셋째, 환경과의 상호소통을 보여주는 생체모방 패션은 전통적인 의복의 개념과 형식에서 탈피한 미래지향적인 패션을 선보였다. 이는 여러 장르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다원화된 현대문명의 모습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의복 내부의 센서가 착용자의 상태 혹은 외부의 빛과 온도 등에 반응하며 변형되는 생체모방 패션은 신소재 혹은 스마트웨어의 형태로 유용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것은 일생동안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끊임없이 그와 상호작용하는 생물의 특성이 드러났다. 리모트컨트롤, 빔프로젝트와 같은 여러 매체가 결합된 생체모방 패션은 퍼포먼스 혹은 필름의 형태로 나타났는데, 이는 디자이너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다양한 의도와 생명현상의 모습을 섬세하게 나타내어 관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넷째, 자연신체의 한계극복과 판타지구현의 방법으로 생체모방이 적용된 패션은 신체에 관한 인간의 다양한 환상과 욕망을 표출하는 수단이 되었다. 인간이 가지지 못한 생물의 능력이나 요소를 모방한 생체모방 패션은 타고난 신체의 한계를 벗어나 기능적으로 업그레이드 된 신체, 성적매력이 극대화된 신체 등이 표현되었다. 이는 착용자가 그것을 직 ·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새로운 페르소나의 형성과 유희적인 체험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생물의 유기적인 곡선과 볼륨이 형상화된 작품에서는 리듬감과 율동감이 형성되며 다양한 감각에 관한 연상 작용을 통해 관객들에게 즐거운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었다. 이상과 같이 생체모방 패션은 유행을 타지 않는 디자인과 뛰어난 기능성, 인간과 자연 모두를 생각하는 지속가능한 패션으로서 향후 미래를 위해 패션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다. 유기적인 생명력을 바탕으로 인간의 다차원적인 감각과 감성을 자극하고, 기발한 디자인과 기능성, 친환경적인 장점까지 포함한 생체모방 패션은 현대인들의 신체에 관한 욕망과 미감을 만족시키기에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시대적 흐름과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능적으로 진보하고 있는 생체모방 패션은 인간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노력으로 향후에도 의복 역사에서 부딪칠 수 있는 다양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무한한 잠재성과 가능성의 열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본 연구는 현재까지 주로 공학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던 생체모방을 패션이라는 미학적인 관점에서 새롭게 접근하여 서로 다른 학문 영역간의 만남이 이루어졌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생체모방 패션의 형태와 기능, 시스템까지 포괄적으로 다룬 연구는 패션을 비롯한 다른 영역에서도 기초적인 이론자료와 창의적인 디자인 교육을 위한 유용한 모델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픽토그램 디자인 연구

        유연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사회의 발전을 따라, 사람들이 박물관을 방문하는 횟수 또한 점점 늘고 있다. 픽토그램은 박물관의 정보전달 매체의 일종으로서 박물관에서 불가결의 구조적 요소 중 하나이다. 일부 박물관은 복잡한 전시공간을 가지고 있어, 관람객들이 관람을 하며 시각적인 혼란을 겪게 되어 불편하게 느낀다. 방향지시가 불명확하거나, 전시공간이 매우 큰데도 휴식 공간 배치가 비합리적이어서 불편을 초래하거나 피로도를 증가시킨다. 다양한 국적을 가진 관람객들은 픽토그램을 직관적으로 식별하고 이해하여 자신이 원하고자 한 바, 혹은 가고자 한 목적지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다. 언어 없이도 픽토그램만으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박물관에서 픽토그램의 작용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문은 박물관의 픽토그램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픽토그램이 박물관에서 관람객들의 서비스 요구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가이드역할과 방향식별 작용을 한다는 것을 명시하였다. 전체적인 가이드 시스템에서 완벽한 디자인은, 픽토그램의 전체적인 디자인 스타일과 박물관 전시구역의 전체적인 예술 스타일과 조화를 이루게 만든다. 서비스 기능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관람객에게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선사하는 것이다. 본문은 박물관 픽토그램의 디자인 요소를 통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박물관 가이드표식의 픽토그램, 박물관 픽토그램의 공간언어 그리고 박물관 픽토그램의 표현요소 세 가지 측면에서 구체적인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다양한 박물관 전시공간구조와 전시 콘텐츠의 특징에 따라 픽토그램의 도형부호 디자인이 어떻게 박물관의 전체적인 예술 스타일에 부합하는지 그리고 박물관의 전시 콘텐츠의 특징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메인픽토그램, 세부픽토그램 그리고 부분픽토그램은 더 직접적으로 관람객들의 서비스 요구를 만족시키고 전체 박물관 전시공간의 방향 식별과 이해를 돕는다. 본문은 박물관의 픽토그램 디자인 요소를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박물관 사례를 결합하여 우수한 점과 부족한 점을 분석해보았으며,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모든 픽토그램을 재 디자인 해보았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한국 최초의 국립근현대박물관으로서, 과거, 오늘날 그리고 미래의 대한민국을 아우르는 대표적인 문화공간이다. 건축물은 8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1층,3층,4층,5층은 박물관의 전시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문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1층, 3층,4층,5층 내부 전시공간의 픽토그램 도형 부호를 재 디자인 해보았다. 박물관 전시공간의 특징에 근거하여, 입면도에 다양한 시대의 전시내용을 담았으며, 색깔을 달리함으로서 직접적으로 다른 시대의 전시정보를 보여주어 박물관의 메인픽토그램, 세부픽토그램, 부분픽토그램을 더 합리적이고 인성화 되도록 디자인하였다. 이로서 관람객은 가장 빠르게 직접적으로 전체적인 전시정보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비스에 만족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픽토그램 재 디자인을 통해, 박물관에 대한 관람객의 시각적 식별 이미지가 더욱 강화될 것이며 박물관의 시대감과 역사성이 가지고 있는 상징적 의미를 구현해 낼 것이다.

      • 우리나라 청소년 대사증후군 패턴과 식이요인과의 연관성 연구 : 2007~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유연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나라는 성인들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증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청소년에서도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청소년의 대사증후군에 여러 영향이 미치는데 그 중 식사요인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성인에서 대사증후군과 식이요인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 발표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청소년의 대사증후군과 식이와의 관련성을 보는 연구는 극히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 대사증후군 위험 요소의 패턴과 식사 요인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07-2012년 국민영양조사의 건강검진과 식품섭취조사에서 모두 참여한 10-18세 청소년 중 대사증후군 요소와 24시간 회상 자료가 모두 있는 2,9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청소년 대사증후군 진단은 국제당뇨협회(IDF)와 미국 콜레스테롤 교육 프로그램(NCEP-ATPⅢ)의 기준을 사용하였고, 대사증후군 요소의 패턴 구별을 위하여 허리둘레,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공복 혈당, 중성 지방과 HDL콜레스테롤을 사용하였다. 청소년 대사증후군 요소의 군집은 세 가지 패턴으로 구별되는데 1)높은 혈압(Elevated blood pressure pattern) 2)이상지혈증(Dyslipidemia pattern) 3)혈당 이상(Glucose abnormalities pattern)이라 명명하였다.‘높은 혈압(High blood pressure)’패턴에서는 연령, 성별, 신체활동 보정 시 허리둘레, HDL-콜레스테롤, 공복혈당,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HOMA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영양소 섭취는 탄수화물에서 사분위수간 차이를 보였으며 티아민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식품군 섭취에서는 난류와 어패류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지혈증(Dyslipidemia)패턴에서 연령, 성별, 신체활동 보정 시 허리둘레,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수축기 및 이완혈압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영양소 섭취량은 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칼슘, 인, 나트륨, 리보플라빈에서 4분위그룹간의 차이를 나타냈고 지방, 나트륨, 리보플라빈, 니아신이 그룹간 유의적이었다. 식품군 섭취에서는 흰밥, 밀가루&빵, 채소류, 생채소류, 김치류, 육류, 어패류, 해조류, 유류 및 그 제품, 조리가공식품류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혈당 이상(Glucose abnormalities)패턴에서는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공복혈당,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영양소 섭취는 티아민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모든 식품군 섭취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대사증후군 요소들이 묶이는 특징적인 패턴이 존재하고, 각 패턴마다 다른 식사요인이 관련되었다. 앞으로 단면적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패턴과 식사요인의 연관성을 밝히는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 중심어 : 대사증후군, 요인 분석, 식이요인 Whil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adolescents is increasing, little is presently known about this syndrome in adolescents. This study aimed to cluster metabolic risk factors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identified patterns and nutrient intake using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Examination and Nutritional Assessment (KNHANES). A total of 2,958 subjects aged 10 to 18 years with both biochemical and dietary data information were obtained from KNHANES 2007-2010. Six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were used to identify any patterns via factor analysis. Individuals were categorized into quartile groups according to their pattern score. Three clustering patterns with high loadings were identified and named as follows: 1) high blood pressure, 2) dyslipidemia, and 3) glucose abnormality pattern. The high blood pressure pattern showed high loadings of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the dyslipidemia pattern showed high loadings of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levels, and the glucose abnormality pattern showed high loadings of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The intakes of fat and riboflavi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ose of sodium and niac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cross the quartiles in the dyslipidemia pattern. No nutrient intake except thiami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igh blood pressure or glucose abnormality pattern. Our findings showed that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the Korean adolescent population are characterized by three distinct patterns, which are differentially associated with dietary factors. Characterizing metabolic risk factors and providing specific dietary guidelines for target groups are important. Keywords: adolescents, metabolic syndrome, factor analysis, nutrient intake

      • 중국 모바일 택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재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디디 택시를 중심으로

        유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전 세계에서 스마트폰 시장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우리 생활방식이 바뀌고 있다. 스마트폰 사업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급격히 활성화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물건과 서비스를 구매하기 시작했고 이러한 서비스의 기능이 오락, 금용, 교통 등 분야를 소비자에게 편리한 생활방식을 제공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 서비스는 시간과 장소를 구애 받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모바일 택시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품질에 대해 최근 급격히 부상하는 디디 택시 서비스 이용자 대상으로 디디 택시 서비스의 기능 및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어떤 서비스품질요인이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사용할 것인지 찾고자 한다. 이런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를 통하여 디디 택시 서비스의 4대 요인(경제성, 편리성, 대응성, 신뢰성)과 촉진 및 협업 기능의 매개변수를 중심으로 재사용의도의 연구 변수를 설정하고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2017년 4월8일~5월 6일간 오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으로 설문을 수집하여 설문 자료는 SPSS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요인들에 대한 신뢰성 및 다당성 분석(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모델에서 제시한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통하여 가설에 대한 검증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디디 택시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은 경제성, 편리성, 대응성, 신뢰성과 재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사용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서비스품질을 이루는 요인들을 중시하고, 잘 관리하여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촉진기능은 대응성, 편리성 및 재사용의도의 부분적인 매개변수로 검중되었다. 협업기능은 경제성, 대응성, 신뢰성 및 재사용의도의 부분적인 매개변수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촉진과 협업기능은 서비스품질과 재사용의도간의 중요한 요소라고 말할 수 있다. 셋째, 촉진과 협업기능은 재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촉진기능과 협업기능이 높을수록 재사용의도를 함께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초임계추출한 홍삼박 오일의 이화학적 특성

        유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and red ginseng marc extracts by supercritical fluid (SFE) and n-hexane extraction (HE) were investigated. The compositions of fatty acid, phytosterol and ginsenoside, as well as the moisture, crude fat, acid values, saponification values, iodine values were examined and compared. The crude fat content of red ginseng marc was higher than white ginseng, and the acid value showed higher in the solvent extracts of red ginseng marc and white ginsengs. The major fatty acids of the red ginseng marc and white ginsengs were linoleic acid, palmitic acid and oleic acid. β-sitosterol was the dominant phytosterol in ginseng, and content was much higher in the ginseng extracts by SFE. The ginsenosides were not detected in all the ginseng oils .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사동표현 교수방안 연구 : 절충식 교수법의 활용을 중심으로

        유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e Causative grammar is very complicated and sometimes expressed in the way of vocabulary.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learn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It’s truly hard for learners who speak Chinese as their isolated language. However,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is a very common grammar to used in daily life and writing, and it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it for facilitate communication in Korean. Therefore, this study is aims to make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more easier for Chinese intermediate learners. In this study,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are divided into the singular causative expression, the long causative expression and the lexical causative expression. Since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ar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the teaching method is showed different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applied as an Eclectic Teaching Method which integrates the Audio-Lingual Method,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nd the Task-Based Language Teaching. In Chapter 1, we examined the necessity of preparing a teaching method for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for Chinese learners. Although there are a lot of previous studies that have been done in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education for the time being, there are still have problems need to be solved, especially the memorization oriented teaching method seems to be very inefficient.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establish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Chapter 2 explains why Chinese learners are having so much difficulty in learning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Despite the fact that are frequent opinions on the categorization of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there still needs to unified standards to facilitate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education. For this reason, the concept and type of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are regularized, and then the corresponded causative expressions in Chinese also need to b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Chinese is so common with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like diversity and complexity. It can be reasons for Chinese learners why have so much difficulties and errors in learning and using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In Chapter 3, we analyzed the types of errors that Chinese learners often made when they use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Chapter 2 also revealed the causes of the errors. As a result, we also proposed the improvement direction to reduce errors that Chinese learners made when they use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analysis in Chapter 4, we provide an efficient teaching method for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for Chinese learners. This study provides a method of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by using an Eclectic Teaching Method which integrates the Audio-Lingual Method,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nd the Task-Based Language Teaching. In addition, we examined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educate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by using Eclectic Teaching Method. Further more, we discussed how to use the Eclectic Teaching Method reflected in learning elements of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class. Finally, we searched for a teaching model of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ed professor model, I tried to create a teaching method of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by using the Eclectic Teaching Method. In Chapter 5, We briefly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it more easier for Chinese learners to learn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In order to accomplish that, this study emphasized that flexibility to use of the Eclectic Teach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usative expressions in Korean.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사동법은 결합법칙이 매우 복잡하며 어휘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사동표현을 학습할 때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모국어가 고립어인 중국인 학습자들이 더욱 그렇다. 그러나 한국어 사동표현은 일상생활 속이나 작문할 때 자주 쓰이는 일반적인 문법이기 때문에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사동표현을 반드시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사동표현을 수월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사동표현을 단형 사동표현과 장형 사동표현, 어휘적 사동표현으로 분류하였다. 한국어 사동표현은 다양한 유형으로 실현되기 때문에 그에 맞는 교수법 역시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 사동 수업에 청화식 교수법과 과제중심 교수법, 의사소통 교수법을 통합한 절충식 교수법을 적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사동표현 교수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그동안 한국어 사동 교육에서 이루어져온 선행연구들이 많지만 여전히 문제가 존재하며 특히 암기 위주의 교수방법이 매우 비효율적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자는 이런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효율적인 사동표현 교수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보았다. 제2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사동표현을 학습할 때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는 원인을 밝혀냈다. 한국어 사동표현을 범주화하는 데에 학자마다 각각 다른 의견을 내놓았지만, 한국어 사동 교육을 수월하게 진행하려면 통일성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한국어 사동표현의 개념과 유형을 규칙화한 후에 그와 대응되는 중국어 사동표현도 비교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국어 사동표현도 한국어 사동표현과 같이 다양성과 복잡성을 지닌다. 그것은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사동표현의 학습과 활용에 있어서 어려움을 많이 겪으며 사동표현 오류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제3장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서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사동표현을 사용할 때 자주 범하는 오류 유형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2장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서 그 오류들이 나타난 원인도 밝혔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사동표현을 사용할 때 범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기 위한 개선 방향도 함께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앞서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삼아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한국어 사동표현 교수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청화식 교수법과 의사소통 교수법, 과제중심 교수법을 통합한 절충식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사동표현 교수방안을 제안하고 있는데 우선 그 선정 이유를 기술하였다. 또한 절충식 교수법을 활용하여 한국어 사동표현을 교육하는 것이 적합한지에 대한 검토도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절충식 교수법의 활용이 한국어 사동표현 수업의 학습요소들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어 사동표현의 교수모형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제시된 교수모형에 따라 절충식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사동표현 교수방안을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논의했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사동표현을 수월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한국어 사동표현의 특성에 맞는 절충식 교수법의 활용에 대한 주장을 다시 한번 강조하였다. 在韓國語作為外國語教學中,使動法的構成法則非常複雜,並且有時候以詞彙的方式表現。因此對於外國人學習者來說,在韓國語使動表現的學習過程中會遇到很多困難。尤其對於以屬於孤立語言體系的中國語為母語的學習者來說更是如此。但是使動表現作為日常生活或寫作時需要的常見語法,為了達到用韓國語溝通流暢的目的,韓國語使動表現是學習者必須掌握的內容。本研究以韓國語能力處於中級水平的中國人學習者為對象,目的是致力於探索使其能更有效地學習韓國語使動表現的教學辦法。 本研究中把韓國語使動表現分成短型使動表現,長型使動表現和詞彙型使動表現三種類型。由於韓國語使動表現本身通過不同的類型來實現,因此與之相符的教學辦法必然不同。據此本研究提議在韓國語使動表現的教學中使用由聽說式教學法,溝通式教學法和任務型教學法統合而成的折衷式教學法。 第一章中考察了為中國人學習者提供更有效韓國語使動表現教學辦法的必要性。雖然韓國語使動教育界至今已進行了許多先行研究,但還仍有許多問題存在。特別是以默記為主的教學辦法效率低下。為了解決這些問題,迫切地需要研究出有效的韓國語使動表現教學辦法。 第二章對中國人學習者在韓國語使動表現學習時遇到種種困難的原因進行了究明。即便研究學者們對於韓國語使動表現的歸門別類意見相異,為了韓國語使動表現教學的順利進行,切實需要統一的分類基準。因此在對韓國語使動表現的概念和類型規則化之後,對與之相對應的中國語使動表現也進行了比較分析。根據分析結果可知,中國語使動表現無異於韓國語使動表現,也具有多樣性和複雜性。這也正是中國人學習者在學習和使用韓國語使動表現的過程中,遇到種種困難並且常常產生誤用情況的原因。 第三章通過文獻研究的方法分析了中國人學習者在使用韓國語使動表現時常常發生的誤用類型。並且結合第二章的研究結果對這些誤用產生的原因進行了分析。據此為了減少中國人學習者使用韓國語使動表現時發生的錯誤,提出了針對性的改善方向。 第四章以前三章的研究結果作為基礎,為中國人學習者提供了有效的韓國語使動表現教學方案。本研究提議在韓國語使動表現教學中,靈活使用由聽說式教學法,溝通式教學法和任務型教學法統合而成的折衷式教學法。首先闡述了對此選定的理由,並且探討了以此教學的合理性。之後對於折衷式教學法的活用在韓國語使動表現教學的學習要素中如何體現進行了詳細描述。在此基礎上對韓國語使動表現的教學模型進行了探索。最後根據該教學模型制定並且展示了活用折衷式教學法的韓國語使動表現教學方案。 第五章簡單整理了本研究中的討論內容。本研究的目的是為了讓中國人學習者更加便利和有效地學習韓國語使動表現。為了實現該目標,本研究主張靈活使用與韓國語使動表現的特性相符的折衷式教學法并對此進行了強調。

      • 친환경 의료시설 계획을 위한 인증기준 연구

        유연 弘益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환경에 대한 고려가 어떤 이슈보다도 우선되거나 동등한 관점에서 이해되고 있는 이 시점에 전체 에너지소비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건물의 친환경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에너지 소비량이 큰 의료시설에 대해서는 많은 선행연구가 진행되어왔으나 대부분 치유환경 개선에만 편중되어왔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의료시설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미국이나 영국에서 의료시설을 위한 별도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가 마련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에는 아직 의료시설 평가항목이 없다. 최근 몇몇 연구에서 이에 대한 필요성을 주장하였지만 국내·외 일반 건축물의 평가항목을 정리하여 국내 의료시설을 평가하는데 그쳤다. 그리하여 의료시설만을 위한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해외사례와 국내 제도를 비교·분석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국내 도입의 타당성을 평가하여 친환경 의료시설 인증기준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먼저 의료시설의 에너지 사용현황과 친환경적 의료시설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 대한민국, 미국, 영국의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의료시설 평가항목이 없는 국내의 경우에는 기존 용도별 인증항목을 분석하였으며, 의료시설 평가항목이 있는 미국과 영국의 경우에는 각각의 의료시설 평가항목을 다른 시설과 비교하여 의료시설에만 적용되는 항목을 도출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과 영국의 친환경의료시설 인증항목을 비교·정리하여 이를 국내 제도에 접목하였고, 이렇게 완성된 평가항목의 적정성과 실효성 평가를 위해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친환경 의료시설 평가를 위해 국내 인증제도에 추가해야 할 필요성이 높은 항목은 ① 건물 500m 이내에 건물의 목적과 적합한 편의시설 여부(BREEAM), ② 하역공간 및 배송자재 저장공간 확보(BREEAM), ③ 공간활용 변화에 따른 개보수에 대비한 유연성 있는 계획(LEED). ④ 중금속 경감을 위한 프로그램 설립 및 유해물질 조사와 제거(LEED)였다. 또한, 기존 국내 인증제도 항목 중 필요성이 낮은 항목은 ① 재활용 목표율 설정, ② 거주자에게 실내 환경 조절방식의 제공여부가 있었다. 여기서 제안한 의료시설을 위한 평가항목은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중 의료시설 인증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다만 국내와 해외의 의료시설 환경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추후 실제 국내 의료시설에 적용해 본 후 평가항목의 조절 및 수정이 필요할 것이다. As the concerns for the environment are gradually prioritized, it is drawing increasing interests to convert buildings, the biggest energy consumers, environment friendly. Numerous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regarding the medical facilities which consume energy that is more than double of residential or commercial buildings. However majority of those researches were mainly focused on enhancing only comfort of the medical facility.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ssibilities to convert them into sustainable medical buildings. Nowadays, various certification systems are arranged globally for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buildings and especially in the US and the Great Britain, independently designed systems to evaluate medical buildings are currently in use. Yet in Korea, evaluation item to estimate environment-friendliness of medical buildings does not exist. Numerous recent studies have claimed the needs for such items but they merely evaluated the medical facilities in Korea after analyzing the evaluation items for the general-purpose buildings in and outside of Korea. Therefore, the foreign cases where environment friendliness certification systems are in operation and current Korean regulations are comparatively analyzed and feasibility of such system in Korea is evaluated with interviewing the experts of the field so that the foundation study for environment-friendly medical facility certification system is prepared. Firstly, prior studies regarding energy consumption and environment -friendliness of the medical facilities are analyzed and the certification systems of such buildings in Korea, USA and UK are described. For Korean cases where no items exist for medical facility, the existing ones for other purposes were analyzed whereas for US and UK cases, each item to evaluate medical facility was compared to those for other general facility so that the essential items that can be applied only to medical facilities are derived. The final derivative was applied to current Korean system and supplemented by the interviews with the experts to confirm the feasi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evaluation items. After the interview, it is learned that the following items must be included in Korean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environment-friendly medical facility; - Existence of convenient facilities that corresponds with the purpose of the building within 500m of distance (BREEAM) - Securing loading and storage space for delivery and construction material (BREEAM) - Flexible plans prepared for renovation of the building (LEED) - Programs established to reduce PBT(Persistent, bio-accumulative, toxic che-mical) (LEED) The items that have low importance in current Korean systems are; - Creating recycling-ratio goal - User’s ability to control the indoor environment Medical building specialists believe that the abovementioned system has a great importance and must be introduced to Korea, however they suggest the system is first applied to the buildings exclusively for medical purposes, such as large hospitals, and then gradually expanding its range to small medical buildings. Vast majority of small clinics in Korea are located in commercial buildings so evaluation method must be developed separately. The evaluation item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a foundation for preparing a certification system for medical buildings, among the other environment-friendly buildings. However, it must be not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foreign system exist so the detailed items ought to be fine-tuned after test application.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위험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정보 노출, 정파성, 휴리스틱-체계적 정보 처리를 중심으로

        유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는 생태계와 해양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국제적 사안이다. 또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는 정치적 사안으로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노출, 정파성, 휴리스틱-체계적 정보 처리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위험 지각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분석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위험 지각을 안전성 지각, 유해성 지각, 불확실성 지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의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의 지각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성 지각은 여당 정파성, 휴리스틱 처리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성 지각에는 정보 노출, 야당 정파성, 휴리스틱 처리, 체계적 처리가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불확실성 지각에는 진보적 정치 성향과 체계적 처리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정파성과 체계적 처리가 조절 효과 작용을 하는지 함께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안전성 지각에 여당의 정파성과 체계적 처리 상호작용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유해성 지각에는 야당의 정파성과 체계적 처리 상호작용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람들이 정파성에 의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위험 판단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체계적 처리가 정파성에 대한 위험 판단을 완화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미디어의 정보 노출보다 정파성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위험 지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release of contaminated water from Fukushima is an international issue that could affect ecosystems and marine life. In addition, the release of Fukushima contaminated water is a politically charged and controversial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formation exposure, partisanship, and heuristic and systematic information processing on perceived risk of Fukushima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Specifically, risk perception is divided into safety perception, harmfulness perception, and uncertainty perception. This study u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Fukushima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ception of the Fukushima contaminated water release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factors. Perceived safety is directly influenced by party partisanship and heuristic processing. Information exposure, opposition party partisanship, heuristic processing, and systematic processing were significant for hazard perception, and liberal political orientation and systematic processing were significant for uncertainty perception. When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tisanship and systematic processing togeth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uling party partisanship and systematic processing interaction was significant for safety perception, and the opposition party partisanship and systematic processing interaction was significant for hazard percep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rtisanship influences people's judgment of the risk of the Fukushima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Furthermore, systematic processing moderated the effect of partisanship on risk judgments, suggesting that partisanship plays a more important role in perceived risk of Fukushima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than media expo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