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서양선교사를 통해 이식된 기독교윤리사상

        오지석(Oh, Jie-Seok)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9 기독교사회윤리 Vol.44 No.-

        이 연구는 한국기독교윤리학에 대한 선행연구와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기독교윤리관련 문헌들을 서지적 접근을 통해 자료 분류하고, 漢譯西學書와 韓譯西學書속의 西學倫理思想과 서양프로테스탄트선교사의 저술 및 번역서 속의 윤리에 관한 생각들(프로테스탄트 윤리)의 흔적을 찾아보고 이를 통해 우리가 아는 것과 보지 못한 것은 무엇이 있는지를 묻고 답하면서 다양한 연구의 실마리를 제시하는 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동아시아의 지식사회와 서양윤리사상 특히 기독교윤리사상과의 조우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이 물음은 꼭 근대전환공간의 시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번역을 통해 자신들의 생각을 전할 수밖에 없었던 16세기 이래 동아시아에 기독교를 전파하러 온 선교사들의 고민이었다. 그들은 교리소개와 교육을 통해 기독교인을 만들어가고 그들의 의식과 생활태도가 바뀌기를 원하고, 직간접인 전달(이식)을 통하여 성과를 만들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문화 메타모포시스의 양태가 나타난다. 한국기독교박물관 기독교 자료에서 동아시아의 전통사상과 서양기독교윤리학이 조우하고, 기독교윤리의 한국적 수용 흔적을 추적하면서 결이 다른 두 흐름 즉, 서학윤리학과 프로테스탄트의 윤리가 있었고, 그 다른 층위가 서양기독교윤리사상에서 나타나는 현장을 문헌분류를 통해 정리해 보았다. This Study examines Korean Christian ethics through the bibliographical approach to the Korean Christian Museum.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races of thoughts on inner ethics (Protestant ethics), to ask and answer what we know and what we do not see. How can we express the encounter between knowledge society in East Asia and Western ethics, especially Christian ethics? This question was not limited to the era of modern transition space, but was a concern for the missionaries who came to preach Christianity to East Asia since the 16th century, who had to convey their ideas through translation. They wanted to make Christian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doctrine and education, to change their consciousness and attitudes, and to make achievements through direct and indirect communication. In this process, the aspects of cultural metamorphosis appear. In the Christian materials of the Korean Christian Museum, there were two different flows: East Korean traditional ethics and Western Christian ethics, and traced the Korean acceptance of Christian ethics. The scenes that emerged from the thought were summarized through document classification.

      • KCI등재

        근대전환기 기독교계 학교 과학교과서 이해 -평양 숭실대학의 과학교과서를 중심으로

        오지석 ( Jieseok Oh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서양으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은 과학교과서들 가운데 평양 숭실대학 설립자 윌리엄 베어드와 그의 아내 애니 베어드가 번역하고 번안한 과학교과서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근대전환기의 과학교육을 이해하고 그 변용을 추적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근대전환기 과학교과서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격치학에서 과학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기독교계 학교 과학교과서가 갖는 특징을 제시하였다. 평양 숭실대학에서 간행된 과학교과서의 특성을 찰스 다윈의 진화론을 수용한 기독교 세계관에서 찾았으며, 당시 평양숭실대학의 교과과정과 함께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근대전환기 과학교과서를 통해서 새로운 학문, 과학에 대한 교육의 형성에 있어서 서양인들의 영향을 추적하고 그 교과서의 성격을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앞으로 기독교와 과학의 관계를 관련 학문들이 함께 연구하는 접근방법으로 연구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basic study of science textbooks translated and developed by William Baird and his wife Annie Baird, founders of Pyong-yang Soongsil among science textbooks directly influenced by the West. Therefore, we reviewed prior studies related to science textbooks in encountering the modern, and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science textbook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radical science to science.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xtbooks published in Soongsil, Pyong-yang were found in the Christian worldview that embraced the theory of evolution by Charles Darwin, and analyzed with the curriculum of Union Christian College in Pyong-ya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traced the influence of Westerners and analyzed the nature of the textbooks in the formation of new science and education through science textbooks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it provides a clue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science in the future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 KCI등재

        편하설(C.F. Berheisel)의 『논리략해(論理略解)』연구 :근대전환공간의 최초의 한글 논리학 교과서

        오지석 ( Jie-seok Oh ) 한국하이데거학회 2021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61

        이 글은 근대전환기 한국에서 서양의 논리학 교육이 언제 시작되었는가라는 물음과 함께 그 수용의 모습을 추적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동아시아에서 논리학은 명말·청초 시대 예수회 선교사들의 등장과 근대전환기의 프로테스탄트 선교사의 등장이라는 두 흐름이 있다. 서양에서 전해 온 책들은 번역되거나 요약·발췌·번안 형식으로 소개되었다. 논리학 또한 마찬가지이다. 한 층위는 예수회 선교사들이 소개한 논리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과 포르퓌리오스의 『이사고게』를 기초로 한 논리학이었다. 대표적인 논리학서는 이지조(李之藻)와 푸르타도((Francois Frutado)가 함께 번역한 『명리탐』이다. 이 흐름과 다른 논리학은 19세기 중국에 입국한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이 베이컨, 제본스, J.S. 밀 등의 영향을 받은 논리학이다. 그 흔적은 제본스(William Stanley Jevons)의 Primer of Logic을 번역한 에드킨스(Joseph Edkins)의 『변학계몽』과 기독교계 학교의 교재로 사용하러 프라이어(John Fryer)가 집필한 『이학수지』 (What Must Be Known about Logic)에서 찾을 수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의 논리학 수용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근대전환기에 한글로 저술된 논리학교과서를 찾기 어렵다. 미국인 선교사 편하설(Chales F. Bernheisel)은 평양 숭실대학의 철학교수로 철학, 논리학 등을 강의했다. 이 『논리략해』는 하이슬럽(James Stanley Hyslop)의 The Element of Logic을 저본으로 삼아 강의하며 번역·발췌요약·번안한 것이다. 『논리략해』가 발굴되기 전까지 한글로 된 논리학 교과서는 1931년 한치진의『논리학개론』이 유일했다. 이것은 경성제대에서 철학교육이 시작되기 전부터 실시된 서양철학, 논리학 교육의 내용을 알려주는 것이고, 근대전환기 서양사상의 이식과 변용의 또 다른 유형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race the process of acceptance of Western logic education in Korea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o the modern era, along with the question of when such education began. Logic was first introduced on two levels in East Asia. The first form of Western logic introduced in East Asia was Francois Frutado’s “Myeongri Tam,” a transformation of Aristotle’s logic. This led to the introduction of other forms of logic, such as the introduction of Bacon’s “New Organ (Novum Organum)” by Protestant teachers in the 19th century. The traces of these origins can be found in John Fryer’s What Must Be Known about Logic. In contrast, studies on the acceptance of logic in Korea are insignificant. The origins of current logic education can be traced to The Introduction of Logic, a Korean textbook for logic studies by Bernheisel, an American missionary and professor of philosophy at Union Christian College (Soongsil College) in Pyongyang. This indicates that education concerning Western philosophy and logic was conducted by Westerners from before the beginnings of philosophy education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and is another example of the transplantation and transformation of Western thought in the period of modern transition.

      • KCI등재

        근대전환기의 기독교 혼인윤리 성립과정고찰 -소안론과 배위량의 논쟁을 중심으로

        오지석 ( Oh¸ Jie-seok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1 기독교사회윤리 Vol.49 No.-

        이 글은 근대전환기 한국에서 기독교가 수용되면서 초기 내한 선교사들이 겪는 난제 가운데 하나였던 중혼자 혹은 복혼자(polygamist) 문제에 대해 선교사들이 논쟁과 토론을 통해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밝혀 기독교 가정윤리, 혹은 혼인윤리가 이식되고 정착되어 가는 과정을 추적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통적으로 한국사회에서 일부일처제도는 형식상 존재하였으며 공공연히 축첩이 허용되었다. 기독교 교리에 비추어 볼 때 축첩풍습은 허용될 수 없었지만 중혼자 처리 문제는 선교사들 사이에서 신학의 차이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1895년 감리교에서는 중혼자는 남녀를 불문하고 감리교회에 입교·재적할 수 없다고 정리하였고 장로교에서는 1894년부터 시작해 1897년 미북장로교 해외선교부의 스피어가 참석한 한국선교부 연례회의에서 일단락을 지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소안론은 중혼자의 교회 회원 자격에 대해 온건한 입장이고 이 문제에 대해 배위량은 원칙론을 주장한다. 1897년 연례회의에서는 소안론이 주장한 온건론보다는 원칙론을 주장한 배위량의 입장을 받아들인다. 중혼자는 교회 회원이 될 수 없다는 이런 입장은 그 후에도 유지된다. 소안론과 배위량의 중혼자관련 논쟁은 한국 기독교의 혼인윤리에 근간이 되는 것으로 한국사회가 형식적 일부일처제에서 실질적 일부일처제로 이행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article clarifies the process by which missionaries resolve through debate and debate on the problem of the polygamist, which was one of the challenges faced by Korean missionaries in the early days as Christianity was accepted in Korea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Christian family ethics, or marriage. Its purpose is to track the process by which ethics is being implanted and established. Traditionally, in Korean society, monogamy system existed in form, and constriction was openly allowed. In the light of Christian doctrine, the custom of constriction could not be allowed, but the issue of dealing with polygamist also revealed differences in theology among missionaries. In 1895, the Methodist Church organized that polygamist, regardless of gender, could not enter or enroll in the Methodist Church. The Presbyterian Church began in 1894, and in 1897, it was establish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Mission, attended by Speer of the North Korean Presbyterian Mission.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W. L. Swallen is a moderate position on the self-serving of a member of the church of , and insists on the principle of principle. At the annual meeting in 1897, the position of William M. Baird who insisted on principle rather than the moderate theory of W. L. Swallen was accepted. This stance that a big man cannot become a member of the Church persists after that. The debate on the serious marriage between Swallen and Baird is the basis of the marriage ethics of Christianity in Korea, and it can be evaluated that Korean society has played a certain role in the transition from formal monogamy to practical monogamy.

      • KCI등재

        코로나 전·후 시대 돌봄과 환대의 필요성 연구 : 기독교윤리적 관점에서

        오지석 ( Jie-seok Oh ),이지하 ( Jieha Lee ),장은수 ( Eun-soo Jang ),윤나은 ( Nae-eun Yoon ) 한국현대유럽철학회 202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0

        이 연구는 코로나 19 전후시대에 두려움과 혐오가 확산되면서 돌봄과 환대의 필요성을 사회복지학 차원과 기독교 윤리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공감을 통해 경계와 혐오를 넘어서 환대의 부재를 넘어서고자 하는 시도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은 우리 사회에 이미 존재하는 젠더·계급·인종적 불평등과 같은 구조적인 차별에 취약한 이들에게 더욱 치명적이다. 그리고 바이러스 감염 확산 방지 정책으로 ‘자가 격리’와 ‘사회적 거리두가’가 강화되면서 여성에 대한 성차별과 불평등이 이전보다 강화되었다. 이것은 우리의 일상과 차별, 배제, 혐오에 대한 전반적인 성찰을 이끌어 내었다. 구체적으로 구조적·젠더 차별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여성의 돌봄과 노동의 문제를 살펴보았고, 코로나 전후시대를 살아가면서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차별과 혐오에서 벗어나고 넘어서기기 위해 환대와 공감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전후를 살아가는 존재로서 ‘돌봄’과 혐오를 넘어서는 ‘환대’를 구체적인 행동을 이끌어 내기위해 공감에 주목하면서 증오와 폭력으로 드러나는 타인의 고통을 변화시키기 위해 정부기관 등에 요구하고 항의하거나 격려하며 언제나 주의 깊게 살펴볼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need for care and hospitality in the post-COVID-19 era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work and Christian ethics and attempts to move beyond the absence of hospitality through empathy as fear and hostility spread. Individuals who are already marginalized due to preexisting gender, economic, or racial inequalities are disproportionately impacted worse by the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discrimination and injustice against women have been reinforced since virus prevention programs have encouraged “self-isolation” and “social distancing.” Despite this, people across society are questioning the role that discrimination plays in their everyday lives. The role of hospitality and empathy in escaping and overcoming the widespread prejudice and hatred in our culture in the post-COVID-19 era was specifically studied, as well as the topic of women’s care and work, where structural and gender inequalities are expressed in real ways. As survivors of COVID-19, we propose paying attention to empathy to lead concrete actions for “care” and “hospitality” to overcome hatred and to demand, compel, or encourage government agencies to alleviate the suffering of others manifested in the form of hatred and violence.

      • KCI등재

        근대전환기 내한선교사의 선교사역과 한국문화이해: 안애리(安愛理)의 Inside Views of Mission Life (1913)를 중심으로

        오지석(Oh, Jie Se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이 연구는 개항 후 한국에 와서 동학, 청일전쟁, 러일전쟁을 겪고 한일병탄을 함께 한 미국선교사 안애리(安愛理)의 Inside Views of Mission Life를 중심으로 선교활동과 한국문화 이해를추적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안애리는 한국근대전환기 문화변용의 한축을 담당했던 외국인 선교사로서의 역할 뿐만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데 해외에 있는 인적·지적 네트워크를 사용했다. 안애리는 초기의 작품인 Fifty Helps의 부록에서 신입 선교사들에게 서구문화에 대해 갖기 쉬운 편견과 우월감에서 벗어나 한국인과 한국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주문한다. 이런 태도는 마지막 작품인 Inside Views of Mission Life에서도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그는 한국의 근대전환기에서 서구인의 시선으로 한국문화를 바라보지 말고 한국사회의 생활방식과 문화를 존중해야한다는 생각을 놓치지 않았다. 그리고 우리에게 근대전환기 미국식 근대가 시험 되었던 평양에대한 관심을 불러준다. 우리는 안애리를 선교사의 부인, 교육가, 문학가로 기억하기보다는 19세기‘한국학’ 세우기에 동참한 한국학의 개척자로 평가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trac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focusing on the Inside Views of Mission Life by Annie Baird, an American missionary who came to Korea during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warring period of Korea (e.g., the Korean-Japanese war with Donghak, Sino-Japanese War, and Russo-Japanese War). Ae-ri Ahn used her intellectual connections abroad to introduce Korean culture, as well as her role as a foreign missionary who played a part in the transformation of culture during this Korean modern transition period. In the appendix of her early work titled Fifty Helps, Ahn asks new missionaries to assume an attitude of respect for Koreans and Korean culture, and to set themselves free from the prejudice and superiority they tend to have toward Western culture. This attitude continues to feature in her final work, Inside Views of Mission Life, and she does not miss the idea of respecting the lifestyle and culture of Korean society instead of looking at Korean culture through the eyes of Westerners in the period of modern transition. Thus, this study argues that Ahn should be evaluated as a pioneer of Korean studies who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tudies” in the nineteenth century rather than remembering her as a missionary s wife, educator, and literary woman

      • KCI등재

        구한말 미국 선교사 베어드 부부의 선교현장과 한국어 교육연구

        오지석(Jie Seok Oh),장경남(Kyung Nam J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근대 전환기 한국의 사정은 게일이 말한 것처럼“오래된 것은 사라졌고, 새로운 것은 아직 도래하지 않았다.” 이 시기 서양 선교사들의 등장은 한국에서 오래된 것을 대체하는 새로운 것들이올 수 있는 길을 여는 마중물 역할을 하였다. 대부분의 서양 선교사들은 한국의 계몽과 근대화과정에 헌신하였고, 선교를 위해서 한국어를 익히는 일을 최우선으로 삼았으며 또한 자신이 속한문화에서 생산된 텍스트를 한국어로 옮기는 일에도 게으르지 않았다. 서양 선교사들은 한국에서의 저술 활동과 영미 권에서 강연을 통해 ‘한국을 세계에 소개하는 창(窓)’, ‘한국을 세계로 이어주는 다리’의 역할을 했다. 여기서 연구자가 주목하는 내한 선교사는 베어드 선교사 부부이다. 그들은 격변하는 근대전환기 한국의 선교현장에서 문서선교나 기독교 교육사역의 동반자로서 “성령충만함으로 흔들림 없이 기독교 신앙에 관한 정서적인 확신과 헌신으로 활동하였다. 특히 그들은한국어학습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는 선교현장에서 하나님과 만남이 우선한다는 것을보여주었기 때문이라 한다. 베어드 부부의 선교현장에 대한 회고와 문서 사역 속에서 살펴보는데 가운데 그들이 근대전환기 교육과 선교 현장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모든 것의 기준으로 삼는신학,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것을 모든 존재 목표로 삼는’ 고백을 발견할 수 있었다. As Gale stated, the situation in Korea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was that “the old has disappeared, and the new has not yet arrived.” The emergence of Western missionaries during this period laid the foundations for new things to come, replacing the old in Korea. Most Western missionaries devoted themselves to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and modernization in Korea and made learning Korean a priority for their missions, and were proactive about translating the texts produced within their own culture into Korean. Western missionaries played the role of “a window to introduce Korea to the world” and “a bridge that connects Korea to the world” through writing activities in Korea and lectures in the Anglo-American region. This research focuses on William M. Baird and his wife, Annie Baird. They acted as partners in documentary missions and in the Christian education ministry in the mission field in Korea during the turbulent transition to the modern era, “with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unshakable, with emotional conviction and dedication to the Christian faith.” In particular, they were interested in Korean language learning because they believed that meeting with God takes precedence in the field of missions. The theme of “reformed life theology”— whether theology before God is a theory or a system of life—is reviewed in this retrospective and documentary of the Baird couple’s mission field. Thus, this study discovers the confession of this theology, which makes it the goal of all beings to glorify God.

      • KCI등재

        오랑캐에게 예절을 배우다! : 서양 기독교윤리에 대한 무시·배척을 넘어서

        오지석(Oh, Jie Se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이 연구는 ‘동방예의지국’을 자처한 한국에 전해진 서양오랑캐(洋夷)의 두 층위의 기독교윤리(서학윤리·개신교윤리)에 대한 무시·배척과 적극적 수용의 흔적을 추적하였다. 기독교윤리와 만남에 주목한 이유는 근대전환기에 이르러 예(禮)로 표현된 유교사상과 교육에서 서양의 윤리와 교육으로 전이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타문화 사람들을 오랑캐라 여긴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기독교윤리사상(서학윤리사상)에 대한 반응을 무시와 배척이라는 관점에서 들여다보았고, 개화기 지식인들이 보인 반응에 대해 새로운 윤리를 갈구하는 적극적 수용의 자세라고 보았다. 또한 한국기독교윤리학의 외연을 서학윤리와 개신교선교사들의 저작까지 확장시켜서 개항기 또는 대한제국기에 기독교윤리가 성리학적 세계를 구축 하고 있던 예를 어떻게 대신할 수 있었는가에 대해 기독교계 학교에서 진행된 윤리학 강의에서 찾아보았다. 서양오랑캐가 전한 기독교윤리는 근대전환기의 수신학이나 윤리학교과서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성격과 차원이 다른 윤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traced the processes of neglect and exclusion and the active acceptance of two levels of, which were handed down to Korea, claimed to be “the country of courteous people in the East.” The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the meeting between Korean people and the ethics of the West is that Confucian thoughts and education began to shift from Western ethics and educatio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in Korea. To understand this process, this study looked at the responses of the late Joseon’s intellectuals to the Christian ethics (Western school ethics), who regarded Western people as O-rang-kae, from the perspective of ignoring and ostracizing, and examined the reactions of intellectual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as an active acceptance of new ethic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how to replace the example of Christian ethics from the ethics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opening period of enlightenment or the Korean Empire by extending the externalities of Korean Christian ethics to Western school ethics and the works of Protestant missionaries. Thus, this study confirmed that Christian ethics, delivered by the Western O-rang-kae, was different from other materials of ethic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and dimensions of ethics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