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초급중국어 학습자를 위한 중국어 발음 지도방안 : Chinese pronunciation guidance for beginner Chinese learners

        오은지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Chinese Pronunciation Guidance for Beginner Chinese Learners EUN JI OH Major in Chines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The problem that learners feel difficulty in Chinese pronunciation has been steadily raised. The problem in Chinese education is that some learners have excellent grades in areas such as listening, writing, grammar, and vocabulary in addition to pronunciation, but they have difficulty correcting due to poor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when speaking Chinese. This problem is to be solved through a guidance plan for beginner Chinese learners. In the process of learning the correct pronunciation of Chinese, learners learn the combined pronunciation of 21 Virgin Mary and Mica, which suffers the most from installation and speech sounds. Therefore, when learning beginner-level Chinese, it is necessary to practice with the help of a teacher, and to receive feedback to form accurate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beginner Chinese learners, found ways to teach pronunciation in real-world schools, studied online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class, and wrote teaching contents that prioritize interest and interest in Chinese pronunciation learning. By analyzing the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s of Korea and China, the difficulties of learners in the basic stage of practicing accurate pronunciation were identified, and a suitable teaching method was suggested in a way that they could learn Chinese without losing interest. China's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 emphasizes six principles, focusing on forming accurate pronunciation habits, allowing learners to learn with interest and interest, and providing classes with machines such as recorders. These principles aim to start learning according to the learner's level and to have proficient and skilled Chinese skills through repetitive practice. The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Korean learners were summarized and studied in five ways. When a teacher first makes a sound with the correct pronunciation, the learner should use the same teaching method that makes the same sound along the teacher's voice so that the teacher can make accurate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his or her native language. It is composed of teaching methods that distinguish the Virgin Mary or Mica, which learners find difficult to pronounce, understand the combin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Virgin and Mica, and learn the pronunciation that basic learners find difficult. It focused on how to guide the pronunciation of intonation and scripture, and presented words that learners can accurately understand and understand the pronunciation practice plan of first to fourth tones, second and third tones, and changes in tone of '一' and '不'. In addition, practice questions were presented so that learners in the basic stage can clearly understand the sign notation of intonation, so that learners can learn by reinforcing parts that are easily wrong and difficult. Many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have introduced Chinese language subjects in schools. The problem is the gap in the level of Chinese among students in the classroom. Teachers need to properly organize the difficulty of the class because students who already have excellent Chinese skills and those who are new to Chinese at school take classes in one classroom. Five measures that can be used to reduce these problems are suggested, and learners are taught with the aim of having a positive image of China and respecting Chinese culture by learning Chinese at school. In addition, three online programs can not only give learners a chance to review, but can also induce curiosity and interest before learning Chinese. This is Mentimeter, Padlet, and Kahoot, and is a program that is designed to allow individual learners, learners and learners, teachers, and learners to share the results of activities or review the contents of the class. Lastly, since this paper focuses on studying how to teach pronunciation, it is necessary to think and think from the perspective of a teacher who teaches pronunciation, and if there are 100 students, Chinese teachers need to have various teaching method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Keywords : Chinese Pronunciation, Basic Chinese, A method of Teaching Pronunciation, Intonation, Online Program, Mentimeter, Padlet, Kahoot

      • 스트라빈스키의 풀치넬라를 활용한 사회·정서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오은지 서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대두되고 있는 학교폭력문제, 청소년 자살 문제로 보아 많은 청소년들이 빠른 정서적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정서를 조절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서교육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정서교육을 통해, 여러 갈등을 현명하게 해결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스트라빈스키의 풀치넬라를 활용한 사회ㆍ정서학습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및 기존 연구를 통하여 풀치넬라의 특징을 고찰하고, 학습요소를 분석한다. 둘째, 사회 정서 학습 모형을 적용한 풀치넬라 수업지도안 및 수업자료를 개발한다. 셋째, 개발한 수업 모형을 초등학교 5학년 학생에게 적용한 뒤, 효과를 분석한다. 연구문제에 기초하여 스트라빈스키의 곡 풀치넬라의 음악적 특징과 요소들을 바탕으로 교실수업과 활동들을 사회·정서학습요소들과 연계시켰다. 풀치넬라는 음악, 극, 미술, 무용의 종합 예술체이며 신고전주의 기법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스트라빈스키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연결구, 음색의 대비, 피치카토, 글리산도, 하모닉스 등의 다양한 연주 기법을 활용한 독특한 음악적 표현성 등은 초등 수업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학습요소가 될 수 있었다. 또한 극의 이야기를 통한 창의성 및 표현성 증진, 해학적인 풀치넬라의 모습은 학생들의 강한 흥미도를 유발시켰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음악적 특징을 바탕으로 10차시의 사회ㆍ정서 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수업모형은 초등학생 수준에 적절한 풀치넬라의 음악적 이해 및 CASEL이 제시한 다섯 가지 핵심 역량을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1~6차시는 곡의 기본적인 이해와 배경에 정서학습의 순차적 진행을 배열시켰으며, 7~10차시는 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풀치넬라를 새롭게 창작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각 실행과정에서 수업 과정 녹화, 연구자의 학습일지, 학습 결과물, 사전, 사후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학습의 결과물과 수업 중 학생들의 반응 관찰을 통해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는 능력과 적절하게 정서를 활용하는 능력이 함양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한 곡만 집중적으로 적용되었기 때문에, 아동이 곡에 대한 깊은 이해와 다양한 해석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음악을 활용한 정서학습이 유의미한 교육 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음악을 중점으로 하는 통합적인 사회·정서학습은 활용하는 악곡이 지니고 있는 음악적 요소와 특징들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이러한 음악적 요소들이 초등학습자의 느낌, 정서, 소통과 나눔의 교육적 요소들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활발하게 일어 날 수 있는 음악수업의 환경과 맥락들이 체계적으로 구조화 될 때, 더욱 의미 있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 근대산업유산의 역사성 보존을 위한 문화적 도시재생 방안 연구 : 군산시 째보선창 일원을 중심으로

        오은지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구조의 변화로 방치된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이 활발하다. 근대산업유산을 통해 그동안 역사적 배경의 이유로 제대로 보지 못한 우리의 근대사를 알 수 있고, 새로운 문화 가치를 창출하여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근대산업은 지역산업으로 볼 수 있을 만큼 뚜렷한 지역성을 갖고 발전해왔다. 그러나 최근 유행처럼 번지는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이 우리가 오래 덮어둔 시간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채 단기간 사업 주도로 보여주기 식의 경관 조성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역사적 장소가 지닌 지역의 역사와 문화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아닌 이질적이고 매력적으로 보이는 관광자원 개발을 위한 도시재생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우리나라 근대산업유산은 대부분 일제강점기 착취와 수탈의 어두운 흔적으로 인식되어 보존 가치와 활용의 문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은 가려졌던 역사의 의미를 밝히고 재생을 통한 보존 가치를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지역의 역사성을 보존하고 그 의미와 시간을 보여줄 수 있는 문화적 재생을 위한 연구와 방안 제시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전북 군산시는 2000년 이후 내항 주변에 산재한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을 위해 적극적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근대산업유산의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하고 근대문화도시로서 도시 이미지를 구축하여 쇠퇴한 원도심을 재생했다는 것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주로 건축학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근대산업유산의 역사성과 의미를 밝히기보다 물리적 재생에 중심을 두고 있다. 결국 드라마세트장처럼 짜인 경관 조성과 정량적 수치가 우선시되는 성과를 내기 위한 매력적인 역사자원을 선별하고 유행에 민감한 수요 공간 중심으로 역사적 장소가 채워지고 있다. 현재 군산시는 ‘째보선창’이라고 불리는 내항 주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진행 중이다. 째보선창은 지금은 내항의 항구기능 상실로 슬럼화 문제와 사회·문화적 접근이 약화하였지만, 과거 미곡 수탈의 전진기지이자 군산 최고의 민간인 포구로 성행하며 지역 경제의 중심 역할을 해 온 곳이다. 이곳은 그동안 착취와 수탈의 근대사에 초점을 맞추었던 군산시의 근대산업유산 활용이 나아가 차별과 억압 속에서도 삶을 이어온 당시의 생활상을 보여줄 수 있고, 지역경제를 이끌어 온 근대산업이 지역의 특성과 어떤 관계로 발전해왔는지를 보여줄 수 있는 역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런데도 역사적 장소의 의미와 이야기는 가려진 채 여전히 관광자원개발과 물리적 공간 자원의 활용에 치우친 계획이 추진 중이다. 본 논문은 군산시의 근대산업유산에 관한 의미와 스토리는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거나 기록으로 남겨져 있을 뿐 이를 적극적으로 역사적 장소의 재생으로 활용하지 못한 군산시의 도시재생 한계에 관해 분석하였다. 아울러 도시재생 대상지인 째보선창의 역사성 보존 가치를 토대로 째보선창의 근대산업유산이 가진 역사성을 보존하는 문화적 도시재생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안을 공간과 프로그램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독특한 건축물을 기반으로 한 공간 활용 위주의 지난 군산시 도시재생이 나아가 지역문화자원으로서 근대산업유산이 갖는 역사성을 보존하고 장소성을 고려한 장소의 재생으로 지속 가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Urban regeneration using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abandoned with the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is active. Modern history of Korea that could not have been seen properly so far for historical background reasons can be known through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and new cultural values can be created, which in turn can revitalize the cities. Modern industry has developed with clear regional characteristics as much as it can be seen as regional industry. Howeve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sing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that have recently become an epidemic still remain as the seeming landscape creation project in many cases because such projects are l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out considering the times that we had overlooked. As a result, it was unavoidably criticized that it was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for developing the tourism resources that were heterogeneous and looked attractive rather than a project to creat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that a historical site has in a region. Modern industrial heritages of Korea were mostly perceived as dark traces of exploitation and plunder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so preservation values and utilization of such heritages have not been dealt with properly so far. This is why suc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sing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should start from revealing the meanings of the history that’d been hidden and understanding the preservation values through regeneration. Through this, the historicity of a region has to be preserved and researches for cultural regeneration that can create true values as cultural resources that can show the meaning and time should be conducted as well as provision of solutions. Gunsan city in Jeonbuk is carrying forward projects actively for urban regeneration using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scattered around the inner harbor since 2000. Gunsan city is rated highly in that it has relatively good modern industrial heritages in terms of preservation state and regenerated the collapsed old downtown by establishing an urban image as a modern culture city. However, researches have been made largely from the architecture perspective and are focusing on physical regeneration instead of revealing the historicity and meaning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s. Resultingly, filming site-like landscapes are being created, attractive historical resources for yielding good results prioritizing quantitative numerical values are being sorted, and historic sites are being filled with spaces for demand that are sensitive to fashion Gunsan city is now proceeding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around the inner harbor called as ‘Jjaeboseonchang.’ Jjaeboseonchang was an advanced base for exploitation of rice and grains and prevalent as Gunsan’s best private port and played a central role for the regional economy although it now had a slumism issue and its social and cultural approach weakened due to the loss of function as an inner harbor. The utilization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s in Gunsan city that had focused on modern history of exploitation and plunder can show the life phases of then-people who had led a life under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and how modern industries which had led the regional economy have developed in what relationship wit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rom which historical meaning can be found. Nevertheless, the projects biased towards development of tourism resources and utilization of physical space resources are still being promoted with the meaning of and stories about historic sites hidden. This study analyzed the limitations of urban regeneration of Gunsan city that could not make good use of the meaning of and stories about modern industrial heritages in Gunsan city as active regeneration of historic sites although such heritages are displayed in a museum or remained as record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looked at the alternatives for Jjaeboseonchang, one of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to go toward the cultural urban regeneration preserving historicity based on the preservation values of historicity of Jjaeboseonchang, object area of urban regeneration from the space and program aspects. Through this, it tried to find ways so that the urban regeneration of Gunsan city having focused on space utilization based on unique architecture can be sustainable as regeneration of places preserving the historicity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s as regional cultural resources and considering placeness.

      • 요가수련이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오은지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요가수련이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전·후 설계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S시와 G시에 소재하고 있는 요가원과 지역사회 단체를 통하여 만40∼6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대상은 실험군 12명과 대조군 10명 총 22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실험군에게는 연구 시작일로부터 요가프로그램을 시행하였으며, 사전· 사후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각 주마다 힐링요가, 빈야사요가, 핫요가 프로그램으로 요가수련 1회 60분씩, 10주간 주 3회, 요가수련으로 총 30회를 시행하였다. 자료수집은 사전· 사후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 삶의 만족 기대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인구통계학적특성 총 7개 문항(연령, 건강, 결혼, 가족, 직업, 학력, 월 소득)으로 구성하였고, 스트레스 반응 측정은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2000)이 개발한 것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삶의 만족과 삶의 만족 기대 측정은 Diener 등(1985)이 개발한 삶의 만족과 삶의 만족 기대척도를 조명한과 차경호(1998)가 한국어로 번안하였고, 김정호(2007)가 수정과 보안한 삶의 만족과 삶의 만족 기대 척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요가수련 시행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 삶의 만족기대에 대한 검증은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사용하였다.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요가수련을 적용한 결과 전체적으로 스트레스 부분에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삶의 만족과 삶의 만족 기대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요가수련이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 삶의 만족 기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년여성들이 요가수련을 통하여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데 의미를 두고 정기적인 요가수련을 통해 더 큰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show the effect of yoga practice o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by comparing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subjects were 22 women (1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in the control group) aged 40 to 60 years and they were collected through yoga center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in S and G cities, Gyeonggi-do. The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the pre and post measurement tools in the experimental group from the start of the study. Th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for healing yoga, binyasa yoga, and hot yoga programs once a 60-minute yoga session, three times a week for 10 weeks, and a total of 30 yoga sessions.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yoga training, and the measurement tool consisted of 7 ite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health, marriage, family, job, education, monthly income). The stress response was measured by using the tool developed by Kyung-Bong Ko, Park Jung-Kyu, and Chan-Hyung Kim (2000).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tion were measured with the tool developed by Diener et al. (1985), which was translated by Jo Myoung-han and Cha Kyung-ho (1998) in Korean and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Jung-ho (2007). The collected data have analyz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SPS 24.0 program.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verified by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measure the stress, life satisfaction, and life expectanc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yoga exercise. As a result of applying yoga training to middle-aged women, the st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tress area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yoga practice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middle-aged women's stress,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tions, and it is believed that middle-aged women can reduce stress through regular yoga exercises and can lead a happy and healthy life.

      • 사막의 이미지를 주제로 한 실내 도자 벽장식 디자인 연구

        오은지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자신의 주변 환경에 대해 끊임없이 개선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창조하고 싶어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욕구는 우리의 문명이 시작되면서부터 항상 눈앞에 부딪히는 현실적인 과제가 되어 왔다. 과학기술과 더불어 인간은 항상 주변 환경의 발전에 주력해 왔으며, 이를 개선하여 보다 윤택한 생활을 영위하고자 노력해왔다. 이와 같이 공간에 대한 개념이 시대가 흐르면서 변하고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성립되어지면서 다양한 방법과 노력을 통하여 환경을 개선해 왔다. 최근 예술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도예분야에서도 고정된 관념을 깨고 주위환경과의 관계를 고려한 도자 벽장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다.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지하철, 은행, 주상복합건물, 멀티플렉스, 박물관, 호텔로비 등과 같은 대중적인 공간에서 도자 벽장식을 자주 볼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자는 위의 내용을 토대로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 중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며, 활동상 시각적으로도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벽면에 도자 벽장식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도자 벽장식은 흙이 지니는 자유스러운 재질감과 다양한 표현방법을 이용하여 사막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들을 나타내고자 하였고, 이로써 제작된 도자 벽장식은 사막에서 나타나는 모래언덕의 자유스러움과 무한함, 오아시스의 형태를 응용한 작품들이다. 작품디자인 과정에서 사막의 이미지를 변화, 응용, 재구성하여 표현해 주었으며, 작품 표면의 텍스쳐(texture), 색상, 구조 그리고 벽지의 패턴과 같은 요소에 따라 시각적 자극을 주어 명쾌하고 강렬하게 전달되는 형태로서 집중력을 가지며 실내공간에 미적인 쾌감을 부여해 주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도자벽장식이 현대인들의 환경을 개선해 나가고자하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되고, 창의적이고 개성적인 공간 연출을 위한 예술의지의 표현으로, 사막의 이미지를 형상화함으로써 새로운 미적 조형성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인간의 주거공간을 한정해주는 건축벽면을 구조적 기능의 해결로만 만족하지 않고, 시각적 만족감을 통해 편안하고 안락한 쉼을 제공하는데 있어 도자 벽장식의 역할이 좀 더 활성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Humans have the desire to incessantly improve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reate a pleasant living environment. Such a desire has been a realist task we're always facing with the emergence of our civilization. Together with scientific technology, humans have always exerted themselves to develop their environment around them and have made efforts to lead a life of luxury by ameliorating the environment. With the period of the concept of space flowing like this, and with the establishment of a new perception of the factors comprising a space, humans have improved their environment through a diversity of methods and efforts. Amid the recent increase in the public attention to art,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public interest in ceramic wall deco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breaking a stereotyped idea even in the field of ceramics. We frequently come to witness the ceramic wall decoration at the popular spaces like the subway, bank, mixed-use dwellings, multiplex, museum, and hotel lobby, etc. This researcher intends to create the ceramic wall decoration that can produce a decorative effect on the wall surface which occupies the most area among the factors in space composition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above, and catches people's eyes uppermost visually by the nature of activities. The ceramic wall decoration in this paper is intended to represent the images of a desert using freer texture & materiality of earth, and a diversity of expressions. The produced ceramic wall decorations through this process are the works that applied the naturalness and endlessness of sand dunes appearing in a desert, and the form of an oasis, and put its focus on the decorative characteristic for interior space design. In the process of designing of works, this researcher tried to express the desert images through the change, application and re-composition of them and intended to give aesthetic pleasure to the interior space with concentration in the forms that are conveyed clearly and vehemently by giving visual stimuli according to the factors such as the texture of the surface of works, color, structure, and patterns of wallpaper. This researcher thinks that this paper-studied ceramic wall decoration will meet the needs of the modern people who try to improve their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research tried to pursue new aesthetic formativeness by embodying the desert images using with an artistic will for creative, individual space production. Further, this research hopes that the role of ceramic wall decoration will be more revitalized in providing a comfortable, easy rest through visual satisfaction other than settling for the only solution to a structural function of a architectural wall surface that defines humans' residential space.

      • 기혼중년남성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및 직무만족이 의미있는 삶에 미치는 영향

        오은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혼중년남성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직무만족이 의미있는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기혼중년남성의 삶에 대한 재탐색으로 의미있는 삶을 조명하는데 실증적인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직업을 가지고 있으며 배우자와 자녀가 있는 40세에서 60세의 기혼중년남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476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및 사후검정으로 Duncan test,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정리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중년남성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은 4점 Likert형 척도를 기준으로 전체 평균이 3.02(표준편차 .51)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으로 유대감 평균이 3.13(표준편차 .58)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문제해결 수행능력 3.09(표준편차 .49), 의사소통 3.08(표준편차 .55), 가치체계공유 2.79(표준편차 .57)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은 4점 Likert형 척도를 기준으로 전체 평균 2.69(표준편차 .56)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으로 직무환경 2.86(표준편차 .56)이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자체 2.79(표준편차 .59), 보수 2.59(표준편차 .76), 승진 2.53(표준편차 .79) 순으로 나타났다. 의미있는 삶에 있어서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본 결과 4점 Likert형 척도 상에서 전체 평균이 2.69(표준편차 .50)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으로 가족관계/역할 3.09(표준편차 .55), 자아실현 2.94(표준편차 .54), 공동체의식/나눔 2.47(표준편차 .66), 종교 2.21(표준편차 .93)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계적으로 가족건강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대학교이상의 학력을 가지며 소득이 400만원 이상, 배우자가 비정규취업보다 전업주부, 정규취업인 경우, 결혼상태는 초혼이며 주관적 건강상태를 매우 좋다고 지각하는 경우 가족건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연령, 직업, 종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대학교이상의 학력을 가지며 전문직으로 소득이 400만원 이상이며, 배우자가 비정규취업보다 전업주부, 정규취업인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를 매우 좋다고 지각하는 경우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연령, 종교, 결혼상태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미있는 삶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학력과 소득수준이 높고, 종교를 가지며 배우자가 비정규취업보다 전업주부, 정규취업인 경우, 초혼이며, 주관적 건강상태를 매우 좋음으로 지각하는 경우 의미있는 삶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건강성, 직무만족, 의미있는 삶의 주요 3개 변인 모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배우자 취업,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변인별 하위영역의 차이를 살펴보면 배우자 취업은 가족건강성 하위영역 중 의사소통과 문제해결 수행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외 유대감과 가치체계공유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직무만족은 모든 하위영역, 의미있는 삶의 하위영역은 종교를 제외한 공동체의식/나눔, 가족관계/역할, 자아실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가족건강성, 직무만족, 의미있는 삶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기혼중년남성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및 직무만족이 의미있는 삶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Model 1에서 설명력은 34%로 나타났으며 종교, 배우자 취업, 결혼상태, 주관적 건강상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l 2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가족건강성 및 직무만족을 투입한 결과로 설명력이 56%로 가족건강성의 하위영역인 유대감과 가치체계 공유가, 직무만족의 하위영역인 직무자체와 직무환경, 보수가 의미있는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00세 시대를 맞이하며 단순한 수명연장 보다 행복이나 건강이 강조되는 앞으로의 삶에서 기혼중년남성이 생각하는 가족의 건강성과 직무만족에 따라 의미있는 삶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므로써 기혼중년남성의 개인․가족․사회생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 strength and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men on meaningful life, and provide basic data based on empirical research for reexamining meaningful life of middle-aged married men.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middle-aged men aged between 40 and 60 who are married with children and employed and live in Seoul or Gyeonggido, and a total of 476 copies of data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SPSS 20.0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and, as post test, Duncan mutiple rang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family strength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men was 3.02(SD .51) on a 4-point Likert scale. Among the subareas, connectedness scored the highest average, 3.13(SD .58), followed by problem-solving ability, 3.09(SD .49), communication 3.08(SD .55), and shared value system 2.79(SD .57). The average score of job satisfaction was 2.69(SD .56) on a 4-point Likert scale. Among the subareas, working environment scored the highest average 2.86(SD .56), followed by the job 2.79(SD .59), remuneration 2.59(SD .76), and promotion 2.53(SD .79). The average score of meaningful life was 2.69(SD .50) on a 4-point Likert scale. Among the subareas, family relationship/role scored the highest average, 3.09(SD .55), followed by self-actualization 2.94(SD .54), community sentiment/sharing 2.47(SD .66), and religion 2.21(SD .93). Second, regar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led t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strength, subjects who were college or higher-educated, had monthly income of 4 million KRW or more, whose spouse stayed at home or were permanently employed rather than temporarily employed, were married for the first time, and perceived their subjective health as being very good showed higher scores in family strength. The age, profession, and religion of subjects did not result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led to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subjects who were college or higher-educated, had a specialized job and monthly income of 4 million KRW or more, whose spouse stayed at home or were permanently employed rather than temporarily employed, and perceived their subjective health as being very good showed higher scores in job satisfaction. The age, religion, and marital status of subjects did not result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led t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ingful life, subjects who were higher educated and had higher levels of income, had a religion, whose spouse stayed at home or were permanently employed rather than temporarily employed, were married for the first time, and perceived their subjective health as being very good showed higher scores in meaningful life. The age did not result in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regarding employment status of the spouse and subjective health, subareas in which all of the three major variables–family strength, job satisfaction, meaningful lif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employment status of the spou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among subareas of family strength. connectedness and shared value system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he subareas while meaningful life resulted i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ty sentiment/sharing, family relationship/role, and self-actualization, except religion. Subjective healt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he subareas of family strength, job satisfaction, and meaningful life. Fourth,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examining the effects of family strength and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men on meaningful life, the explanatory power in Model 1 was 34%, and religion, employment status of the spouse, marital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had effects. In Model 2, the demographic variables were controlled and family strength and job satisfaction were entered. The explanatory power was 56%, and connectedness and shared value system, which are subareas of family strength, and job, working environment, and remuneration, subareas of job satisfaction, had effect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related to personal, family, and social life of middle-aged married men by examining the effects of family strength and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men on meaningful life, in today's society where happiness and health, rather than simple life extension, are emphasized as the average lifespan is reaching 100 years.

      •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서울랜드마크 포지셔닝연구 : 방한 외국인관광객을 중심으로

        오은지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Cities are increasingly using landmark to improve their image and stimulate attract visitors. Seoul is the most famous tourism destination in Korea, so over 80% foreign travelers are visiting to Seoul. For this reason, making good destination image of Seoul can be the key to successful Korea tourism. Landmark plays an important part of destination image and inflowing of many foreign travelers. It is deplorable that Seoul doesn't have special landmark which represent characteristic and variety of Seoul. Moreover, in the part of Korea tourism, the study about landmark rarely have done so the subject demands close investig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positioning of five Seoul landmarks with landmark attributes and to find the most suitable landmark with Seoul image. The main survey was performed based on a positioning strategy for Japanese, Chinese, Australian & American travelers who visited more than three seoul landmarks. A total of 240 questionaries were distributed and 210 of them are used for the analysis. SPSS 15.0 for Windows program was selected to analysi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he main method for this study wa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frequency analysis, Correspondences analysis were used. As a first result, foreign visitor recognized Gyeong-Bok Gung, National of museum and COEX 63building as a similar group, but in case of N tower was recognized differently. Second, result of positioning depending on attribute, N tower included most attributes which are visibility, comparison, symbolism, representability. So foreign traveler recognized N tower as competitive landmark among the five landmarks. But it doesn't mean that N tower is the most suitable landmark for Seoul image. Over all, the landmark which correspond with Seoul image doesn't exist so Seoul city council tourism developers should try to develop the landmark that can represent Seoul image. 본 연구에서는 실제 방문객의 80%가 서울에서 체류 및 방문을 함으로 하나의 관문이자 한나라의 수도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서울이라는 도시 이미지의 형성을 위해, 그리고 관광객들을 더 유입하기 위해, 현재 존재하는 우리나라 랜드마크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우리나라의 랜드마크를 좀 더 개선하여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파리의 에펠탑과 같이 그 나라의 특색을 갖춘 도시공간을 형성하는데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EH한 차기 랜드마크 구상에 있어서도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SPSS15.0의 MDS(Multidimensional Scaling)분석을 이용하여 처리하였고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랜드마크 유사성 자료를 근거로 하여 ALSCAL을 통하여 각 랜드마크간의 지 각 차이를 분석하였다. 둘째, 서울 랜드마크와 랜드마크의 속성과 연관시키기 위해 다차원확장(PRERSCAL: Preference Scaling)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서울 도시 및 랜드마크 이미지 평가를 위해 ALSCAL 및 기술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일반적 특성을 랜드마크 선호도에 대응시킨 대응일치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관광객들은 경복궁과 국립중앙박물관이 비슷하게 인지하고 있고, 코엑스와 63빌딩을 유사한 랜드마크로 인지하고 있으며, 남산타워의 경우 다른 랜드마크와비교하여 경쟁적 우위에 있어 차별화된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랜드마크 속성별 5가지 랜드마크를 포지셔닝한 결과 남산타워가 가시성, 대비성, 상징성, 대표성의 랜드마크 속성을 갖는 랜드마크로 가장 많은 속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이미지와 부합하는 랜드마크를 분석한 결과 사실상 서울시이미지와 부합하는 랜드마크는 부재하며 서울시에서 이러한 랜드마크 개발에 힘써야한다는 시사점을 보이고 있다. 서울방문횟수, 연령, 국가별 서울 랜드마크 선호도간의 대응일치분석 결과 좀 더 한국만이 갖을 수 있는 요소와 동시에 관광객유입을 위해 눈에 띄고 대비성이 있는 랜드마크 개발을 해야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오은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 학교생활적응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가정 내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발달적 문제나 학교부적응을 겪고 있는 자녀를 둔 학부모 상담 그리고 제 2의 가정이라고 할 수 있는 학교에서 학생들을 대하는 교사들이 가져야할 의사소통방식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 부의 의사소통유형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2 모의 의사소통유형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1 부의 의사소통유형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2 모의 의사소통유형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적응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한 조사를 2014년 10월 15일부터 10월 17일까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2개 중학교의 3학년 학생 4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연구문제 1, 2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연구문제 3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들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의사소통유형 측정도구로는 Barnes와 Olson(1982)이 개발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척도(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를 민혜영(1990)이 번안하고, 선명숙(2011)이 사용한 척도,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로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자아존중감척도(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척도, 학교적응 측정 도구로는 이규미(2005)의 ‘중학생의 학교적응 구성개념에 관한 연구’에 나와있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의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모의 의사소통 역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와 모가 개방적으로 의사소통을 할수록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한편 부와 모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알아 본 결과, 모의 의사소통이 (=.432, p<.001) 부의 의사소통(=.329, p<.001)보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의 의사소통은 학교적응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모의 의사소통역시 학교적응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자녀 관계에서 개방적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수록 청소년이 학교적응을 잘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부와 모의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알아 본 결과 부의 의사소통이 모의 의사소통보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과 자아존중감 및 청소년의 학교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자아존중감과 모두 통계적으로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의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과의 상관이 부의 의사소통과의 상관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를 앞서 언급한 회귀분석의 결과와 연결하여 보면 ‘모의 의사소통이 부의 의사소통보다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상관이 높고,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또한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은 학교적응과 모두 통계적으로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의 의사소통과 학교적응과의 상관이 모의 의사소통과의 상관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를 앞서 언급한 회귀분석의 결과와 연결하여 보면 ‘부의 의사소통이 모의 의사소통보다 청소년 자녀의 학교적응과 상관이 높고,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한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그 관계는 정적으로 나타났다. 더 자세히 살펴보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은 학교적응보다 자아존중감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의사소통유형과 학교적응 사이의 상관관계보다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사이의 상관관계가 전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APEC 국가의 약물감시 현황에 따른 교육 수요도 비교 분석

        오은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은 2011년 9월 APEC 약물감시 분야의 챔피온 국가로 발탁되어 2020년까지 APEC 약물감시 로드맵이 성공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에 국가별 약물감시 현황에 따른 약물감시 교육 수요도 비교 분석을 통해 기존에 개발된 교육 내용을 보완하고 회원국 간 약물감시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현 실정 및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APEC 기 교육 프로그램 및 타 학회 및 기관에서 제공했던 교육 자료 등을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들을 비교 분석하여 APEC 국가 대상 약물감시 교육 개발안을 만들었고 이에 대한 수요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 형식으로 변환하였다. 또한 APEC 국가들의 약물감시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WHO의 약물감시 지표를 수정 및 보완하여 약물감시 수준 파악을 위한 설문지를 만들었다. 두 가지 설문지를 바탕으로 약물감시 수준 및 약물감시 교육에 대한 수요도 조사를 하여 첫째, 개발된 교육내용의 주제별 교육 수요도의 평균을 분석하였고 둘째, 약물감시 수준에 따른 교육 수요도를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 약물역학,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위해관리, 유익성-위해성 순으로 교육수요도가 높았다. 약물감시 수준에 따른 교육 수요도를 분석 결과 약물감시 수준에 따른 교육 별 수요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국가별 PV 시스템 사례, REMS/RMP/GVP, 사용과오 보고 시스템 및 피드백, 위조의약품 모니터링의 내용에서 약물감시 수준이 낮은 국가들의 교육 수요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약물감시 활동 수준에 따른 교육 수요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할 만큼의 많은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단일 프로그램으로 교육을 구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수준별 교육 수요도의 차이를 보이는 4가지 교육 중 특히 사용과오보고 시스템 및 피드백, 위조의약품 모니터링 부분에 있어서는 약물감시 수준이 낮은 국가들을 고려하여 실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동일 시간대에 수요도 평가 결과 만족도가 높았던 부분의 심화교육이 제공되어 국가별 선호에 따라 선택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수요도 평가 결과 평점이 낮았던 부분의 교육은 교육 내용에서 제외하고 평점이 높았던 부분은 강의와 실습을 병행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APEC 21개국을 대상으로 약물감시 교육 내용에 대한 수요도를 파악하고 약물감시 수준별 약물감시 교육 수요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지만 설문지를 보낸 21개국 중 오직 14개국이 응답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여주기에 설문 응답국가 수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표본 집단이 모집단을 대표하기에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개발된 교육 내용을 보완하고 회원국 간 약물감시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현 실정 및 교육 수요에 부합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