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4D 효과가 관람객의 공동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4D 영화관을 중심으로

        오은지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upposes the audience to experience something new, by getting Co-Experience through watching 4D films. This study aims to define what Co-Experience is and attempts to clarify properties of Co-Experience. 4D film is a system that is added to various special effects, such as scents and vibrations on 3D and 2D films. From 4D films, the audience is able to experience something new that is more realistic and vivid than from 2D films. The purpose of 4D films is to reproduce realistic experiences to the audience through such added effects which they cannot experience when watching 3D or 2D films that only provide visual and auditory experiences. Specifically in unrealistic content cases, if 4D effects are provided appropriately, the audience can feel such content as reality and the their presence can be heightened. 4D films are evaluated on how realistic and fun they are. This causes that movie audiences desire a new experience of presence and an entertainment surpassing common films, as we have seen so far. Despite the increased needs of audiences to get new user experience from 4D films, there are only a few related researches. Though there are some studies are existent about Co-Experience of users in virtual reality and telecommunication interaction, there is no study exactly focusing on Co-Experience of new media like 4D film.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precedence of similar cases about Co-Experience and makes certain clarifications. Co-Experience is a new user experience achieved through 4D films. This study exacts subordinate properties of Co-Experience in a preliminary research and examin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se results. Also, this study shows the measurements of Co-Experience as a tool to explore how 4D effects cause Co-Experience empirically. As a result of the preliminary research, this paper defines 'Co-Experience', new user experiences through 4D films, as the 'state feeling same reaction and experiencing presence with the others in a system'. The subordinate properties of 'Co-Experience' are 'awareness of the other', 'emotional connectedness' and 'creative fun'. And this study sets up hypothesis that 4D effects cause the audience to have new experiences, Co-Experience in 4D cinema. Then this paper experiments how 4D effects cause Co-Experience to audience of 4D films as a measurement of Co-Experience extracted from the preliminary research. The experiment surveyed the audience of 3D films and 4D films. To get a result based on only 4D effects except personal characters of subjects as another variable, this paper examined differences of personal characters of audiences between 3D film group and 4D film group. As a result of an experiment, with only 4D effects as a variable and this paper found out that 4D effects cause heightened Co-Experience of audience in 4D cinema. In other words, audiences of 4D film get more 'awareness of the other', 'emotional connectedness' and 'creative fun' than those of 3D films. This is caused by 4D physical effects, which are different from Co-Experience through 2D, 3D film. When audiences watch 4D films, they share a reaction of 4D effects, retain more awareness of the other, and experience emotional connectedness by becoming closer with one another. Also, by the audience becoming closer to one another, they enjoy and have more fun watching the film, by expressing their thoughts of 4D effects. Then it’s led to make the audience get will of watching together with others when they visit 4D cinemas again. 이 연구는 4D 영화의 관람객들이 4D 영화 관람을 통해 새로운 사용자 경험인 공동경험을 얻는다고 보고 그 공동경험은 무엇인지, 또 어떤 속성을 가지는지를 도출한 연구이다. 4D 영화는 3D 입체 스크린에서 보여 지는 입체 영상, 또는 일반 스크린에서 상영하는 2D 영상과 함께 4D의 물리적 효과를 제공하는 영화를 말한다. 4D 영화의 특징은 4D 효과로 인해 영화 장면에 대한 생생한 현실감을 일반 영화보다 깊이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비현실적인 스토리와 장면에서도 마치 현실 같은 재현 효과가 탁월하여 깊은 몰입을 경험할 수 있다. 4D 영화의 효과는 영화에 대한 몰입도와 재미를 모두 높였다는 성공적인 평가를 받으며 영화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바꿔 놓게 되었고 관람객들은 영화를 보면서 실제와 같은 몰입 경험을 얻기 바라는 욕구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4D 효과는 영화관에서 관람객들이 공동의 관람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얻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람객들의 욕구와 새로운 4D 기술에 대한 반응에 대해 그리고 관람객들이 경험하는 새로운 경험감에 대해 관련된 연구는 적은 실정이다. 특히 가상현실이나 텔레커뮤니케이션 상황과 같이 원거리 및 근거리 상호작용에서 사용자들 간의 공동 경험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진행되어 왔었지만 4D 영화라는 미디어 형태에 맞는 공동 경험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4D 영화 관람객이 얻는 새로운 경험감인 공동경험감이 무엇인지 그 개념을 확립하였다. 또한 사전 조사를 거쳐 공동경험감에 대한 하위 속성을 도출하였고 그 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4D 영화의 물리적 효과가 과연 관람객들의 공동경험에 어떠한 차이를 만드는지 실증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공동경험을 측정하는 도구로써 측정항목들을 도출하였다. 사전 조사 결과를 토대로 4D 영화를 통해 관람객들이 경험하는 새로운 경험감인 ‘공동경험감(Co-Experience)’을 ‘시스템 안에서 사용자가 경험하는 몰입을 타인과 함께 겪으며 동일한 반응을 경험한다고 느끼는 상태’라고 정의하였고 그 하위 속성으로는 ‘타인에 대한 지각성’, ‘정서적 유대감’, ‘창조적 재미’ 속성의 3가지 항목을 도출하였다. 과연 4D 효과가 관람객들에게 공동경험감을 유발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사전 조사에서 도출된 공동경험감을 측정하는 항목들을 토대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3D 영화와 4D 영화의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관람객들의 개인적인 성향을 배재하고 4D 영화의 물리적 효과에 의한 결과만을 얻기 위해 3D 영화와 4D 영화 관람객들의 개인적 성향에 대해 그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4D 영화의 물리적인 효과만이 실험의 변수로 작용하였고 4D 영화의 물리적 효과는 관람객의 공동경험감을 높인다는 결과를 얻었다. 다시 말해, 4D 영화에서 관람객들은 ‘타인에 대한 지각성’, ‘정서적 유대감’, ‘창조적 재미’의 속성을 가지는 공동경험감을 3D 영화에서보다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는 4D의 물리적 효과에 의한 것으로 3D 영화에서 겪는 공동경험감과는 다른 경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3D 영화를 볼 때보다 4D 영화를 볼 때 관람객들은 4D 효과에 의한 반응을 타인과 서로 공유하면서 타인과 함께 있다는 타인에 대한 지각이 높아지고 타인과 좀 더 가까워지는 것 같은 정서적 유대감이 높아지는 것을 경험한다. 또한 4D 효과에 대한 반응을 표현하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타인과 더욱 친밀하게 느끼며 더욱 즐거움을 얻게 된다. 이는 관람객들이 4D 영화를 관람하면서 3D 영화에서는 경험하지 못하는 색다른 재미를 얻게 해주며 관람객들로 하여금 향후 4D 관람 시 타인과 함께 하려는 의지로 나타났다.

      • 제창곡을 활용한 다양한 가창수업 방안 연구 :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오은지 부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began with the purpose of inducing active participation in singing activities from students to graduate from the conventional cramming singing education. Singing education has so far been teacher-centric in most cases. It is required to have the students develop an attitude of active participation and give student-centric lessons in order to help them cultivate their musical potential and creativity. Since the Seventh Curriculum highlights "musical activities," it is important to focus on activities around music itself in singing lessons rather than on the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and elements. The old fixed singing lessons should change to new instructional directions in order to inspire the students to participate the repetitive singing activities with no boredom. The specific research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s and importance of singing activities were examined in music education. Second, the singing and instrumental music par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terms of percentage in order to review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inging area of the activities areas in the music textbooks in the current Seventh Curriculum. Third, two unison songs were chosen, and diverse singing instruction methods were proposed. And finally, specific lesson plans were developed for the unison song. The previous studies mostly adopted multimedia, utilized the recorder and Danso, or proposed various piano accompaniment methods to increase the effects of singing education. Thus the study proposed new singing lesson plans that were not addressed in the previous studies. Those lesson plans will be great means to induce concern and interest among the students that have difficulty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singing activities when being applied to Korean traditional singing music. The study also proposed diverse singing and instrumental music activities for effective singing lessons. If broader creative activities are properly incorporated such as making lyrics in singing activities and doing impromptu play in instrumental music activities, they will generate different effects, as well.

      • 기초학력보장정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 대구광역시교육청 '학습 도움닫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오은지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시행된 기초학력보장정책 중 하나인 ‘학습 도움닫기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정책의 실효성을 분석하고 기초학력보장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교육청에 근무하는 5명의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답변 내용을 범주화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 도움닫기 프로그램의 시행 전, 교사들은 학생들의 학습 결손 해소를 위한 학습 지도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학습 결손 해소를 위한 교사로서의 책임감과 지도 수당 수입에 대한 기대라는 운영 동기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교육청의 사전 안내는 비교적 충분하다고 인식했으나 단위 학교별로 일부 혼란이 있기도 하였다. 학습 도움닫기 프로그램의 시행 중, 교사들은 운영 기준을 충족하는 선에서 교사 재량으로 참여 학생들을 선정하였고 운영 시간이나 내용 및 평가 방식 또한 교사마다 자율성을 지녔다. 학부모의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나 일부 부정적 인식도 존재하였다고 밝혔으며 교육청 및 단위학교의 운영 환경적 측면에서 보다 적극적인 물적, 인적 인프라 지원을 희망하였다. 학습 도움닫기 프로그램의 도입 초기에 비해 운영 환경은 좀 더 안정되었으나 운영 기준 완화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학습 도움닫기 프로그램의 시행 후, 교사들은 학생들의 학습 및 정서적 결손 회복의 효과를 경험했으며 교육청 차원의 운영 기준 변동에 따른 혼란과 부족한 물적 인프라 지원에 대한 아쉬움을 바탕으로 해당 측면에서의 제도 개선을 희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으로써 학습 도움닫기 프로그램의 운영 기준 완화, 물적 인프라 지원 강화, 학습 애플리케이션 및 도구의 개발과 관련 연수 및 홍보 강화를 제시하였다. 또한, 정책적 시사점 및 제언으로써 학습 도움닫기 프로그램 정책의 유지 및 지속적 운영의 필요성을 언급하였고 학습 도움닫기 프로그램의 설문 결과와 우수 사례의 홍보, 학교별 전문가 컨설팅 제공과 같은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강구조 재사용 시스템을 위한 PC 슬래브 접합부의 구조성능 및 손상도평가

        오은지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전세계적으로 환경적 패러다임으로 전환되어지고 있다. 건축분야에서도 활발한 활동이 진행되고 있고, 건축구조분야에서는 구조물의 장수명화를 실현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강구조 시스템의 재사용을 위하여 강재기둥과 보를 탈부착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재사용 시스템을 실용화시키기 위해서는 슬래브 시스템에 관한 연구도 수행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휨 실험을 통하여 기본 슬래브의 구조성능이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기본 슬래브에 실험변수인 강관(A/B-type)과 정착방법(Stud, Hoop)을 다르게 한 접합부를 삽입하여 횡방향 하중을 반복 재하를 수행했다. 이를 통해 접합부에 따른 구조거동과 파괴양상, 초기 균열 강도와 최대인장강도, 강성의 저하와 에너지 흡수능력 등을 강성의 형상과 정착철근의 형상과 개수에 따라 조사하여 슬래브의 재사용 가능 여부에 대해 판단하였다. 또한, 손상 후의 슬래브의 강성 저하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반복하중의 각 사이클의 전·후에서 가진을 주고 진동수를 산출했다. 모든 실험체의 가력 전 진동수는 모두 고주파의 기본진동모드를 나타나는데 이를 통해 슬래브 자체 강성이 매우 크다고 판단되었고, 하중 가력 후 진동수의 변화율을 통해서 볼 때, 모든 실험체가 진동수가 약 5 % 이내로 감소했고, 강관 형상에 따라서 큰 영향을 받지 않치만 강관이 없는 경우에는 낮은 강성이 나타났고, 정착철근의 경우에는 단면적에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모든 실험체가 접합부가 먼전 파단이 선행되어 슬래브 자체의 손상은 크게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Lately, the paradigm is changed for the environment paradigm all over the world. In the construction field, especially on structural engineering, it becomes an important issue that to extend lifetime of building. To make reusable steel structure systems, active studies are executed on easily detachable joints of steel columns and beams. Therefore, a study on detachable joints of slabs should also be executed to realize reusable steel structure systems. This study confirm the stability of the basic PC slab by bending test, which is standing for evaluating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PC slab. The reversed lateral load test is executed to evaluate the structural performance about joints of PC slab, which consist of different type of steel pipes(A/B-type) and anchoring method(stud/hoop). Through this, structural behavior, initial crack, maximum tensile strength, stiffness reductions and energy absorbing ability depending on joint’s details are investigated to make a judgement about reusability of PC slab. Futhermore, to investigate stiffness reductions of each slab, the measurement of slab frequencies by applying vibration on before and after each repeated load cycle. The slabs have high-stiffness because all specimens showed tendency of a fundamental mode of high-frequency. After this experiment. According to the changed rate of frequency, all specimen’s frequencies reduced about 5%. The specimens without a steel pipe had low-stiffness after experiment. The shapes of steel pipes did not make notable differences. Anchoring rebars were effected by sectional area. In conclusion, PC slab system which provided by this paper is available to reuse because failure of joint is prior to failure of slab.

      •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오은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 학교생활적응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가정 내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발달적 문제나 학교부적응을 겪고 있는 자녀를 둔 학부모 상담 그리고 제 2의 가정이라고 할 수 있는 학교에서 학생들을 대하는 교사들이 가져야할 의사소통방식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 부의 의사소통유형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2 모의 의사소통유형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1 부의 의사소통유형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2 모의 의사소통유형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적응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한 조사를 2014년 10월 15일부터 10월 17일까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2개 중학교의 3학년 학생 4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연구문제 1, 2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연구문제 3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들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의사소통유형 측정도구로는 Barnes와 Olson(1982)이 개발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척도(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를 민혜영(1990)이 번안하고, 선명숙(2011)이 사용한 척도,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로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자아존중감척도(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척도, 학교적응 측정 도구로는 이규미(2005)의 ‘중학생의 학교적응 구성개념에 관한 연구’에 나와있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의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모의 의사소통 역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와 모가 개방적으로 의사소통을 할수록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한편 부와 모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알아 본 결과, 모의 의사소통이 (=.432, p<.001) 부의 의사소통(=.329, p<.001)보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의 의사소통은 학교적응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모의 의사소통역시 학교적응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자녀 관계에서 개방적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수록 청소년이 학교적응을 잘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부와 모의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알아 본 결과 부의 의사소통이 모의 의사소통보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과 자아존중감 및 청소년의 학교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자아존중감과 모두 통계적으로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의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과의 상관이 부의 의사소통과의 상관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를 앞서 언급한 회귀분석의 결과와 연결하여 보면 ‘모의 의사소통이 부의 의사소통보다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상관이 높고,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또한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은 학교적응과 모두 통계적으로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의 의사소통과 학교적응과의 상관이 모의 의사소통과의 상관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를 앞서 언급한 회귀분석의 결과와 연결하여 보면 ‘부의 의사소통이 모의 의사소통보다 청소년 자녀의 학교적응과 상관이 높고,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한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그 관계는 정적으로 나타났다. 더 자세히 살펴보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은 학교적응보다 자아존중감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의사소통유형과 학교적응 사이의 상관관계보다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사이의 상관관계가 전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스트라빈스키의 풀치넬라를 활용한 사회·정서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오은지 서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대두되고 있는 학교폭력문제, 청소년 자살 문제로 보아 많은 청소년들이 빠른 정서적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정서를 조절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서교육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정서교육을 통해, 여러 갈등을 현명하게 해결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스트라빈스키의 풀치넬라를 활용한 사회ㆍ정서학습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및 기존 연구를 통하여 풀치넬라의 특징을 고찰하고, 학습요소를 분석한다. 둘째, 사회 정서 학습 모형을 적용한 풀치넬라 수업지도안 및 수업자료를 개발한다. 셋째, 개발한 수업 모형을 초등학교 5학년 학생에게 적용한 뒤, 효과를 분석한다. 연구문제에 기초하여 스트라빈스키의 곡 풀치넬라의 음악적 특징과 요소들을 바탕으로 교실수업과 활동들을 사회·정서학습요소들과 연계시켰다. 풀치넬라는 음악, 극, 미술, 무용의 종합 예술체이며 신고전주의 기법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스트라빈스키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연결구, 음색의 대비, 피치카토, 글리산도, 하모닉스 등의 다양한 연주 기법을 활용한 독특한 음악적 표현성 등은 초등 수업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학습요소가 될 수 있었다. 또한 극의 이야기를 통한 창의성 및 표현성 증진, 해학적인 풀치넬라의 모습은 학생들의 강한 흥미도를 유발시켰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음악적 특징을 바탕으로 10차시의 사회ㆍ정서 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수업모형은 초등학생 수준에 적절한 풀치넬라의 음악적 이해 및 CASEL이 제시한 다섯 가지 핵심 역량을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1~6차시는 곡의 기본적인 이해와 배경에 정서학습의 순차적 진행을 배열시켰으며, 7~10차시는 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풀치넬라를 새롭게 창작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각 실행과정에서 수업 과정 녹화, 연구자의 학습일지, 학습 결과물, 사전, 사후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학습의 결과물과 수업 중 학생들의 반응 관찰을 통해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는 능력과 적절하게 정서를 활용하는 능력이 함양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한 곡만 집중적으로 적용되었기 때문에, 아동이 곡에 대한 깊은 이해와 다양한 해석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음악을 활용한 정서학습이 유의미한 교육 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음악을 중점으로 하는 통합적인 사회·정서학습은 활용하는 악곡이 지니고 있는 음악적 요소와 특징들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이러한 음악적 요소들이 초등학습자의 느낌, 정서, 소통과 나눔의 교육적 요소들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활발하게 일어 날 수 있는 음악수업의 환경과 맥락들이 체계적으로 구조화 될 때, 더욱 의미 있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 근대산업유산의 역사성 보존을 위한 문화적 도시재생 방안 연구 : 군산시 째보선창 일원을 중심으로

        오은지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구조의 변화로 방치된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이 활발하다. 근대산업유산을 통해 그동안 역사적 배경의 이유로 제대로 보지 못한 우리의 근대사를 알 수 있고, 새로운 문화 가치를 창출하여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근대산업은 지역산업으로 볼 수 있을 만큼 뚜렷한 지역성을 갖고 발전해왔다. 그러나 최근 유행처럼 번지는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이 우리가 오래 덮어둔 시간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채 단기간 사업 주도로 보여주기 식의 경관 조성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역사적 장소가 지닌 지역의 역사와 문화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아닌 이질적이고 매력적으로 보이는 관광자원 개발을 위한 도시재생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우리나라 근대산업유산은 대부분 일제강점기 착취와 수탈의 어두운 흔적으로 인식되어 보존 가치와 활용의 문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은 가려졌던 역사의 의미를 밝히고 재생을 통한 보존 가치를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지역의 역사성을 보존하고 그 의미와 시간을 보여줄 수 있는 문화적 재생을 위한 연구와 방안 제시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전북 군산시는 2000년 이후 내항 주변에 산재한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을 위해 적극적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근대산업유산의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하고 근대문화도시로서 도시 이미지를 구축하여 쇠퇴한 원도심을 재생했다는 것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주로 건축학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근대산업유산의 역사성과 의미를 밝히기보다 물리적 재생에 중심을 두고 있다. 결국 드라마세트장처럼 짜인 경관 조성과 정량적 수치가 우선시되는 성과를 내기 위한 매력적인 역사자원을 선별하고 유행에 민감한 수요 공간 중심으로 역사적 장소가 채워지고 있다. 현재 군산시는 ‘째보선창’이라고 불리는 내항 주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진행 중이다. 째보선창은 지금은 내항의 항구기능 상실로 슬럼화 문제와 사회·문화적 접근이 약화하였지만, 과거 미곡 수탈의 전진기지이자 군산 최고의 민간인 포구로 성행하며 지역 경제의 중심 역할을 해 온 곳이다. 이곳은 그동안 착취와 수탈의 근대사에 초점을 맞추었던 군산시의 근대산업유산 활용이 나아가 차별과 억압 속에서도 삶을 이어온 당시의 생활상을 보여줄 수 있고, 지역경제를 이끌어 온 근대산업이 지역의 특성과 어떤 관계로 발전해왔는지를 보여줄 수 있는 역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런데도 역사적 장소의 의미와 이야기는 가려진 채 여전히 관광자원개발과 물리적 공간 자원의 활용에 치우친 계획이 추진 중이다. 본 논문은 군산시의 근대산업유산에 관한 의미와 스토리는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거나 기록으로 남겨져 있을 뿐 이를 적극적으로 역사적 장소의 재생으로 활용하지 못한 군산시의 도시재생 한계에 관해 분석하였다. 아울러 도시재생 대상지인 째보선창의 역사성 보존 가치를 토대로 째보선창의 근대산업유산이 가진 역사성을 보존하는 문화적 도시재생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안을 공간과 프로그램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독특한 건축물을 기반으로 한 공간 활용 위주의 지난 군산시 도시재생이 나아가 지역문화자원으로서 근대산업유산이 갖는 역사성을 보존하고 장소성을 고려한 장소의 재생으로 지속 가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Urban regeneration using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abandoned with the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is active. Modern history of Korea that could not have been seen properly so far for historical background reasons can be known through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and new cultural values can be created, which in turn can revitalize the cities. Modern industry has developed with clear regional characteristics as much as it can be seen as regional industry. Howeve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sing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that have recently become an epidemic still remain as the seeming landscape creation project in many cases because such projects are l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out considering the times that we had overlooked. As a result, it was unavoidably criticized that it was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for developing the tourism resources that were heterogeneous and looked attractive rather than a project to creat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that a historical site has in a region. Modern industrial heritages of Korea were mostly perceived as dark traces of exploitation and plunder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so preservation values and utilization of such heritages have not been dealt with properly so far. This is why suc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sing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should start from revealing the meanings of the history that’d been hidden and understanding the preservation values through regeneration. Through this, the historicity of a region has to be preserved and researches for cultural regeneration that can create true values as cultural resources that can show the meaning and time should be conducted as well as provision of solutions. Gunsan city in Jeonbuk is carrying forward projects actively for urban regeneration using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scattered around the inner harbor since 2000. Gunsan city is rated highly in that it has relatively good modern industrial heritages in terms of preservation state and regenerated the collapsed old downtown by establishing an urban image as a modern culture city. However, researches have been made largely from the architecture perspective and are focusing on physical regeneration instead of revealing the historicity and meaning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s. Resultingly, filming site-like landscapes are being created, attractive historical resources for yielding good results prioritizing quantitative numerical values are being sorted, and historic sites are being filled with spaces for demand that are sensitive to fashion Gunsan city is now proceeding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around the inner harbor called as ‘Jjaeboseonchang.’ Jjaeboseonchang was an advanced base for exploitation of rice and grains and prevalent as Gunsan’s best private port and played a central role for the regional economy although it now had a slumism issue and its social and cultural approach weakened due to the loss of function as an inner harbor. The utilization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s in Gunsan city that had focused on modern history of exploitation and plunder can show the life phases of then-people who had led a life under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and how modern industries which had led the regional economy have developed in what relationship wit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rom which historical meaning can be found. Nevertheless, the projects biased towards development of tourism resources and utilization of physical space resources are still being promoted with the meaning of and stories about historic sites hidden. This study analyzed the limitations of urban regeneration of Gunsan city that could not make good use of the meaning of and stories about modern industrial heritages in Gunsan city as active regeneration of historic sites although such heritages are displayed in a museum or remained as record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looked at the alternatives for Jjaeboseonchang, one of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s to go toward the cultural urban regeneration preserving historicity based on the preservation values of historicity of Jjaeboseonchang, object area of urban regeneration from the space and program aspects. Through this, it tried to find ways so that the urban regeneration of Gunsan city having focused on space utilization based on unique architecture can be sustainable as regeneration of places preserving the historicity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s as regional cultural resources and considering placeness.

      • 요가수련이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오은지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요가수련이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전·후 설계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S시와 G시에 소재하고 있는 요가원과 지역사회 단체를 통하여 만40∼6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대상은 실험군 12명과 대조군 10명 총 22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실험군에게는 연구 시작일로부터 요가프로그램을 시행하였으며, 사전· 사후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각 주마다 힐링요가, 빈야사요가, 핫요가 프로그램으로 요가수련 1회 60분씩, 10주간 주 3회, 요가수련으로 총 30회를 시행하였다. 자료수집은 사전· 사후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 삶의 만족 기대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인구통계학적특성 총 7개 문항(연령, 건강, 결혼, 가족, 직업, 학력, 월 소득)으로 구성하였고, 스트레스 반응 측정은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2000)이 개발한 것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삶의 만족과 삶의 만족 기대 측정은 Diener 등(1985)이 개발한 삶의 만족과 삶의 만족 기대척도를 조명한과 차경호(1998)가 한국어로 번안하였고, 김정호(2007)가 수정과 보안한 삶의 만족과 삶의 만족 기대 척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요가수련 시행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 삶의 만족기대에 대한 검증은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사용하였다.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요가수련을 적용한 결과 전체적으로 스트레스 부분에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삶의 만족과 삶의 만족 기대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요가수련이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 삶의 만족 기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년여성들이 요가수련을 통하여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데 의미를 두고 정기적인 요가수련을 통해 더 큰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show the effect of yoga practice o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by comparing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subjects were 22 women (1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in the control group) aged 40 to 60 years and they were collected through yoga center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in S and G cities, Gyeonggi-do. The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the pre and post measurement tools in the experimental group from the start of the study. Th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for healing yoga, binyasa yoga, and hot yoga programs once a 60-minute yoga session, three times a week for 10 weeks, and a total of 30 yoga sessions.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yoga training, and the measurement tool consisted of 7 ite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health, marriage, family, job, education, monthly income). The stress response was measured by using the tool developed by Kyung-Bong Ko, Park Jung-Kyu, and Chan-Hyung Kim (2000).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tion were measured with the tool developed by Diener et al. (1985), which was translated by Jo Myoung-han and Cha Kyung-ho (1998) in Korean and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Jung-ho (2007). The collected data have analyz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SPS 24.0 program. Th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verified by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measure the stress, life satisfaction, and life expectanc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yoga exercise. As a result of applying yoga training to middle-aged women, the st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tress area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yoga practice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middle-aged women's stress, lif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tions, and it is believed that middle-aged women can reduce stress through regular yoga exercises and can lead a happy and healthy life.

      • 초급중국어 학습자를 위한 중국어 발음 지도방안 : Chinese pronunciation guidance for beginner Chinese learners

        오은지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Chinese Pronunciation Guidance for Beginner Chinese Learners EUN JI OH Major in Chines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The problem that learners feel difficulty in Chinese pronunciation has been steadily raised. The problem in Chinese education is that some learners have excellent grades in areas such as listening, writing, grammar, and vocabulary in addition to pronunciation, but they have difficulty correcting due to poor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when speaking Chinese. This problem is to be solved through a guidance plan for beginner Chinese learners. In the process of learning the correct pronunciation of Chinese, learners learn the combined pronunciation of 21 Virgin Mary and Mica, which suffers the most from installation and speech sounds. Therefore, when learning beginner-level Chinese, it is necessary to practice with the help of a teacher, and to receive feedback to form accurate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beginner Chinese learners, found ways to teach pronunciation in real-world schools, studied online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class, and wrote teaching contents that prioritize interest and interest in Chinese pronunciation learning. By analyzing the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s of Korea and China, the difficulties of learners in the basic stage of practicing accurate pronunciation were identified, and a suitable teaching method was suggested in a way that they could learn Chinese without losing interest. China's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 emphasizes six principles, focusing on forming accurate pronunciation habits, allowing learners to learn with interest and interest, and providing classes with machines such as recorders. These principles aim to start learning according to the learner's level and to have proficient and skilled Chinese skills through repetitive practice. The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Korean learners were summarized and studied in five ways. When a teacher first makes a sound with the correct pronunciation, the learner should use the same teaching method that makes the same sound along the teacher's voice so that the teacher can make accurate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his or her native language. It is composed of teaching methods that distinguish the Virgin Mary or Mica, which learners find difficult to pronounce, understand the combin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Virgin and Mica, and learn the pronunciation that basic learners find difficult. It focused on how to guide the pronunciation of intonation and scripture, and presented words that learners can accurately understand and understand the pronunciation practice plan of first to fourth tones, second and third tones, and changes in tone of '一' and '不'. In addition, practice questions were presented so that learners in the basic stage can clearly understand the sign notation of intonation, so that learners can learn by reinforcing parts that are easily wrong and difficult. Many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have introduced Chinese language subjects in schools. The problem is the gap in the level of Chinese among students in the classroom. Teachers need to properly organize the difficulty of the class because students who already have excellent Chinese skills and those who are new to Chinese at school take classes in one classroom. Five measures that can be used to reduce these problems are suggested, and learners are taught with the aim of having a positive image of China and respecting Chinese culture by learning Chinese at school. In addition, three online programs can not only give learners a chance to review, but can also induce curiosity and interest before learning Chinese. This is Mentimeter, Padlet, and Kahoot, and is a program that is designed to allow individual learners, learners and learners, teachers, and learners to share the results of activities or review the contents of the class. Lastly, since this paper focuses on studying how to teach pronunciation, it is necessary to think and think from the perspective of a teacher who teaches pronunciation, and if there are 100 students, Chinese teachers need to have various teaching method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Keywords : Chinese Pronunciation, Basic Chinese, A method of Teaching Pronunciation, Intonation, Online Program, Mentimeter, Padlet, Kaho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