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지역 사할린 한인 기념 공간의 현황과 과제

        방일권(Bang, Il-Kwon)(邦一權) 한일민족문제학회 2014 한일민족문제연구 Vol.26 No.-

        Historical memory can be effectively carried out by the memorial spaces and monuments. This paper has two purposes. The first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memorial facilities associated with the Sakhalin Korean society, which has been on the verge of the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the collective memory. The second is to give a developmental proposal on the current state of crisis. For these purposes, with the examination on overall governmental policy of Russia on cultural heritage of ethnic minorities at first, the author points out what should be noted when composite a commemorative space of Sakhalin Koreans. The existing monuments and memorial spaces in Sakhalin on the history of Korean have remains and messages too poor to pass on collective memory. A more serious problem with it, it is visible large limit to approach considering the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 of the local area. To have a contextual view requires a basic understanding for the function of memorial facilities and legal system of the region in which the memorial space will be located. Clearing the multi-ethnic principle of sovereignty, as core elements to strengthen the community property, the Russian Federation emphasizes as its main cultural policy on the equality of ethnic minorities and the recognition of the right of cultural preservation. It provides a favorable background to Korean society in Sakhalin for the regeneration of the collective memory through memorial spaces. As suggestion author notes the following: When scheduled to make a memorial space the most urgent task is considering in a top priority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and legal system of the local area, and showing clearly through the memorial facilities the concreteness and narrative structure of history of Sakhalin Korean. 歴史的な記憶は、歴史記念物と記念空間により効果的に遂行できる。この論文の目的は、共同記憶の維持と保存における危機に直面したサハリン韓人社会の現況と関連記念施設の実態を検討し、発展的な提案をなすことである。このために、まずロシアの少数民族の文化遺産に関する全般的な保存政策を検討した上で、サハリン韓人の記念空間を造成する際、留意すべき点を指摘し、大きな枠からみて発展的な提案をなそうとした。 サハリン現地における既存の韓人史に関する記念空間及び記念物には、共同記憶を伝えるには関連遺物やメッセージが遥かに欠けている。それと共に、より深刻な問題とは、現地の文化や歴史的な脈絡を十分に考慮したアプローチが為されてない限界が大きく見えている。脈絡的なビューポイント確保するには、その記念空間が位置した地域の法的体制と記念施設に対する基本的な理解が求められる。ロシア連邦は、主権の多民族原則を明らかにしている故に、共同体性を強化する核心要素として、少数民族の文化保存権の認定と平等性を主な文化政策として実践しているので、記念空間を通じた韓人社会の記憶の回生には有利な背景を提供している。 以上の点を検討した結果、研究レベルで提案するのであれば、記念空間を立てる予定の現地の法的なシステムと歴史的・文化的な脈絡を最優先にして考慮すること、そして記念施設を通じて韓人史の具体性と敍事構造をはっきり見せることが至急の課題であろう。

      • KCI등재

        Russian Population in Kazakhstan:An Ethno-Historical Approach

        방일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중동연구소 2013 중동연구 Vol.32 No.2

        카자흐스탄은 독특한 지정학적 위치를 가진 지역이다. 유럽과아시아의 교차로이자 대초원로의 주요 부분이 관통하는 지역인까닭에 고대로부터 다양한 이민의 물결들을 늘 목도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카자흐스탄은 고대와 중세 시기 여러 민족들의 고향이되었다. 카자흐스탄 지역으로 향하는 사람들의 이동은 이 지역을둘러싼 세계 제국들의 갈등이 구체화되는 근대 시기까지 이후에도계속되었다. 18 세기 이래로 카자흐스탄은 러시아 제국의 팽창 대상 지역이되었으며, 그 과정은 1860 년대 말에 카자흐스탄이 러시아의식민지가 되는 것으로 완료되었다. 20 세기 초의 사회적 격변들로인해 러시아 제국은 붕괴되었지만 그 영토는 보존되었다. 새로운정부는 민족 국가들의 연합으로 제국을 개편하였으니 그것이 곧실질적으로는 단일한 성격을 가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연방이었다. 카자흐스탄 역시 이 민족 공화국들 중의 하나였으나1991 년 소련의 붕괴로 카자흐스탄 독립 공화국이 출현하게 되었다. 러시아 국가의 주요 민족 그룹으로서 러시아인은 카자흐스탄영토의 식민지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들은 군인, 공무원,탐험가, 농민 정착자로 카자흐스탄에 뿌리를 내렸다. 새로운 생활조건들에 러시아인이 적응하면서 그들은 우선적으로 토착주민들과의 사회관계 시스템들을 구축해야만 했다. 각각의 역사시기들마다 있었던 러시아의 사회-정치 상황 변화는 식민지 내러시아어 구사자 사회의 지위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변화에대한 재적응을 강요했다. 본 글은 18 세기 이래 독립 카자흐스탄 공화국의 출현 시기까지를8 단계의 역사적 시기로 구분하여 카자흐스탄의 러시아인의 삶의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쳤던 변화의 상황들과 그로 인해 초래된러시아인 사회의 특징들을 추적함으로써 카자흐스탄 내 러시아인사회의 역사에 대한 분석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

        카자흐스탄 내 러시아인에 대한 민족-역사적 접근

        방일권 ( Il Kwon Ba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동연구소 2013 중동연구 Vol.32 No.2

        카자흐스탄은 독특한 지정학적 위치를 가진 지역이다. 유럽과 아시아의 교차로이자 대초원로의 주요 부분이 관통하는 지역인 까닭에 고대로부터 다양한 이민의 물결들을 늘 목도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카자흐스탄은 고대와 중세 시기 여러 민족들의 고향이 되었다. 카자흐스탄 지역으로 향하는 사람들의 이동은 이 지역을 둘러싼 세계 제국들의 갈등이 구체화되는 근대 시기까지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18 세기 이래로 카자흐스탄은 러시아 제국의 팽창 대상 지역이 되었으며, 그 과정은 1860 년대 말에 카자흐스탄이 러시아의 식민지가 되는 것으로 완료되었다. 20 세기 초의 사회적 격변들로 인해 러시아 제국은 붕괴되었지만 그 영토는 보존되었다. 새로운 정부는 민족 국가들의 연합으로 제국을 개편하였으니 그것이 곧실질적으로는 단일한 성격을 가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연방이었다. 카자흐스탄 역시 이 민족 공화국들 중의 하나였으나 1991 년 소련의 붕괴로 카자흐스탄 독립 공화국이 출현하게 되었다. 러시아 국가의 주요 민족 그룹으로서 러시아인은 카자흐스탄영토의 식민지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들은 군인, 공무원, 탐험가, 농민 정착자로 카자흐스탄에 뿌리를 내렸다. 새로운 생활조건들에 러시아인이 적응하면서 그들은 우선적으로 토착 주민들과의 사회관계 시스템들을 구축해야만 했다. 각각의 역사시기들마다 있었던 러시아의 사회-정치 상황 변화는 식민지 내러시아어 구사자 사회의 지위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변화에 대한 재적응을 강요했다. 본 글은 18 세기 이래 독립 카자흐스탄 공화국의 출현 시기까지를 8 단계의 역사적 시기로 구분하여 카자흐스탄의 러시아인의 삶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쳤던 변화의 상황들과 그로 인해 초래된 러시아인 사회의 특징들을 추적함으로써 카자흐스탄 내 러시아인 사회의 역사에 대한 분석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

        이루어지지 못한 귀환: 소련의 귀환 정책과 사할린한인

        방일 동북아역사재단 2014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6

        종전 후 일본인 송환은 1946년 12월 〈소련점령지구 송환에 관한 미소간 협정(미소간협정)〉 체결 이후 소련각료회의에서 실무지침이 마련되었으나 1949년 7월에야 비로소 완료되었다. 그 이유는 적국민 송환을 통한 체제유지와 안보 확립을 위해 조속한 민간인 송환을 주장한 사할린 점령군과 생산시설 유지 및 노동력 확보 차원에서 송환을 저지하고자 한 사할린 민정국의 갈등, 그리고 양자의 대립 속에서 모호한 입장을 취한 소련 중앙정부의 태도 때문이었다. 한편 한인 귀환에 대한 검토는 탈출에 성공한 한인에 관한 해외 언론보도, 일본 규슈에 전환배치된 한인들의 진정 결과 연합국총사령부(GHQ/SCAP)가 사할린한인 규모와 귀환희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며 시작되었다. 1947년부터 이 문제가 공론화되자 골리코프를 중심으로 한 점령군은 1948년 외무장관 몰로토프를 설득해 한인들을 북한으로 모두 보내고자 구체적인 실무계획안을 확정했다. 반면에 1948년 크류코프를 중심으로 한 사할린 민정국에서는 외무차관 말맄을 통해 생산활동의 파국 방지를 명분으로 한인의 송환을 일본인 송환 뒤로 미룰 것을 주장하였다. 점령군의 ‘북한송환론’과 민정국의 ‘송환연기론’이 팽팽히 맞선 가운데 1950년 한국전쟁 발발하자 이 문제는 그대로 모호하게 방치되어 한인의 귀환은 기나긴 정체기를 맞이했다. This paper treats politics among the central government in Moscow, the Soviet occupation army, and the local communist party in Sakhalin from 1945 to 1952. The government meetings in Moscow began to discuss the repatriation of Japanese residents in Sakhalin after the Repatriation Agreement between the Soviet Union and the GHQ was reached in December 1946. Followiing the agreement, Japanese repatriation was conducted at a very slow pace until July 1949. This was due to conflicts between the occupation army and the local communist party in Sakhalin. The former wanted instant repatriation of Japanese civilians for political security, but the latter wanted to detain the Japanese for maintaining production on the island. After the repatriation of the Japanese, detained Koreans became the ongoing issue. Some Koreans tried to escape from Sakhalin, and some among those who did escape revealed the inhuman situation of the detained Koreans. In addition, some coal miners dispatched from Sakhalin to Kyushu, in Japan, appealed to GHQ to be able to meet their families again in Sakhalin. GHQ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detained Koreans and the repatriation policies of the Soviet Union. In early 1947, Golikov, the head of repatriation in the occupation army, commented regarding detained Koreans. He insisted on obligatory repatriation to North Korea. But Krewkov, the head of the local communist party in Sakhalin, insisted that the repatriation of Koreans should be put off until all the Japanese had been sent to Japan in order to maintain production facilities. In April 1950, the government in Moscow listened to the two contrary opinions about the Koreans, and reached a final conclusion. However, the Korean War began a short time later, and the issue of the repatriation of detained Koreans disappeared with no interest.

      • KCI등재

        러시아 구신도파의 형성과 생활

        방일권(Bang, II-Kw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1 역사문화연구 Vol.14 No.-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stigate a unique phenomenon in the history of Russian Orthodox Church: Old believers. In general the Russian Old believers were called dissenters (paCKOJlbHHKH) who refused to accept corrections and changes in religious practice imposed on the Russian Orthodox Church by patriarch Nikon in 1652-58. And they were sometimes suggested as stubborn opposers against what they thought to be the new. Under the uninterrupted persecution from the Church and the State the Old Believers split into a variety of sects, of which the two main groups were the Popovtsy (priestly sects) and Bezpopovtsy (priestless sects). Enduring persecution for a long time (about 300 years) they formed their own way of life and character of culture. As religious keeper of the old rites they became the example of traditional Russia fighting for purity of spirit. Their firm belief in the closing of an era. the coming of antichrist. the dying of true faith also define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world and their way of life. Frequently their elemental honesty. sincerity and their message drew thousands of adherents. In addition to their morality . the history of Old believers stands out with the frontier spirit. education. mutual help. and creativity.

      • 물-공기 소형 지열 히트펌시스템의 공동주택 적용사례 소개

        방일재(Lll Jae Bang),안종민(Jongmin Ahn),장원재(Wonjae Jang) 대한설비공학회 2018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8 No.11

        Recently, the use rate of renewable energy in the total energy of buildings is increasing due to 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market environment, new application solutions are needed in apartment buildings. The geothermal heat pump system, which has been applied to the community facilities of the apartment, can be applied to the cooling and heating facilities of the low-rise households, thereby satisfying the mandatory use of renewable energy. In addition, water-air small geothermal heat pump system has been applied to facilities such as apartment buildings because it can reduce heating and cooling costs for low-rise residents. Samsung Electronics has launched a 4,6HP water-air small geothermal heat pump system that meets the demand market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solutions for apartments and introduced the product differentiation and excellence through actual application cases. In order to expand the distribu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gulation and system such as the enlargement the floor area ratio of buildings, an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rs through IoT connection.

      • KCI등재

        카자흐스탄 엘리트의 사회배경과 씨족 정치: 소주즈(Zhuz) 출신 엘리트를 중심으로

        방일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1

        As for the matter of guardianship-benefit network which has been at the heart of the discussion of power elites and clan politics in Kazakhstan, it has been often maintained that it is basically formed by the framework of the regional and descent connection net called Zhuz or at least it has been heavily under Zhuz’s influence. But it is pointed out that the controversy of Zhuz suffers from a lot of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surface of power elites in the recent process of political changes and the rearrangement of power relations. Consequently, this paper tried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matter focusing on the social backgrounds of elites from Junior zhuz, who have been estimated to be relatively pushed back in terms of the advancement into the central powe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ackgrounds of clan and tribe origin within Zhuz couldn’t have any foundation to be seen as a decisive element through which they could grow into power elites. The phenomenon of Kazakhstani elites is a legacy of concrete historic situations. The important consideration points for analyzing the emergence of elites which could be applied to a nomadic and traditional society can hardly be an invariable framework for analyzing modern elites since independence. Since 2000, Kazakhstan has experienced economic changes including privatization due to the absolute strengthening of presidential influence which turned into a foundation for a new authoritarian system, the rearrangement of the inner circle of power, and their decisions. These changes in situations have had profound effects on the character of power elites. The phenomenon that clandestine connections have shown their appearances as they have gotten intertwined with various factors, in particular, in the economic field which has been heavily under Junior zhuz makes us convinced that the elite organization in Kazakhstan has always been the product of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In reality, the behaviors of elites were the outcome continuously reflecting environmental situations surrounding them, and those situations lie in a complicated and multiple-layered connection net.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having interests in elites’ social backgrounds and maintaining many pieces of information on them will be able to be a more useful approach to analyzing the elite society in the future in that interests in their social backgrounds become an informant of various network formation nets which reflect real situations. 카자흐스탄 권력 엘리트와 씨족정치 논의의 핵심이 된 후견-수혜적 네트워크의 문제는 흔히 주즈라는 지역 및 혈통적 연결망이라는 틀을 기본으로 구성되거나 적어도 그의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의 정치적 변화와 권력관계의 재편 과정에서 주즈 논쟁은 권력 엘리트의 부상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적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본고는 씨족 정치 논의의 한계를 지적한 후, 핵심 권력으로 진출 면에서 상대적으로 밀려난 것으로 평가된 소주즈 출신의 엘리트에 대한 사회 배경을 중심으로 면밀한 관찰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주즈 내부의 씨족 및 부족적 출신 배경을 권력 엘리트로 성장하는 결정적 요소라고 판단할 근거가 약함을 알 수 있었다. 카자흐스탄 엘리트 현상은 구체적인 역사 상황의 산물이다. 유목 전통 사회에서 엘리트 부상의 주요 고려점이었던 씨족적 배경은 독립 이후 현대 엘리트를 분석하는 불변의 틀이 되기 어렵다. 더욱이 2000년 이래 카자흐스탄은 신권위주의 체제의 기반이 된 대통령 영향력의 절대적 강화와 권력 내부 집단의 재편, 그리고 이들의 결정에 따라 사유화를 비롯한 경제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의 변화가 권력 엘리트의 성격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재론할 필요가 없다. 특히 전통적으로 소주즈의 비중이 컸던 경제 분야에서 씨족적 연대가 다양한 요인들과 얽히며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는 현상은 카자흐스탄의 엘리트 편제는 항상 카자흐스탄의 정치 경제적 변화의 산물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

        중앙아시아 한인 사회와 교육

        방일권(Bang Il-Kw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7 역사문화연구 Vol.26 No.-

        본 논문은 소련 당국의 교육 정책과 중앙아시아 한인사회의 상호 작용이라는 관점에서 1930-40년대 중앙아시아 한인사회의 교육 발전의 문제를 살피고 있다. 러시아 극동 및 중앙아시아 한인사회에 관한 연구에서 교육의 문제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최근의 연구들은 이주 한이 사회의 성공적 정착의 동인으로 서 교육을 주목하고 있으나 기존의 주요한 연구들은 소련 당국의 정책과 지원에 대한 관심에 비해 한인 사회의 변화를 감안한 반응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면밀히 분석하지 않았다. 이 글에서 저자는 1930년대와 40년대 중앙아시아 한인 사회가 처한 어려움속에서 교육에 대해 경주한 노력들을 살펴본다. 강제이주 이후에 당장의 현지 정착이라는 어려움과 더불어 교육이라는 이중의 과제를 동시에 해결해야만 했던 한인사회는 기본적으로 소비에트 당국의 정책과 지원에 의존적인 입장에 놓여 있었으나 적극적인 노력과 지원으로 학교 건설과 교육 여건을 마련하는데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1930년대에 비해 40년대는 중앙아시아 한인사회가 상대적으로 안정된 시기였음에도 이 시기에 교육의 민족적 내용은 급격히 쇠퇴하였다. 이는 부모나 학생 모두 학교 교육에서 모국어의 강조나 확대 보다 오히려 더욱 러시아어 학습에 노력과 시간을 투자함으로써 소비에트 학교 교육이 사회적 이동의 통로로 활용되기를 기대하였기 때문이었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sketch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ethnic Korean society in the period of 1930-40s, considering the element of social influence on educati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in ethnic Korean society in Russian Far East and in central Asia has received only minimal attention from scholarship. In recent years, several studies have attempted to find that education was a key to successful settlement of koreans in the alien lands. Especially G. Kim paid great attention to the problem of interrelation between soviet policy in the sphere of education and its development in ethnic korean society. Most scholarly work, however, pays little attention to the topic on the viewpoint of accepters. As has been noted by G. Kim soviet policy in the sphere of education had great power to ethnic minority such as korean in Soviet central Asia. However the question how and why ethnic korean society decided to accept the sovietized system of education have not been studied in detail. In chapter 2 and 3, author observes the circumstances in the sphere of education of ethnic Korean society in central Asia. On the end of 1930s they had to solve two problems simultaneously: to prepare the base to live and to educate young generation adopting the enforced for them difficult environments. For the first few years after deportation, they had no choice without depending on the support from soviet authorities for basic foundation to educate young generation. So they endeavored to assimilate in the policy of the Soviet authorities. At the same time korean communities in central Asia made effort to construct there own schools and to assign a lots of budget for them. Also I observe the results, the problem of national language, and the growth of school and student.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the ethnic korean society saw a rapid sovietization of programs in schools in the period of stability of 1940s. It was accompanied with the desire of korean students and their parents to make education as a good means of social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