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의 교과 통합 수업 능력 함양을 위한 국어과 강좌 운영 사례

        염은열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5 No.-

        This study is a kind of report on the lecture experience of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국어과교수학습방법론’)’ of University of Education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1. Specifically, it is an interim report o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integrated instruction design project that the Korean language professor conducted in solidarity and communication with experts in other subjects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교대’) Under the title of ‘A Voice for the Environment’ the instructor had pre-service teachers plan a project activity that encompasses and transcends various subjects with the core of environment-related issues or topics, which are the subject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his is to make pre-service teachers aware of the limitation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which are described and designed with a focus on language skills. At the same time, this is to let pre-service teachers know that Korean language classes should deal with the problems of the world we live in and that Korean language activity is a practical act of participating in the world. The results or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e 8 weeks of educational activiti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expand the imagination trapped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well as the Korean language subject, and recognize the necessity and methods of cross-curricular or subject-integrated approaches. It was confirmed once again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University of Education should also be changed.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educational practice, solidarity, and cooperation that transcend subject divisions are necessary and effective even within University of Education. We hope that this small case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teacher education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ho are facing various challenges and difficulties in the post-corona era, and as a small start for improvement or innovation in the Korean education in University of Education. 이 연구는 2021년 2학기 C 교대에서 운영한 ‘국어과교수학습방법론’ 강의 경험에 대한 일종의 보고이다. 국어과 교수자가 교대 안 타교과 전문가들과 연대 및 소통하면서진행했던, 교과통합 수업 설계 프로젝트 운영 사례를 공유하려는 것이다. 교수자는 ‘환경을 위한 목소리내기’라는 제목으로 예비교사들에게 8주간 범교과학습주제인 환경 관련 이슈나 주제를 핵으로 여러 교과를 아우르고 넘어서는 프로젝트 활동을 기획하도록 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기능 중심으로 기술되고 설계되어 있는 국어과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한계를 넘어서는 상상력을 발휘하도록 하고 싶었다. 동시에 국어수업에서도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의 문제를 다뤄야 한다는 점과 국어활동이 나와 공동체, 지구의 웰빙까지도 살피는 실천 행위임을 알게 하고 싶었다. 8주간의 교육 할동을 통해 얻은 성과 혹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예비교사들이국어 교과에 갇힌 상상력을 확장할 수 있었고 국어교과는 물론이고 환경 교육에 대한이해를 깊게 할 수 있었으며, 범교과 혹은 교과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해배우고 익힐 수 있었다. 교사양성기관의 국어과 교육과정 역시 변화되어야 함을 다시한번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 변화의 수준이 강좌의 제목을 바꾸고 내용을 바꾸는 차원을 넘어 교수자의 관점과 방법 등을 혁신하는 차원에까지 이르러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교사양성기관 안에서도 교과 구분을 뛰어넘는 교육 실천과 연대 및 협력이필요하고 유효함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작은 사례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여러 도전과 어려움에 직면한 교사교육 연구자이자 실천가들에게 하나의 참조가 되기를, 교대 국어과 교육과정 개선 혹은 혁신의 작은시작점이 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디지털 시대 고전시가의 발견 및 재구성이 던진 교육적 질문과 과제

        염은열 한국문학교육학회 2018 문학교육학 Vol.0 No.61

        We are worried that our students didn’t like Korean Classical poetry in the classroom. However, the situation outside the classroom is different. Classical poetry is revived as many songs, movies, and even local festival and cultural product and is being experienced everyday. This fac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nd very important in Korean classic poetry education. We need to acknowledge that Korean classic poetry are being chosen, dismantled, transformed, and reconstructed in digital age, and our students are consuming or experiencing them while in or out of consciousness. Of course, our students cannot even imagine those are originated Korean classic poetry. What does literary experience mean to our students in the digital age, and specifically, literary experience of Korean classical poetry? It also led to the question of how to be experienced. To fi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it was necessary to grasp the aspect of the classical poetry being re-recorded, narrated and utilized in this digital age.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classical poetry is recorded as digital data, restored to the original songs, and revived or recreated as cultural contents. The process of being recorded in digital media, restored in original songs, and revived as cultural contents is a kind of process of new interpretation and recreation of classical poetry in today’s way. Therefore, I think that the effort and the problems or questions raised in the process may be suggested lots of insperations to us, a researcher and teacher of Korean classic poetry. Exploring classical education methods using digital materials, contents, and digital media are important, but more important things are that educational questions are posed by the discovery or dismantling or reconstruction of the classical poetry of the digital age itself. Also, by paying attention to the process of digital reconstruction and discovery of classical poetry, I confirmed that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experience and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poetry has changed, and suggested some new educational approaches and methods. 고전시가가 교실에서는 학생들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다. 그러나 교실 밖의상황은 다르다. 고전시가가 노래나 영화, 지역 축제나 문화 상품으로 되살아나학생들도 모르는 사이 경험되고 있다. 교육의 장에서도 우리 학생들이 선택되고 해체되고 변형되고 재구성되어 때로 그 기원조차 짐작할 수 없는 형태로, 의식중 혹은 부지불식중에 고전시가를 소비하거나 경험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상황 인식은 디지털 시대 학생들에게 문학, 구체적으로 고전시가 작품이란 도대체 어떤 의미를 지니는 것일까. 나아가어떻게 경험되고 있으며 경험되어야 하는 것일까 하는 질문으로 이어졌다.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먼저 디지털 시대, 고전시가가 다시 기록되고이야기되고 활용되는 양상을 파악할 필요가 있었다. 살펴본 결과 고전시가가앞다투어 디지털 자료로 기록되고, 원형으로 복원되는가 하면, 문화 콘텐츠로되살아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디지털 자료로 기록되고 원형으로 복원되고 문화콘텐츠로 되살아나는 과정은 그 자체로 고전시가의 현대적 해석이자재창조의 과정이다. 따라서 그 과정에서 제기된 문제나 질문들이,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고전시가의 해석 및 재창조, 즉 고전시가의 교육 국면에도 시사하는바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디지털 자료나 콘텐츠,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고전시가 교육 방안을 탐색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디지털 시대 고전시가의부활 혹은 해체나 재구성 양상 자체가 던지는 교육적 질문이라고 본 것이다. 교육적 질문에 대해 성찰하는 가운데, 달라진 그리고 달라져야 하는 고전시가경험 및 학습 생태를 어느 정도 파악해볼 수 있었고, 고전시가 교육에 필요한새로운 접근 방법과 과제, 교육 방법 등에 대한 시사를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광고교육을 위한 문학 지식의 변용 가능성

        염은열 국어교육학회 2002 國語敎育學硏究 Vol.15 No.-

        오늘날 우리가 자주 접하는 광고 표현은 복합기호적 성격을 지닌 것이 대부분이다. 언어 기호뿐만 아니라 다른 시각 기호, 청각 기호, 때에 따라서는 후각 기호까지 결합한 형태로 제시된다. 따라서 이러한 광고표현을 국어교육에서 다루기 위해서는 광고에 대한 보다 확장된 이해가 요구된다. 실제로 국어교육 장에서도, 이론적으로는 광고 문구만 다룰 것이 아니라 광고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관점을 취하고 있으며, 실천의 장에서는 매체를 활용하여 광고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광고 표현의 일상성과 중요성을 감안해 볼 때, 정작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문학교육'하면 장르에 대한 지식이나 국문학사적 지식을 가르칠 내용으로 떠올릴 수 있는데 반해, '광고교육'과 관련해서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상을 그리기 어렵다. 개별 광고 한편 한편이나 일명 카피로 불리는 광고 문구에 대한 비평은 가능하겠지만, 광고교육과 관련해서 어떤 지식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전체적인 상을 그리기는 쉽지 않은 형편이다. 이는 일면 광고 읽기와 쓰기에 필요한 지식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까닭이다. 이 글의 목적은 문학 지식이 광고교육의 내용으로서의 지식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하기 위함이다. 필자는 광고의 표상화의 단계에 관여하는 여러 원리와 전략들이 문학 작품의 이해와 감상에 동원되는, 문학 지식에 다름 아님을 밝힘으로써, 문학 지식을 변형하여 광고교육에서 가르칠 내용을 추출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문학 영역은 물론이고 설득 이론이나 광고이론 등으로부터 광고교육에서 가르쳐야 할 지식의 항목을 더욱 추출하고 그 항목들을 체계적으로 배열하는 일련의 논의를 수행한다면, 보다 체계화된 광고교육이 가능해 질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학생들의 광고 읽기 및 쓰기 능력이 신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se days, we are in the shower of advertising.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advertising text is more and more important and necessary in our life. So advertising text is regarded as a important text or genre so that it is taught and used diversely in Korean education. In fact, the relation of advertising expression and target goods is same with he relation of signifier and significant. So it is not strange to teach advertising text in Korean education if all elements of advertising text can be considered. For this, the important point is to have proper and effective contents and methods of advertising education. This paper is to show what we teach in advertising text education. By now , we didn't have any research about what to teach systematically though there are lots of research how to teach and use advertising expression in Korean education. We suppose that some knowledge and term used in literary critic and study is useful to read and write advertising expression, also. For example, to invent objective correlative, to make our dream of visual reality to properly select point of view, and to use narrative strategy in advertising expression is necessary and usual for us to read or write literary text or literature. Because, it is literary term and knowledge.

      • KCI등재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현장으로부터의 질문과 도전 - 교육과정 기획자로서의 교사의 출현 -

        염은열 한국문학교육학회 2022 문학교육학 Vol.- No.74

        Ahead of the curriculum revision in 2022, interest in and discussion o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more active than ever. This thesis started with a reflection on how much the national-level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helping teachers to teach Korean language activities related to life to students in the classroom. And as a result of the innovative school operation, it was noted that the teacher or teachers learning community has grown into a curriculum planner and operator, beyond a curriculum interpreter and practitioner, while accumulating experience in operating a new curriculum. Based on this, it was suggested to improve the feasibility of field implement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method of revis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which field teachers participate.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test various curriculum models through long-term and continuous research, rather than setting a deadline and developing a curriculum according to the deadline. Of course, new attempts in the field should be actively reviewed and utilized. Second, it is a method to add a meta descript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curriculum document or separately. It may be a kind of instruction manual for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a meta explanation is needed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how to supplement it. It is argued that a meta-explanation such as how to plan Korean language activities by integrat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described based on cross-curricular themes and functions is necessary.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methods or resources to increase the practicality of textbook production or class opera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document with a high level of abstrac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ways to change the paradigm of curriculum development itself, such as shifting from ‘the state-led research-developmentdissemination model’ to a ‘practice-criticism-development model’ in which teachers are the main actors. 2022년 개정을 앞두고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그 어느 때보다도 활발하다. 이 연구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삶과 연계된 국어활동을 가르치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되고 있는지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교사 혹은 교사학습공동체가 새로운 교육과정 운영의 경험을 축적하면서 교육과정 해석자이자 실천가를 넘어 교육과정 기획자이자 운영자로 성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여, 국어과 교육과정 역시 현장성을 강화할 여러 방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논의를 촉발하는 차원에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그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한을 정해 놓고 마감일에 맞춰 교육과정을 개발할 것이 아니라, 장기ㆍ상시 연구를 통해 다양한 교육과정 모델을 개발·시험해볼 필요가 있다. 현장에서의 새로운 시도들에 대해서도 적극 검토하고 활용해야 함은 물론이다. 둘째, 교육과정 문서 안이나 별도로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설명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일종의 국어과 교육과정 사용 설명서일 수도있는데, 그 안에는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한계, 보완할 방법 등에 대한 메타 설명이 포함되어야 한다. 특히 기능 중심의 성취기준이 지닌 강점과 교육활동 설계시의 한계점이나 보완점 등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추상의 수준이 높은 국어과 교육과정 문서를 보완하기 위하여, 교과서 제작이나 수업 운영의 차원에서 현장성과 실제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방안을 강구하고 필요한 자원을 제공해주는 안에 대해서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국가가 주도하는 ‘연구ㆍ개발ㆍ보급 모델’에서 교사들이 주체가 되는 ‘실천ㆍ비평ㆍ개발 모델’로 전환하는 등 교육과정 개발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는 안에 대해서도 적극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표현교육에서 지식의 성격에 대한 고찰 : 표현 지식의 구조화 방향과 관련하여

        염은열 한국문학교육학회 1999 문학교육학 Vol.3 No.-

        Knowledge, whatever kind it is, must be taugh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is the same case in expressio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what knowledge is needed in expression education an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with expression knowledge and expression ability. Procedural knowledge (know how) has been regarded as the more important contents than declarative knowledge (know that) in expression education. We have shown that it is not right anymore. All kind of knowledge which is taught, is accepted as a mode of propositional knowledge to students. Therefore it is urgent for us to construct the concept of expression knowledge beyond the above primitive understanding about knowledge. Expression knowledge is a kind of structure of knowledge which includes in machenism of expression. So being seperating from real expression, procedre of expression-planning, constructing ideas, expressing and adjusting……-must be not presented in expressio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