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 지능의 연구 동향 분석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방법 중 토픽 모델링 기법을 중심으로

        양정모(Joung-Mo Ya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21 영재와 영재교육 Vol.20 No.2

        본 연구는 영재 지능에 관한 학술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텍스트 네트워크 기법 중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 영재 지능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빈도수 상위의 단어를 조합하여 5개의 토픽을 추출하였고, 토픽 내에서 주요 단어 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영재 지능에 관한 학술 논문의 주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국내에 영재 지능 관련 연구가 최초(Biblio Data Collector를통한 자료 수집 기준)로 발표된 2004년 이후 16년간 연구에서 추출된 각 토픽의 주제는 ‘수학(정보) 영재의 선발에 관한 연구’, ‘스턴버그의 성공지능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유아의 창의성과 영재성에 관한 연구’,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 콘텐츠 및 지능 신념에 대한 귀인에 관한 연구’, ‘과학영재의 가정과 학습에서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로 정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재 지능의 연구 동향 분석결과를 통해, 영재성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지능’에 대한 연구자들의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향후 영재 정의 및 판별에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With the dissertation on the intelligence of gifted students as the study subje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rends in research on the intelligence of gifted students by applying a topic modeling technique among text network techniques. The results show that five topics were extracted from combining high-frequency words, and by analyzing the network between the keywords of the topics, the central idea of the dissertation was identified. Specifically, the theme of each topic studied over fourteen years since the first research on the intelligence of gifted students was published in Korea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udy on identification of mathematically(information) gifted students, Sternberg s study on successful intelligence and its application, the study on creativity and giftedness in young children, the study on educational conten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ttributions of beliefs in intelligence, and the study on leadership in a learning and family environment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intelligence of gifted students will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diverse spectrum of perspectives of researchers on the matter of intelligence, one of the factors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giftedness, and present the directionality and implication of the definition and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대학생의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Grit 간의 관계

        신민(SHIN, MIN),양정모(Yang, Joung M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는 학습자 개인 특성 중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성공을 예측하는 요인인 Grit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표집 대상은 지방 4년재 대학인 W 대학교와 U 대학교의 1학년 신입생 총 1,000명이었으며, 이들 중 회수된 947명(회수율 94.7%)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첫째, 대학생들의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와 성공을 예측하는 것으로 알려진 Girt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r)를 분석하였다. 둘째,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요인들과 Grit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AMOS를 활용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변인 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다음으로 연구모형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요인들이 Gri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SPSS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Grit은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모두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각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협력적 자기조절’ 요인이 ‘자기통제’ 요인, ‘교수에 대한 믿음’ 요인, ‘학업적 자기효능감’ 요인, ‘Grit’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에 대한 믿음’ 요인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요인은 ‘Grit’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자기통제는 Grit에 유의미하게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요인들이 Gri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협력적 자기 조절력이 강하고, 자기통제에는 다소 서툴지만, 학업 낙관주의가 높은 학생일수록 Grit이 높다고 추론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학 교육에서 학생들의 학습 방법을 고안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wan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co-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amo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at are likely to affect project-based learning, and how these variables affect Grit, a factors that predict success. Methods A total of 1,000 students from W University and U University in the provinc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947 students (recovery rate 94.7%) were collected among them for final analysis. First, we analyzed Pearson s momentum correlation coefficient (r) to examine Girt s correlation, which is known to predict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cademic optimism, and success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factors and Gri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first performed using AMOS to verify the validity of variables, and the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o the research model was analyzed. Finall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on Grit. Results Gri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Gri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of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 ‘cooperative self-regulation’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control’ factor, ‘belief in professors’, ‘academic self-efficacy’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rit’ factor.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self-control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Gri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on Grit, it can be inferred that students with strong cooperative self-regulation and somewhat poor self-control but higher academic optimism have higher Gri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importance of project-based learning by university students can be recognized and used as basic data in devising the learning methods of students in university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 및 실제 중도탈락 여부, 재입학 여부에 따른 집단별 특성 탐색 연구 -G 국립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정윤선(yunseon Cheong),양정모(Joung Mo Yang)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와 실제 중도탈락 여부, 재입학 여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별 특성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강원도의 G 국립대학 재학생 2,812명의 학적 데이터와 대학 적응력 검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 집단의 구분은 중도탈락에 대한 의도와 실제 중도탈락 여부에 따른 2×2 네 집단과 재입학한 학생 집단을 포함하여 총 다섯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학업 관련 변인과 대학 관련 변인에서 다섯 집단이 어떠한 차별적 특성을 보이는지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에 중도탈락 의도가 있었고, 실제 중도탈락한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학사경고 횟수와 낮은 평점평균(GPA)을 보이는 집단이며, 장학 횟수와 상담 횟수, 총 취득 학점도 낮았다. 중도탈락 의도가 없었지만 중도 탈락한 집단 역시 이들과 비슷한 수준의 장학 횟수와 상담 횟수, 취득 학점을 보였지만, 평점평균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관련 변인에서의 차이를 살펴보면, 중도탈락 의도가 있던 중도탈락 집단은 학문적 통합성이 낮고, 교수와의 관계와 대학 만족도가 낮은 특징을 보였으나, 중도탈락 의도가 없던 중도탈락 집단은 학문적 통합성이 높고, 높은 정서적 안정성과 진로 정체성, 경제적 안정성을 보이는 집단으로 나타나 차별적이었다. 한편 중도탈락 의도는 있으나 탈락하지 않은 집단은 정서적 안정성과 경제적 안정성이 가장 낮은 집단으로 나타났으며, 전공에 대한 만족도 역시 낮았다. 마지막으로 재입학 집단은 학사경고 횟수와 일반휴학 횟수가 높으나 교수와의 관계와 대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중도탈락 방지를 위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groups based on the intention to drop out, actual dropout status, and re-entry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For this purpose, enrollment data and CAT data of 2,812 students at G National University in Gangwon Province were utilized. The groups were categorized into five, including a 2×2 matrix based on the intention and actual occurrence of dropout, as well as a group of students who re-entry. The results of exploring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mong the five groups in academic and university-related variables are as follows. The group with both prior dropout intention and actual dropout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academic warnings, a lower grade point average (GPA), fewer scholarship and counseling instances, and lower total acquired credits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group without prior dropout intention but who dropped out exhibited similar levels of scholarship and counseling instances, and acquired credits, but with a higher GPA. Examining differences in university-related variables, the group with dropout intention and actual dropout displayed lower academic integration, poorer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and lower university satisfaction. In contrast, the group without prior dropout intention but who dropped out showed higher academic integration, higher emotional stability, career identity, and economic stability. Those with dropout intention but did not drop out constituted the group with the lowest emotional and economic stability and lower satisfaction in their major. Lastly, the re-enrollment group exhibited higher instances of academic warnings and general leaves of absence but demonstrated positive perceptions of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and the university.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concludes by providing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preventing university dropou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