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원불교 마음공부에 기반한 집단상담이 부부의 결혼만족도, 자아존중감, 기분, 자기효능감 및 통제소재에 미치는 효과

        양경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Wonbuddhism Maum Study-based Group Counseling on Marital Satisfaction, Self-esteem, Mood, Self-efficacy, and Locus of Control. Untreated control group design with pretest-post-test, and post 4 weeks. was used. The instruments was used not revised, some revised previous researchers' or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The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Won Buddhism Maum Study by this researcher.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PC 11.5. Sixteen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aum-Study Group Counseling Program' through articles in the daily newspapers and Daumcafe 'Maum-Study', and seventeen people in the control group suggested to take the program. As a result of analysis, Marital satisfaction was effective just in the post test(p<.001), but not be continued the effect until post 4 weeks(p=.074). Self-esteem and mood were effective in the post test(p<.001, p<.001) and in the post 4 weeks(p<.001, p<.05). Self-efficacy was effective in both groups in the post test(p<.001, p<.001) and post 4 weeks(p<.001, p<.05),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groups. Locus of Control was not satisfactory with Homogeneity, even if it seemed to b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times. So for Marital Satisfaction, strategies like the on-line Maumdiary were needed to be continued. Self-efficacy was also needed to prevent the errors of repetitive tests or to revise items. For Locus of Control it is needed to meet the requirement for homogeneity cautiously in selecting the control group. Future researches are suggested to develop other versions to new cohort groups. Keywords : Wonbuddhism mind study, marital satisfaction, self-esteem, self-efficacy, mood, locus of control

      • 일 대학병원 간호사의 감염관리 표준주의 인지도와 이행도

        양경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 간호사의 표준주의 인지도와 이행도를 확인하고 표준주의 이행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도구는 김양수(2008)의 손씻기, 보호장비 착용, 날카로운 도구관리, 린넨 및 환경관리에 대한 표준주의 18문항이다. 자료수집은 2010년 4월 19일부터 5월 14일까지로 J시 소재 C 대학병원 간호사 5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표준주의 인지도는 4.57점, 이행도는 4.13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인지도와 이행도 간 점수 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보호 장비 착용영역이었다(p<.001). 2. 표준주의 인지도는 임상경력, 근무부서, 표준주의 지침 이용 용이성, 동료들의 보호 장비 착용 지지, 표준주의 이행 시간 부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표준주의 이행도는 날카로운 도구에 찔린 경험, 혈액 및 체액 노출경험, 표준주의지침 이용 용이성, 표준주의 교육경험, 보호 장비와 주사침 전용용기 구비, 동료들의 보호 장비 착용 지지, 선임자의 표준주의 이행지시, 표준주의 이행 시간 부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3. 표준주의 이행도에 가장 주요한 영향요인은 표준주의 인지도로 표준주의 이행도를 16%설명하였고, 근무부서 수술실 9%, 표준주의 교육경험 3%, 표준주의 이행시 시간부족 2%, 날카로운 도구에 찔린 경험이 1%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표준주의 이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준주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점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한 도자조형 연구 : 시각·촉각 표현중심으로

        양경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매일매일 다양한 방법으로 인간, 사회, 문화, 그리고 물질 사이에서 ‘소통’한다.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행위자간의 소통을 위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의존하고 있고 예술에 있어서도 소통은 중요한 요소로 차지하고 있다. 미술에서는 관객의 눈으로 보는 시각적인 아름다움뿐만이 아닌 인간의 오감(시각, 촉각, 청각, 후각, 미각)을 통해 소통하려고 한다. 본 연구는 점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작가와 작품, 작품과 대중, 대중과 작품사이를 시각에만 극한하지 않고 시각과 촉각을 활용하여 점의 다양한 변화와 반복된 표현을 통해 대중과 연결한다. 점으로 소통하는 언어인 ‘점자’의 특성자체는 언어전달이지만 눈으로 보고 읽어서 시각적으로 인지하며 또한 점을 통해 소통하고 정상인들에게는 그 형태만으로 아름다움을 전달 할 수 있다. 즉 점자는 가장 촉각적인 의사소통 방법으로 점과 언어를 연결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점자의 구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시각, 촉각적인 표현연구를 통해 각 개체에 점을 표현하는 다양한 즐거움을 이미지화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Ⅱ장에서는 점의 일반적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점의 이미지가 갖는 절제된 아름다움을 찾고, 시각적으로 점은 무엇인가 확대했을 때 가장 작은 요소이지만 연속된 수많은 점은 다시 멀리 보았을 때 선으로 확정되며, 선은 면으로 확대되며 결국 점에 대한 이해가 이런 표현 활동을 이끌어 낸다. 회화의 다양한 장르의 방법론적 시각적, 촉각적 변화를 통해 대중에게 직접 경험을 가능하게 하고 소통하며 대중에게 즐거움 전달하는 다양한 표현방법을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다. Ⅲ장에서는 작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작품계획 및 제작과정에서는 시각적, 촉각적 효과를 위한 7가지 다양한 도자기 기면의 표현연구와 수량이 많은 작품전시를 위한 벽면에 자석과 철판을 이용한 설치계획을 서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점의 이미지를 하나의 반구의 형태로 표현하였고 도자기의 물성을 활용하여 시각적, 촉각적 질감의 변화로 대중과 점의 이미지에 의한 소통이 주는 기쁨과 즐거움을 전달할 수 있었다.

      • 여성신학의 Sophia 그리스도론 : E. A. Johnson을 중심으로

        양경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A feminist theology which aims all humans, men and women, to be whole ones and to be liberated points out that all over the Bible, traditions, systems of theology, the hierarchy and the history of church the androcentric patriarchism is deeply participated and acts as a mechanism that suppresses the women. Especially among them the christology is coming with more importances and difficulties than any other. The confess 'Jesus is Christ!' is the core of christian belief and theology and the justification for forming the identification as the christian community. But it is said that the fact that the historical Jesus is a man and the androcentric and patriarchal distortions to man Jesus not only justify the suppression of women but also jeopardize the women's salvation. The feminist theologic standpoints are bifurcated to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androcentric and patriarchal christoloy. Feminist theologians including Mary Daly think that Jesus's manhood is so basic that man Christ only justify the superiority of men over women and suppression of women and is nothing more than an idol and an obstacle that hinder the female's liberation. They are in efforts to establish a new form of traditions which is based on the female experiences leaving the pre-exiting christian traditions. The other feminist theologians concentrate the distortion of the Christology by the androcentric patriarchism. They judge that Christ of equality and liberation is fixed as to marginalize and suppress the female through the systemic processes in patriarchal society, especially having combined with the state power of Rome Imperial and with the dualistic Hellenism. They reject the unconditional denial of the christian tradition and are in efforts to reorganize the tradition from the inside. They want to restore the christology of nonpatriachism and equality between man and woman criticizing the perversion of the androcentric and patriachial christology. Their theologic works show diverse modalities according to the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races and classes they confronted, and their hermenoitical methods uses variously critics of Bible, psychology, cultural history, economics and etc.. But as a whole, whereas the first-world feminist theology emphasize the mainly scientific and theoretical theology, the third-world theology puts emphasis on the interpretation and reflection of their circumstances. The Sophia Christology that studied in this paper is one of the attempts of the substitutional christology groped out by the first-world theologians. The Sophia Christology is re-focuses the christology based on the biblical wisdom tradition through the critical interpretations of the Bible. In the wisdom literature of the Old Testament Sophia shows as a personal figure. Sophia in the Old Testament is diversely expressed as a Creator partner, a justice protector, a life giver, God' darling and the image of God. The scholarism makes an opinion that the extra-biblical figure of a female deity, especially a figure of Isis Goddess, has influenced the biblical depiction of Sophia. Though there are many opinions about the theological meaning of the personified wisdom in the wisdom literature, E. A. Johnson who theorized Sophia christology interpretate it as a personification of God's own self. This personified wisdom is a female image and the God's own revelation and acting presence which express the God of creation and salvation who do not put us into the ditheism and promises the life. The first-century christians sought vigorously for the combed the Jewish religious tradition and Hellenistic culture to express the Jesus's ultimate origin and saving significance. The expressions, functions and attributes which were stated in late Judaism were immediately transferred to Jesus. In New Testament Jesus is introduced as a teacher of wisdom, envoy of wisdom and wisdom herself. The first-century christian could see crucified Jesus as a pre-existing one and an universal significance through the Sophia christology in which they identified Jesus with the wisdom of female figure having been with God from the Beginning. Jesus as an incarnation of the female wisdom with his salvational words and deeds proclaims the equality and dignity of all human including the female who are the lowest class in the society, restores the original orders of creation, shares the same mind with female, sets the new orders reversing the partrichal overwhelming orders. Jesus's acts and death are the shapes of the rejected wisdom having denied the patriarchism and declared the entire humanization and the life, and the symbol of 'kenosis of patriarchism'. Through the resurrection of Christ transcend basically. Christ as Spirit of wisdom is present and corresponds with who believe in and follow him and with who suffered from the power of injustice and wealth and with who are intended to realize the justice and peace standing against them. Sophia Christology as a symbol of female makes it possible the christology which is not engaged in patriarchism and the image of God, deepens the mystery of God through the female wisdom of God who is incarnated in human manhood, honors the female dignity with the deep solidarity with female. In Sophia Christology manhood of Jesus is not the significance to legitimate the superiority of man over woman but rather works as the significance of kenosis of patriarchism. Sophia Christology is not only the meaning that it is reorganization of the christology for the feminist theology but also it will be contributed to the ecological care for the earth, respect of religious tradition, interest about the poor and justice, right attitude to the inclusive value having transcended the dualistic thought. Sophia Christology which is founded in biblical tradition and refocused by the feminist theology will be the liberating and salvatory Christology inclusive the all human, man and woman, and the earth. With the excellent analysis and the view of liberation Sophia christology in a feminist theology shows the possibility to be set as an universal christology. At the same time Sophia Christology offers the tasks that the concrete applications and the practical methods should be sought in the concrete realities.

      • 노인의 건강신념과 건강관행에 관한 연구

        양경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박사

        RANK : 247631

        노년기는 인간의 마지막 발달 단계로 신체적으로는 생육성의 감소가 나타나지만, 예전의 생활방식을 벗어나 시공을 초월하는 더 높은 의식으로 가는 시기이다. 또한 인간은 자신의 사회문화적인 맥락 내에서 생활하고 경험하며,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배우므로 노인은 이전에 습득한 자신의 신념과 생활의 신념에 따라 독특한 건강관행을 하게 된다. 따라서 노인의 건강행위는 개인의 경험에 따라 편협되어 건강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고 독자적 활동 기능과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수명의 연장 뿐만 아니라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며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노인간호 중재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노인의 건강행위에 관련된 건강신념과 건강관행의 구조를 이해하고 그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노인 간호중재의 실무지침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연구 기간은 1995년 3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였으며, 연구방법은 행위자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연구 대상자의 주관성을 심층적으로 측정하고 객관화시킬 수 있는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한국 노인의 건강행위에 대한 Q-모집단은 문헌조사, 노인 10명의 심층면담과 노인 11명, 건강전문인 11명(간호사․의사․한의사), 노인가족 11명을 통한 개방형 질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Q-진술문은 542개였으며 이를 36개로 범주화하였다. 이 범주를 중심으로 건강신념과 건강관행으로 표현이 가능한 진술문을 도출하여 33개의 건강신념 진술문(Q1)과 38개의 건강관행 진술문(Q2)을 확정하여 노인 42명에게서 Q-분류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C용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건강신념과 건강관행은 각각 5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건강신념 유형은 노인의 건강문제 인식, 신앙(의존)성, 죽음에 대한 수용과 영적 준비, 가정내 역할수행의 필요성 인식, 사회에 대한 관심 및 건강실천 태도 형태 등에 의해서 특징지워졌다. 제 1유형은 자가조절형이었으며, 자신의 건강문제가 있었음을 인식하고 스스로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운동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무리하지 않는 계획을 세워 자기건강 관리에 노력하지만, 일상생활에서의 활동을 줄여서 건강에 손상을 주지 않으려고 하며, 죽음을 삶의 과정으로 인정하고 가정내 역할수행을 하려고 하였다. 제 2유형은 의존적관계형이었으며, 자신의 건강문제를 인식하고, 신앙에 의지하며 자녀에게도 의존적이면서 가정내 역할수행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없고, 규칙적인 식사를 하며, 밝은 마음으로 살고, 몸조심을 하면서 생활하려고 하였다. 제 3유형은 종교적신념형이었으며, 신앙심이 깊으며 죽음을 수용하고 영적 준비가 되어 있다. 자녀로부터 독립적이고 가정내 역할수행의 욕구가 적으며, 화가 나도 참고 욕심을 버리면서 살며 종교적 신념을 실천하려고 노력하였다. 제 4유형은 자주적실천형이었으며, 신앙심은 낮으나 죽음을 삶의 과정으로 수용하고, 자녀들로부터 독립적이면서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며, 사회에 대한 관심도도 높고 밝은 마음으로 열심히 살면서, 계획적이고 규칙적으로 활동하면서 살려고 하였다. 제 5유형은 현실적응형이었으며, 중노인으로 신앙심은 높으나 죽음에 대해서는 아직 수용하지 못하고 신체적 건강문제가 나타나며, 자녀와의 관계는 독립적이나 가정내 역할수행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밝은 마음으로 욕심을 버리고 열심히 살지만 화가 나면 풀어서 해소해야 된다고 생각하였다. 건강관행에 대한 유형은 신앙생활 수준, 긍정적인 생활, 생활의 규칙성, 인간관계(가족관계 및 지역사회 활동), 가사 분담, 건강행위의 실천 형태 등에 의해서 특징지워졌다. 제 1유형은 가족중심형이었으며, 신앙생활을 아주 열심히 하고 가사를 분담하며, 자녀들과도 잘 어울린다. 긍정적으로 생활하고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며 규칙적인 생활을 하였다. 제 2유형은 자기수련형이었으며, 신앙생활을 잘 하고, 긍정적으로 생활하며 체조, 단전호흡, 도보, 등산, 여행 등을 하는 개인중심의 활동이나 종교적 실천으로 건강행위를 이행하였다. 제 3유형은 보신섭생형이었으며, 규칙적 생활을 하며 식사시간을 준수하고 채소를 많이 먹으며 해로운 식품은 섭취하지 않는 등 건강 식생활과 목욕 및 몸풀기 등의 건강행위를 이행하였으며, 타 유형보다 지역사회활동에 참여하였다. 제 4유형은 개인위생형이었으며, 신앙생활을 잘 하고, 가사를 분담하지 않으면서 지역사회 활동에도 참가하지 않아 규칙적인 생활을 하지 않고 있었으며, 목욕, 사우나를 자주 하여 청결과 피로 회복을 취하는 비활동적인 건강관행을 이행하였다. 제 5유형은 자유활동형이었으며, 신앙생활 수준은 낮으나, 긍정적으로 생활하고, 생활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며 섭생에 유의하고 가사도 분담하며, 산책, 목욕, 등산, 여행 등을 하여, 타 유형보다 활동적인 건강관행을 독자적으로 실행하였다. 노인의 건강신념과 건강관행의 유형간에는 자가조절형과 개인위생형, 의존적관계형과 개인위생형, 종교적신념형과 자기수련형, 자주적실천형과 보신섭생형 및 자유활동형, 현실적응형과 가족중심형간에 상관성이 있었으며,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건강행위 과정 모델이 제시되었다. 노인의 건강행위는 인구학적 요인과 정신적․영적 요인이 선행조건으로, 자신의 건강문제를 인식하고, 가정내 역할 수행을 인지하는데 영향을 주며, 건강문제 인식 및 가정내 역할 수행 인지는 서로 상호작용을 하여 건강생활태도와 지역사회활동에 영향을 주며, 정신적․영적요인은 지역사회활동에 직접 적으로도 영향을 주고, 건강생활태도와 지역사회활동 요인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여 건강행위를 형성시킨다. 본 연구 결과가 주는 간호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간호연구와 이론에서는 노인의 건강신념과 건강관행별 구조의 특성을 이해하고 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그 상관성을 발견하며, 건강행위 과정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노인의 건강행위에 대한 심층적 연구 및 이론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간호실무에서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살고 있는 한국 노인의 건강행위에 부합된 간호중재방안을 개발하며, 지역사회 교육 프로그램 및 실천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다. 간호교육에서는 노인의 건강신념과 실천할 수 있는 건강관행 내용이 간호교육 내용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노인의 건강신념 및 건강관행의 유형 및 구조를 발견하고 건강행위의 과정 모델을 발견함으로써 노인건강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한국노인의 건강생활 실천을 유도하게 하는 교육 및 실무프로그램 개발에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자원부국과의 FTA 추진에 관한 연구 : 한·몽골 FTA 가능성을 중심으로

        양경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은 동시 다발적인 전략을 가지고 거대 경제권 및 중소 경제권과의 다각적인 FTA 추진을 전개하고 있다. 자유무역협정 (Free Trade Agreement, FTA)은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를 보더라도 무역창출 효과 및 무역전환 효과를 통하여 체결 당사국의 교역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2010년 3월말 현재 6개 지역무역협정 57개국 등 전 세계 70개국과 FTA를 발효, 서명, 가서명, 타결, 협상, 공동연구 등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은 특히, 최근 들어 GCC (걸프협력회의 6개국), SACU (남아프리카 관세동맹 5개국), MERCOSUR (남미공동시장 4개국) 페루, 콜롬비아 등 자원부국과의 적극적인 FTA 추진을 가시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석유, 천연가스 등 에너지 자원과 매장광물 등 부존자원이 빈약한 자원 수입국으로서 국제유가와 광물가격의 급등락으로 인하여 에너지 등 자원안보에 취약한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자원부국과의 적극적인 FTA를 통해 천연자원을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조달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자원부국이면서 산업이 발달하지 않은 국가와의 FTA 추진은 저렴한 원료를 수입해서 가공무역을 거쳐 재수출하는 형태로의 새로운 시장개척 효과와 함께 에너지 등 자원 도입선의 다변화로 전략적인 자원안보적 가치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한․몽골 FTA 가능성에 관한 연구는 한․몽골 양국이 경제 규모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고 교역규모 또한 크지 않지만 석유부존, 광물자원 매장량 등 세계8대 자원부국이라는 부가적 요인이 한․몽골 FTA 가능성에 긍정적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FTA는 체결 당사국 간의 경제뿐만 아니라 외교, 안보 등 국제관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데, FTA 당사국은 자국의 무역 등 경제적 이익과 더불어 경제외적 이익도 추구한다. 이처럼 일국이 FTA를 추진하는 동기는 다양하며, FTA 추진 정책에 미치는 요인 또한 다양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순수 경제변수인 상대국 경제규모, 양국 간 경제관계, 상대국 경제구조와 더불어 자원부존, 양국 간 지리적 특성, 정치 외교적 관계 등에서 14개 하부요인을 설명변수로 하였고 석유부존 여부, 광물자원 매장량 및 정치 외교적 관계에는 더미변수를 반영하여 실증분석 할 것이다. 최근 우리정부의 통상정책은 에너지 등 자원의 확보와 동시 다발적인 FTA 추진으로 시장선점효과를 통한 무역확대, 교역상대국의 다변화 등으로 급변하는 글로벌 교역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 등 자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지리적으로 인접한 동북아의 자원부국인 몽골과의 한ㆍ몽골 FTA 가능성은 실증분석의 긍정적인 추정결과와 같이 교역규모의 차이와 관계없이 설득력이 있는 일이다. 본 논문은 자원부국과의 FTA 추진에 관하여 연구함에 있어서 실증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확장된 중력모형(Gravity Model)에 기초한 프로빗 모형(Probit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중력모형은 무역의 크기를 설명하는 모형이다. 그 기본원리는 두 지역의 공간적 상호작용의 견인력이 지역의 경제규모에 비례하고 두지역간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이다. 최근 중력모형은 거리, 경제규모 뿐만 아니라 지리적 접경여부, 언어 등 다양한 지경학적(Geoeconomic)특성들을 반영함으로써 지역 간 무역의 흐름을 보다 잘 설명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는 한국과 몽골 간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석유 부존국, 세계15대 광물자원 부국, 정상회담 경험국일 경우 1의 값을 주고, 그렇지 않을 때 0의 값을 주는 더미변수를 활용하였다. 또한 한․몽골 간의 설득력 있는 추정을 위하여 한국의 103개 주요 무역 상대국과의 FTA 추진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한․몽골 간의 실증분석을 한 후 그 추정결과를 근거로 한․몽골 FTA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n development of its global economic position, Korea is currently utilizing a broad range of strategic measures in pursuance of FTA relations with the world's largest economies, as well as with smaller economies. According to the empirical evidence in previous research, free trade agreements (FTAs) are promot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rade among trading nations on the basis of the trade creation effect and the trade diversion effect. As of the end of March, 2010, Korea currently enjoys FTA implementation with, or has signed, completed negotiations, initiated negotiations or is studying the possibility of an FTA with 70 nations in the world, including 57 nations representing 6 major multilateral economic cooperatives. Especially, Korea is strategically pushing FTA relations with GCC (Gulf Cooperation Council, 6 nations), SACU (South Africa Customs Union, 5 nations), MERCOSUR (Mercado Comun del Sur, or Southern Common Market, 4 nations), Peru and Colombia, all of which represent resource-rich nations. As Korea is a nation not well endowed with energy resources, such as oil or natural gas, or with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orea resorts to mass imports of these resources. As such, Korea is subject to the backlash of the substantial fluctuations in international oil and mineral prices. Thus, the possibility of inexpensive and stable procurement of natural resources ensuing from FTA relations with resource-rich nations constitutes a formidable economic solution worth exploring. Therefore, through promoting FTA relations with a non-industrialized, resource-rich nation may result in a new market effect spurring from a system in which Korea is able to import inexpensive raw materials, put those materials to use in industrial processes and then re-export manufactured goods to the FTA counterpart nation has profound strategic implications with regard to new market effects and diversifying sources of natural resource imports. This dissertation proposes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Mongolia FTA on the basis of the mutual gains that could be realized. Although Korea has a much greater economic mass than Mongolia, expectations for increases in bilateral trade arise from the scale of trade in oil and minerals which could be realized, as Mongolia ranks 8th in the world in natural resource endowment. FTAs not only create economic benefits for member nations, but they also tend to positively influence diplomacy and international security. Nations sharing FTA relations are attracted by both the economic, as well as the non-economic benefits of free trade. In this light, nations' motivations for promotion of FTA relations differ, and policies related to FTA promotions differ greatly from country to country. Thus,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se difference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the factors relating to economic mass and economic recovery, as well as the additional factors of oil endowments and mineral resources of resource-rich nations. The Korean government's current fiscal policy focuses on increasing the volume of trade and diversification of trading partners through simultaneous expansion of energy-related resources and promotion of FTA relations with multiple counterparts. Thus, the prospects for realizing a stable source of imports of energy and other natural resources through implementation of an FTA with resource-rich Mongolia, our neighboring Northeast Asian nation, are quite lucrative. This dissertation applies empirical analysis to FTA development with resource-rich nations. The gravity model in expanded form is analyzed utilizing a probit regression model. The gravity model of trade explains the volume of bilateral trade flow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gravity model is founded on the tendency for the positive correlation of economic mass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of relative geographic distance to determine the volume of trade between two given regions. In more recent studies, the gravity model has not only been tested against economic mass and distance, but also with the contributions of other geo-economic factors, such as adjacency and language, to the effect that the flows of bilateral trade can be better explained and directed. Thus, to estimate the effects of FTA relations between Korea and Mongolia,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robit response variables; oil-rich countries were granted a dummy variable representing a value of 1 for each of the factors of: richly endowed in oil, among the world's top 15 mineral-rich countries and experienced in negotiations for international economic integration; and a 0 for cases in which these criteria did not exist.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model, addi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FTA implementation between Korea and 103 nations across the glob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ffer evidence in support of a Korea-Mongolia FTA.

      • 황사시 제주지역 대기 에어로졸의 조성 변화 및 특성

        양경희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주도 북제주군 한경면 소재 고산 측정소에 high volume air sampler를 설치하여 1998년부터 2001년까지대기 에어로졸을 채취하고, 에어로졸의 수용성 성분과 각종 금속 성분들을 분석하였다. 에어로졸의 수용성 성분 평균 농도는 SO_(4)^(2-) > Na^(+) > NO_(3)^(-) > Cl^(-) > NH_(4)^(+) > Ca^(2+) > K^(+) > Mg^(2+)로 나타났다. 이들 성분 중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낸 SO_(4)^(2-)의 경우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연도별 평균농도는 각각 6.95, 6.28, 7.10, 6.22 ㎍/㎥,NO_(3)^(-)는 1998년에 1.84 ㎍/㎥, 1999년에 1.93 ㎍/㎥, 2000년에 2.06 ㎍/㎥, 2001년에 1.96㎍/㎥로 나타났다. 금속및 황 성분의 평균농도는 S > Na > Al > Ca > Fe > K > Mg > Zn > Pb >Ti > Mn > V > Ba > Sr > Cu > Ni >Cr > Mo > Cd > Co 의 순으로 인위적 발생기원을 나타내는 S 농도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Na, Al, Ca, Fe,K, Mg 등의 해염 및 토양 성분들이 대체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계절별 농도변화를 비교해 본 결과Ca^(2+)는 봄철에 큰 농도 증가를 나타내었고, 인위적 기원의 nss-SO_(4)^(2-)와 NO_(3)- 역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S성분과 Na, Al, Ca, Fe, K, Mg의 토양 기원의 금속성분들도 역시 봄철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황사와 비황사시의 성분별 농도 차이를 조사해 본 결과 Ca^(2+)는 비황사시에 비해 황사시에 약 9.0 배정도 농도가 증가하였고, SO_(4)^(-)의 농도는 황사시에 각각 1.6 배, 3.1 배 증가하였다. 또 S는 황사시에 1.9배 정도 더 높고, 토양기원의 Al, Ca, Fe, K 등은 각각 10.5, 9.9, 10.3, 5.6배, Ti, Ba, Sr은 각각 5.1, 6.5, 5.6배의 증가를 보였다. 토양 농축인자를 조사한 결과 Ca, Fe외에 Cd, Ti, K, Mg 등의 성분들이 주로 토양으로부터 유래되고, Pb, Mn, Ni, Cu, V, Cr, Co, Zn, Na 등은 토양보다는 다른 요인에 의해 유입되고 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해양 농축인자를 측정한 결과 Cl^(-),Mg^(2+) 성분이 해염으로부터 유래되고 나머지 SO_(4)^(2-),Ca^(2+),K^(+)성분은 모두 해양의 영향보다는 다른 요인들에 의해 대기 에어로졸에 유입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에어로졸 성분들의 발생기원을 요인분석으로 조사한 결과 토양 영향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인위적 영향, 그 다음으로 해양 영향이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풍향에 따른 각 성분들의 농도 변화를 조사해 본 결과 대부분의 성분들의 농도가 북서풍 바람일 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북태평양 쪽에서 이동하는 남풍일 때에 비해 중국과 한반도의 대륙쪽에서 이동하는 북서풍 계열의 풍향일 때 대기오염물질들이 장거리 이동되어 제주지역 대기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The atmospheric aerosols have been collected at Gosan in Jeju during 1998 to 2001, and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characteristics as well as composition change during Yellow Sand periods. The mean concentrations of water^(-)soluble components were in the order of SO_(4)^(2^(-)) > Na^(+) > NO_(3)^(-) > Cl^(-)> NH_(4)^(+)> Ca2^(+)> K^(+) > Mg2^(+), and those of metals including sulfur were in the order of S >Na > Al > Ca > Fe > K > Mg > Zn > Pb >Ti > Mn > V > Ba > Sr > Cu > Ni > Cr > Mo> Cd > Co. The concentration of Ca2^(+) was 4.14 ㎍/㎥during Yellow Sand periods,which was about 9 times higher than that in Non Yellow Sand periods. SO_(4)^(2^(-)) and NO_(3)^(-) have also increased as 1.6 and 3.1 times, respectively, and the soil originated Al, Ca, Fe, K were increased as 10.5, 9.9, 10.3, and 5.6 times, respectively, during Yellow Sand periods. The components of Na^(+)/Cl^(-), nss^(-)SO_(4)^(2^(-))/NH_(4)^(+), and most of the soil components, in particular, Al, Fe, Ca, showe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enrichment factors show Ca, Fe, Cd, Ti, K, Mg in aerosols are originated mostly from soil, whereas Cl^(-) and Mg2^(+) are from sea^(-)salt. The factor analysis shows the aerosols at Gosan are originated primarily due to the soil, followed by anthropogenic and sea^(-)salt effects. The wind direction study showed most of the aerosol components increased with the northwest wind, indicating the possible transportation of air pollutants from China as well as the Korean peninsula.

      • 置換 β-Phenyl ethyl m-nitrobenzene sulfonate와 置換피리딘과의 反應메카니즘 : Bronsted 및 hanmett 相關關係의 考察

        양경희 慶北大學校 敎育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actions of the substituted β-phenylethyl m-nitrobenzenesulfonate(β-PNS) with pyridines were measured by conductometric method in acetonitrile at 50℃, 60℃ and 70℃. The substituent effects for the reaction of substituted β-PNS with substituted pyridines were observed. The reaction rate was accelerated by an electron donating substituent on both substrates and nucleo phile. Hammett plot shows that the ρz(Z is a substituent of the substrate) values of the reaction were -0.008, 0.050. -0.150 and -0.222 for 4-NH₂, Me, H and 3-CONH₂substituted pyridine respectively. The ρY(Y is a substituent of nucleophile) value was -1.592 for the reaction of β-PNS with substituted pyridines and became larger negative value by an electron-withdrawing substituent in the substrate. Bro¨nsted β-values, which varies from 0.243 to 0.280 for substrates were linearly related to both ρr. values of nucleophiles and σvalues of substrates. These data show that electron-withdrawing substituents in β-PNS increase bond formation between C and N and such electron-withdrawing substituents in the pyridine also lead to increased bond formation relatively to bond breaking in the transition state. Thus, these results were found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effect of substituents on the transition state structure of S_N2 reaction predicted by Swain, Thornton, Harris, and Kurtz.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