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전자우편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방법 분석 및 탐지에 관한 연구

        양경철 고려대학교 정보경영공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해커가 정보절취 등을 목적으로 전자우편에 악성코드를 삽입․유포하는 공격에 대한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로, 악성코드가 삽입된 전자우편은 정보유출 時 트래픽을 암호화(Encoding)하는데 이를 복호화(Decoding) 하는 ‘분석모델’을 구현 및 제안한다. 또한 보안관제측면(네트워크)에서 해킹메일 감염時 감염PC를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는 ‘탐지기술 제작 방법론’을 연구하여 탐지규칙을 제작, 시뮬레이션 한 결과 효율적인 탐지성과를 보였다. 악성코드 첨부형 전자우편에 대한 대응책으로 공공기관이나 기업의 정보보안 담당자․PC사용자가 각자의 전산망 환경에 맞게 적용 가능한 보안정책을 제안함으로써 해킹메일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paper proposes the detection method of spreading mails which hacker injects malicious codes to steal the information. And I developed the 'Analysis model' which is decoding traffics when hacker's encoding them to steal the information. I researched 'Methodology of intrusion detection techniques' in the computer network monitoring. As a result of this simulation, I developed more efficient rules to detect the PCs which are infected malicious codes in the hacking mail. By proposing this security policy which can be applicable in the computer network environment including every government or company, I want to be helpful to minimize the damage by hacking mail with malicious codes.

      • 장석(裝錫) 이미지를 응용한 백자 이중 뚜껑 합 제작에 관한 연구

        양경철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합(盒)은 어떠한 물체를 담아 보관하는 용도로 합의 상부와 하부로 구성된 기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합은 오랜 시간동안 발전해왔으며 그 시대적 필요성에 의해 크기, 형태 등이 변형되어 사용되어져 왔다. 현대의 합(盒)은 실용성만 강조되는 것이 아닌 심미성 또한 조화롭게 갖추어 사용자에게 제시되어져야 한다. 이에 백자 이중 뚜껑합의 연구 목적은 현대의 다양한 소지와 전통 소재 이미지를 결합하여 새로운 미감을 찾고자 하였다. 장식의 주요 디자인 모티브는 우리 옛 고(古)가구의 장석(裝錫) 장식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이중 합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합의 외형적인 형태는 한국의 아름다운 한복의 선에서 가져왔다. 장석 장식의 이미지를 생각하여 금속성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연구하였고, 장석 장식의 이미지는 우리나라 전통 목(木)가구에서 보여 지는 장석의 종류들을 조사하고 이미지를 재조합 하여 장식적 요소로 사용했다. 주요한 연구 내용으로는 백자에 장석장식의 금속성 느낌을 주기위해 철분이 함유된 점토를 부착하여 표현하는 것에 주력하였으며 옻칠, 금박, 동박 기법을 통해 더 효과적인 장석표현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의 옛 조상들이 만들어온 궤의 장석장식을 한국적인 조형의 미(美)로 재해석하여 백자 합의 새로운 표현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현대인들이 우리나라 공예품의 진정한 아름다움과 가치를 알아주고 아껴주기를 기대한다. The covered bowl refers to a container consisting of the top and bottom of an agreement for storage of some object. These sum have develop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se sum have been deformed and used by the needs of the times. To present an aesthetic property to a user in a well-balanced manner, which does not emphasize only practicality. The research objective of white covered bowl was to combine modern images of diverse materials and traditional materials to find new beauty. The main design motif of the decoration was the korea old wood furniture decoration image, and the outline of the covered bowl was drawn from the shape of beautiful Hanbok. I thought of the image of the decoration and studied it to express the metallic feel, and examined the kind of decoration found in traditional Korean wood furniture and used it as a decorative element by rearranging the images. The main research focuses on attaching and expressing iron-containing clay in order to give the image of korean traditional decoration to white porcelain the metality. Furthermore, effective Way of the decoration expression research was carried out by gold foil and copper foil techniques. Re-interpreted the old furniture created by our ancestors to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al form and showed the directional nature of the new expression decoration of the White covered bowl. Furthermore, hope that modern people will know and appreciate the true beauty and value of Korean traditional artifacts, and hope that the viewers will always be happy and know to beutiful value of the korean traditional decoration such as hinges and locks.

      • 밀리포어 필터를 이용한 자가부식형본딩시스템의 세포독성평가

        양경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Dentin adhesive agents are essential dental materials for bonding composite resin to dentin. Recently, self-etching agents are widely used due to their relatively proper bonding ability without washing steps. This self-etching adhesive agent may pass through the dentinal tubules, which affects dental pulp tissue. Therefore, this study was to use Millipore filter as dentin substitutes for evaluating cytotoxicity of self-etching bonding agent. The non-washable self-etching products with two steps (Unifil bond and SE bond) and one step (AQ bond and the One-up Bond) were chosen as the test materials of this present study. After applying self-etching bonding products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on the Millipore filter set consisting of three different pore sized sheets (0.65 + 0.45 + 0.22 μm), the solution indirectly penetrating substances for 24 hours at 37 °C in stainless steeled artificial pulp chamber including distilled water was gathered. Immortalized human dental pulp cells were cultu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penetrating solution in culture media for 24 hours at 37 °C incubator. Then, cytotoxicity was evaluated by WST assay. One - way ANOVA with Tukey test as post hoc was used for observing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penetrating solution in the same material at a level of 0.05. All concentration groups (6.25%, 12.5%, 25%, and 50%) from all experimental groups (UN, SE, AQ, and OU) and negative control with distilled wat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ytotoxicity compared to 0%, which was absence of penetrating solution (P>0.05). However, 12.5%, 25%, and 50% of positive contro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0% of counterpart (P<0.05). In conclusion, cytotoxicity test with four kinds of self-etching agents and Millipore filters as dentin substitutes revealed that penetrating solution from each self-etching bonding agent did not affect to the cell viability of immortalized human dental pulp cells. Therefore,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used four kinds of commercial self-etching bonding agents are considered as non-cytotoxic products to human pulp cells. 상아질접착제는 치과용 레진을 상아질에 붙이는 데 사용되는 치과재료이다. 이 접착제는 필연적으로 상아세관을 통과하며 치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상아질을 대체할 수 있는 밀리포어 필터를 이용한 자가부식형 접착제의 치수세포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자가부식형 접착제 중 two step non-washable 제품인 Unifil bond와 SE bond, 그리고 one step non-washable 제품인 AQ bond와 One-up bond를 본 연구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진 인공 치수강 위에 3장의 (0.65 + 0.45 + 0.22 μm) 밀리포어 필터를 놓고 상아질접착제를 제조사의 지시대로 적용하였다. 24시간동안 필터를 통과하여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진 인공 치수강 내부의 증류수에 투과된 상아질접착제 투과물을 불멸화된 인간유래치수세포에 적용하여 효소활성시험법으로 상아질접착제의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각 실험군 안에서의 통계적 유의차를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으로는 Tukey test를 사용하였다 (P<0.05). 세포독성 시험결과 실험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세포활성이 낮아지지 않았다 (P>0.05). 하지만 투과실험의 양성대조군인 1 g/mL 페놀을 적용한 군에서만 50%, 25%, 12.5% 희석용액의 경우 음성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세포활성이 낮았다 (P<0.05). 결론적으로 상아질대체재로써 밀리포어 필터를 이용한 상아질접착제의 독성평가 결과, 자가부식형 상아질접착제의 독성이 치수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다. 이 연구에 사용된 자가부식형 상아질접착제는 본 시험 범위 내에서 치수에 위해성이 없이 쓸 수 있는 재료로 사료된다.

      • 수퍼커패시터용 전해액인 이온성 액체 1-e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luoroborate의 정제에 따른 특성 연구

        양경철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퍼커패시터에서 사용되는 전해액인 이온성 액체 EMI-BF4 (1-e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를 합성 하고 합성된 이온성 액체를 수퍼커패시터용 전해액으로써 성능이 우수한 이온성 액체를 얻기 위해 고순도의 정제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음이온 교환방법으로 합성된 EMI-BF4는 구조분석결과 예상되는 결과와 일치하였지만 다량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어 수퍼커패시터의 전해액 사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다양한 정제 방법으로는 제조된 이온성 액체를 정제하고자 하였다. 정제방법으로는 불순물 흡착 방법과 액체/액체 추출방법을 사용하였다. 불순물 흡착방법에서는 산화알루미늄과 활성탄, 실리카 겔의 흡착제를 사용하였으며 액체/액체 연속추출방법을 이용한 정제방법에서는 산성, 중성 그리고 염기성 조건에서 증류수 비율을 다르게 하고 추출 용매제 methylene chloride 와 1,2-dichloroethane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정제조건을 다르게 한 이온성 액체에 따라 수퍼커패시터의 성능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제조된 이온성 액체를 이용 수퍼커패시터를 제작하여 이온성 액체와 분극성 전극간의 전기 이중층 용량을 측정하여 정제 조건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측정 결과 흡착제 산화알루미늄과 활성탄 그리고 실리카겔을 사용한 불순물 흡착방법은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 되지 않아 전기적 용량값이 낮게 나와 고순도의 이온성 액체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액체/액체 연속추출을 이용하여 정제하여 전기적 용량을 비교한 결과 이온성 액체 대비 증류수 비율을 높게 할수록 증류수의 비율을 높게 할수록 전기적 용량값이 더 좋게 나왔다. 하지만 증류수의 비율이 높을수록 수분함유량도 증가하여 누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성 조건하에 추출 용매는 1,2-dichloroethane 으로 추출한 경우가 전기적 특성과 열안정성 등 수퍼커패시터의 전해액 용도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synthesis of ionic liquid EMI-BF4 (1-e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ouroborate) and on the purification for obtaining the high-purity ionic liquids as an electrolytic solution for supercapacitor. There are several purification methods to obtain the optimized purification condition by the absorption of impurities using aluminum oxide, silica gel, active carbon, and liquid/ liquid continuous extraction method.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supercapacitor that prepared in this study are compared with the standard sample. The purification processes are as follow: Ionic liquid was extracted with dichloromethane by using the liquid/liquid extraction method in the conditions of acid, neutral, and alkali for removal of impurities, and then the electrical capacities of purified ionic liquids a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standard. With comparison of the electrical capacity of ionic liquids under several conditions, the acidic extraction of the ionic liquid gave the highest value of electrical capacity, and then in order of neutral and alkali condition. It turns out that the more concentration of solvent(H2O) is increased, the higher purity of EMI-BF4 was obtained and the electrical capacity of this compound was also increased to a higher value. When the solvent was changed from methylene chloride to 1,2-dichloroethane, the higher purity of EMI-BF4 was also obtained.

      • 주파수 변화율을 이용한 음성과 음악의 구분

        양경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is becoming an indispensable technology in many application areas such as telephonic system, ubiquitous system, robot system, and telematics. In real-world environments, ASR faces many kinds of sound sources and they should be discriminated to improve ASR performance. In ASR systems, speech is usually detected from the input signal by voice activity detection (VAD) scheme. Speech and music, however, are not easily discriminated by the VAD because they share similar characteristics such as periodicity and frequency. Speech and music discrimination (SMD) has gained much popularity in recent years for efficient coding and automatic retrieval of multimedia sources and automated speech recognition. Many kinds of approaches have previously been taken to the problem of SMD using spectral energy changes, harmonics, delta cepstral energy, power spectrum deviation, cepstral distance, and etc. However, those feature parameters are not so efficient to get high performance with fast output. The mean of minimum cepstral distance (MMCD) has recently showed high performance. However, the duration used in MMCD was 1 second. Considering the length of a sentence, too much long duration is not proper for the practical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pectral transition rate (STR) as a novel feature for SMD. We found that the spectral peaks of speech are gradually changing. However, the sound of musical instruments in general tends to keep the peak frequencies and energies unchanged for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compared to speech. The STR is based on this observation. The STR of speech is much higher than that of music. Comparing to other algorithms, the STR based SMD gives relatively fast output without losing its performance.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STR based SMD method outperforms a conventiona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