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월철학과 무신론 문제 - 피히테와 포어베르크의 1798년도 논문 연구

        안윤기(Yoon-Ki AN)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9 신학논단 Vol.96 No.-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Atheism Controversy’, which took place in Jena, Germany 1798~1799, and invites the reader to reflect on the possibility of moral religion. Transcendental philosophy, initiated by Kant, was recognized as well explaining and justifying the phenomenons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such as sciences, ethics, aesthetics and international order. However, only in the problem of religion, the general appreciation of the Kantian philosophy was not so good from the beginning, and this problem exploded at full scale with the Atheism Controversy(1798~1799). It took place because of the two articles of Fichte and Forberg, who claimed to inherit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Forberg distinguishes strictl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claims that religion is just a practical belief in the moral world governance, that is, to believe and act as if the Kingdom of God, i.e. the ultimate ideal of practical reason were realizable in the world, but it does not matter whether God exists or not. Fichte acknowledged Forberg’s attempt to ground religion upon ethics in accordance with Kantian insights, but opposed his treatment of belief in God as only a matter of hope, because a religious belief is, according to Fichte, undoubtedly evident and more certain than any other knowledges. But Fichte was accused of atheism in that he regarded the moral world order itself as God and denied the substantiality and personality of God. Although their claims are on the surface contrary to the traditional doctrines of Christian theism, it would be more important to reflect on the essence of religion and to understand deeply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ethics.

      • KCI등재

        칸트에게서 악의 문제와 기독교의 원죄론

        안윤기 ( An Yoon Ki ) 한국칸트학회 2018 칸트연구 Vol.42 No.-

        종교는 칸트 철학에서 다루는 매우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이다. 칸트의 종교 비판은 그의 평생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종교 문제만을 집중적으로 논의한 저작으로 그가 세상에 내놓은 것이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이다. 이 책을 전개해감에 있어서 칸트는 끊임없이 기독교의 주요 교리와 씨름한다. 본고에서는 칸트 종교철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악 개념을 분석하되, 특히 “인간은 자연본성적으로 악하다”(VI 32)는 그의 명제, 그리고 이와 직결되는 “근본악”(das radikale Bose, V I 32), “악으로의 성벽”(der H ang zum Bosen, VI 21) 개념 등에 중점을 두고, 또한 그가 반면교사로 염두에 두었던 기독교 주류 신학의 원죄론과의 비교, 대조 하에 논의를 진행하였다. 기독교 신학에서는 원죄론에 입각해 죄악의 편재성을 쉽게 설명한다. 그러나 칸트는 악의 편재성은 인정하면서도, 자칫 인간의 행위 책임이 부인될 가능성을 우려하였다. 그래서 그는 주장하기를, 인간의 자연본성 안에는 선천적인 근본악이 있어서 우리의 모든 행위가 죄악이지만, 그럼에도 그것은 엄연히 우리 자신이 초래한 것이고, 따라서 우리 자신에게 마땅히 윤리적 책임이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ig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mes in the philosophy of Immanuel K ant. His criticism of religion has appeared throughout his life. In particular, his Religionsschrift (1793) has focused intensively on the subject of religion. In writing this book, Kant constantly wrestles with the major doctrines of Christianity. In this essay, I analyze K ant’s notion of evil, and in particular, the thesis “man is naturally evil” (VI 32). I will discuss it in comparison with the dogma of original sin of christian theology. In christian theology it is easy to explain the ubiquity of evil based on the original sin. Kant, however, accepted the ubiquity of evil, but worries that the dogma of original sin will deny the responsibility for human behavior. So he insisted that there is a radical evil in the nature of m an, so that all our behaviors are sinful, but they are caused by ourselves, and it is therefore necessary for ourselves to have an ethical responsibility.

      • KCI등재

        철학사 읽기 -하만의 『소크라테스 회상록』 연구

        안윤기 ( Yoon Ki An ) 한국칸트학회 2014 칸트연구 Vol.34 No.-

        본고는 하만의 작품 『소크라테스 회상록』(1759)의 소개 및 그 책의 첫 부분인 <서문>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목표로 한다. 이 책은 당대 독일 지성계를 주도하던 계몽주의에 대한 선전포고요, 18세기 후반 독일 질풍노도운동을 선도하게 될 대강령이요, 이성의 무소불위적 권위에 대한 당대인들의 신뢰를 흔들어 놓은 최초의 일격이라는 평을 받는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이성의 화신”이자 “계몽주의의 우상”인 소크라테스를 하만은 도리어 예수의 길을 예비한 선지자요, 이성의 무지막지한 폭압에 맞서 신앙을 수호한 순교자로 그리고 있는데, 열악한 작업 여건에도 불구하고 하만이 완전히 새로운 소크라테스의 모습을 성공적으로 그려낼 수 있었던 것은, 철학사를 바라보는 독특한 시선이 그에게 있었기 때문이다. 철학사 전반에 대한 하만의 독특한 이해를 우리는 『소크라테스 회상록』<서문>에 서 발견하는 데, 먼저 하만은 철학사의 기술을 비전문가가 해야 할 것을 주장한다. 왜냐하면 전문학자는 대중의 취향에 영합하거나, 진영논리에 사로잡혀 있어서 생명력 있는 철학사 기술, 곧 삶의 진실을 반영하는 일을 하지 못하고, 그저 생명이 없는 우상만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철학사 기술과 같은 일은 전문학자가 아니라, 한 걸음 뒤로 물러나서 사태를 파악하는 비전문가가 더 잘할 수 있으며, 이런 맥락에서 하만의 『소크라테스 회상록』은 의미 있는 시도가 될 것이라고 하만은 믿었다. 둘째로 하만은 우리가 철학사를 읽을 때 “열정적, 참여적 독서”를 해야 할 것을 요구했다. 철학적 영웅주의라 불리는 “진리사랑”의 정신을 가지고 독자가 철학사를 대할 때 설혹 다소의 광신과 미신적 면모가 보일지라도 관대히 용인되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독서의 목표는 신의 본질파악에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이성이 아니라 믿음이 필요하다고 하만은 주장했다. 요컨대 우리는 생명과 혼신의 힘을 담아 읽으면서 역사 속에 감추어진 신의 본성과 뜻을 온 몸으로 깨닫고, 결국 새로운 사람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것이었다. Diese Arbeit zielt darauf ab, Hamanns Erstlingswerk Sokratische Denkwurdigkeiten im Allgemeinen einzufuhren und uber dessen <Einleitung> eine eingehende Analyse vorzubringen. Dieses Werk gilt als Kriegserklarung gegen die Aufklarung, die die derzeitige Wissenschaftswelt dominierte, als Leitgedanke fur den Sturm und Drang, und als erster Schlag gegen das zeitgenossische Vertrauen auf die Autoritat der Vernunft. Hamann hatte eine einzigartige Einsicht in die Philosophiegeschichte die sich bei seiner Neugestaltung von Sokrates trefflich zeigt, der als Verkorperung der Vernunft sowie als Ikon der Aufklarung galt. Hamann stellt namlich Sokrates als Martyrer, der gegen Unterdruckung der Vernunft an seinem Glauben festhielt, sowie als Prophet, der den Weg Jesu vorbereitete, dar. Hamanns Einsicht in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 formuliert sich vor allem in der Einleitung der Sokratischen Denkwurdigkeiten. Diese Einsicht prasentiert sich in zwei Punkten. Erstens, behauptet Hamann, dass die Darstellung der Philosophiegeschichte von einem Laien durchgefuhrt werden soll. Denn ein professioneller Wissenschaftler passt sich an den populistischen Geschmack an, also werden die Gestalten der Philosophiegeschichte unter der Feder gelehrter Autoren kunstlich und unecht, so dass er nicht imstande ist, durch lebhafte Darstellung der Philosophiegeschichtedie Wahrheit des Lebens widerzuspiegeln, sondern bloß einen leblosen Abgott zu produzieren. Folglich muss die Philosophiegeschichte, wenn sie wirklich Frucht tragen soll, von der Hand eines Laien dargestellt werden, der in einem Abstand von dem darzustellenden Sachverhalt sich eine Ubersicht uber den Sachverhalt verschaffen kann. In dieser Hinsicht, denkt Hamann, lasst sich sein eigenes Werk als bedeutungsvoller Versuch betrachten. Zweitens, fordert Hamann von den Lesern eine leidenschaftliche und teilnehmende Lekture. Selbst etwaige Schwarmerei bzw. Aberglaube, die beim Lesen entstehen konnten, sollten gutig geduldet werden. Er vertritt außerdem die Ansicht, dass das Ziel unseres Lesens in der Auffassung uber das Wesen Gottes liegt und dazu nicht die Vernunft, sondern der Glaube genotigt wird. Er meint schließlich, dass wir mit allem Herzen lesen sollen, wenn wir das Wesen und den Wille Gottes, die in der Geschichte verborgen sind, begreifen und dadurch als neuer Mensch wieder geboren werden wollen.

      • KCI등재

        근대 미학과 경건주의 - 바움가르텐의 『시론』 연구

        안윤기 ( An¸ Yoon-ki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1

        이 연구의 목표는 근대 미학의 태동이 경건주의와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학이 최초로 요청된 바움가르텐의 『시론』(1735)을 살펴보았다. 이 작품이 나온 시대적 배경으로 ‘라이프치히-취리히 논쟁’과 ‘베르트하임 성경 논란’을 고찰하면서, 이성을 과도하게 강조한 계몽주의 세력과 맞서 싸우는 것이 18세기 초엽 경건주의 진영의 최대 관심사였음을 보였다. 경건주의 세력의 중심도시가 독일 할레였는데, 이곳에서 바움가르텐은 성장했고 교수자격청구논문으로 『시론』을 제출했으므로, 이 논문에 경건주의의 영향이 반영되었으리라고 추정할 수 있다. 『시론』에서 바움가르텐은 시의 요건을 논하면서, 거기서 부각된 ‘감성적 인식’을 전담할 새로운 학문, ‘미학’이 필요함을 이야기했다. 여기서 발견되는 경건주의적 함축으로 (1) 감성적 인식 개념을 통해 인간의 인식능력을 제한한 점, (2) 아이스테시스 개념을 중용하여 진리와 인식 범위를 예술과 실천, 종교 영역으로까지 확대한 점, (3) 이성이 아닌 정서에서 완전성을 찾으려 했다는 점 등이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oint out that the birth of Modern Aesthetics has a innate relationship with Pietism. For that it examines Baumgarten’s Reflexions on Poetry (1735), in which the Aesthetics was claimed as an academic discipline for the first time. This paper begins with introducing the Leipzig-Zurich debate and the scandal of Wertheim-Bible, which buil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at work by Baumgarten. Thereby it turns out that the chief concern of the Pietists in the early 18th century is to refute the ideas of the Enlightenment. These efforts to find the Pietistic influences in the Reflexions on Poetry are supported by the fact that Baumgarten was raised, studied, and submitted this work as habilitation in Halle, the stronghold of the Pietists. Discussing the requirements of the poetry in the Reflexions on Poetry, Baumgarten demands a new discipline for sensate cognition. Here are found the following points of the Pietistic influences in this work: (1) to set a limit to human cognitive abilities through the concept of ‘sensate cognition’; (2) to enlarge the scope of truth and cognition to the areas of art, the practical and religion with the term ‘aisthesis’; (3) to place the concept ‘perfection’ not in rationality, but in affects.

      • 소통, 이성 그리고 인공지능

        안윤기 ( An Yoon-ki )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2019 인공지능인문학연구 Vol.3 No.-

        이 글에서는 ‘인공지능 시대의 소통’을 그 가능성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소통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가 생존과 번영을 위해 여러 수준과 형태로 수행하는 행위인데, 과연 인공지능도 인간과, 또는 다른 인공지능 기계와 소통을 할 수 있을까? 인간의 소통은 ‘언어’라고 하는 탁월한 매체를 통해 수행되며,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인간에게 ‘이성’이라는 지적 능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20세기 중반 이후 개발된 인공지능은 인간의 이성과 언어를 상당히 모방하거나 추월하기도 해서, 누군가는 인공지능과의 대화와 소통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챗봇의 형태로 그 생각을 구현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그것을 진정한 소통이 아니라고 진단하였다. 자기의식과 자기보존 욕구(영혼)가 없는 한낱 기계는 메시지의 송신자/수신자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In this article, ‘communication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 AI)’ was examined in terms of its possibility. Communication is an act performed by all living things, including humans, at various levels and forms for survival and prosperity. Can AI then communicate with humans or other AI machines? Human communication is done through a wonderful medium called ‘language’, which is possible, because humans have a special intellectual power, named as ‘reason’. Because AI-technique developed since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imitated or overcame human reason and language, some people thought that it wa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AI and realized the idea in the form of a conversation robot (= Chatbot). In this article, however, it is not judged as true communication, because a machine without self-consciousness and the need for self-preservation can not be the sender or recipient of the message.

      • KCI등재

        칸트 철학은 반(反)종교적인가?

        안윤기(AN Yoon-Ki)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7 장신논단 Vol.49 No.1

        계몽시대의 대표적 철학자로 손꼽히는 칸트는 철학의 제반 영역을 인간 중심적인 원리에 입각해 설명하려 했다. 그의 『순수이성비판』은 인간의 지식 가능 범위를 경험세계에 한정시킴으로써 신학을 학문의 세계에서 추방하였고, 『실천이성비판』에 제시된 자율의 윤리학은 기독교윤리가 들어설 자리를 봉쇄하였다. 그러나 『실천이성비판』 〈변증학〉에서 칸트는 ‘최고선’ 개념을 끌어들여 결국 ‘신의 현존’과 ‘영혼의 불멸’ 같이 종교에서 소중하게 다루는 테제들을 복권시켰다. 윤리학은 최고선 실현을 우리에게 의무로 부여하는데, 이 명령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최고의 도덕과 최고의 행복을 비례적으로 결합시킬 신이 반드시 요청되기 때문이다. 신과 같은 초월적 이념을 이론이성은 공허한 것으로 저평가했으나, 실천이성은 그것에게 객관적 실재성을 부여하고, 우리가 ‘믿음’이라는 인식태도를 가지고 그 개념을 받아들여야 할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론이성의 주장과 실천이성의 주장이 서로 충돌되는 것으로 보일 때 후자에게 우선권이 있으며, 이것은 일종의 ‘인식 확장’으로 볼 수 있다고 칸트는 분명히 말했다. 이로 보건대 칸트 철학을 반종교적이라고 보는 것은 지나치게 피상적, 단면적인 이해가 아닐 수 없다. 칸트는 도리어 종교의 필수성을 요청하였는데, 다만 유의해야 할 점은 그가 제안한 종교가 이성적 도덕 신앙, 즉 윤리에 기초한 종교라는 특징을 갖는다는 점이다. 이것은 종교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와 사뭇 차이가 난다. 그러나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도 종교가 서야 할 자리가 어디인지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고민할 기회를 제시해주는 유익이 있다. Like most of other philosophers in the era of ‘enlightenment’ Kant tried to explain many fields of philosophy on the principle of humanity. His Critique of Pure Reason expelled theology from the world of sciences by limiting the possibility of knowledge only to the sensible world. His ethics of autonomy in the Analytics of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deprived Christian ethics of its previous position. However, Kant finally rehabilitated the existence of God and the immortality of soul by adopting the concept of the highest Good in the Dialctics of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Since reason gives us the duty of realizing the highest Good, the existence of God is postulated who can make the right proportion between morality and happiness possible. While theoretical reason underestimates transcendental ideas like God as void, practical reason grants them the “objective reality” and claims that we should accept them with the cognitional form of faith. Moreover, Kant made clear the primacy of practical reason, when claims of theoretical reason might collide with those of practical reason. Therefore regarding Kant’s philosophy as anti-religious is little more than a superficial and one-sided reading of his works. In fact, Kant advocated religion, though the religion he proposed was not a traditional one, but a rational faith on the ground of moral principles.

      • KCI등재

        18세기 범신론 논쟁: 야코비의 스피노자의 가르침에 관한 편지들(1785)

        안윤기 ( Yoon Ki An ) 한국칸트학회 2012 칸트연구 Vol.30 No.-

        스피노자의 가르침에 관해 멘델스존에게 보낸 편지들에서 야코비는 레싱이 자신과의 대화 중 본인의 스피노자주의를 고백했다는 충격적인 보고를 한다. 이로써 18세기 후반 독일 지성계를 강타한 ``범신론 논쟁``이 야기되는데, 그 논쟁의 두 주인공은 야코비와 멘델스존이었다. 논점은 몇 차례 변화를 겪는다. 초기에는 레싱이 정말로 그런 고백을 했는지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였다. 왜냐하면 독일 계몽주의의 상징적 인물인 레싱이 - 무신론으로 세간에 알려진 - 스피노자주의를 고백했다는 것은, 이미 그 자체만으로도 세인(世人)의 마음을 뒤흔들 수 있을 만큼 파괴력이 있었던 스캔들이요, 따라서 레싱과 절친한 사이로 공인된 멘델스존은 이러한 사태가 벌어지는 것을 그저 앉아서만 지켜볼 수 없었다. 그렇지만 점차 이 논쟁은 누가 스피노자의 철학을 더 정확히 잘 알고 있느냐의 문제로 확산되었고, 궁극적으로는 이성의 능력 자체에 대한 이성주의의 과도한 신뢰가 야코비에 의해 의문시되었다. 야코비는 한 때 스피노자의 철학을 탐독했던 사람이다. 그러나 그는 얼마 안 가서 스피노자 철학의 위험성을 간파하고 이를 비판하게 되었다. 야코비가 스피노자의 철학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이것이 가장 이성주의의 원칙을 일관되게 관철 시키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일관된 체계성이야말로 비판거리였는데, 왜냐하면 거기서 발휘되는 사유는 현존에 대한 근원적 경험을 놓쳐서이다. 그가 보기에는 오직 이런 현존 경험만이 확실한 것이다. 그러니까 야코비가 체계적 사유를 비판하면서, 우리가 그 아래 감춰진 존재의 드러남을 보는 것이다. 그리하여 결국 야코비가 제안한 것은 믿음으로의 도약(salto mortale)이었다. 그는 이런 믿음을 때로는 거부할 수 없는 느낌이라고도 불렀다. 그가 목표로 했던것은, 현실이 근원적으로 드러난 모습을 그 자체로 붙드는 일이었다. 이에 비해 본다면, 사유 또는 추론을 통한 인식은 근원적 경험에 의존하는 2차적 확실성만 제공할 뿐이다. In den Briefen an Mendelssohn uber die Lehre Spinozas hat Friedrich H. Jacobi ein Gesprach mit Lessing aus dem Juli 1780 uberliefert, in dem Lessing sich zum Pantheismus Spinozas bekannte. Diese Außerung Jacobis bildete den Ausgangspunkt fur den Pantheismusstreit, der zwischen ihm und Moses Mendelssohn ausgetragen wurde. Das Zentrum des Streits hat sich doch mehrfach verschoben. Zuerst war es das Bekenntnis Lessings, das allein schon die Gemuter aufs außerste erregte und Mendelssohn zu einer Reaktion herausforderte. Im weiteren Verlauf weitete der Streit sich aus zu einer Auseinandersetzung um die Philosophie Spinozas und schließlich zu einer um den Rationalismus als solchen. Spinozas Philosophie faszinierte Jacobi, zugleich aber ist er ihr erbitterter Gegner. Im Spinozismus erkennt er das einzig konsequente System des Rationalismus an. Die Geschlossenheit aller konsequente Systeme ist es jedoch auch wiederum, die seine Kritik hervorruft, denn in ihnen schließt sich das Denken gegen die Erfahrung seines Ursprungs, d.h. die Daseinserfahrung, ab, die letztlich allein Gewißheit bringen kann. Von der Einsicht in die Gebundenheit des Geistes in den Lebenszusammenhang erhofft Jacobi sich einen Blick auf Phanomene, die dem System verschlossen bleiben, ja die eine Kritik jeglichen Systemdenkens darstellen. Deshalb schlagt Jacobi endlich einen Sprung in den Glauben (salto mortale) vor, den er auch manchmal unabweisbares Gefuhl nennt. Die Anstrengung seines Denkens zielt darauf, die ursprungliche Erschlossenheit des Wirklichen so zu fassen, dass die mittelbare Erkenntnis aus Schlussen als von ihr dependierend, als eine Gewißheit aus zweiter Hand begriffen werden kann.

      • KCI등재

        16세기 유대 문서 논쟁과 로이힐린의 『안경』

        안윤기 ( An Yoon-ki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2 가톨릭철학 Vol.0 No.18

        500년 전에 요한네스 로이힐린의 책 『안경』이 출간되었다. 이책의 중심을 이루는 부분은 원래 황제의 요청에 의해 작성된 일종의 법률소견서였지만, 당시 유대 문서를 둘러싼 종교적 갈등이 첨예한 상황에서 나온 발언이었기에, 결국 신학적-철학적으로도 각별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당시 페퍼코른이나 쾰른 신학자들로 대변되던 유럽의 주도적인 입장은, 유대 문서가 사악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압수하여 소각시켜야 한다는 것이었지만, 로이힐린은 유대인들도 신성로마제국의 신민으로서 기본적인 권리는 보호받아야 하며, 따라서 그들의 소중한 재산인 책을 강제로 뺏을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더 나아가서 설혹 유대인들을 그리스도교로 개종시키는 것이 선하고 꼭 필요한 일임을 인정한다 해도, 이를 강제와 폭력적인 방법으로 해서는 안 되고, 오직 선한 마음으로 상대를 대하고, 또 이성 원칙에 기반한 대화와 토론으로 해야 할 것을 주장했다. ‘상대방의 소중한 책을 빼앗아 불사르려 하지 말고, 오히려 그 책을 연구하여 상대를 이해하라’는 것이 로이힐린이 이 책에서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다. 종교 간, 또 문화 간의 충돌이 인류의 가장 큰 위협으로 부각된 오늘날, 로이힐린의 이 제안은 여러 문화의 평화 공존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현대인이 꼭 유념해 들어야 할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Vor fünfhundert Jahren erschien ein kleines Büchlein von Johannes Reuchlin, das Augenspiegel (1511) heißt. Obwohl es sich dabei um ein juristisches Gutachten handelt, bekommt dieses Büchlein doch schon für die Jahre danach im Streit um die Bücher der Juden eine theologisch-philosophisch außerordentliche Bedeutung, und auch aus heutiger Sicht ist es mehr als nur historisch interessant. Während die Gegner (z.B. Pfefferkorn, die Kölner Theologen und Dominikaner Mönche) behaupteten, dass den Juden ihre Bücher beschlagnahmt und verbrannt werden sollen, weil sie inhaltlich falsch und gegen die Christen verfasst seien, hat Reuchlin eindeutig gegen deren Beschlagnahme und Vernichtung votiert, indem die Juden als Untertanen des Heiligen Römischen Reichs Anspruch auf den Schutz durch das Kaiserliche Recht hätten und niemand sein Eigentum (z.B. seine Bücher) durch Gewalt verlieren dürfte. Reuchlin war zwar als Kind seiner Zeit ebenso überzeugt von der Wahrheit des christlichen Glaubens wie von der Notwendigkeit, dass die Juden sich zu Jesus Christus bekehren müssen, um des ewigen Heiles teilhaftig zu werden. Nach ihm aber darf die Judenmission auf keinen Fall mit Gewalt verbunden sein, weder gegen Personen noch gegen deren Bücher, in denen das geistige Erbe tradiert, sondern muss ohne Gewalt allein durch Worte und Argumente im Geist der Sanftmut erfolgen. Im Augenspiegel schlug Reuchlin also vor: “Statt die Schriften zu vernichten, sollen sie gelesen werden”, damit man andere Leute besser versteht und anerkennt. Diese Parole verdient unser aller Interesse, die nach der friedlichen Koexistenz der Kulturen streben in der Zeit, wo die Konflikte zwischen den Religionen sowie zwischen den Kulturen als die Hauptbedrohung gegen die Menschheit vorkommen.

      • KCI등재

        칸트의 Cogito, ergo sum-(1)

        안윤기 ( Yoon Ki An ) 한국칸트학회 2012 칸트연구 Vol.29 No.-

        Bei der Lekture der Kritik der reinen Vernunft sind wir ab und zu uberrascht, denn die Ausdrucke Kants scheinen dem Cartesischen ``Cogito, ergo sum`` zu ahneln. War Kant aber nicht ein Kritiker der rationalen Psychologie, der das Cartesische Cogito-Argument durchgangig bestreitet? Seine radikale Widerlegung scheint uns nahe zu legen, dass aus dem ``cogito`` sich das ``sum`` uberhaupt nicht ergeben wurde. Wenn wir uns jedoch mit einigen Descartes-Erwahnungen Kants (wie A 355 und B 422 Anm.) eingehender auseinandersetzen, konnen wir nicht mehr bei diesem anfanglichen Eindruck stehen bleiben, weil er dort, entgegen unserer Erwartung, eine radikale Unterscheidung zwischen ``cogito`` und ``sum`` nicht zulasst. Kants ``Nein`` zur Schlussfolgerung der eigenen Existenz aus dem ``Ich denke`` bedeutet keine strikte Trennung zwischen ``cogito`` und ``sum``, sondern vielmehr das Identitatsverhaltnis der beiden. Deshalb konnen wir aufgrund dieser Tatsache und einigen Textstellen (vor allem B 157, B 277) die These stellen, die wir das ``Kantische Cogito, ergo sum`` nennen konnten. Das ergibt aber ein schwerwiegendes Problem. Nach Kants These uber das Sein ist Empfindung oder Wahrnehmung das einzige Kriterium der Existenz. Ob eine Sache wirklich existiert, oder nur gedacht wird, davon kann mich nur der Zusammenhang mit irgendeiner meiner Wahrnehmungen uberzeugen oder abhalten. Da mit dem reinen Selbstbewusstsein jedoch keinerlei Rekurs auf eine intuitive Einsicht vollzogen wird, ist die hier behauptete Existenz nicht anschaulich, sondern bloß denkbar. Fur diese Art von Existenz ist der Zusammenhang mit den materialen Bedingungen der Erfahrung, d.h. mit der Empfindung weder erforderlich noch moglich. Diese Art von Existenz bedeutet in der Tat keine wirklich-empirische, sondern eine bloß intellektuelle Existenz. Der Versuch, diese Art von Sein der transzendentalen Apperzeption einfach mit dem noumenalen Ich an sich gleichzusetzen, ist nicht zulassig. Gemeint ist mit diesem ``Ich bin`` nur das Dasein eines reinen Subjekts, das als logische Voraussetzung fur die Moglichkeit der Erkenntnis fungiert. Zwar wird die Existenz (= Vorausgesetzt-Sein) einer transzendentalen Bedingung der Erkenntnis gesetzt, daraus aber erhebt sich kein Anspruch auf die Erkennbarkeit des Ich als einem existierenden Gegenstand. In dieser Hinsicht vertritt Kant die These vom ``Cogito, ergo sum`` nur auf der apriorischen Ebene.

      • 램프 교체 시기 표시장치를 구비한 형광등기구

        안윤기(Youn-Ki An),최홍규(Hong-Kyoo Choi),이근무(Guen-Moo Lee),박승원(Seung-Won Park),윤철구(Cheol-Gu Yoon),이정은(Jung-Eun Lee)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10월

        형광램프를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되면 전자방출 도포막의 일부가 전극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음극 주위인 관 끝에 부착되어 흑화 현상을 일으킴으로써 광출력이 감소하고 광효율이 떨어져 교체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오래 방치한다면 램프 양단 전압의 상승으로 필라멘트가 과열되어 형광등 소켓에 열이 전도 되면서 화재 발생까지 도달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형광램프 수명 말기에 나타나는 현상을 검측하고, 적정 교체시기를 판단하여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구비된 형광등기구 개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If a Fluorescent lamp be used too much time, the filmy part of electronic emission in the lamp that is attached near the tube of the cathode brings about blacking. Luminance output and luminous efficiency are decreased. So, it's necessary to replace it if the user doesn't replace the lamp for a long time, it causes overvoltage in the lamp. Therefore, the filament might be overheated. Even the socket of the lamp might catch on fire. In this paper gives development model of the fluorescent lighting equipment which has ramp shift timely display de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