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빌 비올라(Bill Viola)의 비디오 작품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 통합적 환경과 실존적 주제

        안선미 ( Sun-mee Ah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9 No.-

        본 연구는 빌 비올라(Bill Viola)의 작품에 나타난 현상학적 특징에 관한 고찰이다. 비올라의 작품은 근본적으로 시간성과 신체 체험성에 기반하고, 주제적인 측면에서도 시간성의 통합의 귀결인 실존성과 접목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비올라의 작품을 시간성과 신체의 통합성, 그리고 실존성의 측면에서 고찰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에드문트 후설(Edmund Husserl)에서 시작한 현상학적시간성은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와 모리스 메를로 퐁티(Maurice Merleau Ponty)에 이르면 시간과 신체의 통합이 존재의 실존성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조망하면서, 비올라 작품에서 나타나는 시간성에 기초한 신체 체험적 특징들을 현상학적 개념들과 연계시키고 더불어 주제적인 특징들도 현상학의 존재론적 측면에서의 실존성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비올라의 시간 조작은 정지, 슬로모션, 클로즈업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비올라는 이러한 시간조작을 통해 내적인 시간의식을 표현하려 했다. 그것은 인간의 외부에 존재하는 수치화된 객관적 시간이 아닌, 인간 내면의 의식에서 흐르는 시간성이다. 이러한 비올라의 시간 의식은 후설의 `내적 의식으로서의 시간` 개념과 맞닿아 있다. 비올라의 작품에서 보이는 클로즈업은 작가의 심리적인 역동성을 보여주고, 또한 슬로모션의 사용은 인간의 감정을 관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면서 관객에게 내적 체험을 일으킨다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스크린을 병치시키거나 또는 시간을 역행시키는 비올라의 시간 조작을 하이데거의 `탈자(Ekstatikon)` 개념으로 설명했다. 과거, 현재, 미래의 스크린을 병치시키는 비올라의 작품은, 현재의 의식 속에서 미래와의 연계와 과거의 소환으로 통합되는 시간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을 역행시키는 비올라의 시간 조작은 `장래(Zukunft)`를 미리 선행시켜서 현전으로 복귀한다는 하이데거의 `시간의 통합`과 연계하여 설명했다. 비올라의 죽음에 대한 표상은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는데, 하나는 부활이나 환생이라는 의미보다는 실존적으로 불안의 요소를 관객에게 제시한다는 부조리로서의 죽음으로, 다른 측면은 `선구적 결의(Vorlaufende Entschlossenheit)`의 수단으로서의 죽음으로 이해했다. 관객의 감각을 자극하여 총체적인 지각으로 이끌려는 비올라의 의도는, 설치 공간을 따로 마련하면서 관객의 지각에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어두운 공간에 프로젝션이나 오브제를 설치하고 음향 효과를 주면서 관객의 지각을 이끌어내는 환경은 메를로 퐁티의 `감각의 통합`과 연계된다고 볼 수 있다. `감각의 통합`은 관객의 지각을 작동시키고 결국 관객의 신체가 설치공간과 일체감을 이루게 만드는 비올라의 작품은, 메를로 퐁티의 `신체의 통합`에 의한 `세계의 통합`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works of Bill Viola. His artistic works are generally based on the conception of time and the bodily experience and their themes are also related to the existentiality attained through the unity of time. Therefore this could be accounted as a research to examine the video works of Bill Viola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onception of time, the bodily experience and the existentiality. Bearing in mind that phenomenological conception of time, launched by Edmund Husserl and critically developed by Martin Heidegger and Maurice Merleau-Ponty, evolved into the existentiality of a being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time and body, this study aims to conn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ily experience based on the conception of time in Viola`s works to the concepts of phenomenology and to explore their thematic characteristics through the existentiality from the ontological perspective of phenomenology. In his video work, Viola uses various kinds of camera techniques to manipulate the stream of time such as a stand-still, slow motion, close-up and others. Through the manipulation of time, he tries to represent internal consciousness of time. This is not the time to be numerically counted and objectively existing outside world but the one to flow in the human mind. This thesis proves that such Viola`s sense of time meets with Husserl`s concept of `time as internal consciousness`. The close-up in Viola`s video art shows his psychological dynamism and the use of slow motion conveys the human emotion effectively to audience and arouses internal experience in them. In this thesis, Viola`s time manipulation through the juxtaposition of screens or retrogression of time is explained by Heidegger`s concept of `Ekstatikon`. Putting the screens represent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respectively side by side can be interpreted to show the conception of time which is unified through the anticipated future and the recalled past in the consciousness of the present. Also retrogression of time in Viola`s work is explained in connection with Heidegger`s `unity of time` which brings `the future(Zukunft)` to the present by projecting towards the future. Viola`s representation of the death is examined from two perspectives; first it is understood as the death of the absurdity which brings up the element of existential anxiety to audience rather than the meaning of resurrection or reincarnation, second as the death of a means for `resoluteness(Vorlaufende Entschlossenheit)`. Viola`s intention to induce the total perception by stimulating the senses of the audience works more effectively on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 in the specifically prepared installation space. The environment where the bodily experiences are induced by installing projection or objects in the dark space and giving sound effects can be seen to have a connection to Merleau-Ponty`s `the integration of the senses`. Viola`s works in which `integrated senses` bring about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 and their bodies are led to feel the unity with installation space can be understood with the Merleau-Ponty`s concept of `the integration of the world`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body`.

      • KCI등재후보

        세조대 신숙주(申叔舟)의 대여진활동(對女眞活動)과 비변대책(備邊對策)

        안선미 ( Ahn Sun Mee ) 청람사학회 2020 靑藍史學 Vol.3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세조대 신숙주가 ‘여진 전문가’로 인식되고 중용된 까닭을 분석하고, 양계 지방 체찰사로서 추진한 대여진활동과 다양한 여진 종족들을 상대하기 위해 건의한 비변대책을 구명하는 데 있다. 신숙주는 세조 4년 평안도 도체찰사로 활동하면서 진관체제를 개편하고, 자성군 폐지를 건의하여 4군의 폐지를 완성시켰다. 세조 5년과 6년에는 함길도 도체찰사로 세 번 연속 파견되었다. 세조 5년 여진족들의 화해를 핑계로 우디거를 적극 초무하여 향후 ‘이이제이’의 계책을 발휘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고, 이듬해에는 모련위를 정벌하였다. 이후에는 체찰사로서 활동하며 쌓은 경험과 변경 지식을 토대로 다양한 비변대책을 건의하였다. 그는 니마차 우디거를 적극 초무할 것을 건의하였고, 건주위를 회유하면서도 그 세력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노력하였다. 신숙주는 끊임없이 여진 세력의 동향을 살피면서 조선에 유리한 방향으로 여진 관계를 이끌어 가려하였고, 때로는 중국의 명을 따르지 않고 국익을 위해 현실적인 길을 걸었다. 또한 새로운 진을 설치할 것을 건의하는 등 북방 개척에도 강한 의지를 보였다. 세조대 적극적으로 북방을 경영하여 그 결과 국경선을 지킬 수 있었던 배경에는 신숙주의 여진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변경 지식, 그리고 사안이 있을 때마다 제시되는 적실한 비변대책이 있었다. Shin Suk-ju tried to lead the Jurchen relationship in a direction favorable to Joseon, constantly looking at the trend of Jurchen, sometimes taking a realistic path for the national interest without following China’s orders. He also showed a strong will to explore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by offering to set up a new camp while continuing his inspection of the Heo-Soo-Ra. Behind the active management of the northern part during King Sejo’s Reign, which resulted in the protection of the border, were accurate information on Jurchen of Sin Suk-ju, and the knowledge of border areas, as well as proper defence measures, which were presented whenever there was an iss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