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기술기반셀프서비스(TBSS)에 대한 소비자 지각이 무인편의점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개인의 혁신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신진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as the service paradigm has changed from face-to-face service to non-face-to-face service due to COVID-19, the growth of technology-based non-face-to-face services has been remarkable in the service industry. In convenience stores, unmanned convenience stores are gradually increasing so that it reduces contact between employees and consumers and reduces operational costs. In thin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umer's preception on the technoloy-based self-service(TBSS) on consumer's intention to use of convenience stores. In addition, we examine whether consumer's innovativeness has a moderately role in the causal relationship.

      • 수심에 따른 트레드밀 보행이 뇌졸중 환자의 신체반응과 보행 및 체간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신진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지상트레드밀과 수중트레드밀 보행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신체반응과 보행 및 체간 근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재활병원의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 12명이 선정되었고, 무릎높이와 골반높이의 수중트레드밀과 지상트레드밀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상자들은 세 가지 조건에서 편안속도와 최대하속도로 심박동수와 자각적 운동강도, 활보장주기(stride frequency)와 활보장길이(stride length) 그리고 체간 근활성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대상자들은 모든 수중트레드밀 보행이 지상트레드밀 보다 심박동수와 자각적 운동강도, 체간 근활성도가 모든 속도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5). 또한 무릎높이 수중트레드밀 보행이 골반높이 수중트레드밀 보행보다 심박동수와 자각적 운동강도, 체간 근활성도가 모든 속도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5). 활보장주기는 최대하속도에서 골반높이 수중트레드밀 보행이 지상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활보장길이도 골반높이 수중트레드밀 보행이 지상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p<.05). 무릎높이에서는 활보장주기와 활보장길이 모두 지상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심의 깊이에 따라 보행훈련시 운동강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부력에 의지한 뛰는 형태의 보행패턴은 보행속도를 높이고 수심을 낮춤으로써 지상과 같은 보행패턴으로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전자 게시판을 활용한 과정 중심 영어 작문 지도

        신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컴퓨터 통신과 작문 교육의 접목은 이미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 통신 중에서도 전자 게시판의 상호작용성을 인식하고 이를 작문 교육에 활용 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본 연구는 전자 게시판이 새로운 방식의 의사소통을 제시 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새로운 의사소통 방식으로 전자 게시판을 사용한 작문 교육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과정 중심 작문 교육의 개념 및 의의를 살폈다. 과정 중심 작문은 작문을 사고 과정으로 간주하고 학습자들의 작문은 무엇을 쓰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쓰느냐 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결과 산출물보다 쓰기 과정을 더 중요시한다. 과정 중심 작문은 여러 가지면에서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첫째, 과정 중심의 접근을 통한 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구체적으로 글을 쓰는 방법 혹은 전략을 배울 수 있다. 둘째 학생들 스스로의 활동이 왕성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셋째, 학생들이 작문에 대한 홍마를 갖고, 쓰기에 대한 두려움이나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넷째, 학생들은 의미의 창조와 전달이라는 쓰기의 본질에 더욱 충실해진다. 먼저 과정 중심 작문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작문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살펴본다. 그 속에서 과정 중심 작문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하였다. 과정 중심 작문은 글이 형성되고 필자가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글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여 작문의 목적을 망각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작문의 사회주의적 관점을 과정 중심 작문과 접목시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사회주의적 관점에서의 작문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자 게시판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였다. 전자 게시판은 교사-학생간, 학생-학습 자료간, 학생-학생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해 준다. 본고에서는 특히 학생-학생간 상호작용에 집중하여 과정 중심 작문의 제약 점들을 넘어보고자 시도하였다. 전자 게시판은 학생들에게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환경을 제시한다. 개인의 인지적 구성 과정에서 벗어나 학생들은 독자와 텍스트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작문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게시판은 학생들의 최종 결과물을 게시할 수 있는 대중 저널 혹은 전자 출판의 기능을 하는데, 이 역사 전자 게시판의 상호작용성이 전제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이론들을 기반으로 전자 게시판을 실제로 구성해 보았다. 전자 게시판은 첫째, 글을 올릴 수 있는 “write" 코너를 마련하였다. 학생들이 동료의 글을 읽고 수정해 줄 수 있도록 “reply"를 제공했는데, 이때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동료 수정 양식을 기본값으로 삽입하였다. 이는 학생들에게 자연스럽게 동료 수정의 과정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과정 중심 작문 교육이 지니는 의의를 밝혀고, 이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자 게시판의 상호작용적 특성을 설명하였으며, 실제로 작문 수업을 위한 전자 게시판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작문 능력 향상 여부와 다른 컴퓨터 통신을 매개로 한 작문 수업과의 비교 연구가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전자 게시판을 활용하고 난 후의 작문 능력 향상 여부를 분석하지 않았고, 전자 게시판을 활용한 작문 지도와 다른 컴퓨터 통신의 수단을 활용한 작문 지도와의 비교 절차가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후속 연구와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만들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overcome possible disadvantage of process-oriented writing through connecting it with the social perspective of writing which emphasizes social interaction. This thesis uses electronic bulletin board because it makes possible to facilitat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students, students-learning materials and students-students. Especially, interaction of students-students through electronic bulletin board is discussed and used for interactive process-oriented writing. Electronic bulletin board is constructed on the web for peer revision in process-oriented writing. It contains the section "write" to post students' drafts and the section "reply" to revise peers' drafts. The section "reply" has the 'peer revision form' suggested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is inserted as default. It helps students approach peer revision naturally. Electronic bulletin board supplies students with circumstances for social interaction. Students would rather construct their drafts considering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the reader and the text than be concerned with focus on cognitive writing process. It also functions as a public journal of electronic publishing on which students post their final drafts. Finally, the active peer revision through electronic bulletin board causes self-revision and makes individual writing expand into interactive writing.

      • 김구림의 작업에 있어서의 오브제와 일상의 의미 : 시대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신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현대미술에 있어서 1970년대 전후 미술은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다. 때문에 모더니즘 양식의 단색조 회화 혹은 (한국적)백색 모노크롬이 주류를 이룬 반면 실험미술과 같은 다양한 작업들은 비주류로 취급당해 상당수의 작업들이 유실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970-80년대 활발히 작업했으나 주류로써 인정받지 못하고 오랜 외국생활로 국내에서 잊혀진 김구림의 작업을 다시금 재조명해보고 이를 통해 한국현대미술의 전개과정에 있어서 그가 차지하는 의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김구림은 1958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1960년 후반 전위적인 작업을 통해 알려졌다. 장르 간의 구별을 없애고 예술의 총체화를 주장하며 실험미술계열의 현실참여적인 작업을 벌인 반면, 이후 개념적인 부분이 강조된 설치·입체작업과 평면작업을 발표하면서 회화, 입체, 판화, 행위미술, 설치 및 대지미술, 영상, 자수, 무대미술 등 다양한 경향․장르의 작업을 보여주었다. 때문에 그의 작업은 일관성 없어 보이고 이들 간의 연관성 또한 찾기 힘들다. 하지만 이와 같은 다양성은 당시 기성화단의 고정관념을 타파하기 위해 장르간의 구분을 없애고 작가중심주의를 부정하였다는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1970-80년대 주류로 활동했던 (한국적)백색 모노크롬 또는 민중미술과는 다른, 일상의 사물을 통한 일상성을 주요한 소재로 다루어 한국의 포스트모더니즘을 대표하는 김구림의 작업을 체계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를 위해 그의 작업에 있어서의 오브제와 일상의 의미를 시대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즉, Ⅱ장에서는 시대를 통한 예술성의 구현이라는 주제로 김구림 작업의 시대적 의미와 그의 예술론에 대해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그의 작업을 시기별 흐름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서구 작가의 작업과 비교하여 그의 작업이 동시대성을 지니고 있으면서 그만의 독창성이나 논리성에 대해 알아보겠다. 이를 위해 Ⅲ.1장에서 1960년대 말까지의 작업을 ‘변화에 따른 새로움과 실험정신’으로 당시 발표했던 실험미술계열의 작업들과 종합예술의 추구, 그리고 이를 통해 기존 관념을 타파하려는 그의 예술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Ⅲ.2장에서는 완전한 도시화를 이룬 한국의 1970-80년대의 ‘산업화·도시화된 사회의 상징’으로써 등장하는 일상의 사물(기성품)을 통한 설치작업과 오브제 작업에 대해 알아보겠다. 또한 ‘행위’와 ‘그리다’에 대한 김구림의 생각과 이를 바탕으로 전반기의 실험적인 작업과 후반기의 평면작업의 사이에서의 오브제 작업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Ⅲ.3장에서는 ‘1990년대 이후 매스미디어에 잠식된 대중’이라는 주제로 그의 대표작인 음양시리즈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Ⅳ장에서는 오브제 작업을 중심으로 소재와 행위 그리고 결과물로서의 오브제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그가 시대를 어떻게 이해하려했으며, 다른 경향․장르의 작업들을 아우르는 중심사상과 일관된 특성이 오브제를 통해 어떻게 발현되었는지 찾아보고, 그 의의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김구림의 첫 개인전에서부터 현재에 이르는 작업을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정리하여 전체적인 작업맥락을 짚어봄에 따라, 1960-70년대 발표한 실험미술계열 작업이 갖는 당시의 의미와 그의 작업에서의 위치 혹은 연관성을 갖는지도 밝히게 될 것이다. 또한 그의 오브제 작업을 새롭게 제조명함으로써 평면작업과의 연관성을 찾아볼 것이고, 나아가 일상성의 작업을 통해 한국의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즉, 모더니즘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1970-80년대 주류 작업에서 벗어난 김구림의 작업은 일상의 사물을 통해 일상성을 정면으로 다룸으로써 1980년대 이후 한국현대미술에 급격히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의 선구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Fine arts in the vicinity of the 1970s failed to be duly recognized in Korean contemporary arts. Therefore the mainstream was mono-color paintings in modernism mode or (Korean style) white monochrome, while such various works as experimental arts were treated as non-mainstream leaving many worthy art works unrecognized. In this regard, this thesis pays a renewed attention to the art works of Kim Ku Lim, who was active in the 1970s and 1980s but failed to be recognized as a mainstream artist with his long expatriate life overseas life, in the hopes to bring back missing pieces of diverse Korean contemporary arts. Kim Ku Lim gained reputation from the public in the late 1960s with his avant garde works after his first individual exhibition in 1958. Bringing down walls between genres, he advocated the desegregation of all arts and engaged in socio-art participatory works. Later his conceptual stress on installation & three-dimensional works and plane works led to the creation of various genres of work including painting, plastic work, printing, performance art, installation & land art, screen art, embroidery, stage art, etc. This invites the accusation that his works are inconsistent without connections between works. But the extreme diversity of his works can be interpreted as an iconoclastic attempt to destroy boundaries between genres and negate artist-oriented stereotypical trends. This thesis systematically delves into Kim Ku Lim's works who represents Korea's postmodernism by dealing with normalcy as his key subjects using daily objects departing from mainstream (Korean style) white monochrome or Minjung (People's) arts in the 1970s and 1980s. For this purpose, objets of Kim and their significance in daily normalcy will be tracked in tandem with changes of the times. Specifically, in Chapter II Kim's works' contemporary significance and his beliefs in arts are studied under the theme of "achievement of arts through contemporary times." In Chapter III, his works are classified by periods and compared to Western counterparts to vindicate the contemporaneity of his works and his originality and logic. More specifically in Chapter Ⅲ.1, Kim's "spirit of experimentalism and novelties through changes" until the late 1960s are studied where he pursued experimental and composite arts. This will unveil his view of art to break away from conventionalism. Chapter Ⅲ.2 studies his installations using daily objects (ready-made goods) and objet works as a "symbol of industrialized/urbanized society" against the backdrop of a fully urbanized Korea in the 1970s and 1980s. Also studied in this chapter is Kim's thoughts on "behavior" and "drawing" and thereof significance of object works between his experimental works in the early stage and plane works in the later stage. Chapter Ⅲ.3 reviews Kim's major works of Yin-Yang series under the theme of "the people inundated by mass media after the 1990s." Chapter IV looks into his understandings on contemporary periods by observing objet materials and behaviors and objets as a consequence and into his manifestation and significance of beliefs on inter-genre works and consistent features through objets. This thesis revisits Kim Ku Lim from his first exhibition to today's works chronologically period by period to rediscover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his experimental art works in the 1960s and 1970s and to reposition his relevance. A renewed attention paid to his objet will establish a connection to his plane works and furthermore explain his postmodernism through his work of daily normalcy. In sum, the works of Kim Ku Lim that deviated from the mainstream Korean modernism works of the 1970s and 1980s embrace normalcy through daily objects, which pioneers postmodernism that rapidly emerged in Korean contemporary art in the 1980s.

      • 韓國詩情의 性向硏究 : 愛情詩, 自然詩를 中心으로 한 分析心 理學的 照明

        신진 東亞大學校 大學院 1978 국내석사

        RANK : 247631

        Creating a poem requires spiritual mechanism involved in the completion of the activity and the subconscious instinct, which stir the phantasy, the motif of creating a poem We have deduced the inclination of korean poetical sentiment, as a constant spiritual mechanism which Korean poems have in the pursuit if "defence mechanism" in Korean poetical sentiment for the purpose of probing the national ethos in Korean poetry. We intend to present the appreciators with argument for understanding Korean poetry and the writer with the challenge which he should solve in the course of writing or creating : for the poet must take the two challenges of the succession of tradition and the securing of modernism in the work. For convenience' sake, we have focused our study in the love poems and the poems of natural poetry. The love poems of Korea which originated from "Kong-hu-in" and "Hwang-Jo-ga" do not glorify the pleasure of love but sing the sorrow of parting, which result in the motif of Poetic emotion. The poetic emotion of natural poetry is dominated by the negative, despairing nomadism and escaping narcissism. The psychological fact can be diagrammed as fellows : First, scapegoating or rationalization → identification→ fantasy or daydream. Seeond, isolation and nomadism narcissism. The so-called traditional works take the above courses in the same way or in the very similar way. Thus,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Korean love poems and the poems of natural poetry can be rul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personality by K.Horney, as compliant type and detached type respectively. In this viewpoint, the writer thinks that a basic personality type in Korean poetry sentiment is in the introversive type to be to deeply imagine of drastic repressive background in Korean poetry sentiment (destiny history). We can tell a basic form of Korean poetry sentiment through such as psychoanalistic approach. Here, there are two kind of emphatic expressions, that is ; emphases in superego and in Thanatos. The writer seems that there appear the emphases in superege and in thanatos in the most of all Korean poetry -especially on traditional lyric poetry -but the writer does not emphasize that modern poets in Korea should have the same inclination when they write. This is no desirable thing for developing Koran poetry that the Psychological inclination in Korean poetry should descend down till now as the above with a view to deeply psychological repression. The writer supposes that every poet should study and apply in his own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