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데카르트의 『음악개론』에서 협화음의 예술철학적 문제

        손홍국 ( Hong Gook Son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용봉인문논총 Vol.- No.45

        보에티우스에게 협화음은 옥타브와 5도 그리고 4도이다. 화음의 조화로움을 규정하는 이러한 예술철학적 입장은 고대로부터 중세로 이어졌다. 그러나 데카르트는 그의 저서 『음악개론』에서 이러한 입장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는 보에티우스에게서 배제되었던 3도와 6도를 협화음의 범주에 귀속시킨 것이다. 이것은 무엇을 위한 시도이며, 또 어떻게 예술철학적 입장에서 정당화될 수 있을까? 본 글은 이것을 문제로 삼고, 그것을 데카르트의 텍스트와 그것을 둘러싼 배경들 속에서 해명하려고 시도 하였다. 보에티우스가 옥타브와 5도 그리고 4도를 협화음으로 인정했던 이유는 그것들이 가장 단순하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에게 이러한 단순성은 화음의 조화로움을 판단하는 가장 기본적인 예술적 기준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시도는 16세기 짜를리노에게 오면, 많이 희석된다. 왜냐하면 짜를리노는 옥타브와 5도 그리고 4도뿐만 아니라, 3도와 6도를 모두 협화음의 범주 속으로 이끌고 들어오기 때문이다. 그럼으로써, 그는 여러 화음이 표현하는 감정의 다양성을 조화의 범주 속으로 풀어놓는다. 그러나 그의 그러한 예술적 이해에도 불구하고, 그는 수의 단순성을 통해 이러한 협화음들을 체계화시킴으로써, 그가 이해한 감정의 다양성을 철학적으로 정당화시키지 못한다. 협화음과 관련된 데카르트의 시도는 이러한 감정의 다양성에 관한 정당화이다. 그는 피타고라스 이래로 전해져 내려오는 음악적 이해로서의 단순성을 견지하면서도, 그것으로부터 다양성이 배제되지 않도록, 협화음을 새롭게 규정하는 일에 착수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당화를 위해, 그는 보에티우스처럼, ‘수의 단순성’으로부터 협화음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산술적 분할의 단순성’으로부터 협화음을 규정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는 보에티우스에게 협화음의 범주로부터 배제되었던 3도와 6도를 협화음의 영역 속에서 정당하게 정립시킨다. According to Boethius, the consonances are the octave, the fifth and the fourth. This philosophical standpoint for music, in particular consonance goes to the Middle Ages. But Descartes emerges from this view, in his book, Compendium musicae. He think that the third and the sixth pertain to the consonance. For what is this trial? And How is it justified philosophically? This paper is for this question, and I try to explain through Descartes`` text and the context surrounding him. Boethius determines the consonance from simplicity of number, and at same time, He excludes the variety of music. However, Descartes maintains this simplicity as the truth of music, and at same time, determines in new way, not to exclude the variety of music. For its justification, Descartes does not determine the consonance from ‘the simplicity of number`` as Boethius, but it from ‘the simplicity of arithmetical division``. By means of it, He poses the thrid and the sixth under the consonance in right way, which had excluded from the consonance by Boethius.

      • KCI등재

        칸트 최고선 이론에서 의지의 규정근거 문제

        손홍국 ( Son Hong Gook ) 한국칸트학회 2021 칸트연구 Vol.47 No.-

        최고선의 개념은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덕과 행복의 완전한 결합으로 정의된다. 그런데 칸트는 이러한 완전한 결합이 과연 의무로서 우리에게 명령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칸트는 최고선의 촉진과 추구를 말한다. 본 논문은 칸트 최고선 개념의 이와 같은 두 가지 관점을, 그를 둘러싼 문맥과 함께 분명히 한다, 칸트는 에피쿠로스주의와 스토아주의의 최고선 개념을 비판한다. 두 학파는 최고선이 감성계에서 실현 가능한 것으로서, 의무로 여겼기 때문이다. 따라서 칸트의 내적 문맥은 최고선의 현실성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하지만 동시에, 최고선개념의 조건인 최상선 즉 덕은 최고선의 가능한 실현 또한 명령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최고선 개념은 두 개의 최고선 개념으로 구별되어 정립된다. 하나는 최고의 파생된 선이고, 다른 하나는 최고의 근원적 선이다. 전자는 감성계에서 가능한 최고선을 의미하고, 후자는 감성계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요청으로서의 최고선을 의미한다. 칸트의 이러한 구별은 중요하다. 칸트 최고선 이론에서 의지의 규정근거 문제는 이러한 구별을 통해서 적절하게 설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칸트 최고선 이론에서 의지의 규정근거 문제에 관해, 본 논문은 이러한 구별과 그것을 둘러싼 문맥에 주목함으로써, 칸트의 최고선 개념은 최고의 파생된 선의 입장에서 보면 의무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최고의 근원적 선의 입장에서 보면 의무로서 이해될 수 없다는 점을 구체화한다. The highest good concept is defined as the perfect coincidence of virtue and happiness. But Kant throw a doubt on such coincidence. Conversely, he states that “we ought to strive to promote the highest good”. This study treats these two points in his context. He criticizes the highest good concepts of the Epicurean and the Stoic. The two opinions understand the highest good concept as duty that can be attained in this world. Accordingly, Kant limits the idea in reference to perfect coincidence of virtue and happiness. However, because again, the practical idea postulates the possibility of such coincidence, here, Kant’s highest good concept is distinguished. The first is the highest derived good, and the other is the highest original good. The former is possible only in this world, and the latter is only possible only in the intelligible world. This important distinction by Kant provides a proper explanation of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ground of pure will. Namely, the highest good concept must be understood as duty from the standpoint of the highest derived good, but not as duty from the standpoint of the highest original good.

      • KCI등재

        크루지우스의 볼프 충분근거율 비판

        손홍국(Hong Gook Son) 철학연구회 2014 哲學硏究 Vol.0 No.107

        Crusius criticizes Leibniz’s and Wolff’s principle of the sufficientreason. If he rejects the Metaphysics of substance and the Metaphysicsof essence, then which new way is possible in Metaphysics? This isthe very his question.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he firstcriticizes wolff’s principle of the sufficient reason, and after that, hedetermines new principle. For Wolff, the principle of contradiction is the principle of logicalknowledge and at same time the principle of metaphysical knowledge. For According to Wolff, the existence pertains to essence. Thereforefor him, the principle of sufficient reason is the principle of essenceknowledge. However, Crusius thinks that wolff’s explanation is notappropriate, because two principle is certainly different from each otherin thinking place. So, the principle of sufficient reason can not beargued by the principle of contradiction. In separating this two principle and grounds, Crusius naturally goesto the thinking on the validity of metaphysical thinking. His principleof determined reason is the basic foundation for such new trial. ForLeibniz, the principle of sufficient reason is the principle of substanceknowledge, for Wolff, it is of essence knowledge, but for Crusius it isof position for existence. Through such principle of determined reason,Crusius looks at two world, unlike Wolf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