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사-아동관계증진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공감 및 교육신념에 미치는 영향

        손금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designed to research into the influence on empathy ability & professional beliefs of would-be teachers by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filial therapy or kinder therapy)between teacher & child as a part of teacher's educational program to be approached emotionally to the child by recognizing the problems of teachers' existing program about how to approach emotionally to the child as the existing program has been planned knowledge-oriented. I have tried to define the study to see whether the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between teacher & child exert an influence on the empathy ability & professional beliefs of would-be teachers or not as follow; 1. Does the participation in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between teacher & child of would-be teacher exert an influence on empathy ability of the child? 1) Does the participation in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between teacher & child of would-be teacher exert an influence on communication of acceptance ability of the child? 2) Does the participation in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between teacher & child of would-be teacher exert an influence on allowing the child self-direction of the child? 3) Does the participation in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between teacher & child of would-be teacher exert an influence on involvement of the child? 2. Does the participation in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between teacher & child of would-be teacher exert an influence on professional ability of those teachers? 1) Does the participation in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between teacher & child of would-be teacher exert an influence on mature professional beliefs of those teachers? 2) Does the participation in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between teacher & child of would-be teacher exert an influence on behavioral professional beliefs of those teachers? 3) Does the participation in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between teacher & child of would-be teacher exert an influence on interactive professional beliefs of those teachers? The vehicles used to work out these issues were MEACI (Measurement Empathy in Adult-Child Interaction) by Stover(1971) and Measurement of Professional Beliefs by Han Ji-hye(1992).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prior & post controlled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got divided into 2(two) due to the program hours to be proceeded. Each group was 8 persons for A, 5 persons for B of experimental groups of would-be teacher and 13 persons for controlled group, and the same number of children was composed of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each by random sample. The place conducted as programmed was a II kindergarten which the objected children attends, and the conducted numbers of program was total 8 times, twice a week for 4 weeks. To analyze data from the results of program, the x2 & t verification and an impartial analysis for quantit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via SAS of statistical program,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report of would-be teacher as to participating motive of the program via interviews and the change of emotion after its completion. I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n a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between teacher & child, the would-be teachers in experimental group appeared to be similar difference as compared with the empathy ability of the teacher and child in controlled group. Now we can learn that the empathy ability of children by would-be teachers can get influenced affirmatively when the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between teacher & child applied to would-be teachers like the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between teacher & child. Also, by the qualitative analysis of would-be teachers' report, when the would-be teachers took part in the said program, it appears that the would-be teachers' ability can reflect the feelings of child has been improved and more understanding ability on children as well than before participation in program. Secondly, it appears that the professional beliefs of would-be teacher got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conducted as a would-be teachers' training. In a preceding studies via existing educational practice, it appeared that the behavioral professional beliefs showed only unequal difference from others, on the contrary, in a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between teacher & child appeared that the mature and interactive professional beliefs has been increased while the behavioral professional beliefs has been reduced. By these results, now we can learn that the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 between teacher & child can improve in empathy ability and exert an influence on professional beliefs of children by teachers affirmatively by conducting the would-be teachers' training. 교육의 질을 좌우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교사를 들 수 있다. 교사 는 교육의 계획에서부터 실행, 평가에 이르기까지 교육 전반에 걸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교육의 주체이다. 따라서 교육에서 교사가 차 지하는 비중이 높은 만큼, 자질 있는 교사들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은 교육발전을 위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과제이다. 그러나 자질 있는 교사는 단기간에 양성될 수 없으며, 초임교사 시기부터 현장에서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얻게되는 경험들을 통해 좀 더 성숙한 교사로 성장하게 된다. 초임교사들이 겪게 되는 수많은 시행착오들은 대부분의 교사들이 공통적으로 겪게 되는 문 제들이다. 초임교사들이 겪는 가장 큰 문제는 아동과의 공감능력 부 족이며, 그로 인해 아동들과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공감능력에 부족한 초임교사들은 학급 내에 발생하게 되는 부적응 아동과의 관계에서 아동의 행동을 수정함으로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려 노력할 뿐, 아동의 정서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이 더욱 중요함을 인식하지 못한다. 초임교사들이 겪는 이러한 어려움은 그들과 만나게 되는 아동에게 도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아동의 행동이 잘못 이해되 고 접근됨으로서, 아동에게 심각한 정서적 문제를 발생시킬 수도 있 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특히, 유아교육의 경우 대상이 어린 유 아로 아직 표현능력의 성숙하지 못하므로 아동들의 심리세계에 대 한 이해가 더욱 더 요구된다. 따라서 아동에 대한 정서적 접근이 다 른 교육 분야에서보다 중요시되며, 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요구된 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질 있는 교사들을 통한 교육 이 요구되며, 자질 있는 교사들을 통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를 양성하는 초기과정에서부터 장기적, 계획적, 체계 적으로 교사양성교육과정을 운영하여야 한다. 최근의 교육은 인지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던 지식위주의 교육에서 탈피해 정서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통합적인 의미의 교육이 강조되 고 있다. 과거 지식만을 강조하던 교육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 였고, 이로 인해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위해서 정서적인 측면에서의 관심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혹 발생 할 수 있는 아동의 정서적인 문제들을 예방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관심들을 불러 일으켰으며, 이를 위한 노력으로 정서적인 측면의 교 육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강조되는 정서적 측면에서의 교육 을 현장에서 교사들이 적용하는 데 있어서 많은 어려운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그 중 가장 큰 문제는 기존의 교사교육프로그램들이 지식위주로만 구성되어지고, 정서적 측면에서의 접근을 경시하고 있 으므로, 정서적인 측면의 접근을 어떻게 해 나가야 할지를 교사들이 교육받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정서적인 측면 에서의 접근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교사-아동관계증 진 프로그램을 예비교사들에게 실시해보고, 프로그램실시가 예비교 사들의 아동과의 공감능력향상과 교육신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아동관계증진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공감 및 교육신념에 어떠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 정하였다. 1. 교사-아동관계증진 프로그램 참여가 예비교사의 아동에 대한 공감능력을 증진시키는가? 1) 교사-아동관계증진 프로그램 참여가 예비교사의 아동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는가? 2) 교사-아동관계증진 프로그램 참여가 예비교사의 아동에 대한 자기안내 허용을 증진시키는가? 3) 교사-아동관계증진 프로그램 참여가 예비교사의 아동에 대한 관여를 증진시키는가? 2. 교사-아동관계증진 프로그램 참여가 예비교사의 교육신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 교사-아동관계증진 프로그램 참여가 예비교사의 성숙주의적 교육신념을 증가시키는가? 2) 교사-아동관계증진 프로그램 참여가 예비교사의 행동주의적 교육신념을 감소시키는가? 3) 교사-아동관계증진 프로그램 참여가 예비교사의 상호작용주의 적 교육신념을 증가시키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도구로 Stover(1972)등이 개발한 성 인-아동 상호작용의 공감척도(Measurement Empathy in Adult- Child Interaction ;MEACI)와 한지혜(1992)가 제작 사용한 교육신념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통제집단설계로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진행시 간상의 문제로 실험집단은 2개로 나누었다. 집단의 구성은 예비교사 실험집단은 A집단이 8명 B집단이 5명이었으며, 통제집단은 13명이 었고, 같은 수의 아동을 무선배정에 의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이 실시된 곳은 연구에 참가한 아동들이 재원 하고 있는 H유치원이었으며, 1주일에 2회씩 4주간 총 8회에 걸쳐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프로그램의 결과로 얻어진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양적 분석은 통 계프로그램인 SAS를 이용해 t검증, χ²검증, 공변량분석을 실시하 였고, 면담을 통해 얻은 프로그램 참여동기와 종료후의 감정변화에 대한 예비교사의 보고를 기초로 질적 분석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교육에 적용하여 실시한 교사-아동관계증진 프로그 램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예비교사들이 통제집단의 예 비교사들에 비하여 아동에 대한 공감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는 교사- 아동관계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장미경(2000)의 선행연구 결 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교사아동관계증진 훈련 프로그램이 예비교사 교육에 적용되었을 때 예비교사의 아동에 대한 공감능력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보고를 중심 으로 질적 분석을 한 결과에 의거 예비교사들은 교사-아동관계증진 프로그램에 참가하여 아동의 감정을 반영하는 능력이 향상되었고, 프로그램 참여 이전보다 아동에 대해 더 이해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둘째, 예비교사교육에서 실시된 교사-아동관계증진 프로그램은 예 비교사의 교육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한지혜(1992)의 선행연구와는 상이한 결과로, 선행연 구에서 예비교사들에게 기존의 교사교육에 의하여 교육실습을 실시 한 이후, 행동주의 교육신념에서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연구에서 실시된 교사-아동관계증진 프로그 램에 참여했던 예비교사들은 성숙주의 교육신념과 상호작용의 교육 신념은 증가되었고, 행동주의 교육신념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교사-아동관계증진 프로그램이 예비교사교육에 실시됨으로 교사의 아동에 대한 공감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고,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미술성향에 미치는 영향

        손금옥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has a purpose in discovering the amount of influence that reading of painting activities has on the child’s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and art disposition, and on this basis, to provide a basic professional-academic method of effective methods to be used at children’s education facilities.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have been set. 1. What is the influence that reading of painting activities has on the child’s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2. What is the influence that reading of painting activities has on the child’s art disposition? The research target was forty 5-year old children, with twent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 in the comparative group that attended a kindergarten near G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picture books to conduct reading of paintings, and in the comparative group, children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picture books to conduct reading of paintings. The experiment went on for 8 weeks,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6 times. The experiment tool that was used to determine the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is based off of Snow (1989) VQ writing examination that has been edited by Nam Mi Chung (1996) and Ji Yeon Lee (1999). To determine the art disposition, the “Art Disposition Examination” edited by Hyun Sook Yoon (2005) was used. Based on the prior and post examination result, the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and art disposition score was calculated in whole scores and the difference of the lower components average. The prior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were compared against the ANCOVA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through the SPSS program.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as result of determin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reading of painting activities as well as the group that read the books in a general way, the experimental children’s linguistic expressions’ was statistically higher. However, the “expressional vocabulary” component which is one of the lower components of linguistic express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sult, however, the marks were higher for “number of sentences” and “length of sentences”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group. This result means that reading of painting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ild’s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Secondly, as result of determin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reading of painting activities, as well as the group that read the books in a general way, the experimental group’s art dispos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Regarding the lower components of “art disposition”, “artistic attitude”,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 was not statistically higher, but for “art component ability” and “art expression ability”, the score was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is result means that reading of painting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ild’s art disposition. As a result,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reading of painting activities has a positive influence child’s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and art disposition. This research result may be valuable to be used in a professional and academic way in children’s education facilities to improve the child’s linguistic expression and art disposition. 본 연구는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미술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이 유아의 미술성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과 비교집단 20명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생활주제와 관련된 그림책으로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유아들에게는 같은 기간 동안 동일한 그림책으로 일반적인 내용중심의 그림책 읽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8주 동안 1주에 2회씩 총 1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언어표현력 측정을 위해 Snow(1989)의 VQ 쓰기 검사 도구를 바탕으로 정남미(1996), 이지연(1999)이 수정한 ‘언어표현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미술성향 측정을 위해 윤현숙(2005)이 재구성한 ‘미술성향 검사’를 사용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근거로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미술성향 점수에 대한 전체점수와 하위영역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그림책 읽기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을 사후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의 언어표현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표현력의 하위영역인 ‘표현 어휘수’에 있어서는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여주지 못하였으나, ‘문장 수’, ‘문장 길이’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둘째,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그림책 읽기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을 사후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 유아의 미술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성향의 하위영역인 ‘미술적 태도’에 있어서는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여주지 못하였으나, ‘미술구성능력’, ‘미술표현능력’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이 유아의 미술성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미술성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그림책 그림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미술성향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관계에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미치는 영향 : 모-자녀 관계와 유아의 놀이성의 매개 효과

        손금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Peer relationships during infancy involve the process of acknowledging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through self-centered behavior and forming a basic understanding regarding social rules and morality. Peer relationships formed at this stage influence the growth and development at later stages as well. This also holds true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are rapidly increasing in society. Children from these families in Korea, whose mothers often immigrated for marriage, experience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ships due to confusion, differences in parenting culture, and social discrimination in a bicultural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and develop healthy peer relationships to ensure that these children can develop as healthy individuals as a part of the future generation of society.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 and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ing anxiety,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mother-child relationships, and infant playfulness on peer 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the parenting characteristics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fath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yfulness and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 research model has been prepared for this study. The collated information was affirmed through expert advice and preliminary research. Based on the country of origin of the mothers, research tool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English, Chinese, and Vietnamese, and research drawing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through coopera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C and J region. After collating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EM) were perform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e direct effect analysis indicate that infant playfulness is significant in terms of the effect of mother-raising anxiety, father-rearing participation,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infant playfulness on the infant peer relationship i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indicates that these factors are not significant as direct explanatory variables for infant peer relationships. Regarding the effects of mother-rearing anxiety and father-rearing participatio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infant playfulness were fully mediated and displayed a double-mediated effect. This was divided into simple and double mediation effects. The four simple mediation effects were examined. First, a negative mediating effect of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rearing anxiety and infant play performance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was found on this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infant play performance.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was not se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parenting anxiety and infant peer 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it was not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infant peer relationships. Thir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infant play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rearing anxiety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peer relationships of infants, and a mediating effect was not se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infant peer relationships. Fourth, the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infant's playfulness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peer relationships of infants. Furthermore, mothers’ parenting anxiety and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with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as the primary mediator and the infant's playfulness as the secondary mediator, affecting the peer relationships of infants. These results show that parenting methods, such as mothers’ parenting anxiety,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and mother-child relationships, are not direct explanatory variables for the infant's peer relationships and implies that these can affect the peer relationship of infants only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the infant’s playability. In-depth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is required by further diversifying studies that have examined the effects of children's play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with a focus on parental factors. 유아기에 또래관계는 자기중심적 행동에서 타인을 인정하고 소통하며, 사회적 규칙과 도덕성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이다. 이 시기의 또래관계는 이후 시기의 성장과 발달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결혼이주여성이 어머니인 경우가 많은 한국의 다문화가정 유아들은 이중문화 환경으로 혼란과 양육문화의 차이, 사회적 차별 때문에 또래관계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우리사회의 미래세대로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건강한 또래관계를 형성하고 발전시켜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양육불안, 아버지 양육참여, 모-자녀 관계, 유아 놀이성이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특성, 다문화가정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관계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전문가 자문과 예비조사를 통해 연구도구를 확정하였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출신국가를 고려하여 연구도구를 한국어,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로 번역하여 제공하였으며, C도와 J도의 유아교육기관의 협조를 통해 자료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직접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어머니 양육불안, 아버지 양육참여, 모-자녀 관계, 유아 놀이성이 유아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유아 놀이성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가정 어머니 양육불안, 아버지 양육참여, 모-자녀 관계는 유아 또래관계에 대한 직접적인 설명변수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 양육불안과 아버지 양육참여가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자녀 관계와 유아 놀이성은 완전매개 형태로 이중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단순매개 효과와 이중매개 효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먼저 단순매개 효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 양육불안과 유아 놀이성과의 관계에서 모-자녀 관계의 부적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아버지 양육참여와 유아 놀이성과의 관계에서 모-자녀 관계의 정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어머니 양육불안과 유아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모-자녀 관계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아버지 양육참여와 유아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모-자녀 관계의 매개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머니 양육불안과 유아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아버지 양육참여와 유아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다문화가정 모-자녀 관계와 유아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유아 놀이성의 정적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중매개 효과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 어머니 양육불안과 아버지 양육참여는 모-자녀 관계를 1차 매개변인, 유아 놀이성을 2차 매개변인으로 하여 유아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그동안 다문화가정 유아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시되어 온 어머니의 양육불안, 아버지의 양육참여, 모-자녀 관계와 같은 부모의 양육 방식은 유아의 또래관계에 대한 직접적인 설명변인이 되지 못하고, 유아의 놀이성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해서만 유아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결과는 그동안 부모 요인을 중심으로 유아의 놀이성과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던 연구들을 보다 다양화하여 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한 보다 면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