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실습 교육과정 연구 : 파라과이 사례를 중심으로

        성유저 경희사이버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new model on the curriculum of ‘Teaching Practicum’ for non-native Korean language student teachers so that foreign universities can adequately educate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It also provides suggestions to implement this new model in the field. The object of study was the National Institute of Higher Education in Paraguay, wher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epartment was established in 2013.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needs assessments were conducted on learners, local teachers and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e study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model curriculum, how it was implemented in local institutions, how student teachers were evaluated and the role of mentors in the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and the needs assessments, a new model of the curriculum was presented. The relationship of course material to practical classes was more closely connected, and it focused on improving the training of Korean teachers. The new model consisted of a total of five semesters,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re divers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Paraguay. The time allocated to administrative practice, class observation and educational research was reduced and methods to help build rappor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ere included. In addition, methodology for teaching both language and culture was given a higher priority.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se new practices, many aspects of the local Korean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The age range of learners should be fully considered, that is, whether the students are adults or children, because teaching methods va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minimum educational standard for mentor teachers, including teacher training courses to keep them up to date on current best practices. Appropriate evaluation realized by different parties is essential. These parties include professors of teaching practicum, mentor teachers, professors of other aspects of the Korean language, and fellow student teachers. Evaluation criteria must be more focused on specific aspects of the Korean language, such as Korean pronunciation and grammar.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circumstances at universities abroad, there is a limit to this study; research done in Paraguay cannot be considered a universal standard. However, it can provide a solid basis for future studies and implementations in other countries. 본 연구는 해외 대학에서도 양질의 비원어민 교원을 양성할 수 있도록 비원어민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실습 교육과정 모형을 제시하고, 비원어민 교원 양성을 위한 실습을 시행할 때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한국어교육학과가 설치된 파라과이 국립교원대학교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 사례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실습생, 현지 학교 지도 교사, 비원어민 교원, 운영 기관인 대학의 교육실습 담당 부서장과 한국어교육학과 학과장 등 교육실습에 참여하는 모든 구성원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교육실습 교육과정의 구성과 내용, 현지 실습 기관과 지도 교사, 평가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사례 조사와 요구 조사 결과를 토대로 교육실습 교육과정 모형을 제시하였다. 교육실습 구성에 있어 파라과이 국립교원대학교의 이론 강의와 현장 실습이 동시에 진행하는 구성은 실습 전 충분히 준비할 수 있는 시간과 실습 후 함께 경험을 공유하고 성찰할 수 있어 비원어민 실습생들에게 매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이 구성을 유지하되 교육과정의 구성에서 이론 강의와 현지 학교 실습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 모형은 총 5학기로 구성하였으며, 파라과이의 수업 현장이 초등학생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교육실습의 내용은 기존의 행정 실습, 참관 및 탐방 시간을 줄이고 학생 생활 지도 영역을 포함하여 교원의 전문성에 제시된 다섯 영역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 특히 한국어 교원으로서의 역량 증진에 초점을 두어 연령별 한국어 교수법에 많은 시간을 배분하였는데 언어뿐 아니라 문화 교수법도 포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실습 기관과 지도 교사를 선정할 때 현지 사정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해외에서 실습 기관을 선정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그 지역의 한국어 교육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학생들이 졸업 후 교원이 되어 근무할 때 어떤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업을 하게 될지에 따라 실습 기관은 달라져야 한다. 교육실습 담당 교수의 경우 최소한 한국어 교수 경험이 있는 사람을 택하도록 하고, 지도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이들이 실습 전 교육실습에 대해 충분히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나아가 이 교육 프로그램이 한국어 교원들이 새로운 교수법을 연구하고 토론하는 장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교육실습 평가는 파라과이 국립교원대학교처럼 담당 교수, 지도 교사, 동료 실습생, 한국어교육학과의 타 과목 교수들 등 다양한 평가자가 구체적인 피드백을 주는 방식이 학생들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여러 평가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실습생이 수업을 다양한 관점에서 고민해 볼 수 있고 이는 실습생이 더 나은 수업을 준비할 수 있는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평가 기준의 경우, 비원어민의 교육실습을 평가할 때에는 교육 능력과 더불어 한국어의 발음이나 문법 등 정확성을 함께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포함하여 실습생들이 자신의 부족한 점을 정확히 알고 이를 연습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평가 기준에 대해서는 한국어 교육에 초점을 맞춘 평가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아직 국내에서도 한국어 교육 실습 평가를 위한 명확한 지침을 두고 있지 않아 비원어민의 실습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지 조금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orean ODA for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TVET) to Latin America : suggestions for public-private partnerships (PPP)

        성유저 Graduate School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ive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Latin America is a large emerging market for Korea and politically home to many friendly nations.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continent for Korea’s expanding market and for maintaining amicable relations in world politics. Yet Korean ODA, which is growing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is still focused mainly in Asia, and the portion of Korean ODA reaching Latin America is still very small despite gradual increases. In order to achieve high aid- effectiveness with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aid, Korea should select the sectors in which it can implement aid well and practice efficient methods for implementation. In line with this approach,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TVET) is the best sector in which Korea has a comparative advantage in relation to other donor countries. Moreover, Latin American countries’ demand for Korean TVET is high. In terms of the method for implementation, this thesis suggests that Public-Private Partnerships (PPP) are an efficient method for implementing TVET ODA. PPP has recently emerged as a new paradigm for achieving high aid-effectiveness because it encourages the cooperation among government, private companie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 As such, this research begins from the question ‘As Korea is practicing TVET ODA in Latin America, is it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to implement it through PPP.’ In the case of Latin America, discussion abou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s lively and more and more Korean companies are entering the emerging markets in Latin America. Given this backgroun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on how to achieve high aid-effectiveness by suggesting the possibilities for implementing PPP and the efficient ways to practice PPP through Korean TVET ODA in Latin Americ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