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ECD Education2030의 변혁적 역량의 미래지향적 교육 방안으로 미적경험기반 교육 탐색

        설연경 한국조형교육학회 2023 造形敎育 Vol.- No.88

        'Transformative competency’ education reflects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changes in the global village and aims at ‘happiness of individuals and society.’ Accordingly, ethical values are important and the process is more important than the learner's identity and results. Unlike existing competency education, this can be interpreted as reflecting a ‘humanistic’ perspective and a ‘constructivist’ view of education.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aesthetic experience-based education’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transformative competency education. Aesthetic experience-based education allows students to experience the moral experience that art activity itself provides, and provides a cognitively constructivist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learners become subjects, interpret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contained in works of art, and develop emotional and emotional knowledge. It empathizes and even enables creative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 감수성 함양을 위한 문화예술기반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사례 분석

        설연경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57

        Recently, as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expanded to signify language education for minorities, an understanding of cultural diversity in the cultural education of natives, and education conducted for the cultivation of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many, research of actual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to many people are being demanded. At this,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nd apply a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 for the masses, or in other words, a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 for multicultural sensitivity, to see what effects such a program would have. The educational method that was used was ‘culture and arts based education’, which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fostering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cognitive, emotional, and practical areas, and the educational courses could be connected around constructivism. It was discovered that culture and arts based education within applications of an educational program designed through theoretical bases was effective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se results, a theoretical basis and design direction for culture and arts based education were proposed using multicultural education methods and culture and arts based education is expected to be more actively utilized as an educational method in diverse areas of education. 최근에 들어 다문화 교육의 의미가 소수자를 위한 언어교육, 자국민 문화이해교육에서 문화다양성, 다문화 감수성 함양을 위한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으로 확대됨에 따라 다수를 위한 교육, 즉 다수를 위한 실제적인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프로그램 개발, 효과분석, 방향설계 등)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수를 위한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다시 말해 다문화 감수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실제적으로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교육방법은 ‘문화예술기반 교육’으로, 이 방법이 다문화 감수성 함양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먼저 이론적 근거를 찾아보았다. 그 결과 인지적, 정서적, 실천적인 측면과 관련성이 있고 교육과정 역시 구성주의를 중심으로 연계가 가능하여 문화 예술기반 교육이 감수성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렇게 이론적 근거에 의해 설계된 본 교육프로그램을 일반 초등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더니, 문화예술기반 교육은 다문화교육에서 인지적, 정서적, 실천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임을 실제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 교육의 방법으로 문화예술기반 교육의 이론적 토대 및 설계방향을 제안하고, 나아가 교육방법으로서 문화예술기반 교육이 다양한 영역의 교육에서 활성화 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의 의미와 구성주의적 학습 환경과의 관련성 탐구

        설연경 한국문화교육학회 201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8 No.4

        This study started from the utility of culture and arts activity in the field of education which recently has been receiving attention. Lately, there have been some cases using culture and arts activity for education, but it has been done while the definition of the term or concept is still being ambiguous. Though the meaning or purpose is the same, the terms are used differently. Therefore, this study set the term of ‘culture and arts activity-based education’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meaning and analyzed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Also, the paper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rts activity-based education and constructivism and found their similarities from 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aspects. Based on the result of examining their relationship and common characteristics, the study extracted a point that the culture and arts activity used in culture and arts activity-based education is not the art activity simply focused on function but the activity internalizing the ‘concept’ including education. With the premise on that activity, it can be connected with the constructivistic education environment providing knowledge integration and reinterpretation, exchange among learners, and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The culture and arts activity-based education intermingled with the constructivistic education environment will be able to provide learners with richer learning experiences. 본 연구는 최근에 주목 받고 있는 문화예술활동의 활용에 관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즉, 비예술교과의 학습을 위해 문화예술활동을 활용하는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의 개념적 의미와 특징, 그리고 이론적 배경으로서 ‘구성주의(constructivism)’와의 관련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현재 교육을 위하여 문화예술활동을 활용한 사례들이 등장하고 있으나, 그 용어와 개념 정의가 모호한 가운데 진행되고 있어 의미와 목적은 서로 같으나 표현된 용어는 서로 다른 경우가 많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이라는 용어로 그 의미를 대표하여 공통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과 구성주의와의 관련성을 탐구하여 인지적·정서적·실천적 측면에서 유사성을 발견하였다. 공통적 특징과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문화예술활동기반 교육에서의 문화예술활동은 단순한 기능위주의 예능활동이 아닌 비예술교과의 교육 내용이 담긴 ‘개념’이 내재되어 있는 활동이라는 점을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활동이 전제되었을 때에 비로소 구성주의적 교육환경과 연계가 될 수 있다. 구성주의적 학습환경과 맞물리는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은 지식의 통합과 재해석, 학습자 상호간의 교류와 자신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풍부한 학습환경은 학습자로 하여금 다각적인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 KCI등재

        ‘변혁적 역량기반(Transformative Competencies)’ 미래지향적 교육설계방안

        설연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3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society is changing at rapid pace. Add to this the accelerating movement towards globalization, and it becomes quite difficult for experts, let alone educators, to make predictions about the world’s future. Not surprisingly, the demand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rapidly increasing, for societies are requiring more and more competent people, who are not only capable of adapting to this rapid change, but of improving their societies as they do so. Moreover, competency education is continuously evolving along with these various social changes, and while movements to construct competency education are also being actively promoted and developed in universities, small gaps still exist between the competency education that is currently being constructed, and the competency training that has been recently pursued. In light of this,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vid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plans needed for educational designs that are based on the ‘transformational competency-based education’ of the OECD; the very plans that recently appeared when educators were designing competency based education for their respective universities. This study looked into the major flow (what does ‘flow’ refer to?)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analyzed the academic concepts of the transformational competency-based education that is currently progressing in universities. After learning certain theories in regards to transformational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s study deduced some educational design elements based on constructivism, and proposed some educational plans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environments. 정보기술의 발달로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가속화되고 있는 세계화 역시 미래세계를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사회에서는 변화하는 세계에 적응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 수 있는 인재를 필요로 하며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회적 변화와 함께 역량교육은 꾸준히 진화해 오고 있으며, 대학에서도 역량교육을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 구축해가고 있는 역량교육과 최근 추구하고 있는 역량교육과는 약간의 간극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역량교육의 큰 흐름을 파악하여, 시대의 변화와 함께 변화되고 있는 역량교육의 특징적인 요소들을 기반으로 대학교육에서의 미래지향적인 교육설계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학습개념의 주요 틀은 현재 진행 중에 있는 OECD(2015)의 Education 2030의 변혁적 역량교육의 학습개념과 학습이론인 구성주의에 근거하여 미래지향적 교육구성안을 도출하였다. 변혁적 역량교육의 목적은 ‘성공’보다는 ‘웰빙’에 초점을 두고 보다 포괄적이며, 인본주의적인 관점이다. 이에 미래지향적 교육에서의 학습자는 주위 환경과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실제적 학습경험을 하게 한다. 또한 구성주의에 입각하여 학습자의 개개인의 학습을 존중하는 유연한 교육과정 및 이에 적합한 교육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 실제 역량기반 교육을 설계할 때에 현재 논의되고 있는 역량교육의 큰 흐름의 혜안을 가지고, 유연한 교육구조 틀을 설계 할 때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에서 미적경험이 주는 교육적 효과 분석을 위한 루브릭 개발

        설연경,강인애 한국조형교육학회 2013 造形敎育 Vol.0 No.46

        The study aimed to develop a rubric for the analysis of educational effect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in education through ar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fist reviewed literature on the aesthetic experience as well as art and cultural education, which was followed by the first draft of the rubric. After two-time validity tests and a pilot test on the first draft of the rubric,the final version of the rubric came up with three categories (intellectual,emotional, and practical aspects): The intellectual aspects include the elements of understand, infer, categorize, connect, create, and express, while the emotional aspects, emotional sensibility, sympathize, and interest; And finally, the practical aspects are composed of the three elements of apply, communicate, and reflect. In conclusion, the developed rubric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aesthetic education in art-based education, and further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both aesthetic education and art-based learning when creativity and imagination are, recently, emphasized in every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청소년 대상 미적경험 기반 인문융합 시각문화교육 프로그램 구안

        설연경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58

        While humanities is getting world-wide attention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modern material society. At the same time, with the appearance of various media in material civilization, visual images are becoming more prevalent in our life and so is the demand for education about visual culture to view these images with criticism. Especially, youths do not get enough education on humanities due to the current educational circumstances focused on college entrance and do not have understanding about visual culture but there is no sufficient education on this. So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a way to make an integrated educational program of humanities and visual culture based on theoretical ground. This study suggests the basis of aesthetic experience for an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of humanities and visual culture. It is because the basis of aesthetic experience has enough potential to provide practical(moral) stimulus such as various cognitive stimulus, emotional activation, and introspec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principle of design when making an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of humanities and visual culture, design model, and the direction for inquiry on theoretical ground and developed the whole program and more detailed teaching pla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theoretical ground for the education based on aesthetic experience as a way of th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of humanities and visual culture, principle of design, design model, and the direction for inquiry and offer a practical guideline when making a program. 최근 들어 현대의 물질문명 사회의 문제점(실용중심, 인간소외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국내・외로 집중되고 있으며, 실제 인문학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과 이에 대한 연구들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더불어 물질문명 속에 다양한 매체들이 등장하면서 시각적 이미지들이 이전 보다 우리의 삶 속에 산재되어 있고, 이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문화교육에 대한 요구도 늘고 있다. 특히 청소년들은 입시위주의지식전달식 교육으로 인하여 살아가는데 필요한 인문학과 시각문화교육에 소흘할 수 밖에 없는 현실에 놓여있다. 인문학과 시각문화교육은 현재 보이는 것을 넘어 반성적 성찰과, 비판적사고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력 등을 배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통된 점을 가지고있지만, 이를 융합한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본 연구는 인문융합 시각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해보고자 시작하였으며, 그 방법으로 ‘미적경험기반’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적경험기반은 다양한 인지적 자극과 정서적으로감성의 활성화, 성찰 등의 실천적(도덕적)인 자극을 주기에 충분한 요건을 갖추고 있음을 선행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적경험을 기반으로 한 인문융합 시각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이론적 논의와 프로그램을 구안할 때의 유의할 설계원칙, 설계모형, 발문의방향을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제안하고, 더불어 이에 근거한 프로그램 전체안과 구체적인 학습지도안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인문융합 시각문화교육의 방법으로서 미적경험 기반 교육의 이론적 토대 및프로그램의 구안 시 요구되는 설계원칙, 설계모형, 발문의 방향을 제공하여 프로그램을 제작할 때에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3On’s 학습원칙에 의거한 프로젝트기반 예술직업탐구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자유학기제 진로탐구 중심으로-

        설연경,이재경,이성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59

        Recently, as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is being given more emphasis than admission education, changes in perceptions are occurring in school educat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theoretically review educational methods that suit the direction that the free semester policy is pursuing, design a program based on this, make actual applications, and observe the results. First, methodic aspects were observed by reviewing the theoretical aspects of 3On’s project based learning. 3On’s refers to educational stimulation from the multiple aspects of minds-on, hands-on, and hearts-on and in connection with project based learning, the direction pursued by the free semester policy can be satisfied more diversely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creative experience, experiences using the physical body, various expressions, self-examination,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Based on these theoretical bases, learning principles were deduced, practical and integrated assignments were developed, and a 10 session program was applied to 12 thi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positive responses regarding in the program. Through results from this study, we expect more practical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schools applying the free semester policy and thus more experiential career education to be activated. 최근 들어 진학교육보다 진로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학교교육에서의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중등교육에서는 현 정부가 학생들의 진로설계를 위한 ‘자유학기제’라는 정책을 전면 시행함으로써 급진적인 진로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진로 교육의 방안, 동향분석, 요구조사 등의 기초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실천적인 교육 방법이나 이에 대한 적용사례와 같은 교육현장에 보다 실제적인 가이드를 제시할 수 있는 연구들이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에서 추구하는 방향에 부합된 교육방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첫 번째 목표가 있다. 이후 개발된 프로그램의 현장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현장에 적용해보고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먼저 방법적인 측면으로 ‘3On’s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이론적인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3On’s는 인지 (minds-on), 체험(hands-on), 정서(hearts-on)의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교육적 자극을 말하는 것으로 프로젝트 기반학습과 연계하면, 자유학기제에서 추구하는 방향인 자기주도학습, 창의적 체험, 육체를 활용한 경험, 다양한 표현, 자기성찰, 참여, 협업 등을 보다 다양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근거하여 학습원칙을 도출하고 실제적이며, 통합적인 과제를 개발 하여 중학교 3학년 12명의 학생들에게 10차시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적용한 프로그램의전 과정은 실제 전문가들이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 근거하여 구성되었기 때문에, 학습자는 전문가들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술 등을 실제로 적용하여 경험 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학습자, 교사 모두에게서 자기주도적 학습력,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감, 진로탐구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낸 결과를 통해 자유학기제를 실행하는 학교현장에 보다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체험적인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기대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웹툰(Webtoon)’의 교육적 활용가능성 탐색 : 조형성, 서사성, 상호작용성 측면을 중심으로

        설연경 한국문화교육학회 201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3 No.1

        Along with the dramatic increase of internet use, the climate of living is also changing rapidly in this contemporary society. Contemporaries ar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obtaining information through their mobile and enjoying the objects of entertainment on the mobile web such as movies, games, dramas, and cartoons. Among the objects of entertainment, lately, ‘webtoons’ are becoming very popular. Although they have been discussing webtoons’ added value, socio-cultural interpretation, or unique artistic value in different sectors of our society in order to develop and utilize webtoons in many ways, their educational value has hardly been studied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webtoons’ characteristics and explore the elements of them which can be applied to education. Many characteristics of webtoons presently being discussed, this researcher extracted three elements applicable to education, formativity, narrativity, and interactivity. This study has found that if those three elements of webtoons are used in educational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gain educational effects, for example, increasing learners’ concentration and interest, developing their critical viewpoint, letting them have aesthetic experience, or encouraging their participation and sharing. What this researcher ultimately pursues here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webtoons extremely popular among student groups nowadays as next-generation material for education. 모바일 활용이 급증하게 되면서, 현대사회의 생활문화는 급속하게 변하게 되었다. 현대인들은 모바일을 통해 소통하고, 정보를 획득하고 모바일 웹을 통해 영화, 게임, 드라마, 만화 등의 엔터테인먼트를 즐기고 있다. 특히 엔터테인먼트로서 ‘웹툰(webtoon)’은 최근 들어 큰 인기를 끌어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어 학계에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현황이다. 웹툰의 부가가치적인 측면과 더불어 사회문화적인 해석과 웹툰이 지니고 있는 고유의 예술성 등 웹툰의 발전가능성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지만 교육적 논의는 아직 미비한 현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웹툰의 특징을 추출하여 교육적 활용이 가능한 요소들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먼저 웹툰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웹툰의 근간인 만화(cartoon)와 웹(web)의 교육적 활용사례를 분석하여 웹툰의 교육적 활용가능성을 유추하였다. 다음으로 현재 논의되고 있는 웹툰의 다양한 특징들 속에서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요소 3가지(조형성, 서사성, 상호작용성)를 추출하였다. 웹툰의 특징 3가지 요소를 교육환경에서 활용하게 되면 학습자의 주의집중, 흥미유발. 비판적 시각, 미적체험. 참여, 공유 등의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음을 도출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가 지향하는 바는 학습자 연령층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웹툰을 차세대 교육적 소재로써 그 가능성을 시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웹툰(Webtoon)의 교육적 활용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근거탐색

        설연경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6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educational applicability of webtoons. Webtoons have very useful educational element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First, they are extremely popular among learners of the internet age and not only do webtoon images provide immersiveness and enjoyment to learners in class environments based on text but the narrativity and contextuality of webtoons can also provide abundant material in connection with the subject. Also, the interactivity of the Web 2.0, a space where webtoons are circulated, can also be utilized in educational environment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grounds for detailed approaches for the educational applicability of webtoons us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methods.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study, assessments can be made of positive prospects regarding the educational applicability of webtoons. 최근 들어 웹툰(Webtoon)은 인터넷 세대에게 선풍적인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실제 웹툰을 게임, 영화, 드라마 등으로 제작하여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으며, 한류문화의 대표적 콘텐츠로 떠오르는 추세다. 이에 따라 사회각계에서 웹툰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조류에 맞추어 본 연구는 엔터테인먼트로서 웹툰의 다른 이면인 교육적 활용가능성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웹툰은 교육환경에서 매우 유용한 교육적 요소가 있다. 먼저 인터넷 세대인 학습자에게 매우 인기 있는 콘텐츠이며, 텍스트 위주의 수업환경에서 학습자에게 몰입감과 재미를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웹툰이 지닌 서사성 및 맥락성은 교과와 연계하여 풍부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웹툰의 교육적 활용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하여 이론적, 실천적 방법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웹툰의 ‘교육적 활용요소’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탐색할 것이며, 예비교사들 즉, 인터넷 세대라 할 수 있는 예비교사 108명에게서 웹툰의 ‘교육적 활용가치’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한다. 이후 예비교사들이 실제 웹툰 기반 수업설계를 시도하여 실천적으로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웹툰의 교육적 활용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