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명세자 대리청정시기 창경궁 연향공간의 건축변화 연구

        석진영 한국건축역사학회 2020 건축역사연구 Vol.29 No.4

        The planning acumen led by the crown prince stands out during the banquets that were held continuallyduring the reign of Crown Prince Hyomyung around the late Joseon period from 1827 to 1929. If we examine thechanges in banquet space during the period that Crown Prince Hyomyung ruled by proxy, the Jagyeongjeon(慈慶殿) in Changgyeonggung Palace, which was built during the time of King Jeongjo was repaired after the in1827 during the reign of the crown prince and appeared in its changed form in Muja Jinjakin 1828. It is believedthat the Jagyeongjeonwas expanded and repaired during the reign of Crown Prince Hyomyung to conductbanquets for important guests. Jagyeongjeon which was repaired during the crown prince's reign, is a spacewhere banquets were continuously held during the three years that he reigned, and we can see that it is animportant space for royalty where the authority of King Sunjo, Queen Sunwon, and Crown Prince Hyomyungwas reflected. Yeongyeongdan(演慶堂) was a structure built in 1828, which is after the period when theJagyeongjeonwas changed in 1827, and it is a space that emerged during the reign of the crown prince. Hwanchwijeong(環翠亭), which was constructed during the time of King Seongjong was changed after 1827during the reign of Crown Prince Hyomyung and appeared in its changed form in Muja Jinjakin 1828. Hwanchwijeongwas the place where the Crown Prince Hyomyung stayed and planned banquets and it wasrepaired along with Jagyeongjeonin 1827. During his reign, the political intent of the crown prince was reflectednot in superficial political spaces but in spaces where banquets were held and accordingly the main spaces forbanquets and their related royal palace locations were changed or newly established. You need to briefly explainwhat this and Muja Jinjak are. New information is not provided in this paragraph. You have already establishedwhy the crown prince renovated the banquets and its significance in the first two paragraphs. You could justadd “Jagyeongjeon(慈慶殿), Yeongyeongdan(演慶堂), and Hwanchwijeong(環翠亭) in Changgyeonggung Palaceduring his reign were changed and renovated during the time when the royal banquets of the 19th century weregetting established. It was spaces that reflected the royal family and royal authority” to the end of the secondparagraph and it would convey your intended meaning. 조선후기 효명세자의 집권기인 1827년부터 1829년에 연속적으로 열린 연향은 왕세자의 주도적인 기획력이 돋보인다. 효명세자 대리청정기의 연향 공간의 변화를 살펴보면 정조시기 건립된 창경궁의 慈慶殿은 효명세자 집권기인 1827년 자경전진작 이후에 수리되어 1828년 무자진작에 변화되어 나타난다. 효명세자 집권기 주빈을 위한 연향을 거행하기 위해 자경전을 확장하여 수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효명세자 집권기 수리된 자경전은 효명세자가 집권한 3년 동안 연향이 지속적으로 거행된 공간으로 순조, 순원왕후, 효명세자의 권위가 반영된 왕실의 주요한 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演慶堂은 자경전이 변화되는 시기인 1827년 이후 1828년에 건립된 것으로 효명세자 집권기에 등장하는 공간이다. 성종시기 건립된 環翠亭은 효명세자 집권기인 1827년 이후 변화되어 1828년 戊子進爵에 변화된 형태로 나타난다. 환취정은 효명세자가 거처하며 연향을 기획하던 장소로 1827년 자경전과 함께 수리된다. 효명제자 집권 시기 표면적인 정치적 공간과 달리 연향이 거행되는 공간에서 왕세자의 정치적 의도가 반영되었으며 그에 따라서 연향의 주요 공간과 관련된 전각이 변화되었거나 새롭게 조성되었다. 효명세자 집권기 창경궁의 慈慶殿, 演慶堂, 環翠亭은 19세기 왕실의 연향이 자리 잡게 되는 시기에 변화되고 새롭게 구축된 공간으로 왕실과 왕권이 반영된 공간이었다. 그 실질적 표면에는 宴享이 있었다. 즉, 효명세자 집권시기에 연향 공간은 적극적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왕권 연향이 거행되는 공간에 반영되어 변화된 것으로 1827년부터 1829년 자경전, 연경당, 환취정이 동일한 시기에 변화된다. 慈慶殿과 環翠亭은 효명세자 시기 연향의 주요한 공간으로 기존의 연향 공간이 효명세자 집권기에 집중적으로 수리되었으며, 演慶堂은 연향의 용이한 설행을 위해 새롭게 건립된다. 즉, 효명세자 집권 시기 창경궁의 자경전과 연경당, 환취정은 효명세자의 정치적 위상이 연향으로 반영된 공간으로 왕실의 위상을 연향 공간에서의 건축 변화로 알 수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궁중 연희무대 건축 장인(建築匠人)의 활동과 주요 목수(木手) 연구

        석진영,한동수 한국건축역사학회 2019 건축역사연구 Vol.28 No.3

        A major performance stage carpenter, Jang Insang led performance stages from the 1719 Sukjong Royal Banquet and was confirmed by historical records to be the first craftsman. Lee Wandeuk led the Hwaseong Fortress performance stages of the Jeongjo period and Gichuk Jinchan performance stages of the Sunjo period. The carpenter techniques he used during the Jeongjo period were succeeded to the Sunjo period. Ahn Sungil was the head craftsman who led the performance stages of Jagyeongjeon Jinjak, Muja Jinjak, and Gichuk Jinchan of the Sujo period, under which the foundation for court palace performances was laid. The progression of major carpenters includes Jang Insang of the Sukjong period, Jeon Yoochu of the Yeongjo period, Ahn Sugil of the Sunjo period, Yoon Seoksin of the Heonjong period, Kim Yoonsik of the Gojong period, Lee Jongyoon, Kim Soongil, Seo Sangmook, and Han Sujoon. In addition, the Major Repair of Injeongjeon Hall (1857) of the Cheoljong period was the most important palace construction project for transferring the carpenters’skills. Through this project, Ahn Sungil of the Sunjo period, Kim Myeonggap, Yoon Seoksin of the Heonjong period, Kwon Deuknyang, and Kim Sungil of the Gojong period were able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hat is, this major repair project of Injeongjeon Hall reflected the major carpenters’best techniques through performance stage construction, showing the progression of Ahn Sungil, Yoon Seokshin, and Kim Sungil, who led the constructions of Gichuk Jinchan of the Sunjo period (1829), Mushin Jinchan of the Heonjong period (1848), and Jeonghae Jinchan of the Gojong period (1887), the most impressive performance stages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carpenters of the court performance stages participated in important construction projects of the royal palace, reflecting the superior technical skills of the carpenters in the construction of court palace performance stages. The carpenters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construction of performance stages were able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transfer their excellent technical skills, providing the driving force that allowed court performance stages to blossom into splendid and high-quality court sta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조선후기 궁중 연희무대를 구축한 건축 장인은 사료의 한계로 숙종 기해진연부터 알 수 있다. 궁중의 외연과 내연에 참여한 장인은 숙종, 영조 시기에는 외연의 장인 수가 많고 헌종시기를 기점으로 내연의 장인 수가 많아진다. 장인의 유형은 숙종, 영조 시기에는 외연에서 다양하며 순조 기축진찬부터 내연에서 다양해진다. 연희무대 장인은 왕실의 주요 의례에 주로 참여하였지만 순조시기를 기점으로 연희무대 제작의 참여가 많아진다. 이는 대비가 주빈인 내연의 설행이 증가된 것과 연관이 있다. 연희무대 건축의 주요 목수로 장인상은 숙종 기해진연을 이끌고 사료로 확인되는 연희무대 최초의 장인이다. 이완득은 정조시기 화성성역, 순조시기 기축진찬의 연희무대를 이끌며 이는 정조시기 목수의 기술이 순조시기로 이어진다. 안순길은 궁중무대의 기틀이 확립되던 순조시기 자경전진작, 무자진작, 기축진찬의 연희무대를 이끈 편수로 효명세자 집권기의 외연과 내연의 성대한 연희무대를 모두 건축한 장인이다. 또한, 중요한 왕실 영건공사에 참여하며 주요 목수들과 가장 많이 교류하며 도편수의 기술력을 헌종, 철종, 고종시기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종운은 계유진작, 정축진찬, 정해진찬, 임진진찬의 연희무대를 조성하며 고종시기 연희무대 확장에 기여한 도편수이다. 주요 목수 흐름을 살펴보면 숙종시기 장인상, 영조시기 전유추, 순조시기 안순길, 헌종시기 윤석신, 고종시기 김윤식, 이종운, 김순길, 서상묵, 한수준으로 이어진다. 또한, 가장 주요한 목수의 기술 전달의 왕실 영건은 철종시기 인정전중수공사(1857)로 순조시기의 안순길, 김명갑 헌종시기 윤석신, 권득량과 고종시기 김순길이 함께 교류하게 되는 계기를 만드는 공사이다. 즉, 인정전중수 공사는 도편수의 최고 기술력이 연희무대 건축으로 반영되어 조선후기 가장 화려한 연희무대인 순조기축진찬(1829), 헌종무신진찬(1848), 고종정해진찬(1887)을 이끈 안순길, 윤석신, 김순길의 흐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궁중 연희무대의 목수는 왕실의 중요한 전각의 영건공사에 참여하고 목수의 뛰어난 기술력은 궁중 연희무대 건축에 반영되었다. 또한, 연희무대 건축에 선두적 역할을 수행한 목수들은 서로 교류하며 뛰어난 기술력을 잘 전승하여 조선후기 가설시설의 궁중 연희무대를 화려하고 수준 높은 궁중무대로 꽃피우게 하는 원동력을 제공하여 주었다.

      • KCI우수등재

        조선시대 진찬(進饌) 왕, 왕세자, 왕세손의 동선(動線) 및 공간 사용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석진영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3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lines, the center is the location of the king, the center is the location of the king, the eastside is the king, the crown prince, the crown prince, and the royal family, and the west side is the seat of the subjects. The detailedhierarchical division between each position was divided between the king and the successor, between the royal family, and between the kingand subject. I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line are summarized as gates, Jeongmun is the movement line of the king and hissuccessors. The east-west side gate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ll were used by the royal family and ministers, and thehierarchy between the royal family and subjects was also divided into gates.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jinchan by external and internalcircumstance, the king waits in the outer cour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ront gate, and finally ascends to the ceremonial hall of theceremonial hall. The crown prince mainly used the east gate of the main gate and performed the ceremonies in the eastern position, and thecrown prince's son was located below and behind the crown prince in the eastern area. In the inner palace, the king's movement becomesconcise, and in the daily meeting led by the crown prince, a central movement line appears in which the crown prince passes through themiddle gate of the front gate. In the inner court, the movement of the king becomes concise, and in the following day's meeting led by thecrown prince, the pattern of the movement of the center appears as the crown prince passes through the central gate. The crown prince'smovement shows a complex movement and a mixed pattern of the center and the east to perform various ceremonies appropriate to theprocedure at the banquet. The location of the crown prince was divided into the east, which was separated from the king's straight line ofmovement, and royal women such as the crown princess mainly used the west area. From the external and internal courts during the reignof King Sunjo,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king and crown prince can give a glimpse of the kingship that was passed on to thesuccessor who had actual authority,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will of King Sunjo's gyejisul is being passed on to Crown PrinceHyomyeong. In other words, in the inner circle, the middle, straight line is the king's hierarchy, the east is the hierarchy of the successorwho inherits the kingship, and the complex aspect of the center and the east is the hierarchy of the successor who carries out the kingshipby proxy. 進饌을 중심으로 왕과 왕실 정통성을 이을 후계자의 位次와 動線을 정리해보면 조선전기 규범화된 의례는 조선후기까지 이어졌으며 진찬의 목적과 상황에 따라 변화되었다. 位次에서 中央, 즉 중심은 왕, 東은 왕, 왕세자, 왕세손, 종친 등의 왕실을 의미하였고 西는 신하를 의미했다. 신분 간의 세밀한 위계 구분은 上과 下와 前과 後로 왕·왕실간·군신간의 위계를 向으로 구별하였다. 殿閣의 正門은 왕, 왕세자, 왕세손이 이동하는 국본의 동선이었고, 세부적으로 왕은 中央門 왕세자, 왕세손의 후계자는 東門으로 구분하였다. 동서 편문은 종친과 대신의 동선으로 왕실과 군신간의 위계를 門으로 구분하였다. 動線에서 외연에서 왕은 정문을 중앙문을 통하여 마지막에 正殿의 御座에 오르는 일직선 동선이다. 왕세자는 주로 동문을 이용하며 동쪽의 영역에서 하례의 예를 행했으며, 순조시기 일부 위차와 동선이 中央으로 이동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왕세자의 동선은 연회에서 절차에 맞는 다양한 의례를 행하기 위해 복합적 동선과 중앙과 동쪽의 혼합 양상이 나타났다. 內宴에서 왕의 동선은 간결해지고 왕세자 주도의 翌日會酌에서 왕세자가 正門의 中央門을 통과하는 中心 동선의 양상이 적극적으로 나타난다.

      • KCI우수등재

        궁중 연향 왕실 방석(方席)에 관한 연구

        석진영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7

        During the Joseon Dynasty, a banquet with sitting cushions was mainly held in the yard of the royal quarters in front of the royal palace. If a leopard sitting cushion was used in the architectural space of a banquet, it indicated the highest rank in the royal seat during the Joseon Dynasty, which continued until the Gojong period. The long leaning cushion did not appear in the banquet seats during the Jeongjo period, but was used during the Sunjo period. The dragon-patterned sitting mat was used only for the king’s seat after the Sunjo period. This was to establish the king’s political authority, subdividing the hierarchy based on the mat’s pattern. Banquets held during the Sunjo period used the dragon-patterned sitting mat for the king, the floral sitting mat for Queen Sunwon, Crown Prince Hyomyeong, and the crown princess. For the sitting cushion, Manhwa and leopard sitting cushions were placed. Eventually, the crown prince and princess’s sitting cushions were replaced with leopard sitting cushions. The king’s throne had five levels of mats and Pyeoncha had five levels. The royal throne including the crown prince consisted of five stages, and the Socha bowing seat, and Pyeoncha had three levels. The seat for alcohol offerings had two stages; the arrangement of the sitting cushions indicated the rank of the seat for alcohol offering, the lowest was the crown prince’s seat. The number of stages and mats were the highest during the Jeongjo period. A pattern of this complex stage appeared in the Sunjo period and settled down after the Heonjong period. In the King’s hierarchy, there was the most, odd number of sitting cushions, and the status was classified by the number of mats used. During a banquet, the sitting cushion was placed according to the seat status. An arrangement by type, pattern, and color was used to distinguish the hierarchy of participants. The sitting cushion established the king’s political hierarchy and more specifically stratified the level of its royal participants. Sitting cushions were used on the royal family seats and for participants in the architectural space of a banquet. It was lastly planned in the banquet architectural space division, defining the differences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status and subdividing the royal hierarchy for some increased. 궁궐 연향에서 방석은 다양한 위차에 배설되었으며 유형과 문양, 색상 등이 구분되어 배설된 것은 참여자와 왕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방석은 전하의 정치적 위계를 확립하고 왕실 참여자의 등급을 더욱 구체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방석은 연향의 건축공간에서 왕실과 참여자의 위차를 세분화하여 구분하였으며, 연향 왕실 공간 구획에서 마지막 위차를 규정하고 왕실 위계를 세분화하였다. 조선후기 왕권과 왕실의 정치적 질서·의례적 명분, 유교적 위계질서를 지키며 신분 체제를 견고히 하고자 상징적으로 방석을 이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