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이조성 차이에 따르는 고춧가루 섭취가 운동중 에너지 기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서혜정(Hea Jung Suh),권태동(Tae Dong Kwon) 한국운동영양학회 2001 Journal of exercise nutrition & biochemistry Vol.5 No.2

        N/A The effects of dietary red-pepper with a high-carbohydrate meal (HC) or a high-fat meal (HF) on energy substrates utilization during exercise were examined in athletes, 19-21 yr of age. A standardized meal was given on the evening prior to the experiment. The subjects had the HC (650 ㎉) or the HF (650 ㎉) with or without 10 g of hot red-pepper for breakfast. During exercise (pedaling for 1 h at 60% of maximal oxygen uptake, using cycling ergometer), expired gasses and venous blood were collected. HC with hot red-pepper significantly elevated respiratory exchange ratio (RER) compared to HC without red-pepper. However, HF with hot red-pepper significantly lowered RER than HF without red-pepper. Blood glucose, plasma free fatty acid and insulin levels were not affected by red-pepper ingestion in HC or HF trial. These results suggest that hot red-pepper ingestion stimulates exogenous energy substrates with meal during exercise in athletes.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들의 대학수업 경험을 통한 유아교육전공 실무 능력 향상 PBL 수업모형 개발

        서혜정(Suh, Hye Jeo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대학수업 경험을 통한 유아교육전공 실무능력 향상 PBL 수업모형 개발에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PBL 수업 경험이 있는 유아교육 전공자인 유아교사 4인이다. 연구를 위해 2010년 7월 9일부터 10월 2일까지 심층면담이 이루어졌다. 먼저, 연구 참여자들은 PBL 경험에서 어떤 어려움이 있었는지 살펴보고, PBL 학습 요소를 추출하여, PBL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은 PBL에서 제시된 시나리오로 문제 해결하는 과정이 색다른 강의식 수업의 하나로 한 방향의 정답을 찾아가는 과정이었으며, 작은 실무의 문제를 해결함으로 인해 숲의 나무 하나를 보는듯한 학습이 이루어졌음을 이야기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시나리오 제시와 문제 해결에 대한 질문방법 변화 모색 필요, 사고가 담기지 않은 한 방향인 과제 발표식 수업의 문제점을 반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요구한 PBL 학습요소는 교육관이 기초가 되어야 할 학문으로서 유아교육 전공, 동료와의 대화를 통해 의미 나누기, 대화식 수업으로 이론에 바탕을 둔 실무연결, 정련의 과정으로서 모의수업, 어렵지만 많은 배움이 일어나는 유아적용 시례, 반성의 기회로서 재방문과 교육의 의미 깨닫게 하는 전사하기, 디딤돌이 되는 조별활동, 전문적으로 성장하게 하는 피드백, 과정중심의 평가이다. 이를 바탕으로 tutorial-simulated instruction-practicum의 PBL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의료계통에서 시작되고 활성화된 PBL 수업을 다른 전공에 적용하는 데 전공 특성에 적합한 수업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불어 수업모형은 거시적인 측면에서 수업모형을 바라보는 것이 아닌 미시적인 측면에서 상황적인 수업모형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reate Problem-based learning model to enhance teaching ability. The participants are four kindergarten teacher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have taught PB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July, 9 through October 2, 2010. While developing, the participants focused on investigating what the learner’s difficulties are and which learning factors are necessary.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 class was so controlled with scenario presented that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seemed like that of getting into right answer. When small problem from real classroom was resolved, the learners felt like they’ve experienced not a forest but a tree. The way scenarios and questions are presented should be varied. Simple minded presentation should contain critical thinking. Second, the PBL factors that participants claimed includ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foundation of educational philosophy, sharing teaching tips through dialog with co-teachers, connecting theory with practice through dialog lesson, simulated instruction, providing case study of pre-schooler as a learning tool, keeping transcripts to catch education meaning and re-play them as a chance of self-reflection, stimulating group activities as a steppingstone, giving proper feedback as a professionally growing process, evaluating not just output but a process. Third, and then the PBL model, tutorial-simulated instruction-practicum, was finally developed. This study implies that since PBL was introduced and activated in medical field, other major field of study should consider its characteristics when applying. A lesson model should be reviewed rather microscopically than macroscopically.

      • KCI등재

        교사양성과정에서 예비교사의 모의수업 시연 경험

        서혜정(Hyejeong Suh)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역량 증진에 도움이 되는 모의수업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B 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 2인이며, 2019년 9월 27일부터 2020년 5월 13일까지 심층면담, 동영상, 모의수업 계획안, 모의수업 평가지를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모의수업 시연에서 여백이 있는 계획으로 유아가 참여하는 모의수업 시연하기, 유아와 교사 역할로 참여하는 교수 만나기, 오늘의 놀이를 다음 날로 연결하기, 수업 연구로서 모의수업 시연하기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모의수업 시연에서 예비교사의 수업 능력을 증진하는 교수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study explored whether simulated instruction was helpful in improving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2 two-year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 B. Data were collected using in-depth interviews, simulated instruction videos, and simulated instruction evaluation sheets from September 27, 2019 to May 13, 2020.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of simulated instruction included: 1) demonstrating, using a blank space, simulated instruction in which children participate in a plan; 2) meeting a professor playing the role of a child and a teacher; 3) connecting today's play to the next day’s; and 4) demonstrating simulated instruction as a class study.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professor’s role in enhancing the teaching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simulated instruction demonstration.

      • KCI등재후보

        대학에서의 대화수업 효과에 대한 연구

        서혜정(Suh, Hye Jeo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J대학 예비유아교사 3학년 31명을 대상으로 유아과학교육 교과목에서 대화로 하는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에서의 참여도, 존재감, 수업 만족도, 수업 성취도, 대화적 환경에 대한 인식의 변화 차이를 밝혀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동일한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처치하기 전과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 대화수업 효과를 paried t 검증을 통해 사전 사후검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대화로 하는 수업에서 참여도, 존재감, 수업 만족도, 수업 성취도, 대화적 환경에서 유의하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학습자 성향에 따른 대화수업 전략, 대화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수업연구, 대화학습 참여 정도에 따른 교과목 지식 구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the dialogical method was used in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lass with 31 3rdyea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from J Colle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dialogical method by showing the changes of the participant’sparticipation, presence views,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dialogical environment. After using the dialogical method, the difference of the participant’s attitude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method, were analyzed by paired t verification. As a result, this method was found effective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ollowing conditions: participation, presence views,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dialogical views. Hence, this study showed the need for furtherresearch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dialogical method strategy based on the student’s learning-style, a class that reflects the students’ needs in a dialogical method setting, and the organization of knowledge based on participation in dialogical study.

      • KCI등재

        유아에게 참여 기회를 주려는 교사의 노력과 그 경험의 의미

        서혜정 ( Hye Jeong Suh ),서영숙 ( Young Sool Suh ),김진숙 ( Sook Jin K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본 연구는 유치원 교실에서 유아에게 참여 기회를 주고자 노력하는 유아교사에 대한 경험을 통해 그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K 시에 위치한 행복유치원 만 3세 신임교사 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신임교사 2인은 2008년 9월부터 2009년 2월까지 7개월에 걸쳐 유아에게 참여의 기회를 주려고 노력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권리를 존중하기 위해 현재의 자신을 조망하며 수업에서 유아 참여의 기회를 존중하며 교실 문화를 만들어가려 노력하였다. 그 과정에서 교사는 유아의 행복과 연결되는 교사의 실행 첫 내디딤의 가치, 교사의 교육적 행위가 유아에게 이로운 것인지 갈등하며 다다름이 없는 좋은 수업을 지향하기 위해 고민하기, 익숙한 교사주도로 다시 돌아가지 않기 위해 유아가 중심이 되는 수업을 생각하며 깨어있기, 교사와 유아의 성장을 함께 가져오는 유아권리 존중 실천이 주는 의미를 깨닫게 되었다. 본 연구는 실질적으로 유아의 참여가 일어나는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실천에 대한 고민과 그에 따른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as they endeavored to activate their children`s participation. For this study,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wo new teachers of three year-old children class at "Hangbok" kindergarten, located in K-city", Kyungki province, South Korea. For over a period seven months, from Sept. 2008 to Feb. 2009, the two participating teachers worked out and tried out ways to provide participation opportunity for their children in every area including classroom activiti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participating teachers spent time reflecting on ways to enhance their children`s participatory opportunities and to make a class culture in which participation was natural and desirable. During the process, teachers began to realize the value of their taking the first step in initiating actions connected to the children`s happiness, they began to contemplate which teacher educational behaviors are good for children, that is, which are child-centered and thus respectful of children`s rights while contributing to their growth. This thoughtful process of looking at children and attempting to understand them by reflecting on their needs and happiness, and then measuring teacher efforts against these goals enhanced the participation and growth of both the children and the teachers. These findings are strong recommendations for encouraging teachers to engage in thoughtful observations and self-reflective practices so that they can build vibrantly learning classrooms in which children actively and wholeheartedly participate. Further studies for more revelatory documentation are also suggested.

      • KCI등재

        유아교육과 신입생 멘토링 프로그램이 학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혜정(Hye-Jeong Suh),임진형(Kye-Son Won),원계선(Jin-Hyung Lim)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1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멘토링 프로그램이 신입생의 학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1학년 2개 학급 70명이었다. 연구 자료의 수집은 2010년 3월 10일에서 2010년 6월 24일에 걸쳐 이루어졌다. 멘토링 프로그램의 시행 전과 시행 후의 학과 적응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멘토링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신입생의 전체 학과 적응도가 비교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육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멘토링 프로그램은 학과적응하위 내용인 교과외 활동을 제외한 시간관리, 학업활동, 사회적 관계 형성, 진로 및 취업준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학과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 적응을 위해 학과 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a mentoring program.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included 34 freshmen of a 3-year college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included 36 freshmen which received counseling. Based on the data collected, ANCOVA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freshmen adapt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with pre-test scores as the covariate and post-test scores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dapt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Sub-categories included the following: time management, academic activity, social relationship development, career and employment preparation. In the sub-category of extra-curricular activity,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a possible application of the mentoring program for freshmen in a 3-year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장기간의 가르시니아 추출물 섭취가 운동능력 및 체지방 감소에 미치는 영향 효과

        서혜정 ( Hea Jung Suh ) 한국운동영양학회 2004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hys Act Nutr)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3-month weight loss program and garcinia extract (HCA) ingestion on visceral fat accumulation and aerobic capacity in young women. Forty-one young women, aged 19.6±0.5 years, who had not exercised regularly,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present study as subjects. They completed a 3-month weight loss program consisting of swimming exercise performed three times/week, for 60 min/session at lactate threshold level. For the period, they had a regularly energy intake, i.e., 1,980 kcal/day. The visceral fat area (VFA) and subcutaneous fat area (SFA) were estimated at the umbilicus by the computed tomography. VFA and SFA were decreased by swimming exercise, HCA ingestion alone or exercise + HCA ingestion, but not significant in HCA ingestion alone. It was concluded that the 3-month swimming exercise was effective for the reduction in VFA and SFA., and suggesting that HCA ingestion also decreased the body fat by independent on exercise effect in young women.

      • KCI등재

        플립러닝의 전략으로써 질문중심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경험

        서혜정(Suh, Hye-Jeong),신그린(Shin, Gree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플립러닝의 전략의 질문중심 수업 과정과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경험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문중심 수업을 경험한 B 대학 2학년 2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18년8월 22일부터 12월 7일까지 수업 자료를, 2019년 1월 15일부터 8월 25까지는 서술식질문지와 면담을 통해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질문중심 수업 과정은 1) 질문 나누기, 2) 질문 해결하기(자체 해결하기-미해결문제는 교수에게 바통 넘기기-공유하며 해결하기), 3) 총정리하는 교수의 시간으로 이루어졌다. 예비교사는플립러닝의 수업을 통해 1) 플립러닝의 전략으로써 학습 노트, 2) 사고를 촉진하는 교수의 질문, 3) 경청과수용으로 조력하는 교수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교수뿐만 아니라 학습자도 원한다는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본연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학습을 요구하는 것이므로 대학 수업에서학습 주체를 학습자에게 이양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question-based instruction as one of flipped learning strategies and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of the flipped learning cla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o second-year students of B University who had participated in the class. Data from narrativ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August 22 to December 7, 2018, and the data from interviews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5 to August 25, 2019.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rocess of question-centered class consisted of 1) sharing questions, 2) solving questions, and 3) summarizing.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class included 1) taking notes as a flipped learning strategy, 2) being asked questions from the instructor that actively promotes thinking, and 3) the instructor’s careful listening to and acceptance of students. The study found that both the instructor and learning students desired the learner-centered class, implying that students have active agency in their learning thus, initiation should be given more toward learners in colleg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원격교육 운영에서 유치원 원장의 고민과 노력

        서혜정(Suh Hyejeong),정하나(Jung Han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치원 운영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 1인의 경험을 탐구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2020년 12월 28일부터 2021년 4월 9일까지 수집하였으며, 자료는 귀납적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원장은 1) 늘어나는 교사 업무, 2) 원격수업 지원 매체에 대한 학부모와 유치원의 서로 다른 선호도, 3) 학부모에게 업무로 다가간 원격수업, 4) 준비가 덜 된 채 원격수업 맞이하기의 고민이 있었다.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원장은 1) 수업 운영의 동반자로 양육자 지원하기, 2) 원격수업을 위해 교사 간에 배우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업무에 활용하기, 3) 부모의 요구 절충점 찾기의 노력을 하였다. 본 연구는 준비 없이 맞이한 코로나19 상황의 유아교육 현장 사례를 통해 예측할 수 없는 미래를 대비한 유아교육 운영 준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one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on kindergarten oper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8, 2020 to April 9, 2021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rough an induc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rector had concern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1) increased teacher work, 2) different preferences of parents and kindergartens for remote classes support educational materials, 3) remote classes approaching parents as work, and 4) remote classes without preparation. To solve these concerns, the director made efforts to 1) support the caregiver as a companion in class operation, 2) utilize digital literacy learned between teachers for remote classes, and 3) find a compromise between the parents’ need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unpredictable future through the field ca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that was faced without preparation.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