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혜정(Suh, Hye Jeo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J대학 예비유아교사 3학년 31명을 대상으로 유아과학교육 교과목에서 대화로 하는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에서의 참여도, 존재감, 수업 만족도, 수업 성취도, 대화적 환경에 대한 인식의 변화 차이를 밝혀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동일한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처치하기 전과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 대화수업 효과를 paried t 검증을 통해 사전 사후검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대화로 하는 수업에서 참여도, 존재감, 수업 만족도, 수업 성취도, 대화적 환경에서 유의하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학습자 성향에 따른 대화수업 전략, 대화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수업연구, 대화학습 참여 정도에 따른 교과목 지식 구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the dialogical method was used in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lass with 31 3rdyea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from J Colle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dialogical method by showing the changes of the participant’sparticipation, presence views,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dialogical environment. After using the dialogical method, the difference of the participant’s attitude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method, were analyzed by paired t verification. As a result, this method was found effective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ollowing conditions: participation, presence views,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dialogical views. Hence, this study showed the need for furtherresearch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dialogical method strategy based on the student’s learning-style, a class that reflects the students’ needs in a dialogical method setting, and the organization of knowledge based on participation in dialogical study.
서혜정 ( Hyejeong Suh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1 생명과 말씀 Vol.31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서 주마다 성경 구절을 읽고, 성경 구절과 관련한 일상에서의 실천을 학습 동료와 나눈 경험에 관해 탐구하였다. 예비교사에게 제공한 성경 구절은 한학기 동안 e-러닝에서 주도적인 학습자 되기, 조별 과제하기, 모의 수업 실연하기, 조원평가 하기와 관련하여 선정하였다. 성경구절의 주제는 성실하기, 계획하기, 미워하지 않기, 경청하기, 화참기, 판단하지 않기, 칭찬하기, 정직하기 이다. 연구 참여자는 B 대학 2학년 유아교육과 예비교사 4인이다. 자료는 2019년 3월 13일부터 2019년 11월 7일까지 기록지, 설문지,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귀납적 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성경 구절로 시작하는 수업에서 1) 종교색이 옅은 성경 구절로 마음 열기, 2) 학기 진행과 연결되는 성경 구절 제시하기, 3) 삶에 적용할 계획하기, 4) 일상에서 실천하기, 5) 실천 사례 공유하기를 경험하였다. 이로 인해 예비교사들은 1) 성장과 변화의 기회, 2) 공유를 통한 선한 영향, 3) 나의 변화가 오는 긍정적인 파문, 4) 삶에 스며드는 지속하는 실천, 5) 좌표로 작용하는 기록하기의 의미를 드러내었다. 본 연구는 교과시간 중 짧은 시간을 이용한 성경 구절에 대한 나눔이 성경 구절의 의미를 예비교사의 삶에서 체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하나의 예비교사 인성교육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reading Bible verses weekl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classes and sharing daily practice related to Bible verses with learning colleagues. The Bible verses provided to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selected in relation to becoming a leading learner in e-learning, doing group assignments, performing a mock class, and evaluating the group for one semester. The themes of the Bible verses are: to be sincere, to plan, not to hate, to listen, to be patient, not to judge, to praise, to be honest.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4 pre-service teachers in the 2nd year of B University.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data Data collected from March 13, 2019 to November 7, 2019. Data were analyzed by an induc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in class starting with Bible verses, pre-service teachers 1) open their minds with light Bible verses, 2) present Bible verses that connect with semester progress, 3) plan to apply it to life, 4) practice in daily life I experienced the following, 5) share practical cases. For this reason, pre-service teachers revealed the meaning of 1) an opportunities of growth and change, 2) a good influence through sharing, 3) a positive ripples from my change, 4) records acting as a coordinates, 5) continuing practices that permeate life. This study suggests that sharing of Bible verses using a short period of time during the course can embody the meaning of the Bible verses in the life of a pre-service teacher. This means that it can be a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코로나19로 인한 원격교육 운영에서 유치원 원장의 고민과 노력
서혜정(Suh Hyejeong),정하나(Jung Han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치원 운영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 1인의 경험을 탐구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2020년 12월 28일부터 2021년 4월 9일까지 수집하였으며, 자료는 귀납적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원장은 1) 늘어나는 교사 업무, 2) 원격수업 지원 매체에 대한 학부모와 유치원의 서로 다른 선호도, 3) 학부모에게 업무로 다가간 원격수업, 4) 준비가 덜 된 채 원격수업 맞이하기의 고민이 있었다.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원장은 1) 수업 운영의 동반자로 양육자 지원하기, 2) 원격수업을 위해 교사 간에 배우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업무에 활용하기, 3) 부모의 요구 절충점 찾기의 노력을 하였다. 본 연구는 준비 없이 맞이한 코로나19 상황의 유아교육 현장 사례를 통해 예측할 수 없는 미래를 대비한 유아교육 운영 준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one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on kindergarten oper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8, 2020 to April 9, 2021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rough an induc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rector had concern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1) increased teacher work, 2) different preferences of parents and kindergartens for remote classes support educational materials, 3) remote classes approaching parents as work, and 4) remote classes without preparation. To solve these concerns, the director made efforts to 1) support the caregiver as a companion in class operation, 2) utilize digital literacy learned between teachers for remote classes, and 3) find a compromise between the parents’ need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unpredictable future through the field ca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that was faced without preparation.
서혜정(Hye Jeong Suh),변미영(Mi Young Byun) 한국아동학회 2012 아동학회지 Vol.33 No.3
This study is designed to positively transform a teacher`s emotional state whilst teaching their classes and be able to create happier lessons for preschool children. To do this, a teacher needs to reflect upon current problems and take steps to deal with them.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making use of photos, a reflective teacher`s journal and interview records from Mar. 28, 2011 through Oct. 7, 2011. The problems identified were, (1) teacher centered classes, (2) a daily routine filled with large group activities, (3) disruptive students, and (4) repetitiveness. The routes to greater classroom happiness are (1) rearranging seats, (2) story sharing activities in small groups, (3) making a separate story sharing activity area, (4) using small groups instead of large groups, (5) changing the daily routine. The role of the teacher in finding greater happiness are (1) meaningful, ``real observation``, (2) discovering genuine change from small points, (3) power sharing, and (4) growing and developing with children.
플립러닝의 전략으로써 질문중심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경험
서혜정(Suh, Hye-Jeong),신그린(Shin, Gree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플립러닝의 전략의 질문중심 수업 과정과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경험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문중심 수업을 경험한 B 대학 2학년 2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18년8월 22일부터 12월 7일까지 수업 자료를, 2019년 1월 15일부터 8월 25까지는 서술식질문지와 면담을 통해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질문중심 수업 과정은 1) 질문 나누기, 2) 질문 해결하기(자체 해결하기-미해결문제는 교수에게 바통 넘기기-공유하며 해결하기), 3) 총정리하는 교수의 시간으로 이루어졌다. 예비교사는플립러닝의 수업을 통해 1) 플립러닝의 전략으로써 학습 노트, 2) 사고를 촉진하는 교수의 질문, 3) 경청과수용으로 조력하는 교수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교수뿐만 아니라 학습자도 원한다는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본연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학습을 요구하는 것이므로 대학 수업에서학습 주체를 학습자에게 이양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question-based instruction as one of flipped learning strategies and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of the flipped learning cla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o second-year students of B University who had participated in the class. Data from narrativ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August 22 to December 7, 2018, and the data from interviews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5 to August 25, 2019.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rocess of question-centered class consisted of 1) sharing questions, 2) solving questions, and 3) summarizing.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class included 1) taking notes as a flipped learning strategy, 2) being asked questions from the instructor that actively promotes thinking, and 3) the instructor’s careful listening to and acceptance of students. The study found that both the instructor and learning students desired the learner-centered class, implying that students have active agency in their learning thus, initiation should be given more toward learners in colleg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어린이집 만 4세 자연반의 숲 활동 체험에 관한 질적연구
서혜정(Suh Hye Jeo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1
이 연구는 어린이집 만 4세 자연반의 숲 활동 체험을 통해 숲 체험의 의미를 찾아가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1차 2012년 6월 11일부터 2012년 11월 27일까지 참여관찰을 통해, 2차 2013년 7월 12일부터 7월 24일까지 심층면담을 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자연반 유아들은 지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도전을 즐기고, 넓고 트인 자연 공간을 누리며 놀이하였으며, 날씨와 계절 변화로 달라지는 공간 특성을 활용한 놀이를 즐겼고, 점차 교실의 주제를 숲으로 연결하는 활동을 경험하였다. 숲 활동 체험을 통해 유아들은 자연 친화적 감성을 자발적으로 표상하였고, 비구조적인 자연물로 창의적으로 놀이하고, 자유를 만끽하며 놀이에 몰입하는 시간을 보냈다. 자연반 교사는 자연반 아이들에게 집중할 수 있어서 유아와 지속성 있는 관계의 끈을 이어갔다. 또한, 자연반 교사는 유아에게 통제와 제한을 거두어 교사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며 유아의 자발적인 놀이를 존중하는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자연반 교사는 교사의 의도와 비의도의 활동 균형을 유지하며 숲에서 더 많은 학습 기회를 시도하였고, 교실과 숲을 연결하며 유아의 탐구활동을 확장하는 기회를 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숲 활동에서 나타난 긍정적인 의미를 숲이라는 공간에 제한두지 않고 어린이집 공간 안에서도 연결하려는 실천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find meanings in experiences of Forest Activities among the 4year old children in the Nature Class in the Daycare Centre.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from the 11th of June, 2012 to the 27th of November, 2012 and in-depth interview was done from the 12th of July to the 24th of July, 2013 to collect data. This study showed that children in the Nature Class challenged various activities at different areas of forests, enjoyed freedom in open nature, and created surrounding-related activities depending on weathers and seasons. They had experiences that extended the themes of their classroom to the forest as well. Through the forest activities, the children had naturally learned eco-friendly emotions and produced creative activities with natural objects, being immersed in play at free atmosphere. The teacher of the Nature Class could have attentive relationships with the children because she c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m. She was also able to find a meaning of respect for their voluntary plays as well as devoted to her true role with the least control and restriction. She tried more learning opportunities at the forest with her balanced intention. She connected the classroom activities to those of the forest to let the children have chances to expand their inqui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positive meanings found in the Forest Activities should be extended into the space of daycare centers rather than limiting the meaning in the forest itself.
유아교육과 신입생 멘토링 프로그램이 학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혜정(Hye-Jeong Suh),임진형(Kye-Son Won),원계선(Jin-Hyung Lim)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1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멘토링 프로그램이 신입생의 학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1학년 2개 학급 70명이었다. 연구 자료의 수집은 2010년 3월 10일에서 2010년 6월 24일에 걸쳐 이루어졌다. 멘토링 프로그램의 시행 전과 시행 후의 학과 적응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멘토링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신입생의 전체 학과 적응도가 비교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육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멘토링 프로그램은 학과적응하위 내용인 교과외 활동을 제외한 시간관리, 학업활동, 사회적 관계 형성, 진로 및 취업준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학과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 적응을 위해 학과 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a mentoring program.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included 34 freshmen of a 3-year college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included 36 freshmen which received counseling. Based on the data collected, ANCOVA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freshmen adapt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with pre-test scores as the covariate and post-test scores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dapt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Sub-categories included the following: time management, academic activity, social relationship development, career and employment preparation. In the sub-category of extra-curricular activity,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a possible application of the mentoring program for freshmen in a 3-year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자녀 권리 존중 활동 실천에 대한 사례 연구: 수지 어머니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혜정 ( Hye Jeong Suh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through susie``s mother``s experience who practiced the respecting child``s rights activity. The data of study was collected from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s, which included videos, photos, activity material and interview records from Nov. 11, 2008 through Jan. 20, 2009. Susie’s mother practiced her respect for her child’s rights in various ways; re-examining the meaning of happiness in her child``s place, proving her merits by giving compliments, letting her put on whatever she wanted, decorating her room and naming it as she liked, making out a menu with her, and choosing appropriate television programs for her with her. Susie’s mother realized the practice should be constant and consistent in their lives. She also learned true meaning of respecting her child as who she is and the importance of rearing a child with consideration through open discussion each other. This study gave her a chance to respect her child’s rights by practicing the activity of respecting child’s rights. Therefore,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necessity of providing and developing the field-based program of children’s rights for parents.
서혜정(Hae-jung Suh),장명선(Myung-sun Jang) 한국젠더법학회 2019 젠더법학 Vol.10 No.2
여성장애인은‘여성’과‘장애인’이라는 이중의 특성으로 인하여 삶의 전반적인 분야에서 취약하며 다중차별에 놓여 있다. 이에 2006년 유엔총회에서 채택된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서는 모든 장애인 관련 법적·제도적·정책적 조치에서‘성인지적 관점(gender perspective)’을 가질 것을 권유하면서 이를 위해 단독 조항을 통해 장애여성의 존엄과 인권 증진 그리고 차별금지를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국내 장애인복지법, 장애인차별금지법 등에서 여성장애인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법률조항은 명시되고 있으나 현실에서 여성장애인의 열악한 삶의 상황은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정책공약에 사회적 차별해소 및 약자 지원 항목으로‘여성장애인지원법 제정’이 공약으로 채택되었다. 이를 계기로 본 연구에서는 여러 부처에서 산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여성장애인 관련 정책에 대한 국가 차원의 총괄 및 조정 체계를 구축하여 여성장애인의 인권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국회에서 기 발의된 여성장애인지원법의 조항을 중심으로 국내의 여성장애인지원 관련 법안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성장애인지원에 대한 법안의 법률명부터 시작하여 6개 영역에서의 법안 쟁점사항을 검토하고, 만약 단독 법률이 제정된다면 법률제정 방향과 추가·보완될 법안 등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였다. Due to the double characteristics of ‘woman’ and ‘the disabled’, the women with disabilities are vulnerable in the overall areas of life, and face the multidiscriminations. Thus,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has established the foundation for the enhancement of dignity and human rights of women with disabilities and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m in its independent article, by recommending to have the ‘gender perspective’ in all the legal/institutional/policy actions related to people with disabilities. Even though the Disability Welfare Act and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of Korea specify the legal articles for guaranteeing the rights of women with disabilities, the poor life conditions of women with disabilities have not been improved in reality. Thus,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human rights and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disabilities by establishing the national-level general control system for polices related to women with disabilities sporadically performed by many government departments since the ‘enactment of women with disabilities support act’ was selected as a pledge in the item of relieving the social discrimination and supporting the weak for the policy pledges of Democratic Party of Korea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of 2017, and analyzed the contents under the relations between overall context and domestic laws, focusing on the articl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Support Act proposed in the National Assembly. Starting from the legal name of the bill on the enactment of Women with Disabilities Support Act, this study reviewed the issues of the bill in six areas.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articles that should be included in case when the independent act would be legis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