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A4+7+BA의 처리방법이 사과 ‘갈라’ 품종의 수체생장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사공동훈,윤태명,최석원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4

        GA4+7+BA, a plant growth regulator for induction of feathering in young apple tree and increasing fruit size, was applied by various methods on ‘Gala’/M.9 apple trees in high density orchard for 4 years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fruit and shoot growth. GA4+7+BA(80-300 mg・L-1) increased fruit length, fruit weight, and L/D ratio regardless of application methods, but it did not affect soluble solid content, acidity, leaf area, and chlorophyll. Seed number was not affected by GA4+7+BA application, however, more immature seeds was observed in treated ‘Gala’ fruit. Shoot growth was increased when spraying GA4+7+BA at tree crown but not affected when spraying at fruit directly. More significant fruit growth was observed when GA4+7+BA was applied on the fruits between late of May and early of June when fruit cell division ended; however, high concentration of GA4+7+BA resulted in lower fruit storability because of lower firmness. Henc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when applying high concentration of GA4+7+BA to small sized fruit cultivars like ‘Gala’. GA4+7+BA는 유목의 측지 발생 및 과실비대를 목표로 사용되는 생장조절제로써 본 실험에서는 밀식 과수원의 ‘갈라’ 사과품종을 공시하여 4년 동안 여러 가지 살포방법을 이용하여 과실비대 및 영양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A4+7+BA 처리시 과실 종경, 과중, L/D율은 증가되나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산 함량, 엽면적, 엽록소함량 등은 변화가 일정하지 않았다. 과실 내 종자 수는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미발육 종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농도 수관전체 살포는 신초생장을 증가시켰으나 착과 부위에만 살포시에는 영향이 없었다. 살포시기에 있어서는 과실 세포분열이 끝나는 시점인 5월말에서 6월초에 살포하는 것이 과실비대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고농도 GA4+7+BA 처리는 과실의 경도를 감소시켜 과실의 저장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갈라’ 같은 소과종에 있어 고농도의 GA4+7+BA 살포는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SCIESCOPUSKCI등재

        GA<sub>4+7</sub>+BA의 처리방법이 사과 '갈라' 품종의 수체생장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사공동훈,윤태명,최석원,SaGong, Dong-Hoon,Yoon, Tae-Myung,Choi, Seak-Won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4

        $GA_{4+7}$+BA는 유목의 측지 발생 및 과실비대를 목표로 사용되는 생장조절제로써 본 실험에서는 밀식 과수원의 '갈라' 사과품종을 공시하여 4년 동안 여러 가지 살포방법을 이용하여 과실비대 및 영양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A_{4+7}$+BA 처리시 과실 종경, 과중, L/D율은 증가되나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산 함량, 엽면적, 엽록소함량 등은 변화가 일정하지 않았다. 과실 내 종자 수는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미발육 종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농도 수관전체 살포는 신초생장을 증가시켰으나 착과 부위에만 살포시에는 영향이 없었다. 살포시기에 있어서는 과실 세포분열이 끝나는 시점인 5월말에서 6월초에 살포하는 것이 과실비대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고농도 $GA_{4+7}$+BA처리는 과실의 경도를 감소시켜 과실의 저장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갈라' 같은 소과종에 있어 고농도의 $GA_{4+7}$+BA 살포는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GA_{4+7}$+BA, a plant growth regulator for induction of feathering in young apple tree and increasing fruit size, was applied by various methods on 'Gala'/M.9 apple trees in high density orchard for 4 years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fruit and shoot growth. $GA_{4+7}$+BA($80-300mg{\cdot}L^{-1}$) increased fruit length, fruit weight, and L/D ratio regardless of application methods, but it did not affect soluble solid content, acidity, leaf area, and chlorophyll. Seed number was not affected by $GA_{4+7}$+BA application, however, more immature seeds was observed in treated 'Gala' fruit. Shoot growth was increased when spraying $GA_{4+7}$+BA at tree crown but not affected when spraying at fruit directly. More significant fruit growth was observed when $GA_{4+7}$+BA was applied on the fruits between late of May and early of June when fruit cell division ended; however, high concentration of $GA_{4+7}$+BA resulted in lower fruit storability because of lower firmness. Henc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when applying high concentration of $GA_{4+7}$+BA to small sized fruit cultivars like 'Gala'.

      • KCI등재

        성목기 ‘후지’/M.9 사과나무의 해거리 방지와 수세안정을 위한 재식거리별 적정 착과수준

        사공동훈(Dong-Hoon Sagong),윤태명(Tae-Myung Yoon) 한국원예학회 2015 원예과학기술지 Vol.33 No.1

        본 시험은 성목기 ‘후지’/M.9 사과나무의 재식밀도별 적정 착과수를 조사하고자 영양생장, 생산량, 과실품질 및 이듬해 개화율을 3년(재식 7-9년차) 동안 조사하였다. 시험재료는 3.5 × 1.5m(190주/10a), 3.5 × 1.2m(238주/10a), 3.2 × 1.2m(260주/10a)로 심어 세장방추형을 목표수형으로 관리하고 있는 ‘후지’/M.9 사과나무이었다. 목표 착과수 범위는 주당 55-64과, 65-74과, 75-84과, 85-94과, 95-104과의 5수준이었다. TCA 증가, 총 신초장, 이듬해 개화율, 주당 생산량 및 수량 효율은 재식밀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과중과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목표 착과수준이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착색은 신초생장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해거리는 238주과 260주 재식구의 주당 과실수가 각각 85-94과, 75-84과 이상이 되면 발생하였다. 그러나 190주 재식구는 주당 95-104과 정도 되어도 해거리가 발생하지 않았다. 누적 생산량은 재식밀도 및 목표 착과수준이 높을수록 많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해거리가 발생한 착과구들 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190주로 재식된 ‘후지’/M.9 사과나무의 성목기 적정 결실량은 95-104개, 238주 재식구는 75-84개, 260주 재식구는 65-74개 범위가 적당할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years (7-9 years after planting) to investigate vegetative growth, yield, fruit quality, and return bloom for optimum crop load based on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of adult ‘Fuji’/M.9 apple trees. As plant materials, ‘Fuji’/M.9 apple trees planted at 3.5 × 1.5 m (190 trees per 10 a), 3.5 × 1.2 m (238 trees per 10 a), and 3.2 × 1.2 m (260 trees per 10 a) spacing and trained as slender spindles were used. The crop load was assigned to five different object ranges as follows: 55-64, 65-74, 75-84, 85-94, and 95-104 fruit per tree. TCA increment, total shoot growth, return bloom, yield per tree, and yield efficiency tended to increase as planting density decreased, and fruit weight and soluble solid content tended to increase as the object range of crop load decreased. Fruit red color tended to increase as shoot growth decreased. For apple trees planted with 238 trees and 260 trees per 10a, biennial bearing occurred when the crop load was over 85-94 and 75-84 fruits, respectively. However, biennial bearing did not occur when the crop load was 95-104 fruits in apple trees planted with 190 trees per 10a. Accumulated yield tended to increase as planting density and crop load increased, but that of biennial bearing did not show such a difference. Based on our results, optimum crop load recommendations are to set 95-104 fruits per tree in ‘Fuji’/M.9 mature apple trees planted at 190 trees per 10a, 75-84 fruits per tree at 238 trees per 10a, and 65-74 fruits per tree at 260 trees per 10a.

      • KCI등재

        가을철 기온이 높은 지역에 위치한 ‘후지’/M.9 사과원의 수확시기에 따른 과실품질과 저장성

        사공동훈(Dong-Hoon Sagong),권헌중(Hun-Joong Kweon),송양익(Yang-Yik Song),박무용(Moo-Yong Park),강석범(Seok-Beom Kang),윤태명(Tae-Myung Yoon) 한국원예학회 2013 원예과학기술지 Vol.31 No.4

        본 시험은 가을철 기온이 높게 유지되는 대구지역에서 성숙기 동안 ‘후지’의 과실품질 변화와 수확시기별 과실품질과 저장성을 3년(2007년, 2009년, 2010년) 조사하였다. 성숙기 동안 과실품질의 변화는 만개 후 120-135일부터 만개후 183-198일까지 조사하였다. 수확시기별 과실품질과 저장성 비교는 만개 후 180일 이후에 수확한 과실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과실 성숙기 동안 대구지역 ‘후지’의 문제점은 20℃의 높은 기온에 따른 착색불량이었다. 수확시기별 과실품질 비교에 있어, 수확시기가 연장될수록 가용성 고형물함량과 착색은 높아졌다. 수확 시의 과중은 수확시기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수확 시의 경도와 산 함량은 동결피해가 발생했을 때 심하게 감소되었다. 저온저장 20주 동안의 에틸렌 발생량 및 경도, 산 함량은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2009년 만개 후 216일에 수확한 과실들의 저온저장중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수확시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비교해 비슷하였으나, 2009년 만개 후 201일에 수확한 과실들은 수확시보다 높아졌다. 그러나 동결피해를 받은 후 수확한 과실의 저온저장 후 경도,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산함량은 동결피해 발생 전에 수확한 과실보다 낮았다. 결론적으로 가을철 기온이 높은 지역에서 ‘후지’ 과실을 만개 후 180-200일 대비 2-4주 정도 수확시기를 연장시키면 수확시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착색이 증가되었으나, 11월 중순이후로 최저기온이 -3.0℃ 이하로 떨어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11월 중순 이후로 과실을 수확하는 것은 위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ree years (2007, 2009, and 2010)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fruit quality during maturation, and the quality and storage ability of fruits harvested at different times of ‘Fuji’ apple in Daegu region with a high air temperature during the fall season. Changes in apple fruit quality during the maturation period were investigated from 120-135 days to 183-198 days after full bloom. In comparing quality and storage ability of fruits harvested at different times, fruits harvested more than 180 days after full bloom were used. During the maturation period, poor coloring was the problem for ‘Fuji’ apple in Daegu region by the high air temperature about 20℃. In comparing quality of fruits harvested at different times, the soluble solid contents and hunter a value were increased by the extended harvest time. Fruit weight during harvest was not affected by different harvest time, while the fruit firmness and titratable acidity during harvest were decreased critically when the freezing damage happened. Ethylene production, fruit firmness, and titratable acidity during cold storage for twenty weeks did not differ according to the different harvest time. Soluble solid contents of fruits harvested at 216 days after full bloom in 2009 were similar at the time of harvest and cold storage. For fruits harvested at 201 days after full bloom, soluble solid content during cold storage was higher than during harvest time. However fruit firmness, soluble solid content, and titratable acidity after cold storage of fruit harvested after freezing damage was lower than those of the fruit harvested before freezing damage. The results show that the extended harvest time of ‘Fuji’ apples about 2-4 weeks from 180-200 days after full bloom in area with above-air temperature during fall season was seemed to be beneficial to enhancing soluble solid contents and fruit red color, but harvesting after the middle of November was dangerous because minimum air temperature began to fall under -3.0℃.

      • KCI등재

        환상박피 시기가 ‘후지’/M.9 사과나무의 영양생장, 과실품질 및 꽃눈형성에 미치는 영향

        사공동훈(Dong-Hoon Sagong),윤태명(Tae-Myung Yoon)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1

        고밀식 사과원에 있어 수세가 강한 ‘후지’/M.9 사과나무의 세력을 안정시키는데 효과적인 환상박피 처리방법을 알기 위하여 2004년 발아기, 만개기 및 과경 15㎜의 유과기에 5㎜의 폭으로 주간에 실시하였다. 박피에 따른 영양생장을 무처리인 대조구와 비교한 결과, 발아기 박피구의 총 신초장은 대조구의 64% 수준이었으나 만개기 박피구에서는 73%로 박피 시기가 빠를수록 영양생장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익년 개화율은 만개기 처리구가 무처리의 33.6%에 비해 85.7%로 가장 높았고, 생장억제가 가장 컸던 발아기 처리구는 박피 처리구 중에서 가장 낮은 56.0%였다. 박피가 시기에 관계없이 사과의 품질에는 뚜렷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피 시기에 있어서는 신초 억제효과는 만개기 이전에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나 익년 개화율 증가에서는 만개기 이후에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신초 억제효과 및 익년 개화율 증가를 볼 때 적절한 환상박피 처리 시기는 만개기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order to control tree vigor, ‘Fuji’/M.9 apple trees in high density orchard were ringed width 5 ㎜ in 2004 in tree trunk in different phenological stages; terminal bud break, full bloom and fruitlet (fruit size is about 15 ㎜). It was observed that ringing at bud break stage reduced the total shoot growth of trees to 64% of the uncut control, while ringing at full bloom stage to 73%, indicating that the early ringing, the more effective on controlling vegetative growth. When the trees were ringed at full bloom, return bloom was the highest, 85.7%, compared to the control of 33.6%. Ringing at bud break stage was remarkably increased return bloom to 56.0%, and resulted in low vegetative growth. Ringing at fruitlet stage only got a slightly higher return bloom compared to the control trees. Appropriate shoot growth reduction resulted from ringing in tree trunk before full bloom stage did not have certain negative effect on fruit quality and improve tree flowering in the following year. With respect to increasing return bloom and yield efficiency, the optimum ringing time was full bloom.

      • KCI등재

        만개기 단근처리를 통한 수분스트레스가 `후지`/M.9 사과나무의 수체반응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사공동훈 ( Dong-hoon Sagong ),윤태명 ( Tae-myung Yoon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6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8 No.4

        본 시험은 5∼6월 수분스트레스가 사과나무의 광합성, 신초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단근은 만개기(4월 30일)에 원줄기에서 30cm와 60cm 떨어진 곳에서 열 방향에 따라 양쪽 혹은 한쪽으로 처리 하였다. 무처리구의 5∼6월 오후 평균 잎수분포텐셜은 -1.80MPa 이상을 유지하였지만, 단근 처리구들은 -1.80MPa 이하였다. 단근 처리 정도에 따른 5∼6월경 오후 평균 잎 수분포텐셜은 양쪽 30cm 단근구(-2.06MPa), 양쪽 60cm 단근구(-2.02MPa), 한쪽 30cm 단근구(-1.91MPa) 순으로 낮았다. 한쪽 30cm 단근 처리와 양쪽 30cm 단근 처리는 5∼6월 광합성속도를 각각 무처리구의 80% 및 65%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한쪽 30cm 단근구의 무처리구 대비 총 신초장과 평균 과중의 감소 정도는 각각 25% 및 11% 정도였던 반면에 양쪽 30cm 단근구는 각각 45% 및 15% 정도였다. 그러나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착색 정도는 단근 처리구들이 무처리구보다 높았으며, 양쪽 단근구들이 한쪽 단근구보다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5∼6월 오후 평균 잎 수분포텐셜이 -1.80MPa 이하이면 과실비대가 감소되었고, -2.00MPa 이하이면 신초생장이 감소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water stress from May to June on photosynthesis, shoot growth and fruit quality of apple trees. Fuji`/M.9 apple trees were root pruned at full bloom (30th April), parallel to the row of 30 cm or 60 cm from the trunk,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runk. The average value of afternoon leaf water potential from May to June of the no root pruning was maintained over -1.80 MPa, but that of root-pruning treatments was maintained under -1.80 MPa. In the comparison of average value of leaf water potential from May to June by root-pruning degree, the root pruning both sides at 30 cm from trunk was lowest (-2.06 MPa), followed by the root pruning both sides at 60 cm (-2.02 MPa) and the root pruning one side at 30 cm (-1.91 MPa). Root pruning one side at 30 cm or both sides at 60 cm reduced photosynthetic rate from May to June by 80% or 65%, respectively, compared with no root pruning. So, the degree of decreasing total shoot length or average fruit weight compare to the no root pruning of the root pruning one side at 30 cm was 25% or 11%, respectively, and those of the root pruning both sides at 30 cm was 45% or 15%, respectively. However, the soluble solid content and fruit color of the root pruning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no root pruning, and those of the root pruning both sides was higher than root pruning one sid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ruit enlargement was decreased when the average value of average leaf water potential from May to June was under -1.80 MPa, and the shoot growth was decreased when that was under -2.00 MP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