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측 활주 종골 절골술과 거골하 관절 제동술로 치료한 성인의 특발성 유연성 편평족 -1예 보고-

        정홍근,변우섭,유문집,Jung, Hong-Geun,Byun, Woo-Sup,Yoo, Moon-Jib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4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8 No.2

        There have been many reports about surgical treatments of flexible flatfoot in children and acquired adult flatfoot deformity due to posterior tibial tendon dysfunction common in the 5th and 6th decades. However there has been a controversy for surgical treatment guideline for painful idiopathic flexible flatfoot deformities in young adults. Therefore, we present a 27-year-old female with severe painful idiopathic flexible flatfoot who was treated with medial sliding calcaneal osteotomy and subtalar arthroereisis using $Kalix^{(R)}$ (Newdeal SA, Vienne, France) endoprosthesis and had good clinical outcome with high patient satisfaction at 10 months follow-up postoperatively.

      • 경골 Inlay 방법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합병증

        김명호,박희곤,유문집,변우섭,심상호,Kim Myung-Ho,Park Hee-Gon,Yoo Moon-Jib,Byun Woo-Sup,Shim Shang-H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3 No.2

        목적: 경골 Inlay 방법으로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합병증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9월부터 2004년 1월까지 경골 Inlay방법으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57명 58예를 대상으로 수술의 합병증에 대해 분석하였다. 남자가 50명, 여자는 7명이며, 평균 연령은 35세(15$\~$73세)였다. 후방 십자 인대 단독 손상은 28예, 슬관절내 동반 손상이 있는 경우가 30예였다. 원인 별로는 교통 사고가 39예로 가장 많았고, 운동 손상이 7예, 넘어진 손상이 7예, 기타 5예였다. 추시 검사는 술 후 4주, 3개월, 6개월, 1년째 외래 방문을 하게 하였다. 분석 방법은 슬관절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KT-2000TM 슬관절 계측기 및 긴장 방사선 촬영을 사용하였고, Lysholm Knee Score와 임상적 합병증을 평가하였다. 결과: 수술 전 Lysholm Knee Score는 평균 43.2점에서 최종 추시상 87.9점으로 향상되었다 $KT-2000^{TM}$ 슬관절 계측기 검사 상 수술 전 평균 8.75 mm(6.2$\~$l4.3 mm)에서 최종 추시상 3.41 mm (2.1$\~$l0.6 mm)로 향상되었다. 수술 중 합병증으로 슬와 동맥 파열과 동반된 구획 증후군이 1예에서 발생되었으며, 슬개골 골절 1예, 20$^{\circ}$ 이상의 굴곡 운동 범위 감소가 2예, 근위 경골부의 고정 나사가 경골 전면부에 돌출되는 경우가 2예에서 있었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동요 관절이 11예, 슬개골 골절이 1예, 슬관절의 신전 운동 범위 제한이 5예 및 굴곡 운동 범위 제한이 13예에서 관찰되었으며, 슬관절 주위 통증 21예, 무릎을 꿇을 때 통증이 8예 관찰되었다 결론: 경골 Inlay 방법으로 자가 골-슬개건 -골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되어 수술 및 수술 후 재활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lanned to evaluate complications?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reconstruction with tibial inlay technique using autogenous bone-patellar tendon-bone graft.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1994 to January 2004, we analyzed surgical complications in fifty-seven patients with fifty-eight cases who underwent PCL reconstruction. Fifty of them were male and seven female.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5(15$\~$73). Twenty eight cases of injury were isolated PCL, while thirty cases had associated injury of knee. The causes of injury were thirty-nine cases of traffic accident, seven sport injuries, seven fall down injuries, and five of others. The follow-up study was done at 4 weeks, 3 months,6 months and 1 year after surgery. KT-2000 arthrometer and posterior stress X-ray were used to examine the stability of the knee joint and the Lysholm Knee Score and a variety of clinical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Results: Although the mean score of the preoperative Lysholm Knee Score was 43.2, the postoperative score was increased to 87.9. The preoperative mean value of knee stability using KT-2000 arthrometer was 8.75 mm(6.2$\~$14.3 mm) but the postoperative mean was 3.41 mm(2.1$\~$10.6 mm). The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were: one case of popliteal artery injury with compartment syndrome, one case of patellar fracture, two cases of 20$^{\circ}$ flexion loss, and two cases of anterior cortical penetration of the screw through proximal tibia during screw fixation.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eleven cases of knee instability, one case of patellar fracture, five cases of extension loss, thirteen cases of flexion loss, twenty-one cases of around knee pain and eight cases of kneeling pain. Conclusion: After PCL reconstruction with tibial inlay technique using autogenous bone-patella tendon-bone graft,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this study. Careful attention during and after the operation, as well as rehabilitation must be required.

      • 이식건에 따른 관절경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비교 -자가 골-슬개건-골과 동종 아킬레스건의 비교-

        서중배,정홍근,김명호,박희곤,유문집,변우섭,이주홍,Seo, Joong-Bae,Jung, Hong-Geun,Kim, Myung-Ho,Park, Hee-Gon,Yoo, Moon-Jib,Byun, Woo-Sup,Lee, Joo-Hong 대한관절경학회 2005 대한관절경학회지 Vol.9 No.2

        목적: 전방 십자 인대 파열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 골-슬개건-골과 동종 아킬레스 건을 이용해 관절경적 재건술을 시행하고 이식건에 따른 임상 경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8월부터 2004년 4월까지 본원에서 전방 십자 인대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관절경적 재건술을 시행한 83례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60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제 I 군(32례)은 자가 골-슬개건-골 이식물을 이용하고, 제 II 군(28례)은 동종 아킬레스건 이식술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시 평균 환자의 나이는 33.5 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18 개월(12 개월${\sim}$30 개월)이었다. 환자의 주관적 평가로 수술 후 1년째 Lysholm knee scoring scale을 사용하였고 객관적 평가로 KT-2000TM arthrometer(MED metric, USA)를 사용하였다. Chi-square 경향 분석, 독립적 T 검정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고, 통계 프로그램은 SPSS 10.0 version을 이용하였다. 결과: 수술 후 1년째 KT-2000 arthrometer에서는 30 Ibs부하시 정상측과 비교하여 술 후 자가 골-슬개건-골군에서 1.53 mm, 동종 아킬레스건군에서 1.38 mm의 차이를 보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최종 Lysholm knee scoring scale을 이용한 평가 결과는 자가 골-슬개건-골군이 평균 93.9점(good), 동종 아킬레스 건군이 94.8점(good)이었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결론: 저자들의 경우 Lysholm 점수, KT-2000 관절 계측 결과 등은 동종 아킬레스건군에서 자가 골-슬개건-골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이식건의 선택은 환자 개개인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달라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동종 아킬레스건도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여 선택적으로 자가 이식건의 대체물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of the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ed by Bone-Patella tendon-Bone autograft and Achilles tendon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results of patients who had been managed with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different graft such as Bone-Patella tendon-Bone autograft and Achilles les tendon allograft. 60patients (average age, 33.5 years)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one group(average age, 33.4 years) was 32 patient who had been managed with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Bone-Patella tendon-Bone autograft. The other group(average age, 32.1 years) was 28 patient who had been managed with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Achilles tendon allograft. 2 groups were evaluated subjectively by Lysholm knee scoring scale and objectively by KT-2000 arthrometer. The follow-up period was more than a year(average, 18 month). An early rehabilitation protocol was instituted. Results: On Lysholm knee scoring scale, the final evaluation was nearly normal in all patients. We could not find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two groups by KT-2000TM arthrometer. Conclusion: The use of allografts may be an acceptable choice for ACL reconstruction.

      • KCI등재
      • KCI등재

        Pilon 분쇄 골절: 수술 방법에 따른 결과 비교 분석

        김유진 ( You Jin Kim ),정홍근 ( Hong Geun Jung ),이주홍 ( Joo Hong Lee ),변우섭 ( Woo Sup Byun ),이성태 ( Sung Tae Lee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1

        목 적: 경골 pilon 분쇄 골절의 술 후 전반적인 결과 및 제한적 내고정- 외고정군과 지연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군의 술 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부터6월부터 2004년 6월까지 경골 pilon 분쇄 골절로 제한적 내고정- 외고정술 (6예)과 지연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 (11예)로 치료를 받은 17명, 17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47.7세 (범위: 41∼63세)로 남자가 14명, 여자가 3명이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33.6개월 (범위: 12∼84개월) 이었다. 기능적 평가에 AOFAS 족관절- 후족부 점수를 이용하였고, 환자 만족도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최종 추시 결과상 AOFAS 점수는 80.4점이었으며 환자의 88%가 결과에 만족하였다. 외고정군과 지연 관혈적 정복군의 AOFAS 점수는 각각 평균 77.0점과 82.2점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 술 후 평균 16.0주에 골유합을 얻었으며 술 후 합병증으로는 피부 괴사 등 18예가 있었다. 결 론: Pilon 분쇄 골절에 대해 술 후 비교적 우수한 기능적 결과와 높은 환자 만족도를 얻었으며, 두 가지 수술 방법 간에는 유의한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overall surgical outcome of the tibial pilon comminuted fractures and perform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limited internal fixation-external fixation group and the delayed open reduction-internal fixation (ORIF) group.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1997 to June 2004, 17 tibial pilon comminuted fractures were treated with the limited internal fixation-external fixation (6 cases) or the delayed open reduction-internal fixation (11 case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47.7 years (range: 41~63 years), male was fourteen patients, female was three. Follow-up period was average 33.6 months (range: 12~84 months). Th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by using AOFAS ankle-hindfoot score and patient satisfaction was also evaluated. Results: AOFAS score at final follow-up was 80.4 points, and 88%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AOFAS scores of the external fixation group and the delayed ORIF group were average 77.0 points and 82.2 points respectively, which did not show the statistical difference (p>0.05). Bony union was achieved at average 16.0 weeks. There were 18 complications such as skin necrosis. Conclusion: We have achieved relatively encouraging functional results and high patient satisfaction for pilon comminuted fractures, without significant resul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urgical techniques.

      • KCI등재
      • KCI등재

        전완부 양골 간부 골절의 치료 -금속판 고정술과 Rush 핀 골수강내 고정술의 비교-

        김명호 ( Myung Ho Kim ),유문집 ( Moon Jib Yoo ),정홍근 ( Hong Geun Jung ),박희곤 ( Hee Gon Park ),변우섭 ( Woo Sup Byun ),전지용 ( Ji Yong Chun ),전숙하 ( Suk Ha Jeon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2

        목적: 전완부 양골 골절의 치료에서 요골과 척골 굴절 모두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 방법과 압박 금속판과 Rush pin정을 혼용하는 방법, 그리고 요골과 척골 골절 모두 Rush pin정으로 고정하는 수술 방법의 치료 성적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9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전완부 양골 간부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 51명의 술 후 기능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요골과 척골 골절을 모두 압박 금속판으로 고정한 18예 (제I군), 요골 골절은 Rush pin정으로 고정하고 척골 골절은 압박 금속판으로 고정한 14예 (제II군), 요골 골절은 압박 금속판으로 고정하고 척골 골절은 Rush pin정으로 고정한 11예 (제III군), 그리고 요골과 척골 모두를 Rush pin정으로 고정한 8예 (제IV군)에 대하여 각 군별로 Anderson의 기능적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치료 성적을 평가하였으며 Kruskal-wallis ANOVA 검증을 이용하여 네 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우수 및 만족을 양호로, 불만족과 실패를 불량으로 평가하였을 때 제I군은 18예 중 17예 (94.4%), 제II군은 14예 중 12예 (85.7%), 제II군은 11예 중 7예 (63.6%), 그리고 제IV군은 8예 중 4예 (50.0%)에서 양호의 결과를 보였으며, 각 군간의 양호 이상의 치료 성적에 대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4). 결론: 양골 골절을 모두 Rush pin정으로 고정하는 경우 자칫 해부학적 정복이나 견고한 고정을 이루지 못하여 전완의 해부학적 구조를 회복하지 못하는 경우 전완의 회전 운동 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그 결과 불량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양골 중 적어도 한쪽에는 압박 금속판 고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compare the functional results between the plate fixation and Rush pin insertion for the treatment of diaphyseal fractures of the forearm both bon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51 patients who were treated for diaphyseal fractures of the both forearm bones from 1995 to 2003, and evaluated them with Anderson`s method. Eigh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plate fixation of both bones (group I), 14 patients treated with of the Rush pin insertion of the radius and plate fixation of the ulna (group II), 11 patients treated with plate fixation of the radius and Rush pin insertion of the ulna (group III), and 8 patients treated with Rush pin insertion of forearm both bones (group IV). Results: Seventeen out of eighteen cases obtained favorable result (94.4%) in group I, 12 out of 14 cases (85.7%) in group II, 7 out of 11 cases (63.3%) in group III, and 4 out of 8 cases (50.0%) in group IV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p=0.04). Conclusion: Plate fixation of forearm both bones yield the best result. Thus, plate fixation of both forearm bones is recommended in treating the diaphyseal fractures of both forearm bones. At least one bone is recommended to be fixed with a plate if it is not possible to fix both forearm bones with plates.

      • KCI등재

        대퇴골 간부 골절 치료에서 확공성 금속정과 비확공성 금속성 사용시 임상적 차이 비교

        박희곤,김명호,유문집,변우섭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2

        목 적: 대퇴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 확공성 금속정을 사용한 경우와 비확공성 금속정을 사용한 경우, 그 임상적 차이를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6월부터 2000년 4월까지 대퇴 간부 골절로 진단, 본원에서 확공성 금속정 또는 비확공성 금속정으로 치료한 105례의 환자 중에서 1년 이상 추시 가능했던 95례의 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확공성 금속정 사용군이 74례, 비확공성 사용군이 21례이였다. 골절의 분류는Winquist-Hansen 분류를 사용하였으며, 확공성 금속정을 사용한 경우는 Ⅰ형 20례, Ⅱ형 37례, Ⅲ형 15례, Ⅳ형 2례이였으며 비확공성 금속정을 사용한 경우는 Ⅰ형 0례, Ⅱ형 7례, Ⅲ형 10례, Ⅳ형 4례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연구 대상의 추시 기간 동안의 의무기록과 방사선학적 검사를 토대로 수술 시간, 수술시 출혈량, 최초 가골 형성 시기, 골절 유합 시기 및 합병증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수술시간은 확공성 금속정 사용군이 평균 107분, 비확공성 금속정 사용군이 94분으로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으며 (p<0.005) 수술이 출혈량의 경우 금속정 사용군이 400㎖, 비확공성 금속정 사용군이 250 ㎖로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p<0.001). 그 외 최고 가골 형성 시기나 골절 유합 시기 등에서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으나, 골절 유합 시기가 비확공성 금속정 사용군에서 전반적으로 늦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대퇴골 간부 골절 치료에 있어 비확공성 금속정을 사용한 경우가 확공성 금속정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수술 시간 및 수술시 출혈량에 있어 유리함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제한된 경우에서는 비확공성 금속정의 사용을 고려해도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linical difference between the use of reamed nail and unreamed nail in treatment of femoral shaft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In 105 patients with femoral shaft fracture who were treated with reamed nail or unreamed nail between June of 1997 and April of 2000, 95 patients who underwent more than a year of follow-up were selected. Winquist-Hansen criteria was applied for the classification of fracture. Based on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conducted a retrospec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uration of operation, the amount of bleeding during operation, the first time of callus formation, union time, and complications. Results: The average duration of operation was 107 minutes for reamed nail group, and 94 minutes for unreamed nai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5). The amount of bleeding during the operation was 400㎖ for reamed nail group and 250㎖ for unreamed nai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irst time of callus formation and union time between the two groups but, in general union time tend to be long in unreamed nail group. Conclusion: In the treatment of femoral shaft fracture, the use of unreamed nail was shown to have an advantage over the use of reamed nail in terms of the duration of operation and the amount of bleeding. We recommend restrictive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