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풍속의 표준화와 지역별 도래 풍속의 확률에 관한 연구

        백승정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풍속의 표준화와 지역별 도래 풍속의 확률에 관한 연구 白 承 政 關東大學校 大學院 環境工學科 指導敎授 金 永 德 풍속은 풍상측의 지형지물 등의 영향으로 같은 풍속이 불어올지라도 그 값이 많이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기상대 주변의 지형지물의 변화 즉 지표면 조도(노풍도)에 따라 측정되는 기상대 관측풍속은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기상대에서 관측되는 풍속은 이들을 보정하여 표준화 하여야만 건설 환경 등 많은 분야에서 설계 시에 사용할 수 있다. 전국 61개 지역의 기상 자료를 수집하여 풍향별, 연도별 G.F.에 의한 지표면 조도구분(5등급), 지형도에 의한 분석 및 실측을 통한 지표면 조도를 구분하였다. 이를 토대로 각 기상대의 년 최대풍속을 표준화한 후 회귀선에 의한 100년 빈도를 도출하여 각 지역별 기본풍속을 유추하였다. 풍속자료가 부족한 지역은 M.C Simulation Tool을 이용하여 100년간의 년 최대풍속을 생성시켰다. 또한 빈도계수법(표준편차를 이용한 모멘트법)의 정규확률분포에 의한 기본풍속 추정 후 검정하였으며, 일부지역에 대해서는 수치해석을 통해 이들의 풍속을 최종적으로 검토 후 각 지역별 기본풍속을 최종 작성하였다. 금후 이와같은 연구는 지속적으로 행해져야 하며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정비가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풍향별, 연도별 G.F 및 연차별 지표면 조도구분 연년도별 풍향별 G.F와 지표면조도를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가. 대도시의 경우 서울, 인천, 대전, 부산, 대구, 울산, 광주지역은 거의 전 풍향에서 G.F의 증가경향을 보인 반면 같은 대도시임에도 수원은 감소경향을 나타냈다. 나. 중․소도시 가운데 G.F의 증가경향을 보인 지역으로는 청주, 춘천, 속초, 원주, 이천, 제천, 보령지역, 포항, 진주, 군산, 목포, 서귀포, 안동, 거제, 밀양지역 이었고, 강릉, 서산, 천안, 전주, 여수, 구미지역은 감소경향을 나타냈다. 다. 시골지역 가운데 G.F의 증가경향을 나타낸 지역으로는 강화, 금산, 양평, 부여, 보은, 울릉도, 울진, 남원, 고흥, 문경, 부안, 남해, 영덕, 봉화지역이었고, 태백, 인제, 홍천, 동해, 완도, 거창, 산청지역은 감소경향을 나타냈다. 라. 연도별 지표면조도를 구분한 결과, 대도시의 경우는 서울, 인천, 대전, 부산, 대구, 울산, 광주지역 등은 거의 모든 풍향에서 매년 지속적으로 지표면조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반면, 같은 대도시인 수원지역의 경우는 모든 풍향에서 매년 지표면조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중․소도시의 경우에는 청주, 춘천, 속초, 원주, 이천, 제천, 보령, 포항, 진주, 군산, 목포, 서귀포, 안동, 거제, 밀양지역은 평균적으로 지표면 조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강릉, 서산, 천안, 전주, 여수, 구미지역은 감소경향을 나타냈다. (2) 풍속의 G.F 변화에 의한 지표면의 조도 분석 가. 지표면조도구분 분석결과 1976부터 2005년까지의 연평균 G.F를 기준으로 지표면조도 등급을 구분한 결과를 종합하면, 대도시의 경우는 서울과 울산지역은 대략 Ⅲ등급에서 Ⅳ등급으로 증가했고, 인천은 Ⅱ등급에서 Ⅳ등급으로 증가했다. 반면 수원지역의 지표면조도는 Ⅲ등급에서 Ⅱ등급으로 감소했다. 중․소도시와 시골지역의 지표면조도구분 결과를 종합 분석하면 울릉도, 포항, 진주, 서귀포는 1976년의 Ⅲ등급에서 2005년에는 Ⅳ등급으로 증가했고, 군산, 목포, 청주, 춘천지역은 Ⅱ등급에서 Ⅲ등급으로 증가했다. 반면 서산과 여수는 지표면조도가 Ⅲ등급에서 Ⅱ등급으로 감소했다. 또 강릉과 전주의 경우는 지표면조도가 감소했으나 그 정도가 미미하여 지표면조도의 등급은 동일한 Ⅲ등급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지표면조도가 감소한 수원과 서산, 여수, 강릉, 전주지역의 경우는 일 최대풍속(연평균)이 심하게 증가했고 또한 일 최대풍속(연평균)과 연평균 G.F의 상관이 지표면조도가 증가한 다른 지역에 비해서 낮게 나타났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나. G.F와 실측한 지표면 조도구분 상관관계 서울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역은 50~75%로 나타났으며, 1단계 이하 차이를 포함하면 63개의 지역 중 천안, 군산, 강릉을 포함한 48개의 지역에서 G.F와 실측값이 75%이상 동일한 등급을 나타냈으며 1등급 이하 차이를 포함하면 부산, 광주, 태백이 81%, 대전, 안동, 영천지역이 88%. 울산을 포함한 9개의 지역이 94%, 서울, 인천을 포함한 남은 48개 지역에서는 100%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정의한 G.F에 의한 지표면 조도(노풍도)를 구하는 방법이 풍속의 표준화(평활화)를 위한 방법으로 유효한 것을 본 연구를 통해서 확인되었다. 다. 기상대별 풍속의 표준화 년 최대풍속을 표준화한 결과 풍속이 10%이상 증가한 지역을 살펴보면 대도시 중 울산이 11.38% 증가했고, 중소도시 가운데 30년 이상의 풍속 데이터를 보유한 지역 가운데 강릉이 17.46%, 서귀포 12.24%, 속초 11.30%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도시가운데 20년 이상의 풍속데이터를 보유한 원주지역이 13.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중․소도시 가운데 10년 이상 풍속데이터를 보유한 지역인 거제는 16.38%, 구미지역은 10.00%증가했다. 시골지역의 경우는 태백 11.84%, 합천 12.42%, 남해 14.33%, 봉화 15.67%, 양평 10.94%, 의성지역이 10.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지역별 기본풍속의 작성 및 평활화 가. 도로교 설계기준과 본 연구의 기본풍속 비교 본 연구의 기본풍속과 도로교 설계기준을 비교한 결과 대도시의 경우 서울, 인천, 수원, 대전, 대구, 부산, 울산, 광주 등 8개 지역, 중․소도시의 경우는 강릉, 군산, 목포, 서귀포, 서산, 속초, 전주, 진주, 청주, 춘천, 통영, 포항 등 12개 지역으로 총 20개 지역에서 풍속이 감소한 사실을 알 수 있었고, 중․소도시의 여수, 시골지역의 울릉도에서는 동일한 풍속 값을 나타냈다. 또한 도로교 설계기준과 비교할 때 본 연구의 기본풍속은 총 39개 지역이 추가되었다. 나. 건축학회 설계기준과 본 과제의 기본풍속 비교 본 연구의 기본풍속과 건축학회 설계기준을 비교한 결과 대도시의 경우 서울, 인천, 수원, 대전, 대구, 부산, 울산, 광주 등 8개 지역, 중․소도시 강릉, 군산 등 21개 지역, 시골지역은 홍천, 보은 등 24개 지역에서 풍속이 감소한 결과를 얻었으며, 여수, 울릉도, 울진, 태백, 밀양, 보령, 제주 등 7개 지역에서 증가하였다. 또한 건축학회 설계기준과 비교할 때 1개 지역이 추가되었다. 다. 기존의 설계기준과 본 연구의 기본풍속 증감율 분석 도로교 설계기준 및 건축학회 설계기준과 본 연구의 기본풍속을 비교할 때 각각 91%와 88%의 지역에서 설계풍속이 감소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많은 지역에서 풍속의 감소의 경향이 나타난 이유로는 상이(相異)한 등풍속선의 간격으로 인한 풍속보정 값의 차이로 판단되며 다음과 같은 정의를 내릴 수 있겠다. ① 기존의 설계기준은 측정 풍속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풍속의 상향 설정. ② 기존 도로교 및 건축학회 설계기준의 등

      • 캐나다 이누잇(Inuit) 전통공예 디자인의 조형의식 연구 : 한국 전통공예 디자인과의 조형의식 비교를 중심으로

        백승정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캐나다 이누잇(Inuit)은 북아메리카의 에스키모라 불리기도 하며 캐나다의 北極과 亞北極지역, 북서해안, 누나붓(Nunavut) 등에 거주하는 원주민이다. 이누잇과 한국인은 비록 지리적으로는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나 人類學的이나 言語 系統的으로 볼 때 몽골계통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며, 또한 그 원류가 시베리아 北方系統인 스키타이인의 動物藝術이나 中國古代의 靑銅藝術과 관계가 있는 예술을 발전시켜왔다는 점에서 두 민족간 전통공예 디자인에 있어 造形意識의 유사성이 있으리라 짐작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목적은 캐나다 이누잇 전통공예 디자인과 한국 전통공예 디자인을 서로 비교하여 造形意識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찾는 데에 있다. 비교 분석의 방법은 각종 출판물을 참조한 문헌적 고찰과 현장 답사를 통한 분석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2년 동안 캐나다에 거주하며 이누잇 거주지역들을 여러 차례 방문하였고 여러 박물관과 미술관, 그리고 각 대학의 연구자료실을 실제 탐방하여 그곳에 있는 遺物이나 소장품들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제Ⅱ장에서는 이누잇 전통공예 디자인의 역사적 배경과 문화적 배경을 살폈다. 제Ⅲ장에서는 이누잇 전통공예 디자인과 한국 전통공예 디자인의 文化史的 특성을 살핀 결과 우선 전개된 시기가 대략 이누잇의 先도르싯기는 한국의 선사시대에, 이누잇의 도르싯기는 한국의 삼국시대에, 이누잇의 튤리기는 한국의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중기까지에 해당되었으며, 두 민족간의 예술에 표현된 정신과 예술품의 形態에 있어서도 문화적 요소와 예술적 요소가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제Ⅳ장에서는 이누잇과 한국 전통공예 디자인의 思想的 측면의 宗敎意識과 조형요소적 측면의 象徵性을 분석하여 두 민족간의 조형의식을 비교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思想的인 측면에서 볼 때 한국과 이누잇의 宗敎意識은 모두 샤머니즘이라는 원시종교를 주류로 이러한 의식이 모든 전통공예 디자인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누잇과 한국의 샤머니즘은 生存과 文化保存의 전통으로서 영혼과 우주와 인간과의 관계를 대상으로 영혼설, 애니미즘, 토테미즘, 금기 등을 낳으며 모든 전통예술의 정신을 지배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의식에 바탕을 둔 전통공예 디자인의 造形意識은 결국 샤머니즘의 본질로써 규명 될 수 있었다. 둘째, 조형요소적 측면의 상징성에서 볼 때에도 形態와 機能, 材料, 色彩, 紋樣등의 모든 造形要素에 정신과 믿음의 象徵的 표현이 나타나고 있었다. 形態와 機能에 나타난 象徵性의 분석으로 이누잇에서는 아모틱(Amautik: 이누잇 여성들이 입는 전통 모피 파카)과 그 장식물, 샤먼의 파카와 부속물들을, 그리고 한국에서는 토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누잇의 아모틱은 그들의 정신과 생활, 역사, 문화의 근본적인 특성, 그리고 형태와 기능적인 상징성을 파악해 볼 수 있는 좋은 본보기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샤먼의 파카와 부속물에서도 샤먼적인 중요한 象徵的 의미와 그들의 삶과 직결된 宗敎意識, 즉 애니미즘, 샤머니즘, 토테미즘의 원시신앙이 잘 반영되어 있었다. 한국의 토우 역시 토우라는 形態를 통하여 순수한 우리민족 고유의 삶과 신앙, 그리고 인간 본연의 감정과 축원을 조형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 속에는 애니미즘, 샤머니즘, 토테미즘의 원시신앙을 잘 반영되고 있다. 材料에 나타난 象徵性은 이누잇의 先도르싯기부터 시작하여 모든 시대에 나타나지만 튤리기에 더욱 두드러졌으며 이는 이누잇 神話와 宗敎意識에 나타난 전통적인 세계관과의 일치성을 보이고 있었다. 色彩에 나타난 象徵性은 이누잇과 한국의 色彩의식이 機能이나 실용성보다는 음양오행설 등과 같은 샤머니즘적 사상에 바탕을 둔 象徵的 관념이나 의미성을 더 강조하고 있었다. 紋樣에 나타난 象徵性은 幾何學 紋樣과 動物 및 人間, 自然現象 紋樣 등으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는데 이누잇과 한국 모두 선사시대부터 자연의 절대적인 힘이나 집단생활과 결부되는 呪術과 마술 등의 呪術的 象徵이 形象을 통한 자연물의 記號化 내지는 言語化로써 체계성을 가지고 造形意志로 표현되고 있었다. 즉 이누잇과 한국의 幾何學 紋樣들은 대부분 呪術을 목적으로 표현된 象徵과 자연사물을 재현한 것이지만 이러한 일차적인 표현행위들도 그것이 그냥 그대로의 모사가 아니라 일정한 기법이나 틀로 재조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그들의 무의식 속에 잠재된 우주관과 세계관의 象徵이며 표현된 紋樣의 대부분이 北方 古아시아 유목민족 문화권인 시베리아 문화권의 영향 속에서 발전되었다는 것은 이누잇과 한국인의 造形意識에 있어서 근본적 동질성을 증명해주는 중요한 결과이다. 또한 이누잇과 한국의 動物과 人間 및 自然現象 紋樣에서는 그들이 동물이나 자연현상 등에 경외심을 가지는 象徵的 의미를 쉽게 발견할 수 있었다. 그 표현방법은 遠近法, 比例, 明暗 등의 처리가 없이 평면적 구성과 함축적 의미의 形象표현으로 이누잇 도르싯기의 岩刻畵와 튤리기의 활비비로 제작된 동물 사냥모습 조각들에 나타나며 특히 이러한 문양들은 캐나다 북서해안 지역에서 두드러졌다. 그리고 한국의 경우에도 선사시대의 반구대 岩刻畵에서부터 청동기시대의 銅器들, 고구려의 고분벽화, 신라의 금관, 관모, 고려시대의 청자나 고려銅鏡 등에 신앙적, 주술적 의식이 반영된 다양한 象徵的 紋樣들이 표현되고 있다. 이는 생명의 욕구에 대한 반응과 삶과 신앙의 터전에서 나온 것으로 그 시대의 가치관과 사회상의 반영, 내세에 대한 추구와 현실수행, 祝願的, 祈福的 요소들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캐나다의 이누잇과 한국인은 비록 지역적으로는 서로 멀리 떨어져 살아 왔지만 문화의 원류가 같으며 두 민족간의 傳統工藝 디자인에 있어서 문화사적 특성이 비슷하다. 특히 思想的 측면에서는 원시종교인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하는 哲學과 信仰體系, 영혼설, 禁忌, 宗敎儀禮, 그리고 象徵的 측면에서는 조형요소인 形態, 機能, 色彩, 材料, 紋樣 등에 정신과 믿음의 상징적 의미를 표현하였음을 볼 때 캐나다 이누잇 전통 공예디자인과 한국 전통공예 디자인의 조형표현은 서로 유사하며 조형의식은 근본적으로 동일하다는 결론 을 도출 할 수 있었다. Canadian Inuit, who are used to be called Eskimos of North America, are an aboriginal people who are living scattered throughout areas in the Canadian north arctic, the sub-arctic, the northwestern coast and Nunavut. Geographically the Inuit and the Korean are living far away from each other but in the anthropologic and linguistic sense, they both belong to the same Mongolian origin. Since they both have Asian factors in their origin of culture, which can be found in the Siberian North Scythian animal art styles and Ancient Chinese bronze arts, we can guess that their formative consciousness in traditional crafts design may be very similar to each o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formative consciousness expressed in the traditional crafts design of the Canadian Inuits and Koreans. The methodology for the comparison is analysis of traditional crafts design from variety of published materials. Also, analysis based on field research, for which the researcher had stayed in Canada for two years, is accompanied. The researcher had visited many Inuit territories, Canadian museums and universities which have Inuit art collections and artifacts. Chapter Ⅱ of this dissertation describes the background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development in traditional crafts design by the two peoples. In chapter Ⅲ, cultural developments of the two people are compared in a historical aspect and this study finds two similarities: First, the path of cultural developments of the two people are similar. The Inuit's Pre-Dorset period corresponds to the Pre-Historic period of Korea, Inuit's Dorset period to Korea's 'Three-Kingdoms' period, the Inuit's Pre-Thule to Korea's 'Koryo' period, and Inuit's Post-Thule and Historic period to Korea's Chosun period. Second, the spirits expressed in arts, and the cultural factors and artistic elements in the appearance of arts, and adaption to the social changes were all very similar between the two peoples. In chapter Ⅳ, this study compares religious rituals for the philosophical aspects of traditional crafts design, and then analyzes the symbols for the aspects of formative elements. From the philosophical aspects, both the Inuit and Korean religious rituals are based on shamanism. The shamanic consciousness is expressed in nearly every traditional craft of the two peoples. The traditional shamanism and the shaman played an absolute role in the Inuit and Korean arts. Shamanism, with its soul of immortality, animism, and totemism which makes relations between universe and human beings, occupied all the aspects of traditional arts. Shamanism, as the source of life, power, and conflicts, was expressed in both of the Inuit 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s. It gave birth to all of the religious rituals and taboos symbolized in the arts. Therefore, the consciousness of formative arts of both traditional cultures could be identified through the shamanism. From the symbolic aspects of arts, symbols of internal spirits and beliefs are expressed in every element of formative arts. The results from each element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Symbols in shapes and functions: For this, the study compared the Inuit's Amautik (traditional parker for women) and accessaries with the Korean Towoo (clay dolls). Through the Amautik, The Inuit's life, spiritual, and functional symbols could be identified very well. Also Inuit shaman's parker and their accessaries could tell the meanings of symbols, which is related to their religious rituals. Like Inuit's Amautik, the Korean Towoo expresses the life, and spirits of that time in formative arts, and it represents animism, shamanism, and totemism in the primitive religion. Symbols in material: From the Pre-Dorset period, each culture represents symbols of formative elements in materials well. However Thule period represents the best of consistency in Inuit legends and traditional philosophy. Symbols in color: Symbols in color the Inuit and Koreans used are deeply related to their understanding of life, death, and religion. They expressed their internal philosophical belief through their traditional crafts as symbolic designs. Therefore their consciousness of color was not for the functional or practical use. Rather, it was to express symbolic ideas and meanings based on shamanism and Yin Yang Five Element Theory. Symbols in patterns: From the Pre-historic period, both the Inuit and Korean patterns symbolized the charms and magics closely related to the absolute power of nature. These charms and magics were expressed as symbols of nature. This paper analyzed geometric patterns, animal and human patterns, and patterns for natural phenomenon. The geometric pattern reorganized symbols of objects that were used for the charm and magics. They did not copy the form of objects as they were but added a consistent technique and rule symbolizing their concept of the world and universe as a whole. Most of the geometric patterns they used were also found in the Siberian culture which is a part of the Ancient Asian nomadic culture. This is a strong evidence that shows a similarity of consciousness of formative arts in the Inuit and Korean traditional crafts. Human and animal patterns and patterns of natural phenomenon could easily show that they symbolize the respect for animals and natural phenomenon. In expression, the Inuit and Koreans both used a plane composition which used no perspective, proportion or contrast. For the Inuit, these patterns are mostly found in the figures carved in rocks during the Dorset period, and in the animal hunting figures carved by Bow-drill handles during the Thule period. In Korea, human and animal patterns and patterns of natural phenomenon can be found as early as from the prehistoric period in the 'Bankudae' rock carved figure, and in the figures of religious and magical rituals from the bronze period, in the 'Kokuryo Byukwha (wall painting of old tomb)', in the Koryo porcelain and China bronze mirrors. Both the Inuit and Korean patterns of Human and animal, and patterns of natural phenomenon should be interpreted as their expressions of the desire for life. The symbolic meanings of these patterns are mostly related to their traditional religions and represent their value and social system in that time. In conclusion, traditional beliefs, philosophy, religions, taboos, religious consciousness and ceremonies of both the Inuit and the Korean people are deeply related to their living. And the primitive shamanism had influenced all the aspects of their arts. From these points of view, even though the Canadian Inuit and Koreans have been living far away from each other, the origin of their cultures can be regarded as the same,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of traditional crafts as very similar. Especially, from the aspect of similarity in symbols that are expressed through formative elements, it can be said that the formative consciousness of traditional crafts design between the two people is originally the same.

      • 청소년의 부모 과잉허용 및 학업 스트레스가 자살태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인터넷 중독의 매개효과 검증

        백승정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부모의 과잉허용 및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들의 자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것으로, 인터넷 중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지역에 거주하고 현재 학교에 재학중인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에 해당되는 남∙여 학생 550명을 대상으로 양적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으며, 결과 분석에는 505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SPSS 1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 상관관계, t-test, ANOVA 검증을 하였고,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Baron & Kenny의 매개모형검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Aroian Test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과잉허용은 자살태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스트레스는 자살태도와 더불어 인터넷 중독율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인터넷 중독은 학업스트레스와 자살태도간의 부분매개변인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청소년 자살태도에 영향이 미쳐지고 있는 부모 과잉허용과, 학업스트레스의 심각성을 알고, 올바른 자녀양육을 위한 부모 교육실시와 학업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보다 강도 있는 국가적 규제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arental overpermission and academic stress on the suicide attitude of adolesc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et addi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50 boys and girls who were in their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second year of high school and resided in Gyeonggi Province. A quantitative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and the answer sheets from 505 respondents were analyzed. A SPSS 14.0 program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utiliz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Baron & Kenny's test method of mediating model was used, and Aroian test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et addic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overpermission resulted in strengthening suicide attitude. Second, academic stress contributed to fortifying not only suicide attitude but Internet addiction. Third, youth Internet addiction was identified as a partial mediating variable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uicide attitude.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ocial-welfare intervention should be provided: First, the gravity of parental overpermission and academic stress that affect youth suicide attitude should be realized, and paren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parents to raise their children in the right manner. Besides, a wide variety of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relieve the academic stress of teens, and the government should take more powerful measures to curb youth Internet ad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