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新羅時代 茶文化 硏究

        배근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oal of this thesis is not only to illuminate man of tea during Silla dynasty based on it's society and culture but also to study characteristics of tea culture based on bibliograph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ain characteristic of Silla dynasty is that Confucianism was the most popular learning. Tea culture during the dynasty based on Confucianism and Buddhism played a pivotal role in developing Buddhism culture and tea itself. As a result of prevalent tea culture, we can infer that many people of different classes such as nobles, monks, or commoners encourage tea tradition. My methodology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three books: Kewonpilgyoung, Samkuksaki, Samkukyousa. Furthermore, I also focused on characteristics of tea culture during Silla dynasty. The contents of Kewonpilgyoung included one very famous monk called "Gingamkuksa" and some of Choi Chi-won related to tea culture are as follows. Gingamkuksa as a trainee was respected as the most influential person in East Buddhism because he made a lot of efforts to enlight people. Moreover, he planted some tea bushes and enjoyed drinking tea near Mt. Jiri. Choi Chi-Won was scholar and thinker at during transition period. He as a very famous scholar contributed many areas such as literature, philosophy, religion, and politics. Moreover, while studying in China, he sent his parents some tea, which means his family enjoyed drinking tea. Some tea cultures of Seolchong and Kim Kyo-Kak included in Samkuksaki are as follows. Seolchong was a Confucianist who played a pivotal role in developing Confucianism in an original way. His learning and philosophy would impress nobles and it would make me infer that he also enjoyed drinking tea at that time. Considering he wrote <Hwawanggae>, he would have many knowledge on tea. Kim Kyo-Kak as a monk who gave up noble life and chose ascetic exercise overcame many difficulties and finally became a respectful monk. He as a tea lover planted a tea called "Keumgi tea" and I can infer that drinking tea was an important part of his spiritual exercise. In this thesis, I also illuminated three influential persons' tea culture included in Samkukyousa. Wonkwang, a monk, played a pivotal role in making Silla people live their life based on Buddhism. Wonhyo who was the most influential person Korean Buddhism contributed to developing the religion and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on tea ceremony. Despite his limited class, he wrote many books related to equality. Chugdam who boiled down tea for a king made a Korean verse called <Anminga>. This song which reflected on the stability of country and commoners' desires play a pivotal role in governing country. Considering my research, my point is that man of tea during Silla dynasty based on equality kept on their studying and at the same time tea itself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their spirits. The main stream of tea community during this dynasty were usually Hwarang, monk, or Scholars and they did not concern about their classes. Considering they wrote many books,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tea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tea culture in Silla dynasty are as follows. First, the spirit of Hwarang in tea culture is the spirit of tea ceremony. Second, the kinds of tea and tea method were that Wonkwang tea, Geumgi Tea. We can infer that they are Korean traditional tea when the two scholars went to Chnia to study. Cheondabub, one of tea methods in Gingamseonsabimun, is Gadabub which means to boil and drink and Geomdabub. Third, tea stuffs were developed based on an original Silla style. Tea stuffs of Hwarang are Sammul of Hansongeog, Seokgijo, Anabgi, and other things. Considering all things in my thesis, tea culture was maintained by noble, Hwarang, monks and it was developed by some philosophers. To be specific, while enjoying tea life, they develop tea spirit based on religion and philosophy. Ascetics introduced tea based on "Seon" spirit and scholars based on ethics established their own tea tradition style. Lastly, other scholars based on Doga completed their spirit based on the harmony with nature. Tea cultrue in Silla dynasty are multi-culture. The real meaning of traditional culture consists of tradition, modern, and foreign culture. We should develop our own tea culture based on academic theory and it eventually leads to multi-culture. 본 논문은 신라시대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문헌을 통하여 차인을 조명하고 신라시대 차문화를 고찰함으로써 차문화의 역사적 근거와 특징을 살펴보고 올바른 차문화 정립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라시대는 유학이 발달하여 학술적인 발전을 도모하던 시대였다. 신라시대 차 문화는 유교의 왕도정치, 불교의 호국정신에 입각하여 불교문화를 꽃피우고 승려, 화랑에 의해 발전을 도모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로 인해 차가 성행하게 되었으며 귀족, 승려, 일반 백성에게도 음다풍습이 생겨나 차문화가 확산되었으리라 유추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신라시대 차인의 생애와 행적에 관하여, 문헌인 『계원필경』(857), 『삼국사기』(1145), 『삼국유사』(1281)를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신라시대 차문화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계원필경』에 수록된 진감국사와 최치원의 차문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진감은 신라 하대의 혼란한 정국 속에서도 수행자로서 만민을 위해 교화를 펼침으로서 동방의 보살로서 칭송을 받았다. 또한 수행의 방편으로 지리산에 차나무를 가꾸고 즐겨 마셨던 차인이었음을 비문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최치원은 전환기적 亂世를 살다간 학자이며 사상가였다. 학구적 노력으로 대성하였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 문학사․사상사․종교사․정치사 등 여러 분야에서 명성과 업적을 남겼다. 뿐만 아니라 당 유학 때 부모님에게 차와 함께 보낸 편지글을 통해 그의 가족이 차 생활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삼국사기』에 수록된 설총과 김교각의 차문화 내용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설총은 신라시대에 한당유학을 한국적으로 수용하는 데 크게 기여한 유학자였다. 그는 육두품 출신의 귀족으로서 그의 학문과 경륜은 석학의 경지에 이르렀으며 유학자로서 당시 귀족층과 접촉하여 자연스럽게 차생활을 하였을 것이다. 그는 신문왕에게 덕치주의를 위한 <화왕계>를 지었으며 차가 정신을 맑게 하는 음료임을 인식하였을 정도로 차에 대한 고도의 식견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김교각은 왕족생활을 포기하고 구도자의 길로 출가하여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공경받는 승려가 되었다. 또한 중국에 갈 때 가지고 간 금지차를 재배, 제다하면서 차가 종교생활의 수도정진에 많은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원광, 원효, 충담의 차문화 내용을 고찰하였다. 원광은 보살계사상의 영향으로 인해 신라인들이 불교적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정신적․실천적 능력을 갖추게 하였다. 원효는 한국불교 사상사에 업적을 남긴 종교가이며 다도 정신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육두품 출신으로 사회적 제약에 연연하지 않고 평등사상으로 학문 정진하여 많은 저서를 남겼다. 충담은 왕에게 茶를 달여 올리고 왕의 요청으로 <안민가>를 지어 올렸다. <안민가>는 도덕적 정치질서의 확립으로 국가의 안정을 비는 마음과 백성이 고통 받는 삶의 현실을 왕에게 직언하고 이에 대한 치유 방안까지 제시하는 깊은 사려가 담긴 시가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면 신라시대 차인은 평등사상을 중심으로 자신의 신분에 국한하지 않고 학문에 정진하면서 차로 인해 정신적으로 승화시켰음을 알 수 있다. 차인들의 신분은 화랑이나 승려, 유학자로 주로 육두품으로 관직과 출세에 한계가 있었을 것이나 자신의 사회적 신분에 얽매이지 않고 내면에 충실하여 유학이나 불교에 심취하여 종교가나 학자로 신라시대를 빛낸 위인이었다. 또한 학문적으로 많은 저서를 남김으로 차문화를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고 차가 수행의 방편이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신라시대 차문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차의 정신에서 화랑정신과 다도정신은 구도적인 면에서 일맥상통한다.헌다의례를 통하여 다선일여사상을 구축하였고 다사를 통해 정신문화의 맥을 계승하였다. 둘째, 차의 종류 및 음다법에서는 차의 종류로 원광의 원광차, 김교각의 금지차가 있었다. 이는 원광과 김교각이 당에 유학 갈 때 가지고 간 우리의 전통 자생차였으리라 유추할 수 있었다. 음다법에 있어 진감선사비문에 나타난 전다법은 끓여서 마시는 자다법, 유화를 만들어 마시는 점다법으로 즐겨 마셨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다도구는 다사와 음다에서 뿐만 아니라 신라의 독창적문화로 발전하였다. 화랑들의 다도구로 한송정의 샘물, 석지조등이 있으며 안압지 사발, 여러 형태의 다도구가 있었다. 이를 보면 신라시대는 귀족, 화랑, 승려들에 의해 차생활이 유지되었으며 선사상을 가진 선인들, 도교의 사상가들에 의해 발전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차 생활을 즐기면서 종교 사상이나 철학으로 차 정신을 확립시켰으며 법도와 체계가 정립되었다. 출가 수행자들은 선사상에 차를 끌어들여 승화시켰으며 유가의 유학자들은 그들의 윤리의식에 차를 유입하여 다례의식을 제정하였다. 또한 도가의 사상가들은 자연과 합일하려는 신선사상에 의하여 풍류의 정신세계를 완성하였다. 신라시대 차문화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차문화는 종합문화였다. 전통문화란 우리 고유의 전통과 현대문화, 그리고 유입되어 토착화된 외래문화를 포함한 포괄적인 개념이다. 우리는 전통과 현대문화과 조화롭게 공존하는 우리 차문화를 학문적 이론으로 뒷받침하여 종합문화로 콘텐츠화 하여 계승․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