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자녀 부모의 성인애착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박미하 한국재활심리학회 2018 재활심리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역경 후 성장의 애착-인지모형을 장애자녀 부모의 성인애착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에 적용하여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장애자녀 부모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자녀 부모의 성인애착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장애수용, 역경 후 성장과 부적 상관이 있었고,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장애수용, 역경 후 성장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애착과 역경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고, 그 외 모든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자녀 부모의 역경 후 성장에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주요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자녀 어머니의 애착회피와 장애수용과의 관계: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

        박미하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posttraumatic growth in relationships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of mothers of child with disabilities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200 mothers of child with disabilities and conducted analysis on collected data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attachment avoidance of mothers of child with disabilities had a negative effect o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he relevant Strategy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which in turn had a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 of disability. Secondly, in relationships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posttraumatic growth had joint mediating effects partly. To help mothers of child with disabilities accept their children's disabilities needs to understand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reduce negative emotions related with attachment avoidance as experienced from their children throug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enhance posttraumatic growth eventually. 본 연구는 장애자녀 어머니의 애착회피와 장애수용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자녀 어머니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자녀 어머니의 애착회피는 장애수용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부적 영향이 있었다.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외상 후 성장은 장애수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회피와 장애수용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외상 후 성장은 부분이중매개효과가 있었다. 장애자녀 어머니의 장애수용을 돕기 위해서는 애착관계를 이해하고,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해 자녀에게서 경험하는 애착회피관련 부정정서를 감소시켜 외상 후 성장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기독교인의 종교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존감의 매개효과

        박미하 기독교학문연구회 2014 신앙과 학문 Vol.19 No.1

        본 연구는 기독교인의 종교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종교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과정에서 자존감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세 이상 교회에 출석하고 있는 기독교인 410명이었으며, 종교성향, 우울, 자존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인의 외재적 종교성향은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내재적 종교성향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자존감은 종교성향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재적 종교성향과 내재적 종교성향 모두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존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독교인의 종교성향에 따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고,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통해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해 준다. 이에 기독교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내재적 종교성향과 자존감을 증진시키는 상담전략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igious orientation of Christians on depression and verify if self-esteem has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religious orientation affecting depression. As for the participants of study, they were 410 Christians over the age of 20 attending church, and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religious orientation, depression and self-esteem scal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of Christians was having positive effects on depression, and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was having negative effects on depres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orientation and depression. Namely, both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had direct effects on depression but they also had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esteem. As for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n depression according to the religious orientation of Christians, and it implies that depression can be reduced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ccordingly, the need to search for counselling strategy was discussed to enhance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self-esteem to reduce the depression of Christians.

      • KCI등재후보

        경계선 지능 학생을 대상으로 한사회성 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박미하,김영인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3 청소년상담학회지 Vol.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경계선 지능 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향후 사회성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을 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와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의 학술지와 학위논문 14편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은 연구대상, 연구방법,연구설계 유형, 프로그램 운영, 측정도구와 효과의 실행요소 5개 항목과 프로그램 개발여부,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근거, 목적, 처치개입요소의 내용요소 5개 항목이다. 분석 결과, 실행요소에서는 중고등학생으로 대상이확대되고,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는 실험/통제집단 설계 적용과 경계선 지능 학생에 적합한 측정도구 개발의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내용요소에서는 경계선 지능 학생의 고유한 특성과 요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매체를확대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회성의근원요소가 되는 자기개념과 경계선 지능 학생의 학교적응에 목적을 둔 사회성 프로그램을 더 확대 개발하고학교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and direction for development andimplementation of sociability program of the future through systematic consideration ofdomestic literature on social program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For theforegoing,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14 domestic journals and theses in accordancewith literature selection procedure. Analysis standards include 5 implementation elements suchas study subjects, study method, type of study design, program operation, measurement tooland effect, and 5 contents elements of program development, program title, program basis,purpose and treatment intervention.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confirmed necessity ofapplication of experiment/control group design and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toolsuitable for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capable of expanding subjects to middle andhigh school students and securing validity in the implementation elements. For contentselem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applies various media based on theunique characteristics and demand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Based on the result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develop self concept which is a root element ofsociability simultaneously with a sociability program in addition to active implementation inschools aiming at school adaptation of student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from a long-termpoint of view.

      • KCI등재

        기독청년의 초월덕목이 종교적 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박미하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5 복음과 상담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청년의 초월덕목이 종교적 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기독청년 238명이었으며, 초월덕목 척도, 종교적 안녕감 척도, 실존적 안녕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청년의 초월덕목, 종교적 안녕감, 실존적 안녕감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교적 안녕감에는 초월덕목의 감사와 영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감상력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낙관성과 유머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성과 감사가 높고 감상력이 낮을수록 종교적 안녕감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셋째, 실존적 안녕감에는 초월덕목의 감사와 낙관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감상력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있었다. 그러나 유머와 영성은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사와 낙관성이 높고 감상력이 낮을수록 실존적 안녕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기독청년의 초월덕목이 종교적 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따라서 기독청년의 종교적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초월덕목의 차별화된 개입을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ranscendence virtues of Christian young adults on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As for research object, 238 Christian young adults were selected and transcendence virtues, religious well-being scale and existential well-being scale were conducted. As for data analysis, SPSS 18.0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transcendence virtues,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of Christian young adults. Second, gratitude and spirituality of transcendence virtues were having positive effects regarding religious well-being and appreciation was having negative effects. However, optimism and humor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s. Namely, it means that religious well-being increases when spirituality and gratitude are high and appreciation is low. Third, gratitude and optimism of transcendence virtues were having positive effects regarding existential well-being and appreciation was having negative effects. However, humor and spirituality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s. Namely, it means that existential well-being increases when gratitude and optimism are high and appreciation is low. Such results show that transcendence virtues of Christian young adults is having respectively different effects on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There is a need for differentiated intervention of transcendence virtues in enhancing the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of Christian young adults.

      • KCI등재

        성격강점과 영적 안녕감과의 관계: 자존감의 매개효과 검증

        박미하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character strength is a variable that affect the spiritual well-being of Christians,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steem during the process. The subject of study was 410 Christians, using by SPSS 18.0 program,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ron and Kenny's (1986) regression analysis for medi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c correlation every relationship among character strength, self-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Character strength and self-esteem had meaningful effects on spiritual well-being, and it was explaining the dependent variables in the order of transcendence, self-esteem, wisdom, justice and humanity with the explanatory power of 48%. Second, self-esteem had complete intervening effect on wisdom, partial intervening effect on humanity, courage, temperance, justice and transcendence. This study providing information on a new resource of character strength in enhancing the spiritual well-being of Christians, its significance is in the fact that it scientifically verified the basis of intervention of self-esteem in order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on preparing a foundation for developing happiness and growth program of Christians.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강점이 기독교인의 영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자존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기독교인 410명이었으며,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성격강점, 자존감, 영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모두 정적 상관이 있었다. 성격강점과 자존감은 영적 안녕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설명력은 48%로 초월, 자존감, 지혜, 정의, 자애 순으로 종속변인을 설명하고 있었다. 둘째, 자존감은 지혜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었고, 자애, 용기, 절제, 정의, 초월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는 기독교인의 영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성격강점이라는 새로운 자원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자존감의 개입에 대한 근거를 과학적으로 검증하여 기독교인의 행복 및 성장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