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의사의 폐경 후 호르몬 대체 요법에 대한 인식조사

        폐경연구소위원회 ( The Study Group For Menopause )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1

        최근 폐경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에 관한 진료가 가장 어려운 부분이다. 호르몬 대체 요법은 폐경기의 급성증상뿐 아니라 폐경으로 인한 만성증상에도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폐경 후 호르몬 대체요법의 사용은 이점도 있으나 건강에 대한 단점도 있어 호르몬 처방에 있어서 각 환자의 치료 적응증, 치료 금기, 치료로 인한 장단점등에 관한 임상의사의 인식이 중요하다. 따라서 호르몬 대체요법(HRT)에 대한 임상의사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폐경여성의 호르몬 치료와 처방에 관한 성향을 조사하고 폐경 치료의 문제점 발굴과 개선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2년 7월 폐경학회 회원에서 우편으로 4쪽 분량이 되는 21문항의 설문지를 우송하였고 8월말까지 회수된 1026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호르몬 대체요법 시행에 관하여 응답자의 97.8%가 시행하고 있다고 답변하였다. 호르몬 대체요법의 적응증에 대하여서 폐경증상이 없는 환자에게 시행하는 경우 골다공증의 예방을 위하여 처방하는 경우가 777명 (75.7%),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708명(69%). 조기 폐경인 경우 468명(45.6%), 심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294명(28.7%)이 처방 하였다. 호르몬 대체요법의 적응증에 대하여 폐경증상이 있는 여성에게 호르몬 대체요법을 처방하는 경우 vasomotor 증상을 위하여 934명 (91%), 성교통 524 명 (51.1%), 요로계 증상 치료 470 명 (45.8%), 질 증상 치료를 위하여 609 명 (59.3%), 관절통과 관절염 치료 505 명 (49.2%), 심리적 증상의 완화 498 명 (48.5%) 으로 나타났다. 폐경이 지난 여의사인 경우 현재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고 있는 경우가 124명(81%)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다수의 대한 폐경학회 회원들이 폐경 후 호르몬 대체요법을 처방하고 있었고 주로 안면홍조의 치료와 골다공증예방을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Objectives : To describe trends and attitudes concerning the prescription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Methods : Self administered postal questionnarie sent to Korean menopausal society. members (gynecologists, family medicine practitioners and general practitioners). Results : Results showed 1003 physicians (99.1%) routinely offered HRT to their menopausal patients. A high proportion of postmenopausal women doctors (81%) used HRT. Most popular indication for HRT were prevention of osteoporosis(75.6%), wellbeing or quality of life(69.1%) and vasomotor symptoms(91.0%).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physicians in sex, age and practice pattern regarding indication to HRT. Most physician (79.8%) did not prescribe alternative medicine for postmenopausal women. Conclusions : Most Members of Korean menopausal society recommended HRT during menopause. Regarding indication to HRT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hysicians in sex, age and practice pattern.

      • KCI등재

        한국 폐경여성의 폐경에 대한 인식도 조사

        최훈 ( Hoon Choi ),이홍균 ( Hong Kyoon Lee ),박형무 ( Hyoung Moo Park )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1

        연구목적: 본 역학조사는 제 3차 KEDA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한국 폐경여성의 폐경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알기 위해 실시된 연구이다. 연구방식: 본 연구는 대한 폐경학회와 한국 와이어스 공동주관하에 전국의 50-59세 여성중 무작위로 추출된 1201명을 대상으로 한국 갤럽 연구소를 통한 직접적인 대상군의 면담을 통해 이루어 졌다. 결과: 대상군의 평균 폐경연령은 49.7세였다. 대상군의 57%인 680명이 폐경의 원인을 알고 있다고 답하였으며, 73%는 폐경은 자연 노화현상으로 기인한다고 응답하였고 21%는 에스트로젠의 결핍이 그 원인이라고 답하였다. 92%는 폐경후 골다공증의 위험이, 72%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높아진다고 답하였다. 폐경후 느끼는 감정에 대해 140명이 응답하였는데, 64.2%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자연 폐경을 경험한 797명의 여성중 89%는 폐경증상중 적어도 하나를 경험하였다고 하였으며, 경험한 증상중 안면홍조(61%)가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폐경여성(79.8%)은 증상의 완화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나, 반수이상의 여성(54.8%)이 의료계 종사자에게 상담을 받은 적이 없다고 하였다. 42%의 여성은 폐경으로 성욕이 변하지 않았다고 하였으나, 57%는 감소하였다고 하였고 1%만이 증가하였다고 답하였다. 41.5%의 여성이 폐경후 경험한 질환으로는 고협압, 하지골절, 손목골절, 척추골절이었다. 전체 대상군중 33.9%는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다고 하였다. 384명(32%)이 칼슘을 복용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277명(23.1%)은 대체의학 또는 건강식품을 복용한 적이 있다고 하였다. 결론: 우리나라 폐경여성이 폐경에 대한 인식을 보면 일부는 치료가 필요하다고 한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자연적인 방법에 의해 조절되는 자연현상으로 생각하고 있다. 폐경여성에게 체계적인 접근을 통하여 폐경에 대한 정확하고 최신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epidemiologic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Korean menopausal women`s attitudes and awareness on menopause as a part of 3rd Korean Estrogen Deficiency Awareness(KEDA) anniversary program. Design : This study was conducted by Korea Gallup under the auspices of Korea Society of Menopause and Wyeth Korea through the face to face interviews with 1201 women aged between 50 and 59 years, who were randomly recruited from all areas in Korea, by using 53 questionnaires about menopause and HRT. Results : The mean age of menopause of the subjects is 49.7 years. 680 women comprising 57% knew the cause of menopause ,most of them mentioned menopause was the natural again process (73%) or resulted from estrogen deficiency (21%). Most women believed the risk of osteoporosis (92%) and cardiovascular disease (72%) were in creased after menopause. Among 140 menopause women who responded the attitude toward menopause, 64.2% of respondents expressed negative feeling. Among 797 women who experienced natural menopause, 89% of women said they had experienced one of menopausal symptoms and hot flush (61%)was the most common symptom. Most of the (79.8) believed the relief of symptoms was necessary, while more than half of women (54.*) had never been advised of their menopausal symptoms by medical personnel. 42% of women said their sexual desire had remained the same as before menopause, 57% reported their sexual desire had decreased, while 1% said their sexual desire had increased. During menopausal period, 41.5% of women had suffered from hypertension, leg fracture, wrist fracture, or vertebral fracture. Of total cohort, slight more than one third (33.9%) had regular exercise. 384 women (32%) and 277 women (23.1%) had taken calcium supplementation and alternative medicine, respectively. Conclusion : Menopausal women are divided in their view of menopause, some seeing it as a medical condition requiring treatment, whereas others see it as a natural transition to be managed by natural means. Providing menopausal women with accurate, up-to-date information by a systematic approach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폐경기 여성의 폐경 지식과 폐경 관리

        김인경 ( In Kyung Kim ),최혜미 ( Hye Mi Choi ),김명희 ( Myoung Hee Kim ) 대한폐경학회 2012 대한폐경학회지 Vol.1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현재 폐경에 대한 지식과 폐경 관리 정도 확인 및 지식과 관리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10년 12월 한 달간 3개 종합병원에 내원한 폐경기 여성 21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 내용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폐경 관련 특성, 폐경 지식, 폐경 관리에 대한 내용이었고 SPSS 18.0으로 분석하여 폐경 지식 및 관리 정도를 확인하고, 지식과 관리의 상관관계 및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 하였다. 결과: 폐경기 여성의 86%는 폐경에 대한 교육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고 폐경에 대한 교육 요구도는 높았다 (92%). 또한 병원 (의료진)으로부터 정보를 얻은 대상자가 폐경 지식이나 관리 정도에서 모두 높은 수준이었다. 여성의 폐경 지식과 관리에서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P < 0.01) 폐경 관리를 설명하는 변수는 폐경 지식, 폐경 유무, 폐경 교육으로 설명력은 20.5%였다. 결론: 폐경기 여성은 폐경에 대한 교육을 원하고 있으며, 의료진의 정보를 신뢰하며 의료진은 그들의 부족한 지식의 항목을 고려한 교육적 지지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what peri-menopausal women know in order to enhance peri-menopausal management. Methods: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in December 2010. A total of 211 peri-menopausal women in Seoul and City S, Gyeonggido were surveyed using a convenience sampl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Results: We found that 86% of peri-menopausal women had not received any health education on menopause and 92% of peri-menopausal women wanted more education about menopause. Women who acquired relevant information from a hospital (or medical staff) had high levels of knowledge and care of their menopause. Also,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postmenopausal women`s knowledge and menopause management (r = 0.75, P = 0.01). A regression model of the factors that affect menopausal management consisted of menopausal knowledge, menopausal status and menopausal education, with these factors explaining 20.5% of variance. Conclusion: Systematic efforts and education are necessary to empower menopausal women in the management of their menopause.

      • KCI등재

        임상의사의 폐경 후 골다공증에 대한 인식조사

        정혜원,윤병구,이병석,강병문,최훈,조수현,박형무,김정구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4

        골밀도 측정은 폐경여성을 진료하는데 있어서 치료의 시작과 지속, 또한 순응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골밀도 검사를 할 환자를 정하는 표준화된 지침은 폐경 환자 진료를 하는 의사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골밀도 측정은 골다공증 치료에 대한 반응을 보기 위하여 시간간격을 두고 측정하여 골소실율을 정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골밀도 측정을 하여야 하는 환자의 선책, 검사 간격, 검사부위 등에 대한 지침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폐경여성을 진료하는 의사들의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에 관한 인식과 검사방법, 치료시점등에 대한 성향을 조사한 보고가 없는 실정이어서 폐경환자를 진료하고 있는 의사들의 골밀도 측정과 골다공증 치료에 대한 성향을 조사하여 향후 표준화된 골밀도에 관한 지침을 만들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2년 7월 폐경학회 회원에게 우편으로 4쪽 분량이 되는 21문항의 설문지를 우송하였고 8월말까지 회수된 1025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80.4%의 의사가 진료중 환자에게 골다공증 검사를 권유하였고 그 중 70.4%가 골다공증의 선별검사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45.7%의 의사가 고밀도의 T 값이 -2.5이하 일 때 골자공증 치료를 한다고 응답하였다. 결론적으로 대다수의 대한 폐경학회 회원들이 폐경 후 여성에게 골밀도를 측정하여 진료에 활용하고 있었고 치료를 시작하는 골밀도 수치와 검사 간격, 측정하는 이유등은 의사들의 연령과 진료형태에 따라 따른 성향을 보였다. Objectives: To describe trends and attitudes concerning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rosis Methods: Self-administered postal questionnaire sent to Korean Menopausal Society members (gynecologists, family medicine practitioners and general practitioners). Results: Results showed 816 physicians (80.4%) offered measurement of bone mineral density to their menopausal patients. Most popular indication for the measurement of bone mineral density was routine check up (70.8%).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physicians in different age groups and practice pattern regarding indication to measurement of BMD. Most physicians (45.7%) started prescribing pharmacologic treatment of osteoporosis to patients at and below -2.5 T score. Conclusion: Most Members of Korean Menopausal Society recommended measurement of BMD for menopausal women. d regarding indication of measurement of BM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physicians in different age groups and practice pattern.

      • KCI등재

        폐경 전후 여성에서 상완-발목 맥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비교

        정찬경 ( Chan Kyung Chung ),윤보현 ( Bo Hyon Yun ),서석교 ( Seok Kyo Seo ),임경진 ( Kyung Jin Lim ),전영은 ( Young Eun Jeon ),양효인 ( Hyo In Yang ),이경은 ( Kyung Eun Lee ),조시현 ( Si Hyun Cho ),최영식 ( Young Sik Choi ),이병석 대한폐경학회 2010 대한폐경학회지 Vol.16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45∼56세 사이의 폐경 전후 여성을 대상으로 상완-발목 맥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폐경과 동맥 경직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강남세브란스병원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하여 건강검진을 받은 여성중 45세 이상이고 56세 미만이면서 상완-발목 맥파속도를 측정한 수검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폐경 전후 여성에서 상완-발목 맥파속도와 다른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폐경이 상완-발목 맥파속도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에서 폐경 전 여성의 경우 이완기 혈압 (β=0.402, P=0.009)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며, 폐경 여성의 경우 이완기 혈압 (β=0.329, P=0.021)과 호중구-림프구 비 (β=0.210, P=0.016)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이완기 혈압 (OR=1.112; 95% CI 1.034∼1.197), 공복혈당 (OR= 1.034; 95% CI 1.000∼1.069), 폐경 (OR=2.666; 95% CI 1.025∼6.937)이 증가된 상완-발목 맥파속도 (baPWV >1,300 cm/s)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폐경 전후 여성에서 상완-발목 맥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며, 특히 폐경 여성의 경우 염증반응이 상완-발목 맥파속도와 뚜렷한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폐경이 상완-발목 맥파속도를 증가시키는 독립적인 인자였으며, 이는 폐경 이행기의 호르몬 변화가 상완-발목 맥파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We also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menopause with arterial stiffness measured by baPWV.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241 postmenopausal women who attend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for a routine checkup.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parameters influencing baPWV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dependent parameters related to increased of arterial stiffness. Resul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β=0.402, P=0.009) was identified as an independent determinant for baPWV in premenopausal women, and DBP (β=0.329, P=0.021) and the neutrophil-to-lymphocyte ratio (NLR; β=0.210, P=0.016)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determinants for baPWV in postmenopausal women. The odds ratio (95% CI) of menopause for a high baPWV was 2.666 (1.025∼6.937). Conclusion: The NLR is associated with arterial stiffness in postmenopausal women. Consequently, inflammation is thought to play a crucial role in increased arterial stiffness in postmenopausal women. Menopause is associated with a high baPWV, suggesting that changes in the concentrations of sex hormones during the menopausal transition may influence arterial stiffness in clinically healthy women.

      • KCI등재

        복압성 요실금을 가진 폐경 여성의 요역동학적 검사의 특성: 폐경 전과 폐경 후 여성들에서 후향적 비교연구

        현혜선 ( Hye Sun Hyun ),박보라 ( Bo Ra Park ),김윤숙 ( Yun Sook Kim ),문성택 ( Seung Taek Mun ),배동한 ( Dong Han Bae ) 대한폐경학회 2010 대한폐경학회지 Vol.16 No.3

        연구목적: 요실금을 호소하여 병원에 내원하여 복압성 요실금으로 진단받은 여성에서 폐경 전과 폐경 후에 요역동학적 검사에서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복압성 요실금을 가진 폐경 후 여성의 요역동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복압성 요실금으로 진단된 40명의 폐경 전 여성과 44명의 폐경 후 여성을 임의적으로 선택하였다. 자세한 병력청취와 부인과적인 검진, 소변검사와 방광내압측정, 요도내압측정, 요속측정을 포함한 요역동학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두 군 간의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는 차이가 없었다. 폐경 후 여성의 평균나이는 62.1 ± 9.4세, 폐경전 여성은 40.9 ± 6.4세였다. 발살바 요누출압은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보다 낮았다 (88.2 ± 25.1 vs 106.4 ± 30.3 cmH2O, P=0.04). 최대 요도 폐쇄압은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보다 낮았다 (44.9 ± 21.4 vs 77.4 ± 32.2 cmH2O, P<0.001). 기능성요도길이는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보다 더 짧았다 (29.0 ± 9.7 vs 36.9 ± 10.9 mm, P=0.003). 최대 요속이나 잔뇨량, 최대 방광용적, Q-Tip test는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출산횟수는 폐경 후 여성이 더 많았다 (2.8 vs 2.2, P=0.026). 결론: 우리 연구의 결과는 발살바 요누출압과 최대 요도 폐쇄압은 폐경 후 여성이 더 낮고, 기능성요도길이는 폐경후 여성이 더 짧았다. 하지만 출산횟수나 질식자연분만 횟수가 폐경 후 여성이 더 많았다. 그리고 폐경과 무관한 나이에 대한 노화과정인지 아니면 폐경이 원인인지 구분이 모호하다. 그러므로 이 변수에 대해 좀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o compare the urodynamic characteristics betwee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Methods: Forty premenopausal women and 44 postmenopausal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ece were enrolled. All of the patients underwent a detailed history, gynaecologic examination, urinalysis and urodynamics including cystometry and pressure-flow analysis.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body mass index between the two groups. The mean age of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was 40.9 ± 6.4 years and 62.1 ± 9.4 years, respectively. The parity in postmenopausal women was greater than premenopausal women (2.8 ± 1.2 vs 2.2 ± 0.8, P=0.026). The valsalva leak point pressure (VLPP) in postmenopausal women was lower than that in premenopausal women (106.4 ± 30.3 vs 88.2 ± 25.1 cmH2O, P=0.04). The maximal urethral closure pressure (MUCP) in postmenopausal women was lower than premenopausal women (44.9 ± 21.4 vs 77.4 ± 32.2 cmH2O, P<0.001). The functional urethral length (FUL) in postmenopausal women was shorter than it in premenopausal women (29.0 ± 9.7 vs 37.0 ± 10.9 mm, P=0.003).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maximal flow rate, residual urine, maximal bladder capacity and Q tip test. Conclusion: The VLPP and MUCP were lower, and the FUL was shorter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an premenopausal women. The parity and number of vaginal deliveries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Further investigation will be needed concerning these variables. (J Korean Soc Menopause 2010;16:148-152)

      • KCI등재후보

        간호사의 호르몬 대체요법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류언나 ( Eon Na Ryoo ),박경숙 ( Kyung Sook Park ),박형무 ( Hyoung Moo Park ) 대한폐경학회 2012 대한폐경학회지 Vol.18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의 호르몬 대체요법에 대한 지식, 태도를 조사하여 폐경기 여성의 호르몬 대체요법의 환자 상담과 교육 등의 기초자료를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전국 산부인과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총 2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문지는 폐경 관련 지식과 호르몬 대체요법에 대한 지식과 태도로 구성되었으며 총 9문항이다. 결과: 간호사들은 폐경 여성에게 우려되는 질환으로 골다공증 (78%), 우울증 (69%)이라고 답하였다. 대부분의 간호사는 (95%) 호르몬 대체요법이 폐경 증상의 효과적인 치료법이라고 하였다. 또한 간호사들은 호르몬 대체요법의 장점 (59%)과 단점 (44%)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하였다. 호르몬 대체요법으로 우려되는 질환은 암(71%), 부작용 증상에는 유방통 (77%)과 질 출혈 (77%)이었다. 호르몬 대체요법의 적절한 치료기간은 기간제한을 할 필요가 없다고 (46%)하였다. 호르몬 대체요법 선택 시 가장 중요 고려사항은 안정성 (59%), 삶의 질 개선(36%)이었다. 대부분의 간호사들이 (95%) 본인/가족에게 폐경 증상의 치료로 호르몬 대체요법을 권유하겠다고 답하였다. 폐경 증상에 대한 호르몬 대체요법 상담은 진료 전 (40%), 약물 처방 후 (42%) 모두에서 시행되고 있었다. 결론: 호르몬 대체요법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호르몬 대체요법에 대한지식이 부족하므로 앞으로 교육이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교육은 간호사가 호르몬 대체요법을 설명하고 상담하는 효과적인 간호중재가 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on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of menopausal wome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21 nurses who were working at maternity hospitals in the whole country using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9 questions related to menopause-related knowledge and HRT-related attitudes and knowledge. Results: According to the nurses`s responses, the diseases of concern in menopausal women were osteoporosis (78%), and depression (69%). Most nurses replied that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of menopausal symptoms is HRT, and nurses were very knowledgeable about its strengths (59%) and weaknesses (44%). Cancer was regarded as the major complication of HRT (71%), and its side effects were breast pain (77%) and vaginal bleeding (77%). Forty-six percent of nurses thought that the appropriate treatment duration of HRT is not necessary to limit the period.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conducting HRT were drug stability (59%)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36%). Ninety-five percent of nurses responded that they personally would use HRT for menopausal treatment or would recommend their family. HRT for menopausal symptoms was being utilized before seeking medical treatment (40%) and after drug prescription (42%). Conclusion: Nurses have very positive attitudes about HRT but appeared to lack critical knowledge about HRT. Therefore, more educational programs for nurses about HRT should be required.

      • KCI등재후보

        조기폐경 환자에서의 호르몬 치료에 대한 순응도 분석

        이희숙 ( Hee Suk Lee ),옥지훈 ( Ji Hoon Ok ),김주명 ( Joo Myung Kim ),조연진 ( Yeon Jean Cho ) 대한폐경학회 2013 대한폐경학회지 Vol.19 No.2

        연구목적: 조기폐경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조기 폐 경과 관련된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고, 호르몬 치료에의 순응 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갱년기 증상을 보이고, 적어도 1개월 이상의 간격을 두고 시행한 혈액검사상 난포자극 호르몬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수치가 40 IU/L 이상으로 증가되어 있으면서 저에스트로겐 혈 증을 보이는 환자 중 40세 이하의 여성 총 1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특성 및 치료 순응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조기폐경 환자의 평균 나이는 33.2 ± 5.2세, FSH 의 평균값은 78.8 ± 28.8 IU/L였다.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 중 가장 흔한 것은 무월경 또는 희발월경이었다. 조기폐경 환자 중 88명은 결혼한 상태였으며 이들 중 22명은 불임으로 내원하였다. 조기폐경의 대부분은 원인미상이었고 (54.8%), 의인 성 원인에 의한 조기폐경이 30.2%로 나타났다. 호르몬 치료를 시작한 환자는 절반 이하인 61명에 불과하였으며, 유방암이나 간 기능 이상, 임신을 위한 배란유도제 사용 등으로 11명의 환자에서는 호르몬 치료를 시작하지 않았다. 호르몬 치료를 받은 환자 중 단지 37명 (60.5%) 만이 치료 시작 1년 후 추적관찰 되었다. 결론: 조기폐경 환자들에게 충분한 정서적인 지지와 향후 임신 여부에 대한 상담 및 조기폐경 이후의 퇴행성 변화에 대한 교육을 통해 조기 치료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순응 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of premature ovarian failure (POF) and patients` compliance with hormonal treatment.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26 patients diagnosed with POF was selected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7. The clinical, etiologic features and treatment compliance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age of diagnosis was 33.2 ± 5.2 years. The mean value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was 78.8 ± 28.8 IU/L. The most common symptom was amenorrhea or oligomenorrhea (54%). Eighty-eight patients were married and 22 of them visited our clinic due to infertility. The most common etiology was unknown (54.8%) and the second most common cause was iatrogenic (29.4%). Only 61 patients underwent hormonal treatment (48.4%). The remaining 11 patients did not undergo hormonal treatment due to other medical conditions such as breast cancer or liver disease; however, they were followed-up regularly (8.7%). Among the treatment group, only 37 patients were followed-up over a period of 12 months (60.7%). Conclusion: About half of the women diagnosed with POF did not accept their own problems and therefore delayed essential treatment. Clinicians should educate the importance of early treatment for preventing degenerative changes. (J Korean Soc Menopause 2013; 19:87-92)

      • KCI등재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골밀도와 호모시스테인간의 연관성

        서희선 ( Heuy Sun Suh ),양근석 ( Kyn Suk Yang ),김경곤 ( Kyung Kun Kim ),이규래 ( Gyu Rae Lee ) 대한폐경학회 2009 대한폐경학회지 Vol.15 No.2

        연구목적: 최근 골대사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나, 골밀도 (BMD)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을 대상으로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간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6년 8월부터 2007년 1월까지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가정의학과 외래 방문한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 1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혈액검사, 요추 및 대퇴경부의 골밀도, 흡연, 음주, 카페인, 우유섭취를 조사하였다. 대상자들은 골밀도에 따라 세 군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상)으로 나누어 분산분석이나 Fisher`s exact test를 통하여 세 군 간에 차이를 분석하였다. 혈청 호모시스테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결과 호모시스테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보정하였을 때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연관성은 상관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골밀도에서 세 군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상)간에 연령, 우유섭취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P<0.05),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세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혈당, 혈청 크레아틴,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대퇴경부 골밀도와 각각 독립적으로 유의한 연관성 (P<0.05)을 보였다. 혈당, 혈청 크레아틴,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을 보정한 후 대퇴경부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사이에 상관관계가 성립하였으나 (β=-0.25, P=0.01), 요추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β=0.027, P=0.786). 결론: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혈청 호모시스테인의 증가는 대퇴경부 골밀도 감소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따라서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증가된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골다공증의 위험요소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Objectives: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however, few such studies have been published. Henc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MD in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One hundred nine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who attended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t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ugust 2006 and January 2007 were recruited. The blood was sampled, the lumbar and femur neck BMD were measured, smoking habits were established, and the alcohol, caffeine, and milk consumption of the participants were determined.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BMD (osteoporosis, osteopenia, and normal),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were analyzed with ANOVA or Fisher`s exact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serum homocystein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MD adjusted by factors affecting homocysteine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Results: With respect to BMD, the three groups exhibited some differences (P<0.05) in terms of age and milk consumption, but the serum homocysteine level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serum homocysteine level was individually associated (P<0.05) with serum glucose, serum creatinine, HDL-cholesterol, and femur neck BMD. Although a correlation was established (β=-0.25, P=0.01) between the femur neck BMD and homocysteine concentration when adjusted for serum glucose, serum creatinine, and HDL- cholesterol, there was no such relationship present (β=0.027, P=0.786) between the lumber BMD and the homocysteine concentration. Conclusion: An increased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in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is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femur neck BMD. Hence, the increase in the serum homocysteine level can b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risk factors for osteoporosis.

      • KCI등재

        한국 임상 의사들의 호르몬 대체요법의 처방 시작 시기 및 사용기간에 대한 성향조사

        정혜원,윤병구,이병석,강병문,최훈,조수현,박형무,김정구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3

        목적 : 본 연구는 한국 임상의들이 각 적응증에 따라 폐경여성에게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하는 시기와 사용 기간에 대한 경향을 알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 대한 폐경학회 정 회원에게 폐경 후 호르몬 치료에 관한 인식과 처방 형태에 관한 질문 2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우편으로 우송1012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의사들은 폐경 전후와 적어도 폐경 5년 내에, 폐경증상, 골다공증 예방, 그리고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하여 호르몬대체요법을 시작한다고 하였다. 폐경 증상 치료를 위하여 38.8%는 증상이 호전된 후, 33.5%는 폐경 후 5년 내까지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한다고 하였으나 사용기간에 대해서는 성별,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골다공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41.2%가 평생동안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한다고 하였으나 투여기간에 대해서는 성별,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심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37.2%는 평생동안, 25.6%는 폐경 후 5-10년 내까지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한다고 하였으나 성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대부분 의사들은 적어도 폐경 후 5 년 내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하지만 호르몬 대체요법을 사용하는 기간은 다양하다. 이에 대한 의견일치를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 To identify the trends and attitudes of Korean physicians toward recommending when HRT is started and how long it is continued for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In a cross sectional study was invited letter to complete and return enclosed questionnaires to Korean menopausal society members(physicians). Results: Most physicians recommended postmenopausal women to start HRT for any indication during perimenopausal period or at least within 5 years after menopause. For relieving menopausal symptoms, 38.8% of respondents recommended continuing HRT till subsiding the symptoms and 35.5% recommended in 5 years after menopause. However, there lacked a consistency of sex and age among subjects. For preventing osteoporosis, 41.2% of respondents recommended continuing HRT for lifelong, although sex and age lacked consistency. F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37.2% of respondents recommended continuing HRT for lifelong and 25.6% recommended continuing HRT till between 5 and 10 years after menopause, although sex lacked consistency. Conclusions: Most Members of Korean menopausal society recommended starting HRT for any indications at least within 5 years after menopause. However, there was a discordance among Korean physicians regarding how long should be recommended to continue according to indications. Thus consensus for the duration of HRT will be needed among physici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