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연근무정책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조직 내 개혁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민경률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가족친화제도 중에 하나인 유연근무정책의 효과성을 살펴보고, 유연근무정책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유연근무정책이 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유연근무정책과 직무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직 내 개혁가치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유연근무정책은 크게 근무유형에 따라 시간제근무, 탄력근무제, 원격근무제로 구분되어진다. 시간제근무의 경우 비정규직을 양산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으며, 탄력근무제와 원격근무제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와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선행변수로서 탄력근무제의 참여여부, 탄력근무제 만족도, 원격근무제 참여여부, 원격근무제 만족도가 사용되었으며, 결과변수로서 직무만족과 이직의도가 사용되었다. 조절변수로서는 조직 내 개혁가치(성과지향적 개혁가치, 전략지향적 개혁가치, 지식관리 기반 개혁가치, 사회적 형평 개혁가치)를 선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미연방정이용하였부 인사관리처(OPM)에서 실시한 2012년 Federal Employee Viewpoint Survey를 다. 원자료(Raw data)의 응답자 670,670명 중, 결측값을 제거하여 597,703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사전단계로서 미연방정부 공무원들의 유연근무제 이용현황과 만족도, 직무만족, 이직의도 및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위해 기초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총 24개의 연구가설 중 17개의 가설이 증명되었다. 연구결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첫째, 유연근무정책의 시행과 더불어 유연근무정책을 조직 구성원들이 개인의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이용할 경우에만 정책의 효과성을 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유연근무정책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조직 내 개혁가치가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지향적 개혁가치와 전략지향적 개혁가치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적 형평 개혁가치와 지식관리 기반 개혁가치는 적은 영향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 내 존재하는 개혁가치들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으며, 본 논문의 한계점을 살펴봄으로써 연구의 향후 발전방향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 평가제도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책임운영기관 내 평가수용성, 리더십, 조직학습의 역할 검증을 중심으로

        민경률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책임운영기관 종합평가를 받는 과정에서 책임운영기관 구성원들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는가를 탐색하고 검증함으로써, 책임운영기관 종합평가의 제도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 제시를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위계선형모형, 델파이 조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분석에 따른 핵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마다 차이는 있지만 책임운영기관 종합평가로 인한 조직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기초통계분석에서 평가활용 수준이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델파이 조사에서도 평가활용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이 수집되었다. 전문가들 또한 평가활용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점에 공감하였으며, 평가활용 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해주었다. 예를 들어, 평가제도의 일관성 유지, 결과보고서의 구체적인 작성, 평가위원과의 소통기회 확대 등이 제시되었다. 둘째, 평가활용을 촉진시키는 요인을 살펴보고 위해 제4장에서 위계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제5장에서는 위계선형모형 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한 델파이 조사와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먼저 위계선형모형 분석에서 평가결과 수용성, 평가지표 수용성, 조직학습이 평가활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델파이 조사에서도 평가제도 수용성, 조직학습이 평가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기관장 리더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조직 구성원들의 입장에서는 비전을 제시하고 앞장서나가면서 조직을 이끌어나가는 기관장보다는 조직 구성원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는 등의 소통을 중시하는 기관장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관장 리더십이 평가활용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던 것은 조직 구성원들이 기관장에게 바라는 역량이 평가지표에 잘 반영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먼저 이론적 차원에서 본 연구는 ① 조직관리론적 접근과 인적자원관리론적 접근으로 책임운영기관제도를 살펴보았다는 점, ② 책임운영기관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 ③ 다양한 분석 기법을 통해 주요 개념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실무적 차원에서는 ① 인센티브 제도 개선, ② 기관장 리더십 관련 제도 개선, ③ 책임운영기관 상위부처의 협력, ④ 기관장과 구성원의 관심 제고 ⑤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⑥ 조직학습 활성화, ⑦ 평가 위원과의 소통 기회 마련, ⑧ 책임운영기관 간 교류 확대를 제시하여 책임운영기관제도 개선 방안 마련에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