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제주여성문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문순덕(Soon Deok Moon) 제주학회 2009 濟州島硏究 Vol.32 No.-

        전 세계적으로 국가나 지역에 따라 자신들의 정체성 확인 방법으로 문화 핏줄찾기를 시도하고 있으며, 이것을 민족과 국가의 차별화 전략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이 글은 제주여성문화사의 연구물을 중심으로 해서 지역 여성문화의 연구 의미, 연구 동향, 현황과 과제 등을 개괄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제주여성문화사 관련 연구물로는 사진자료집, 구술자료집, 무형문화재여성의 생애사, 제주여성들의 적극적인 혼이 담긴 여성문화, 제주여성들의 삶과 공간이야기, 여성유적. 제주여성사료집, 제주여성사 등이 있다. 지역 여성문화 연구의 의미는 문화의 정체성 찾기, 전승 요소 찾아서 계승하기 등이며, 전국의 자치단체가 여러 가지 목적으로 여성사 정립을 시도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예산과, 연구 기간은 물론, 적정한 연구자의 확보가 중요하다. 지역 여성문화 연구 목적은 여성의 정체성 찾기, 여성의 사회적 위치 확인 등이며 이를 현대여성의 삶에 투영시키는 것이라 본다. 물론 연구 주제와 범위에 따라 다르겠지만 각 지역의 여성들이 만들어낸 문화, 그들이 만들지는 않았지만 그들의 목소리가 들어가서 전승되는 문화 등을 찾아내고 귀감으로 삼으려는 목적이 있기 때문에 여성문화 연구의 의미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역사적으로 서서히 축적되고 전승되는 지역 여성 문화 연구를 바탕으로 해서 여성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전망을 제언하고 있다. Recently, tracing blood has been done to prove their identity by country and region all over the world. This has been also used as a strategy of ethnic and national differentiation. This paper is to discuss research meanings and trends, and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n a regional woman culture centering around the findings of the cultural history of Jeju women in general. The findings on the cultural history of Jeju women are as follows: photo material, oral material. women s stories with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 woman culture with Jeju women s positive spirit, stories of Jeju woman s life and space, historical material for Jeju women, the history of Jeju women, and so on. To research a regional woman culture means to prove cultural identity and to uphold the tradition, so that local autonomous communities are trying to establish the history of women for various purposes. It matters to ensure a sufficient budget and research period, and proper researchers. The research aim of a regional woman is seen to prove women s identity, to identify the social status of women, and to reflect it on the life of modern women. Thus, the research of woman culture means to discover the culture each regional woman has made and the culture inherited in the voice if she has not, and to follow it as a good example. Consequently, this paper proposes that it is desirable to plan out a policy for women based on the research of regional woman culture conserved and handed down gradually.

      • KCI등재후보

        제주도 해양문화자원에 대한 도민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문순덕(Moon, Soon-Deok),김석윤(Kim, Seok-Yoon) 제주학회 2021 濟州島硏究 Vol.55 No.-

        제주도는 섬지역으로서 해양문화자원이 풍부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은 편이므로, 제주 도민들이 지역의 해양자원을 공공자산으로 인식하고 그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해양문화자원에 대한 제주 도민들의 인식과 태도를 확인해 보고, 해양문화자원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주도의 해양자원은 크게 자연자원, 인문자원, 산업자원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글에서는 인문자원만을 논의대상으로 삼았다. 해양인문자원은 역사자원, 생활자원, 문화콘텐츠로 분류하여 현황과 제주 도민들의 인식을 확인해 보았다. 제주도의 해양문화는 역사성과 지역성을 바탕으로 형성된 자원들이지만 급변하는 사회 환경에 따라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과거의 자원으로서가 아니라 미래 자원으로서 잠재적 가치가 높다고 인식한 결과이다. 이에 제주사회의 변화를 고려하여 제주도의 고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양문화자원의 가치를 귀중하게 인식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해양문화자원은 ‘이용의 대상이 아닌 공존’의 대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제주도 해양문화는 ‘제주 도민의 자긍심’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역별․ 연령별 인식 차이의 원인을 규명하고, 그에 따른 합당한 보존과 활용 방안을 마련하려면 해양문화자원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 결국 제주도 해양문화자원의 보존과 활용 측면을 고려하여 제주도의 정책 방향에도 반영되어야 한다. Jeju-do is an island and has high expectations to have rich marine culture resources. It is thu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plan for the residents of Jeju to view the region’s marine resources as public property and enhance its value.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Jeju residents on marine culture resources and proposes a novel method to newly recognize and utilize the value of marine culture resources. The marine resources of Jeju-do can be categorized broadly into the categories of natural resources, cultural resources, and industrial resources, but this study only discusses cultural resources. Marine culture resources were divided into historical resources, lifestyle resources, and cultural content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erception of Jeju residents. The marine cultures of Jeju-do are resources formed based on its histor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but its gravity is heightening according to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This is the result from the perception that there is high potential value as a future-oriented value, rather than resources of the past. Accordingly, conditions should be provided considering changes in the Jeju society for placing value on the marine culture resources in order to maintain the uniqueness of Jeju-do. Therefore, an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to recognize marine culture resources as a subject of ‘coexistence rather than use’ and it should be possible for Jeju’s marine culture to become the ‘pride of Jeju residents.’ Furthermo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per region and age group, while providing suitabl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all marine culture resources. In result,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spects of marine culture resources should be considered and reflected in the policy directions of Jeju-do.

      • KCI등재후보

        제주방언의 보전 전략

        문순덕 ( Soon Deok Moon ) 영주어문학회 2010 영주어문 Vol.19 No.-

        Jeju dialect is considered to be valuable and should be preserved, so that dialectologists and zealots for Jeju dialect have tried to mention and practice its preservation and importance. The establishment of its policy, however, is beyond their capacity. Surveying the present situation on the preservation policy of Jeju dialect, this paper is to propose its prospects. First of all, the achievement of the 1st generation dialectologists is presented, and the activities of the 2nd and 3rd generation dialectologists are introduced. Moreover, the practices of the national and the regional language policy are discussed. The policy on Korean as a national language and a regional dialect is chosen to maintain and set up a cultural identity. Various ``competitions of Jeju dialect`` by self-governing communities and private organization have preserved spread Jeju dialect. It is certain that training the actors, establishing the position, promot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keeping a record of Jeju dialect are proposed as a prospect of the preserving policy of Jeju dialect. In the aspect of the role of the related institution, it is necessary that expert groups, self-governing commun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participate its policy positively. For the strategy of preserving and spreading Jeju dialect, a institutional device should be provided to apply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hen th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of Jeju called Jeju dialect are used as contents.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lot of material for cultural contents to develop and use in Jeju. There is Jeju dialect in the middle of its cultural contents. Linguistic knowledge has to be accompanied to use the existed materials without asking questions. If it is not invested and practiced as a concept of public goods, the preserving policy of Jeju dialect will be a private(dead) document.

      • KCI등재

        제주학의 연구 동향과 과제

        문순덕(Soon Deok Moon) 제주학회 2012 濟州島硏究 Vol.37 No.-

        제주지역에서는 1960년대부터 제주학에 대한 관심이 태동했으며, 대학 연구소, 민간 연구기관 등에서 개별적·복합적 연구를 담당해 왔고, 특히 2011년 제주학연구센터 가 설립되면서 지역사회의 이슈가 되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제주학연구센터 의 역할을 고려하여 제주학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간략히 살펴보고, 과제를 도출해 보고자 했다. 지금 제주학의 연구 동향과 과제를 점검하는 것은 연구주제와 연구자 등의 분포 관계를 파악해 보고, 연구주제의 쏠림현상도 검토해 보는 기회로 삼기 위함이다. 논의 대상으로 삼은 자료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검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1970년대~2011년에 발표된 제주학 관련 석사·박사 학위 논문 207편만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즉 인문과학 분야 131편, 사회과학 분야 26편, 자연과학 분야 50편 등이다. 제주학의 연구 동향 분석 결과 제주학이 전 영역에서 다양한 주제가 연구되려면 제주학 관련 자료 구축, 연구 분야의 균등화, 연구자의 저변 확대, 연구자간 교류 활성화 등의 과제가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Showing interest in Jeju studies from the 1960s, university and private institutes in Jeju have been in charge of individual and complex researches. Especially Jeju Studies Center established in 2011 became a point at issue in Jeju. Therefore,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role of Jeju Studies Center , to look into its overall research trend briefly, and to draw forthcoming issues. This is to grasp the distribution relation between the researchers and their subjects and to check out a tendency toward a peculiar research subject. The 207 master degrees or doctorial dissertations related to Jeju studies and issued in RISS from 1970 to 2011 are used as primary data for this paper: 131 ones in the humanities, 26 in the social studies and 50 in the natural sciences. Consequently, material gathering in relation to Jeju studies, equal and expanded research, expansion of researchers, and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researchers should be solved to research various subjects of Jeju studies comprehensively.

      • KCI등재

        제주 여성생활문화사의 연구 동향과 전망

        문순덕(Moon, Soon-Dea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5 No.-

        이 연구는 제주라는 특정한 공간에서 전근대부터 현대까지 제주 여성들의 생활문화를 도출할 수 있는 연구물 44편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여성의 생활문화사 형성에 관여한 구비문학, 일생의례, 세시풍속, 가족제도, 의식주 생활, 사회참여, 언어와 사회제도등을 중심으로 통시적 관점과 공시적 관점에서 논의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전망을 제안하였다. 여성 생활문화사의 논의 확장을 위해서 시대와 사회변동 등에 따라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연구자 간 연구 영역의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 학제 간 연구가 가능해야 한다. 또한 여성생활문화사 연구를 통해 지역 정체성과 여성 정체성을 정립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44 research results that can derive the life culture of women from pre-modern era to modern times in a specific area called Jeju. It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discussed in diachronic and synchronic viewpoints focusing on the oral literature, lifetime rituals, seasonal customs, family institution, food/clothing/shelter life, social participation, language, and social system that contributed to the history of life culture of women. It also presented the prospect of the results. Expansion of the discussion on the life history of women requires a wide range of research according to the time and social change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at can cross the boundaries of research areas between researchers. Moreover, the study of women’s life and cultural history must be the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regional identity and female identity.

      • KCI등재후보

        제주 구비문학에 나타난 제주방언의 문법 연구

        문순덕 ( Soon Deok Moon ) 영주어문학회 2011 영주어문 Vol.21 No.-

        As a study of the historical charateristics of regional language and the identity of regional people, come to the fore, the general interst in the regional studies is on the rise. Unders this context, the Jeju Dialect is considered a very precious linguistic resource since it can indicate the reality of Jeju`s culture as well as its linguistic value. It is chiefly after the second half of the 1950s that the folklore literary materials were taken from the Jeju Dialect. In this paper, the folklore literature of Jeju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depending on the year of publication of the literary materials: Period I includes the materials published in the 1970s, though they have been examined since 1950s; Period II covers those materials published from 1980s through 1990s; Period III is represented by the literary materials of Jeju Dialect published in 2000s.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grammatical characterisitcs of Case Markers, Auxiliary Markers, Ending Suffixes, Connecting Suffixes, Auxiliary Conjugation Markers, Passive Expressions, Expletives in ``Gresat Work of Korean Folklore Literature 9-1,`` published in 1980. It is shown that the Adverbial Case Markers include ``-euy, deore, re, euyge, anti,`` and such words as ``masseum, and ``yang`` are used as an honorary expletive for hearers. This paper goes further to claim that such words as ``bulda`` and ``bida`` coexist to be used as an Auxiliary Conjugation Marker. As far as the Passive Expression is concerned, ``jida`` is naturally combined with verbs. In addition, it is observed that ``di``-type of dependenacy noun can appear as remnants of Middle Korean. Finally, the words such as ``ilhom, nam, gumgi`` are linguistically considered to be highly valuable.

      • KCI등재
      • KCI등재

        제주도 구비문학 속의 여성, 연구자의 시각 들여다보기

        문순덕(Moon, Soon-Deo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8 No.-

        이 연구는 198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여성의 시각으로 접근한 제주도 구비문학(설화, 민요, 속담) 연구물 41편을 분석하여 여성들의 위상과 사회적 지위, 여성을 바라보는 사회구성원들의 태도 등을 확인해 보았다. 무속신화에서는 여신들의 성격을 규정하면서 대체로 남성의 행동과 비교하여 용기 있는 도전, 부모의 그늘을 벗어나서 자립하기, 남신과 동등하게 대결하기 등 여신의 진취적인 행동도 결국은 남성의 행동이라 규정된 특징과 비교하고 있다. 즉 남신과 비교하여 여신들의 행동이나 성격이 보통의 여성들에 비해 높게 평가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 제주도 구비문학 중에 무속신화는 물론 전설, 민요, 속담 등을 분석할 때 단순히 여성의 특성을 추출하거나 여성을 지칭하는 어휘의 쓰임에만 머물지 말고, 진정한 의미에서 여성의 시각으로 들여다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여성 연구라고 할 때는 구비문학 자료에서 여성들의 특징을 추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야기 속에 그려진 여성들의 위상, 그들을 가리키는 어휘, 여성들에게 요구되는사회제도, 남성들과 비교하여 수평적인가, 예속화되어 있는가 등을 고려한 객관적인 시각의 접근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41 research works performed from the 19080’s to the 2010’s with feminism perspective in the oral literature (folktales, folk songs, and proverbs) of Jeju Island to observe the status of women, their social status, and the attitudes of society members toward women. In the myth of shamanism, the character of goddesses is defined by generally comparing the progressive behavior of goddess with male behaviors such as the courageous challenge, the self-reliance from the influence of the parents, and the confrontation with gods in equal terms. In other words, the behavior or personality of these goddesses is assessed higher than ordinary women by comparing with god. When analyzing myths, legends, folk songs, and proverbs as well as myths of shamanism in Jeju Island,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m with true feminism viewpoint instead of merely extracting characteristics of women or how the vocabulary generally referring to women is used. It is important that the feminism studies extract the feminine characteristics from the oral literature, but it is necessary to take the objective approach with consideration to the status of women, vocabulary used to refer to women, social institution required of women, and whether they are horizontal or subordinated.

      • KCI등재

        산업화시대 이주자 공동체로서 향우회의 역할과 변화

        염미경(Yeum, Mi-Gyeung),문순덕(Moon, Soon-De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한국민족문화 Vol.61 No.-

        최근 제주는 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면서 사회변동을 겪고 있고, 이것은 타 지역 또는 한국사회 전체 변화와 맞물려 일어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제주의 인구증가가 새로운 현상이 아니라 과거에도 있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제주는 한국전쟁이 일어나면서 피난민의 유입으로, 1960년대 산업화와 지역개발이 진행되고 이농이 본격화된 시기에는 농어촌지역, 특히 지리적으로 근접한 호남지역 출신 이주자의 유입으로 현대적인 의미의 인구변동을 경험한 바 있다. 이는 제주의 인구변화가 지역에 국한된 사회변동 요인으로만 유발되는 것이 아닌, 한국사회 전체 변화와 맞물려 있음을 시사해준다. 이 논문은 최근 제주의 인구변화를 연구하기 위한 출발점으로서 1960년대 산업화와 지역개발에 따른 이주자들의 유입으로 촉발된 제주의 인구변동과 이를 주도한 이주자들의 지역 적응에 관심을 두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이주자들이 제주에 적응하면서 조직한 이주자공동체인 향우회의 조직화 과정과 활동에 주목하였는데, 특히 호남 향우회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논문의 연구대상과 관련된 문헌이나 통계가 많지 않은 관계로 이주 1세대와 지역 향우회 관계자 중 1.5세대와의 심층면접자료가 많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전통적으로 자신의 출신지역에 대한 애착과 이주지에서의 애환 등 정서적 욕구 충족 기제 역할을 한 것이 향우회였고,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 향우회의 사회․정치적 역할은 더욱 커졌으며, 향우회를 기반으로 이주자들은 제주에서 지역집단으로 자리매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의 연구결과는 최근 지역의 인구변화를 추동하고 있는 국내외 이주자들의 지역 적응에서 개인 혹은 집단이 갖고 있는 사회연결망의 역할을 설명하거나 이들의 지역 적응 지원정책을 마련하는 데 일정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is paper is aimed at Jeju society undergoing rapid population changes as rapid progress in recent population influx.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shown in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people who moved to Jeju instead of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Busan, in the industrial era.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the past experienced population fluctuations and community changes focused on the local adaptation of migrants as a starting point for researching the current community. This paper focused on the social network of Honam immigrants who settled in Jeju, the reason is that first, while Korea"s industrialization progresses in the 1960s, Jeju was a typical rural area of the hot air blew modernization and people in rural areas of Honam had suffered a severe recession considered Jeju as a land of hopeless dreams come true. For the research methods, the opinions from the members of Jeju migrant’s community associations and the persons interested in each Jeju migrant’s community association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is research represen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Jeju immigrants and their community adaptation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of Korea.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that traditionally hyangwoohoe was a resolving mechanism of the joys and sorrows among the same place of origin but gradually its political role becomes larger. Honam immigrants were out to settle in Jeju based on the high level of collective integration and the collective integration organization is hyangwoohoe. It was able to be identified in this research that Honam people were able to grow a strong local group in Jeju society based on the collective integration and their hyangwooho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give certain implications for policy provided for domestic and foreign migrants in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