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한국어와 중국어의 수량 표현 대조 연구

        리웨이웨이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수량 표현의 대조에 목적을 두었다. 수량 표현 대조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수사, 분류사, 수량 표현을 각각 대조하였다. 본고에서의 수량 표현은 ‘수사, 분류사, 명사, 동사’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말하며 수량 표현의 대상에 의해 사물의 양과 동작사건의 양을 구분해서 본다. 수사 대조를 하기 위해 선행 연구에서의 수사 체계를 고찰한 다음에 수사의 구성 원리를 주목하여 수사 체계를 구축하였고 수사의 응용에 주목하여 수 표현 체계를 구축하였다. 이 두 체계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정수표현, 서수표현, 개략수표현을 각각 대조하였다. 분류사 대조에는 말뭉치에서 빈도가 가장 높은 100위까지의 분류사 82개를 대조하였다. 이 82개 분류사를 어원에 따라 한자어 분류사, 고유어 분류사, 외래어 분류사로 나누고 각각 그와 대응되는 중국어 분류사와 대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수량 표현 구성을 대조하였다. 수량 표현의 대상에 의해 사물의 양에 대한 수량 표현과 동작사건의 양에 대한 수량 표현을 나눠서 대조하였다. 사물에 양에 대한 수량 표현 구성 유형과 동작사건에 양에 대한 수량 표현 유형을 각각 정리하였고 각 유형의 의미와 사용 제약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수사+분류사(의)+명사’의 구성은 중국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인 수량 표현 구성이다, 그러나 이 구성은 일상 한국어 구어에서 일반적으로 쓰지 않고 주로 ‘작품 제목’으로 많이 쓰이고 구어 나열할 경우에도 많이 쓰인다. ‘수사+명사’의 구성은 중국어에서 숫자가 ‘일’일 경우에만 쓸 수 있지만, 한국어에서의 사용이 중국어보다 다소 자유롭다. 한국어에서 지시적 의미가 있어야 ‘수사+명사’의 구성이 자연스럽다. ‘분류사+명사’의 구성은 한국어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중국어에서는 수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숫자가 ‘일’로만 해석될 수 있다. ‘명사+수사+분류사’의 구성은 한국어에서 가장 많이 쓰인 구성이고 거의 제약 없이 사용된다. 중국어에서는 굳어진 관용어에 쓰이거나 명사 앞에 형용사가 선행되어 형용사의 수식을 받는 명사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의미를 나타낸다. ‘명사+수사’의 구성은 중국어에서 없는 유형이다. 한국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불가산 명사가 이 구성을 취하지 않는데 특정한 문맥이나 환경에서 쓰일 수도 있다. 또한 사람 명사일수록 비교적 자유롭게 이 구성을 이룰 수 있으며 열거할 경우 사람 명사의 제약이 없어진다. ‘동사+수사+분류사’의 구성은 한국어에서 없는 유형이지만, 중국어에서 가장 일반적인 수량 표현 구성이고 거의 제약 없이 쓰인다. ‘수사+분류사+동사’의 구성은 한국어에서 가장 일반적인 수량 표현 구성이 있지만, 중국어에서 부정부사의 존재가 필수적이거나 주로 동작을 묘사하는 경우에 쓰인다. 마지막으로 ‘수사+분류사(의)+명사’의 구성도 동작사건의 양을 나타낼 수 있는데 이 때의 명사는 동작사건을 나타내는 술어명사로 요구한다. 또한 한국어에서 일반적으로 ‘의’가 쓰인 ‘수사+분류사의+명사’의 구성으로 하고 중국어에서 일반적으로 ‘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고는 기존 논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지 못하였던 한중 수사를 대조하였으며 말뭉치에서 빈도가 가장 높은 분류사를 대조하였다. 또한 한중 수량 표현 구성의 유형도 일일이 대조하였다.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수량 표현 구성에 있어서 수사, 분류사, 수량 표현 구성 유형을 적으로 대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본고에서 시간와 관련된 수량 표현을 다루지 못하였으며 중국어에서 논의가 많았던 형용사의 수량 표현도 다루지 못하였다. 또한 동작사건의 양에 대한 수량 표현에 있어서 각 유형의 제약은 더 심층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느낀다. 특히 ‘수사+분류사+명사’의 구성에서 분류사와 명사의 제약 조건을 더 깊게 고찰할 여지가 있다고 생각된다. 本文的目的在于全方面地对照韩语与汉语的数量表现。围绕数量表现对照,分别进行了韩语与汉语地数词对照,分类词对照,数量表现构成类型对照。本文所讲的数量表现指的是由‘数词,分类词,名词,动词’所组成的构成,并且依据数量表现的对象将数量表现区分为事物的量和动作事件的量。为了进行数词的对照,本文在研读了先行研究中的数词体系之后,从数词的形成原理角度重新构建了数词体系,并且从数词的应用角度重新构建了数表现体系。在这两个体系之下,分别对整数表现,序数表现,概略数表现进行了详细的对照。分分类词的对照方面,本文选取了韩语语料库中使用频率在100位以上的82个分类词,并根据其语源将其分为汉字词分类词,固有词分类词,外来语分类词三类,分别与相对应的汉语分类词进行了对照。最后本文对数量表现的构成类型进行了对照。根据数量表现的对象不同,本文将数量表现分为对事物的量的数量表现和对动作事件的量的数量表现,并且分别整理了其类型。先将各个类型的意义和使用上的制约条件整理如下。‘数词+分类词+名词’的构成在汉语里是使用最普遍的数量表现构成,但是一般不普遍用于日常韩语口语,主要用于‘作品标题’和列举的情况。‘数词+名词’的构成在汉语里只有数字为‘一’使才可以使用,但是在韩语里的使用要比在汉语里自由得多,一般多用与包含指示性意义的语境。‘分类词+名词’的构成在韩语里不存在,在汉语里,因为没有数词,这种用法只能默认解释为数字为‘一’。‘名词+数词+分类词’的构成是韩语里使用最普遍的,几乎没有任何使用上的制约条件的构成。而在汉语里,一般只有在一些惯用句,成语里使用;或者用于名词前面有形容词的情况,主要用于强调名词的特殊性质的意义。汉语里没有‘名词+数词’的构成。在韩语里,此构成里的名词一般不为不可数名词,但是在特定的语境和环境下也可以使用。另外越是人物名词越是能很自然地使用此构成,但是用于列举的话,对于人物名词的制约就变得无关紧要了。在韩语里没有‘动词+数词+分类词’的构成,但是在汉语里此构成是用于表现动作事件的量的使用最普遍的构成,并且几乎没有任何制约。‘数词+分类词+动词’的构成在韩语里是最普遍使用的构成,但是在汉语里,要求只有在动词前面有否定副词时才可以使用,或者用于动作的描写。最后一个构成是‘数词+分类词+名词’的构成。在这个构成里,由于名词表达的不是事物而是动作事件,所以此构成表达的是动作事件的量,当然并不是所有名词都可以。另外,在韩语里一般在分类词后面会有‘의(的)’,即以‘数词+分类词의+名词’的形式表达,而在汉语里一般分类词后面没有‘的’。本文将在先行研究中未能详细涉及韩中数词进行了对照,也对韩语语料库中使用频率最高的分类词进行了逐一对照,并且对韩中数量表现的构成类型也进行了逐一整理和对照。本文在韩语和汉语的数量表现构成方面,对数词,分类词,数量表现构成类型进行了整体和全面的对照分析,并且区分了各个类型使用上的制约条件和意义差异,这正是本文的意义所在。但是本文并未涉及与时间有关的数量表现,在汉语研究中经常被提到的形容词的数量表现也并未涉及。另外关于对动作事件的量的数量表现,各个类型的使用制约还有必要进行更深层次的思考,特别是‘数词+分类词+名词’的构成里的分类词和名词的制约条件还有待于进行更深入的研究和考证。

      • 한·중 듀이 교육사상 연구의 역사적 전개

        리 웨이웨이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0 국내박사

        RANK : 247583

        Dewey's educational ideas, considered the most influential figure in the world's education sector during the past century, have had a great impact on education in East Asia, Korea, and China. This study examined the und erstanding of Dewey through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Dewey's study of educational thought within the time category, from the time when Dewey was introduced in Korea and China to the present. Dewey's utilitarian education idea was practiced as an educational idea to achieve the goal of building a free democracy and a path to national revival in the midst of a chaotic and precarious national crisis, although different times were introduced in both countries. The two countries conside red Dewey's ideas as gospel, mythized them, and made various efforts to integrate them into the field through the readjustment of the education system. However, during the height of the Cold War between the U.S. and the So viet Union, Korea was ruled by military political forces, China was established as a socialist country, and Dewey's ideas were ignored and criticized by both Korea and China. Korea criticized Dewey's idea of education in the background of his reflection on the blind imitation of the American education system, and China was mainly criticized for betraying Dewey's ideas by equating them with bourgeois ideology. Since then, the re-evaluation of Dewey has been made amid Korea’s settlement of democracy and China’s reform and opening-up, and the real value of his education philosophy has been rediscovered through the study of Dewey’s educational ideas from various and new perspectives. We hope that the new attempt through the speci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research areas of Dewey's educational history will provide the ideological basis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 both Korea and China to move on to a fourth path. 지난 1세기 동안 세계 교육 분야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라 평가받고 있는 듀이의 교육사상은 동아시아 한국과 중국의 교육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에서 듀이 교육사상이 도입될 때부터 현재까지 라는 시간적 범주 안에서 듀이 교육사상 연구의 역사적 전개를 통해 그가 어떠한 이해의 대상이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듀이의 실용주의 교육 사상은 양국에 도입된 시기는 다르지만 혼란스럽고 위태로운 국가적 위기 상황 속에서 자유민주주의 국가 건설과 국가 부흥이 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이념으로 실천되었다. 양국은 듀이의 사상을 복음으로 여기고 신화화 하며 교육제도의 정비를 통해 현장에 접목하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미·소의 냉전이 절정이던 시기 한국은 군부 정치세력이 국가를 통치하고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를 건립하였으며 듀이의 사상은 한·중 양국에서 외면과 비판을 받았다. 한국은 미국식 교육제도의 맹목적인 모방에 대한 반성이라는 배경 속에서 듀이의 교육사상을 비판하였고, 중국은 듀이의 사상을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와 동일시하여 배격하는 정치비판이 주를 이루었다. 이후 한국의 민주화 정착과 중국의 개혁개방 속에서 듀이의 재평가가 이루 어졌고 다양하고 새로운 시각에서의 듀이 교육사상 연구를 통해 그의 교육 철학의 진정한 가치가 재발견 되고 있다. 향후 듀이 교육사상 연구영역의 전문화·다양화를 통한 새로운 시도는 한· 중 양국의 교육이 제4의 길로 나아가는데 필요한 사상적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朱子语类》的体貌类型及表达体系研究 : 《주자어류》의 体貌유형 및 표현체계 연구

        Li, Weiwei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325

        论文第一章主要是对普通语言学领域体貌概念的来源、定义的演变以及研究历程等内容进行了梳理归纳,交代了论文选题的缘由及意义,最后对论文所采取的研究方法做了说明。论文第二章在考察汉语语言学界关于体貌的理论研究成果的基础上,对体貌定义的变迁进行了梳理,同时还确立了本文关于体貌的定义与分类系统以及相关概念的界定与判定标准。本文所构建的体貌理论体系为:首先本文关于体貌系统的所有定义及判别都是以句子为基本单位对句内成分所进行的考察,我们认为脱离具体句子的体貌是没有实际意义的,因此本文不赞同把体貌及相关研究的范围扩大到篇章的范围,所以本文所有的体貌研究都是在分析《朱子语类》中一个个具体句子的基础上进行的,并且不会把体貌研究对象的单位扩大到篇章的范围。其次本文所说的体貌其实是包含视点体和动貌两个部分的。视点体的考察对象是一个完整的句子所表述的情状,也可以说是句子层面的体貌,指人们对处于时间进程中的情状的不同的观察方式。如果从外部观察一个情状,不考虑情状的内部时间结构,那么得到的是完整体,完整体又可以分成现实完整体和经历完整体两大类:如果句子所表述的事件是现实的情状,那么得到的是现实完整体;如果句子所表述的情状是经验历程上的情状,那么得到的是经历完整体。与完整体相反,如果从内部考察一个情状,明确指称情状的内部时间结构,那么得到的是未完整体,根据情状所处阶段的不同未完整体又可以分为起始体、进行体、持续体(非进行的持续体)、延续体四大类。动貌指的是由句子中的核心谓语动词以及由核心谓语动词所构成的动词短语或者句子的其它成分比如副词、数量短语与句子的核心谓语动词相结合以后所表达的情状在时间时间历程上的量化的特征,也可以说是动词层面的体貌,动貌的核心是指情状的时量特征(或动量特征)。根据情状的时量特征,我们将动貌分为反复貌和短时貌两大类。以上就是笔者对《朱子语类》的体貌类型体系所进行的视点体和动貌这两大体系共八个小类的体貌类型的具体划分及归类,最后还对体貌概念所关涉的具体要素以及相关的判别标准进行了说明。论文第三章和第四章是关于《朱子语类》完整体的两大类型现实完整体和经历完整体所表述情状的特征与相应的形态上的标记的具体内容。其中现实完整体所表述情状的特征主要是现实性、动态性和完整性,形态标记以“了”为主,兼有一部分位于句末的“矣”;经历完整体所表述情状的特征主要是历时性、动态性和完整性,形态标记是“过”。论文第五章对《朱子语类》中未完整体的四大类型起始体、进行体、持续体和延续体所表述情状的特征及相应的形态上的标记进行了分类描述。论文第六章是《朱子语类》的动貌体系按照短时貌和反复貌两大类型所表述情状的主要特征及情状的构成方式的相关内容。第七章是本文的结论,在论文第三章到第六章对各个体貌类型分析归纳的基础上,建构了《朱子语类》体貌类型及表达体系图,采取图表形式的目的是希望能更加简洁明了地呈现论文的研究成果。 본 논문의 제1장에서는 주로 보통 언어학 영역에서 体貌 개념의 근원 및 정의에 대한 연변 및 연구역사 등에 대해 상세히 귀납하였다. 또한 논문 주제 선정의 이유와 그 가치 및 연구방법에 대해 언급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어 언어학계의 体貌 이론 연구 성과의 기초아래 体貌 정의의 변천에 대해 상세히 분석하였고, 동시에 본고의 体貌 정의와 분류체계 및 상관개념을 구분하고 그 기준을 세웠다. 먼저 본 논문은 体貌 체계의 모든 정의 및 구분에 대하여 문장을 기본단위로 하여 문장 내의 성분에 대하여 분석하였는데, 문장에서 벗어난 体貌는 실질적인 의미가 없기에, 본 논문의 모든 体貌연구는 《주자어류》의 문장 하나하나를 대상으로 하였고, 体貌 연구대상의 단위를 편장의 범위로 확대하지 않았다. 본고의 모든 体貌는 사실상 视点体와 动貌 두 부분이 존재하는데, 视点体의 분석대상은 하나의 완전한 문장이 나타내는 상태로, 문장의 방면의 体貌라 할 수 도 있는데, 사람들이 시간 흐름 속에서의 상태에 대한 서로 다른 관찰 방식을 가리킨다. 만일 외부에서 어떠한 상태를 관찰한다면 이것의 내부시간구조에 대해 고려하지 않으며 完整体를 얻을 수 있는데, 이 完整体는 现实完整体와 经历完整体 두 가지로 분류된다. 만일 문장이 나타내는 사건이 현실적인 상태라면 现实完整体가 되고, 문장이 나타내는 것이 경험 과정에서의 상태라면 经历完整体가 되는 것이다. 完整体와는 다르게 내부에서 어떠한 상태 관찰한다면 未完整体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상태가 처한 단계의 차이에 따라 未完整体 또한 起始体, 进行体, 持续体(非进行体의 持续体), 延续体 네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动貌는 문장에서의 핵심 위어동사 및 핵심 위어동사로 구성되는 동사구나 부사, 수량구와 같은 문장의 기타성분과 문장의 핵심위어 동사가 결합한 후 나타내는 상태의 시간과정상의 量化특징을 가리킨다. 이는 동사층면의 体貌라고도 할 수 있으며, 动貌의 핵심은 상태의 时量특징(혹은 动量특징)을 가리킨다. 본고에서는 상태의 时量특징에 근거하여 动貌를 反复貌, 短时貌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상 필자는 《주자어류》의 体貌유형체계에 대하여 视点体와 动貌의 두 가지 체계를 모두 8가지로 명확히 구분하여 하위분류하였으며, 体貌개념과 관련된 구체적인 요인 및 구분 기준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였다. 제3장과 제4장은 《주자어류》 完整体의 두 가지 유형인 现实完整体와 经历完整体가 나타내는 상태와 특징 및 이에 상응하는 형태상의 표기에 대해 언급하였다. 그중 现实完整体가 나타내는 상태의 특징은 주로 현실성, 동태성, 완정성이 있으며, 형태표기 “了”를 위주로 하여 일부의 문말어기사 “也”와“矣” 또한 포함된다. 经历完整体가 나타내는 상태는 주로 통시적, 동태성, 완전성이 있으며, 형태표기는 “过”이다. 제5장에서는 《주자어류》의 未完整体 유형인 起始体, 进行体, 持续体, 延续体가 나타내는 상태의 특징 및 이에 상응하는 형태상의 표기에 대하여 분류와 묘사를 진행하였다. 제6장에서는 《주자어류》의 动貌체계에 대하여 时貌와 反复貌 두 유형이 나타내는 상태의 주요 특징 및 구성방식에 관하여 언급하였다. 제7장 결론에서는 논문의 연구성과를 더욱 간단명료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3장에서 6장까지 언급한 각 体貌유형의 분석과 귀납의 기초아래 《주자어류》의 体貌유형 및 표현체계도를 구성하여 정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