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密符의 제도와 운용

        노인환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0 군사 Vol.- No.115

        In the Joseon Dynasty, the Milbu(密符), a round shape signal plaque made of wood, was given to the Milbukwan(密符官) when the troops were mobilized by the king's order. This system was implemented in the period of King Sejo. In Sokdaejeon(續大典), which was promulgated in 1746 (King Yeongjo 22), the Milbu-related regulations were legislated and recorded first and were enforced until 1895 (King Gojong 32). Milbu had the first to forty-fifth sections recorded in the center on the front page in order, and Letter Jwa(left) on the left side and letter Wu(right) on the right side and the engraving of kings' signature(Eoap, 御押) on the back page. When a king passed away and the succeeding king was enthroned, the Milbu was replaced with a new one because of the engraved signature of the previous king, In the later Joseon Dynasty, the Milbu was reconstructed and replac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The Seungjeongwon Office submitted Gyesa(啓辭) to the king and received Gyeha(king's approval, 啓下), and then Seungjeongwon compiled the king's order about the reconstruction and replacement into Yuji (Official Letter of King's Command, 有旨) and delivered it to the Milbukwan (official). There was the Milbukwan office in Gwanchalsa(觀察使), Jeoldosa(節度使), Yusu(留守), Tongjesa(統制使), Tongeosa(統禦使), Bangeosa(防禦使), and Chongyungsa(摠戎使). The king delivered the Milbu to a Milbukwan at the palace when he was leaving the palace. If a Milbukwan was newly appointed and exempted from being present before the king, the Milbu was delivered to him at the place of appointment or he received the Milbu from his predecessor. And when a Milbukwan was appointed to a new official position with an appointment on exemption of being present before the king, he continued to use the Milbu. In order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handover of the Milbu, the Seungjeongwon Office wrote and managed Milbuchibuhaek(密符置簿冊) such as Myeongso Hobu Milbuchaek(命召虎符密符冊). Because the Milbu was the medium which connects the military power between the king and local officials, it was strictly managed and operated. 조선시대 밀부는 국왕의 명령에 의해 병력을 동원할 때 밀부관에게 내려지는 符信으로 세조 연간에 시행되었다. 1746년(영조 22)에 반포된 『續大典』에 밀부 관련 규정이 수록되어 처음으로 법제화되었고 1895년(고종 32)까지 시행되었다. 밀부는 전면의 중앙에 第一符에서 第四十五符까지 차례로 새기고 左隻에는 左자를, 右隻에는 右자를 새겼으며, 후면의 중앙에 국왕의 서명인 御押을 새겼다. 밀부에 새긴 御押 때문에 선대의 국왕이 승하하고 새로운 국왕이 즉위할 때에 반드시 밀부를 다시 만들어서 교체하였다. 조선 후기에 밀부의 개조와 교체는 승정원에서 국왕에게 啓辭를 올려서 啓下를 받았고, 이어서 밀부의 改造와 교체에 대한 국왕의 명령을 승정원에서 有旨로 작성한 후에 밀부관에게 유지를 전달하였다. 밀부관은 각 道의 觀察使와 節度使·留守·統制使·統禦使·防禦使·摠戎使 등이 있었다. 국왕은 밀부관이 숙배하고 하직할 때에 궁궐에서 밀부를 전달하였다. 궁궐 이외에 새로 임명된 밀부관이 朝辭를 면제하고 부임할 경우에 부임지에서 밀부를 전달하거나 전임관의 밀부를 인수인계 받았다. 또한 밀부관이 除朝辭赴任으로 관직을 이동할 때에는 기존에 받은 밀부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승정원에서는 밀부의 인수인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命召虎符密符冊』과 같은 密符置簿冊을 작성하여 관리하였다. 밀부가 국왕과 지방 관원 사이에 군사권을 이어주는 매개체이기 때문에 철저하게 관리되고 운용되었다.

      • KCI등재

        조선후기 敎書의 발급 과정 연구 - 1756년(영조 32) 宋時烈 文廟從祀敎書를 중심으로 -

        노인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3 한국문화 Vol.62 No.-

        As the most authoritative document addressing the order of the King, Gyoseo(敎書) was issued through a regular procedure of an official system in Joseon Dynasty. Focusing on Munmyojongsa-gyoseo(文廟從祀敎書), from among Gyoseos, issued for enshrining Song Si-Yeol in National Confucian Shrine(文廟) in 1756(thirty-second year of Yeongjo),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issuing Gyoseo(敎書)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process of issuing Song Si-Yeol Munmyojongsa-gyoseo, Yemungwan(藝文館) Jehak(提學) Nam You-Yong(南有容) who was selected as Jesulgwan(製述官) made a draft of the body of the Gyoseo in the first place and then wrote it clearly in the form of Jejindanja. This Jejindanja obtained Yeongjo’s approval through Seongjeongwon Useungji Lee Young-Hui(李永暉). Seosagwan(書寫官) copied Jejindanja after approval and Munmyojongsa-gyoseo was ultimately issued by affixing the royal seal, Simyeong-ji-bo(施命之寶). Yet Song Si-Yeol Munmyojongsa-gyoseo has found to have been reissued afterward on account of misdescribing the position of Song Si-Yeol. By examining the process of issue, we have seen that the Gyoseo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was issued not through a simple procedure but through writing Jejindanja and obtaining the royal approval followed by copying it. Multiple process above mentioned was necessary because the Gyoseo was an important document that conveys the King’s message and the document was not only lengthy but difficult to interpret as well.

      • KCI등재

        조선 후기 印信 改造와 문서 행정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印信謄錄』을 중심으로 -

        노인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9 규장각 Vol.54 No.-

        본 연구는 조선 후기에 중앙과 지방 아문의 印信을 改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문서 행정을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印信謄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인신등록』은 조선 후기 인신을 개조할 때에 예조에서 국왕에게 보고하는 문서와 새로 개조된 印文을 등록한 자료이다. 먼저 해당 아문에서 牒呈이나 關으로 예조에 인신 개조를 요청하면 예조에서 국왕에게 계목을 올린 후에 인신을 개조하였다. 그러나 1797년(정조 21)에 정조의 명령으로 개조된 印文을 확인하는 규정이 강화되었다. 인신 개조를 완료한 후에 예조는 국왕에게 인문을 後錄한 啓目을 올려 윤허를 받고 새로 개조된 인신을 내려 보냈다. 이러한 변화는 『인신등록』의 기재 방식에 영향을 주어 1797년 이후에는 인신 개조 계목과 인문을 踏印한 종이를 함께 수록하게 되었다. 조선 후기 인신을 개조할 때에 문서 행정은 예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중앙 아문은 품계에 따라 첩정이나 關을 통해 예조에 인신 개조를 요청하였고, 예조는 국왕에게 계목을 올려 개조된 印文을 보고하였다. 지방 아문은 관찰사․통제사가 關을, 수군절도사가 牒呈을 통해 인신 개조를 요청하였다. 지방 수령과 지휘관은 소속된 관찰사에게 첩정을 올려 인신 개조를 요청하였고, 해당 관찰사는 첩정을 점련한 關을 예조에 보내서 인신 개조를 요청하였다. 이와 같이 조선 후기 인신 개조를 통해 살펴본 중앙 아문과 지방 아문의 문서 행정 시스템은 『經國大典』 用文字式의 규정에 따라 시행되었다.

      • KCI등재

        조선시대 영광군수의 문서 행정과 업무

        노인환 호남사학회 2020 역사학연구 Vol.77 No.-

        Yeonggwang-gun during the Joseon Dynasty became Yeonggwang-gun or Yeonggwang-hyeon through the change of the local system, the morality incident, the birth and residence of a high-profile criminal, and the demotion and sign of multiplication of the township. When the three candidates were appointed from the authorities, the king was appointed and after his appointment the appointed governor offered his thanks and his resignation to the king. The governor of Yeonggwang reported to the Jeolla-do governor by Chupjung(牒呈), and the Jeolla-go governor ordered the governor of Yeonggwang by Gwan(關). Yeonggwang-gun governor also exchanged documents related to his duties by Gwan and Chupjung with the provincial governors. Yeonggwang-gun governor and his officials exchanged Hacheop(下帖) and Munbo(文報)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the complaints of the people. The administration of documents by Yeonggwang-gun governor and local officials wa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Yongmunjasik(用文字式) of the Gyeonggukdaejeon(經國大典) . Yeonggwang-gun governor's handling of civil complaints can be viewed through petitions, which was posted by the people of Yeonggwang County, as evidence of governor through constitution and prove, as well as the reward of filial piety and exemption of miscellaneous duties. 조선시대 영광군은 지방 제도의 변화, 綱常 사건, 대역죄인의 출생 및 거주지, 읍호의 강등과 陞號를 통해 영광군 또는 영광현이 되었다. 영광군수는 吏曹에서 세 명의 후보자를 올리면 국왕이 落點을 하여 임명하였고, 임명 후에 국왕에게 謝恩과 下直을 거행하였다. 영광군수는 전라도관찰사에게 牒呈으로 보고하였고, 전라도관찰사는 영광군수에게 關으로 지시하였다. 영광군수와 지방 수령 사이에도 關과 첩정으로 업무와 관련된 문서를 주고받았다. 영광군수와 소속 관원 사이에는 백성들의 민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下帖와 文報를 주고받았다. 이러한 영광군수와 지방 관원의 문서 행정은 경국대전 用文字式의 조항을 준용하여 이루어졌다. 영광군수의 민원 처리는 영광군 백성들이 영광군수에게 올린 所志를 통해 立案과 立旨를 통한 官의 증빙, 효행의 포상과 煙戶雜役의 면제에 대한 처리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 중학교 남학생들의 골프 퍼팅 루틴이 퍼팅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노인환,정구인 한국교원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09 학교체육연구소지 Vol.16 No.1

        In the following study golf putting routine will be examined to see how it affects individual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will be conducted using qualitative techniques demonstrate how serve routine training affects the performance of middle scho

      • KCI등재

        조선 후기 閣臣敎旨와 春坊敎旨의 시행과 제도

        노인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1 규장각 Vol.58 No.-

        조선 후기 각신교지와 춘방교지는 정조와 고종 연간에 시행된 규장각과 세자시강원 관원의 임명문서이다. 정조는 규장각의 권한과 기능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宋의 제도를 참고하여 각신교지를 시행하였다. 이후 고종은 세자시강원의 권한과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정조가 시행한 각신교지를 참고하여 춘방교지를 시행하였다. 각신교지와 춘방교지는 시행된 기간이 짧고 수취하는 관원도 제한적이며 규장각과 세자시강원에 처음 임명될 때에 발급되었기 때문에 현전하는 문서가 매우 적었다. 문서 양식은 국왕의 임명문서인 告身과 명령문서인 敎書를 함께 반영하였다. 문서의 1행에 ‘敎旨’를 기재하고 2행에 ‘王若曰’로 시작하였다. 본문은 규장각․세자시강원 관직과 업무의 중요성, 임명한 이유, 국왕이 당부하는 내용 등을 騈麗文으로 제술하여 수록하였다. 본문의 끝부분은 규장각과 세자시강원에 임명된 관직을 ‘以某階某職某爲某階某職者’로 끝맺고 있다. 본문의 다음 행에는 淸의 연호와 월일로 발급일자를 기재하였다. 각신교지는 濬哲之寶를, 춘방교지는 濬明之寶를 각각 安寶하였다. 각신교지와 춘방교지의 발급은 製述과 正書·安寶의 과정을 거치면서 국왕의 결재를 2차례 받았다. 춘방교지의 경우에는 제술된 敎旨草件을 왕세자가 먼저 결재하는 과정이 추가되었다. 각신교지와 춘방교지의 수취는 규장각과 세자시강원에 임명된 관원이 국왕에게 謝恩肅拜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각신교지와 춘방교지는 국왕이 규장각과 세자시강원의 권한과 기능을 강화하고 관원을 우대하기 위해 시행된 문서 제도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회방回榜의 변천과 시행

        노인환 한국국학진흥원 2016 국학연구 Vol.0 No.30

        Officials who lived to a ripe old age had three lifelong celebrations for as many different sixtieth anniversaries in the Joseon Dynasty: Hoegap(回甲), sixtieth birthday; Hoehon(回婚), sixtieth wedding anniversary; Hoebang(回榜), sixtieth anniversary for passing the national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the early Joseon period, Song Sun(宋純) was found to be the first official celebrating his own Hoebang. Having passed the national civil service examinations in 1609, Lee Min-Gu(李敏求), Yoon Jeong-Ji(尹挺之), Hong Heon(洪憲) had their Hoebang feasts in 1669. Hoebang was elevated to formal commemoration by the Royal court after king Sookjong’s celebrating Lee Gwang-Jeok(李光迪)’s Hoebang in 1716. Since then, king Jeongjo formulated the way of reporting officials of their Hoebang and made regulations to promote the officials by issuing Jeongyo(傳敎) in 1786. Once the officials in their Hoebang were reported from administration of the capital city of Hanseong or each provincial government to the Royal court, the king bestowed paper flowers(御賜花) in common and either Hoebang hongpae(回榜紅牌) or Hoebang baekpae(回榜白牌)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national civil service examinations they had passed on them. The expense for Hoebang feast was also offered by the state. Started as private and family event, Hoebang became institutionalized to be national celebration in the Joseon Dynasty. It was a formal event to pay honor to officials who lived to a ripe old age after passing the national civil service examination. 조선시대 장수長壽한 관원에게는 일생 동안 60주년을 기념하는 회갑回甲‧회근回巹‧회방回榜의 3대 경사慶事가 있었다. 이 가운데 회방은 과거 시험에 합격한 지 60주년이 된 것을 의미한다. 조선시대 회방은 1579년(선조12)에 송순宋純의 회방을 기념한 사례를 처음으로 확인할 수 있고, 1609년(광해군1)에 과거에 함께 합격한 이민구李敏求‧윤정지尹挺之‧홍헌洪憲이 1669년(현종10)에 회방연回榜宴을 거행한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1716년(숙종42)에 숙종이 이광적李光迪의 회방을 기념하면서 공식적으로 회방을 기념하였고, 이후 1786년(정조10)에 정조는 전교傳敎를 내려 회방인回榜人을 보고하는 방식과 회방인을 가자加資하는 규정을 마련하였다. 한성부와 각 도에서 회방인을 보고하면, 국왕은 회방인에게 어사화御賜花와 합격한 시험의 종류에 따라 회방홍패回榜紅牌 또는 회방백패回榜白牌를 내려주는 과정이 시행되었다. 또한 경제적으로 조정에서는 회방연을 거행할 때에 필요한 비용을 제공해 주었다. 조선시대 회방은 개인적이고 가족적인 경사에서 시작하였다가 이후 국가적으로 회방인을 기념하고 예우하는 제도로 정착되었다.

      • KCI등재

        조선 중기 무신 羅德憲의 관직 활동과 현양 - 나주 나주나씨 나덕헌 고문서를 중심으로 -

        노인환 전북사학회 2021 전북사학 Vol.- No.61

        본 논문은 나주 나주나씨 나덕헌 고문서를 통해 나덕헌의 관직 활동과 사 후에 顯揚 과정을 살펴보았다. 나덕헌은 선조 연간에 무과에 합격한 후에 선 전관을 역임하였고, 광해군 연간에 당상관이 되었으며, 지방 수령과 군사지휘 관으로 활동하였다. 인조반정 이후에 이괄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진무원종1 등공신에 녹훈되었으며, 평안도 지역의 지방 수령을 역임하였다. 春信使・秋信 使에 임명되어 사신으로 심양에 몇 차례 다녀왔으며, 특히 청 태종의 즉위식 에서 하례를 거부하였다. 이후 삼도통어사에 임명되어 통어영의 수군을 재건 하고 鐵串鎭을 설치하였으며, 청의 칙사를 지원하는 임무를 담당하였다. 나덕 헌 사후에 조정에서는 청 태종에게 하례를 거부한 공으로 두 차례 관직을 올 려 追贈하고 ‘忠烈’의 諡號를 내리며 旌閭를 세워 현양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activities of Na Deok-heon as government official and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rs using old documents on Na Deok-heon who was a member of the Na clan in Naju county. Na passed the gwageo examination for military officials during the years of King Seonjo. Then, he worked as seonjeongwan, and was promoted to dangsanggwan [the highest group of government officials] during the years of King Gwanghae. He served as county heads and military leaders. After the King Injo Restoration, he was conferred with Jinmuwonjong Vassal of Merit the First Class for suppressing the riot of Lee Gwal. He worked as heads of local counties in Pyeongan Province. He was appointed by the king as the Spring Envoy or the Fall Envoy to be sent a few times to Simyang, the capital of then Qing China. In particular, at the coronation ceremony of Emperor Taejong of Qing China, he refused to congratulate the new emperor. Afterwards, he was appointed as Samdo Tongeosa [the military commander of three provinces], rebuilding the Navy, and constructing the Cheonggot Base. He took charge of the duty of supporting the envoy of Qing China. After he died, the government conferred him with posthumous honorary government positions two times, and awarded him with honorary title ‘Chungyeol'.

      • KCI등재

        Microneedle systems for delivering nucleic acid drugs

        노인환,이규리,이윤석 한국약제학회 2022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52 No.3

        Background Nucleic acid-based gene therapy is a promising technology that has been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novel vaccination platforms for infectious/cancer diseases and cellular reprogramming because of its fast, specific, and effective properties. Despite its potential, the parenteral nucleic acid drug formulation exhibits instability and low efficacy due to various barriers, such as stability concerns related to its liquid state formulation, skin barriers, and endogenous nuclease degradation. As promising alternatives,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perform nucleic acid delivery using a microneedle system. With its minimal invasiveness, microneedle can deliver nucleic acid drugs with enhanced efficacy and improved stability. Area covered This review describes nucleic acid medicines' current state and features and their delivery systems utilizing non-viral vectors and physical delivery systems. In addition, different types of microneedle delivery systems and their properties are briefly reviewed. Furthermore, recent advances of microneedle-based nucleic acid drugs, including featured vaccination applications, are described. Expert opinion Nucleic acid drugs have shown significant potential beyond the limitation of conventional small molecules, and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nucleic acid therapies as a novel vaccination platform. Microneedle-mediated nucleic acid drug delivery is a potential platform for less invasive nucleic acid drug delivery. Microneedle system can show enhanced efficacy, stability, and improved patient convenience through self-administration with less pain.

      • KCI등재

        조선시대 승정원 有旨의 유형과 제도

        노인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규장각 Vol.51 No.-

        조선시대 有旨는 국왕의 명령을 지방에 있는 관원에게 전달할 때에 승정원에서 발급한 문서이다. 1443년(세종 25)에 내전소식이 유서와 유지로 기능이 분화되면서 유지가 시행되었고, 조선 전기에 ‘有旨書狀’으로 불리었다가 점차적으로 ‘有旨’라는 문서명이 사용되었다. 유지의 문서 양식은 앞면에 담당 승지가 착명하였고, 본문에는 국왕이 수취자에게 내리는 명령에 따라 다양하게 기재되었으며, 본문의 結辭에 ‘事’와 ‘有旨’가 공통으로 기재되었다. 이어서 중국 연호와 연․월․일을 기재하고 ‘承政院印’을 踏印하였다. 뒷면에는 관직과 姓을 기재하고 ‘開坼’ 또는 ‘開拆’을 기재하였으며, 유지를 周帖으로 접어서 成貼한 후에 合襟處에 담당 승지가 착명하였다. 유지의 유형은 제도화 된 국왕의 명령을 중심으로 上來有旨, 批答有旨, 勿待罪有旨, 褒賞有旨, 敎書․諭書․密符 관련 有旨, 給馬有旨, 傳諭有旨, 奉審有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유지의 유형을 통해서 국왕이 국정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내리는 다양한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국왕의 명령을 출납하는 승정원의 업무를 유지라는 문서를 통해 규명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