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印信 改造와 문서 행정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印信謄錄』을 중심으로 - = Government seal amendment and document administration in late Joseon - Focusing on registry of government seal possessed by Kyujanggak Academy of Korean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27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 후기에 중앙과 지방 아문의 印信을 改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문서 행정을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印信謄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인신등록』은 조선 ...

      본 연구는 조선 후기에 중앙과 지방 아문의 印信을 改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문서 행정을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印信謄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인신등록』은 조선 후기 인신을 개조할 때에 예조에서 국왕에게 보고하는 문서와 새로 개조된 印文을 등록한 자료이다. 먼저 해당 아문에서 牒呈이나 關으로 예조에 인신 개조를 요청하면 예조에서 국왕에게 계목을 올린 후에 인신을 개조하였다. 그러나 1797년(정조 21)에 정조의 명령으로 개조된 印文을 확인하는 규정이 강화되었다. 인신 개조를 완료한 후에 예조는 국왕에게 인문을 後錄한 啓目을 올려 윤허를 받고 새로 개조된 인신을 내려 보냈다. 이러한 변화는 『인신등록』의 기재 방식에 영향을 주어 1797년 이후에는 인신 개조 계목과 인문을 踏印한 종이를 함께 수록하게 되었다. 조선 후기 인신을 개조할 때에 문서 행정은 예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중앙 아문은 품계에 따라 첩정이나 關을 통해 예조에 인신 개조를 요청하였고, 예조는 국왕에게 계목을 올려 개조된 印文을 보고하였다. 지방 아문은 관찰사․통제사가 關을, 수군절도사가 牒呈을 통해 인신 개조를 요청하였다. 지방 수령과 지휘관은 소속된 관찰사에게 첩정을 올려 인신 개조를 요청하였고, 해당 관찰사는 첩정을 점련한 關을 예조에 보내서 인신 개조를 요청하였다. 이와 같이 조선 후기 인신 개조를 통해 살펴본 중앙 아문과 지방 아문의 문서 행정 시스템은 『經國大典』 用文字式의 규정에 따라 시행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구, "조선후기 擧行條件의 고문서학적 考察" 한국고문서학회 54 : 169-206, 2019

      2 성인근, "조선후기 官印의 양식연구: 『印信謄錄』을 중심으로" 30 : 2006

      3 이근호, "조선후기 口傳下敎의 下達 體系와 개편" 한국고문서학회 54 : 207-231, 2019

      4 국립고궁박물관, "조선왕조의 관인"

      5 성인근, "조선시대 인장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8

      6 이근호, "조선시대 국왕의 備忘記 연구" 한국고문서학회 44 : 1-29, 2014

      7 노인환, "조선 후기 道의 명칭 변경에 따른 문서 행정" 한국고문서학회 50 : 181-202, 2017

      8 이근호, "조선 후기 擧行條件의 制定과 承政院의 역할"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9) : 75-102, 2016

      9 박준호, "고문서의 서명과 인장" 박이정 2016

      10 성인근, "韓國印章史" 도서출판 다운샘 2013

      1 김병구, "조선후기 擧行條件의 고문서학적 考察" 한국고문서학회 54 : 169-206, 2019

      2 성인근, "조선후기 官印의 양식연구: 『印信謄錄』을 중심으로" 30 : 2006

      3 이근호, "조선후기 口傳下敎의 下達 體系와 개편" 한국고문서학회 54 : 207-231, 2019

      4 국립고궁박물관, "조선왕조의 관인"

      5 성인근, "조선시대 인장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8

      6 이근호, "조선시대 국왕의 備忘記 연구" 한국고문서학회 44 : 1-29, 2014

      7 노인환, "조선 후기 道의 명칭 변경에 따른 문서 행정" 한국고문서학회 50 : 181-202, 2017

      8 이근호, "조선 후기 擧行條件의 制定과 承政院의 역할"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9) : 75-102, 2016

      9 박준호, "고문서의 서명과 인장" 박이정 2016

      10 성인근, "韓國印章史" 도서출판 다운샘 2013

      11 서울대학교 규장각, "經國大典" 1997

      12 "朝鮮王朝實錄"

      13 조미은, "朝鮮時代 王世子文書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4

      14 조미은, "朝鮮時代 王世子 代理聽政期 文書 硏究" 한국고문서학회 36 : 55-96, 2010

      15 "承政院日記"

      16 "忠淸兵營啓錄"

      17 서울대학교 규장각, "大典會通 上․下" 1999

      18 "印信謄錄"

      19 서울대학교 규장각, "六典條例 上․下" 1999

      20 박준호, "公文書의 官印 硏究 - 禮式에 따른 官印 체제를 중심으로 -" 한국고문서학회 36 : 1-25, 2010

      21 이강욱, "《日省錄》 別單의 형식 및 분류" 한국고전번역원 44 : 121-177,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연구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5 1.85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