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고등학교 인성 교육의 현실 진단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가톨릭 고등학교와 비 가톨릭 고등학교 설문조사의 비교 분석

        노봉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80년대를 주류했던 '입시에서의 탈출'이라는 교육 개혁의 문제는 90년대 중반을 거치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가고 있다. '수학 능력 시험 제도의 정착', '복수 지원의 확대', '반 학생 인원의 감소', '학생 자율권의 확대', 등이 그것이다 고질적인 교육 제도의 병폐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지만 기존의 교육 여건과 입시 위주의 교육은 조금씩 개선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교육 여건이 개선되면 정상화 될 수 있을 것이라던 학교 교육은 더 큰 위기에 봉착해 있는 듯하다. 학생들의 일탈 현상은 더욱 가시화 되고, 학생들은 학교를 거부하고 자기들만의 공간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런 학생들의 관심사는 더 이상 공부가 아니다. 지식 위주의 틀 속에 학생들을 방치해 놓은 결과 학교는 학생들을 잃어버렸다 더욱이 본격적인 소비 자본주의 시대를 맞고 있는 지금, 학교는 또 하나의 경쟁 상대를 만나게 된 것이다. 학생들을 부추기고, 소비 욕구를 자극하는 '바깥 세상'과 경쟁하게 되었다. 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선택하고 감각적인 것들에 길들여져 있는 학생들에게 교육은 이제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의 탈피, 지식 위주의 교육 환경 개선만이 아니라, 무엇인가 새로운 교육으로 말이다. 경쟁에서 이기는 학생을 기르는 교육을 통해서도, 우수한 성적으로 상급 학교에 진학하는 학생의 비율을 높이는 교육을 통해서도 이미 관심을 잃어버린 학생들의 발길을 학교로 되돌릴 수는 없다. 이제는 자신만이 담당해야 할 인생의 한 페이지를 책임감을 갖고 써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교육, 자포 자기하지 않고 세상에서 꿋꿋하게 살아갈 수 있는 학생을 기르는 교육을 통하여, '나를 알고', '절제할 수 있으며', '내가 할 수 있는 일에 비젼을 갖고 투신할 수 있는', 그리고 '남과 더불어 살 수 있도록 하는' '인성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이 논의는 교육의 현장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아무리 완벽한 이상을 제시하더라도 그것이 현실과 괴리되어 있다면 타당한 근거로 제시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인은 인성 교육의 개선 방안이 타당한 근거를 기초로 제시될 수 있도록 12개의 가톨릭 고교와 24개의 비 가톨릭 고교의 선생님 36분과 학생들 176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그 결과 선생님은 100% 모두, 학생들은 75% 이상이 인성 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을 나타냈다. 교육 현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인은 본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확신을 갖고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리스도교적 교육에 관한 선언 3항에서는 "특별한 임무에서 교육의 임무는 교회에 속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래서 본인은 가톨릭계 고등학교가 공의회 정신에 따라 학생들의 전인적이고 통합적인 교육을 목적으로 학교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면. 인성 교육에 있어 비 가톨릭계 고등학교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라고 확신하였다. 그러나 설문 조사 결과, 인성 교육에 있어 가톨릭 고등학교와 비 가톨릭 고등학교는 별 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어 인성 교육의 문제는 결코 가톨릭과 비 가톨릭의 개별화된 차원에서가 아니라 교육이라는 총체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더 거시적인 문제임을 인지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비 가톨릭 고교와 가톨릭 고교를 비교한 설문 조사의 결과는, 가톨릭 고교도 그 본연의 사명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하다는 사실을 나타내 주는 자료로 활용되고 있음을 밝혀 둔다 본 논문은 연구의 동기와 목적을 밝힌 서론과 1부 인성 교육의 현실 진단(現實診斷), 2부 인성 교육의 기선 방안(改善方案), 그리고 인성 교육의 현실화를 위한 5가지의 해결책을 제시한 결론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론에서는 인간의 전인적 성숙을 목표로 해야 할 교육이 '지식의 전수'만을 의미하는 편협한 수준으로 전락함으로서 나타나게 된 역효과들을 통하여,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설정하였다 1부 인성 교육의 현실 진단에서는 전국에 있는 12개의 가톨릭계 고등학교와 24개의 비 가톨릭계 고등학교에 있는 36명의 선생님과 1,76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성 교육의 현 실태"에 대한 설문 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인성 교육의 현실을 진단하였다. 설문 조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선생님 설문의 항목은 1) 인성 교육의 정의, 2) 인성 교육의 필요성 여부 및 인성 교육의 실현 가능성 여부, 3) 인성 교육의 실시 여부, 4) 인성 교육의 방법, 5) 인성 교육의 여건. 6) 인성 교육의 만족도, 7) 인성 교육 문제와 해결책. 8) 현행 교육의 전반적 상황으로 구성하였다 학생용 설문의 항목은 1) 인성 교육의 정의, 2) 인성 교육의 필요성 여부 및 인성 교육의 실현 가능성 여부, 3) 인성 교육의 실시 이유, 4) 인성 교육의 실시 여부 5) 인성 교육의 만족도, 6) 기타 사항으로 구성하였다. 이 설문 결과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한국 교육 여건 상 아직도 인성 교육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선생님들과 학생들 모두 인성 교육을 '자아 정체성'과 관련지어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선생님들과 학생들 모두 인성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현 교육 여건 하에서 인성 교육의 실시 가능성에 대해 선생님들과 학생들 모두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선생님들과 학생들 모두 인성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는 가장 큰 이유로 '입시 위주의 교육'을 지적하였다. 5) 인성 교육의 실시는 가톨릭 고교가 비 가톨릭 고교보다 더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학생들의 경우 인성 교육의 실시 이유에 대해 '전인적 인격 성숙을 위해 인성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어, 인성 교육을 본질적인 측면으로 이해하는 성숙한 의식을 나타냈다 7) 인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고교에서도 학생들의 호응도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8) 인성 교육을 위한 교재나 프로그램이 미흡한 것으로 드러나, 교재의 확보나 체계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인성 교육의 우선 과제로 지적되었다. 9) 인성 교육을 위한 전담 교사가 선임되지 않아, 인성 교육의 책임성이나 효과적 운영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10) 인성 교육의 현실에 대해 가톨릭 고교의 선생님들이 비 가톨릭 고교의 선생님들보다 긍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인성 교육 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제시한 '인성 교육 담당 기관의 설립'에 대해 선생님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12) 대부분의 선생님들이 대안 교육을 잘 알지 못하고 있었고. 대안 교육이 인성 교육을 위한 해결책이 되지도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부 인성 교육의 개선 방안에서는 1부 설문의 결과로 얻어진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성의 개념 규정'에서는 1부 설문 결과에서 인성 교육의 정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생기는 여러 결과들을 통해서 교육에 있어 '인성의 개념 규정'의 중요성을 확증하였고, 한국의 교육 현실에서 인성 교육의 개념 규정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본인은 인성 교육의 · 개념을 '인성 교육이란 인환의 일반적인 성격. 행동과 태도, 자세 증후들을 포함한 전 인격체를 의미하는 인성의 부분에서,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요인, 즉 아직 확고하게 정립되지 않은 '자아 정체성'의 형성을 도모하는 것이다'라고 규정하였다. '인성 교육의 방향 설정'에서는 청소년기의 긍정적 자아 형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에릭슨의 성격 이론을 통해 인생에 있어 8단계의 발달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 설문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인성 교육의 방향을 '긍정적 자아관 형성'으로 설정하였다. '인성 교육의 목적과 방법 제시'에서는 설문 결과에 기초하여 인성 교육의 목적이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인간 즉. '자아 실현'을 하도록 하는데 있음을 고찰하였고, 대안 교육의 방안들이 일방적 수업의 한계를 학생들이 함께 느끼고 경험할 수 있는 '체험 교육의 차원으로 전환'한 것이라는데 착안하여 인성 교육의 방법으로 대안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인성 교육 시간 편제의 당위성'에서는 7차의 교육 과정을 통해서 우리 나라 교육 과정이 대체적으로 교과 교육에 너무 편중되어 왔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교과 과정 안에서 제시된 인간상이 실천적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인성 교육 시판의 편제'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인성 교육 프로그램의 및 시간의 편제'에서는 인성 교육의 현장에서 '인성 교육을 위한 교재나, 프로그램'이 제대로 제시되거나 갖추어지지 않아 인성 교육의 진행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설문 결과를 감안하여 본인이 구상하고 실제적으로 실시해 보았던 프로그램과 일선 학교에서 활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구성하여 '인성 교육 프로그램 및 시간의 편재'에 대한 시안을 제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인성 교육의 개선 방안에서 살펴본 5가지의 전제조건 즉 '인성 교육에 대한 올바른 정의와 방향, 목적과 방법의 제시', '학교 교육에서 인성 교육의 정규 시간 편재'. '인성 교육 전담 선생님 선임'. '인성 교육을 위한 교재와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교육부 산하 인성 교육의 담당 기관의 설립과 각급 학교에 인성 교육 담당 부서의 설치'를 제시해 본 논문의 핵심적인 논지를 밝혔다. 하느님의 모상대로 창조된 인간은 결코 어떤 하나의 획일적 수단에 의해서 평가되어서는 안 된다. 비록 어떤 청소년이 타인에 비해 부족한 일면을 지녔다 할지라도, 그가 소위 문제아라 할지라도, 그 어떤 이유로도 그들이 평가절하 되어서는 안 된다. 인간은 존재 그 자체로 존엄하기 때문이다. 청소년 각자가 인생의 주인공으로서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어야하고. 인간이 지닌 존귀한 존엄성에 의해 하나의 인격체로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인성 교육을 통해 이룩해야 할 교육의 목표이기 때문이다. The issue of reforming Korean high school education, the escape from the competition of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n the 80s, might be slowly solved in the mid-90s. There have been 'Settlement of the system of the test for learning abilities in colleges(the Suhak Neungryok Pyongga test)', 'enlargement of the allowance of dual application', 'decreased number of student per class', and 'expansion of students' autonomy' to make this situations better. Even though chronic problems of Korean education haven't been solved for good, they are being improved step by step. Current school education, however, which was hoped to be normalized following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of education, meets bigger crisis. Students deviation phenomena become revealed. Also students have begun to deny school systems and tried to form their own space. Formal education is not their interest any more. As a result of leaving them in the knowledge-oriented education, schools have lost contact with their students. What is more, in the consumption-capitalism society, schools meet yet another competitors. They are 'Outer world' to incite students and stimulate them with desire of consumption. Therefore, education should give new solutions to the students who feel free to choose what they want and who are used to the excitments by this. I mean somewhat new education, as well as the freedom from the competition of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improvement of knowledge-oriented education. We can't attract the students' interests which are already lost by training students to win the competition or increasing the number of students who can pass the entrance examination. Now It's time to implement the "character education" which can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mselves", "to control themselves", "to devote themselves to their life goals", and "to share with other people" which make students live their own life with responsibility and not to give up easily. This discussion has to start at the education-site. Even if we begin something ideal, we will not be able to achieve those if they are not grounded on reality. Therefore I did surveys on the 36 teachers and 1760 students of Catholic and non-Catholic schools as reasonable evidences of alternatives of "character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s, 100% of teachers and 75% of students answered character education is necessary. I did the study with a conviction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and education system. There is a statement,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on (in the special responsibility) belongs to the church", in the declaration of Christian education. Therefore I was convinced that there are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Catholic schools and non-Catholic ones in character education if Catholic schools are educating their students with the spirit based on that declaration which are aimed to give wholesome and integrated education. However. I found out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character education as the result of surveys, and realized that character education is the macro-problem which we have to approach as a general educational problem, not as a separated one between Catholic and non-Catholic. schools. Therefore the result of the survey which compared Catholic and non-Catholic schools was used as data to show the truth that Catholic schools don't take their responsibilities as they are supposed to. This study is made up for introduction which states motivation and goal of the study, part 1 which is about the evaluation of the actual conditions of character education, part 2 which is about the improvement plan in the character education, and a conclusion which presents five solutions for materializa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introduction, I set up goal of this study through adverse results which are caused by knowledge-based education in Korea. In the first part or this study, I evalu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charact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sult of surveys questionning ""where is character educaiotn now?" which were answerd by 36 teachers and 1,760 students at Catholic schools and non-Catholic ones. The content of surveys are as follows: The items for teachers are 1) the defi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2) whether we need character education or not and whether we can realize character education or not. 3) whether they carry out character education or not, 4) the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5) the condition of character education 6) the satisfation of character education, 7) the solutions of problems in character education, and 8) general situation of current education. The items for students are 1)the difi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2) whether we need character education or not and whether we realize character education or not. 3) the reason why we carry out character education, 4) whether they received character education or not, 5) satisfaction of character education, and 6) other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but both teachers and students are recognizing character education in relation to 'identity formation'. 2) Both teachers and students realize that we need character education. 3) Both teachers and students expressed their worries about the possibility of carrying out character educa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4)Both teachers and students think that the main reason why character education isn't carried out well is that current education is focused on passing the examination. 5) Catholic schools are carrying out character education better than non-Catholic ones. 6) Students awareness about character education was that it is for making students as a whole person. 7) Even if some schools are carrying out character education, students' reactions were negative. 8) There are not proper textbooks or programmes which make character education available, so the first step is to make a textbook or well-organized programme. 9)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carry out character education effectively because there is no teacher who will take full charge of it. 10) Teachers of Catholic schools have more positive opinions than teachers of non-Catholic ones about the actual conditions of character education. 11) All teachers showed positive reaction to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 for character education which presented as an alternative for character education. 12) Most of the teachers don't understand alternative education, and they don't think alternative education can be a solution for character education. In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which is about improvement plan of character education, I present the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data in part 1. It is important to have clear defi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Also, how to give a defi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I defined character education as "character education is to promote students to have their identity, considered as a postnatal factor, which hasn't been established yet in the part of character which means whole person including personality, attitude, behavior and orientation.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is established as a perfection of positive self-esteem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s through looking over how 8-developmental-stages from Erickson's character theory are accomplished. The goal of character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to realize their ego with their ability and also present the model of alternative education as character education which was aimed to 'change into experience education' which students can feel and experience the limit of the way of current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art of 'right of organization of character education classes', it was pointed out that current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emphasized on knowledge education and as an alternative we should organize character education classes to realize the goal. In the part of 'organization of programmes and classes of character education', I suggested some models of character education considering the result of surveys that we have a lot of difficulties because of not having proper textbooks .or programmes for character education. Finally, I present main idea of this study based on the five preconditions, 'presentation of definition, direction, goal and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organization of character education classes in the schedule of schools'. 'assignment a teacher who will take full charge of character education', 'development of systematic programmes or textbooks for character education',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 for character education at the department of education department and at each school'. There is no way to judge human who were created following the God's feature. Even if some adolescents have problems or they make a lot of troubles, we can't and must not underestimate them because they are dignified human beings. Each adolescents should be able to use their abilities and be respected as a person who has a dignity. This is the final goal of education which we have to accomplish through charact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