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동학습과 협력학습에서 팀 구성원의 특성, 팀 멘탈 모델, 팀 효과성 관계 분석

        남영옥,유병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9

        이 연구는 대학의 협동학습과 협력학습 상황에서 팀 구성원 특성인 집단효능감, 과업 상호의존성이 팀 멘탈 모델(TMM)을 매개로 팀 효과성인 팀 학습 성과, 팀 활동 만족도, 개별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K대 대학생 244명(협동학습 집단 182명, 협력학습 집단 62명)으로 7주간의 팀 활동 종료 후 분석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3단계 매개회귀분석, One-way MANOVA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 모두 집단 효능감, 과업 상호의존성, TMM-팀, TMM-과제가 팀 활동 만족도를 예측하였으며, 팀 멘탈 모델이 팀 구성원의 특성과 만족도를 매개하고 있었다. 협력학습 집단에서만 집단 효능감이 TMM-과제를 매개로 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효한 결과값을 살펴보면 협력학습 집단의 설명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팀효과성 하위요인에 대한 두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협력학습 집단의 개별 학습성과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F=15.133, p< .05). 상기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집단 효능감과 과업 상호의존성은 팀 멘탈 모델의 선행 요인이며, 팀 멘탈 모델을 매개로 팀 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개별 학습성과의 향상에는 협동학습보다 협력학습이 더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팀 활동 학습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인터넷중독, 게임중독, 음란물중독의 심리사회적 특성비교

        남영옥 한국청소년학회 2005 청소년학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uch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ddicted to the internet, internet game and cybersex and how their psychosocial traits affected their internet-related addiction. Firstly, 58.0% of the surveyed students were addicted to internet. 15.1% had internet game addiction and 7.7% had cybersex addiction. Second, those who were more impulsive, aggressive and depressed were more likely to be hooked on the internet and internet game, and those who were more aggressive were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cybersex. Third, Internet addiction was more likely to happen among the students whose parents didn't fare well with each other, whose parents had a negative parenting style, and who were more strictly controlled by their parents. Fourth, those who were more impacted by their friends in relation to the internet and less supported by their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be hooked on the internet. The students who were more affected by their friends were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internet game. And those who were more influenced by their friends and less satisfied to school life were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cybersex. 본 연구는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 음란물중독의 현황을 알아보고, 이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인터넷 관련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854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터넷 중독의 경우, 조사대상자의 55.0%는 초기중독, 3.0%는 중증중독으로 나타나 전체 58.0%가 인터넷에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중독은 15.1%가 고위험중독으로 나타났으며, 음란물중독의 경우 3.4%는 경미한 중독, 2.6%는 중등도 중독, 1.7%는 중증중독으로 나타나 전체 7.7%가 인터넷 음란물에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과 인터넷 관련 중독과의 관계를 보면, 공격성이 높을수록 중학생들이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 음란물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며, 충동성과 우울이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환경과 인터넷 관련 중독과의 관계에서는 부모의 부부관계가 나쁠수록, 인터넷에 대한 부모의 통제가 심할수록 중학생들은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며, 부모의 양육행동이 부정적일수록 인터넷 중독과 음란물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환경과 인터넷 관련 중독과의 관계에서는 친구의 영향력이 높을수록 중학생들이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 음란물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며, 교사지지가 낮을수록 인터넷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학교만족도가 낮을수록 음란물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청소년가출의 가족역동적 요인에 관한 연구

        남영옥 가톨릭상지전문대학 1997 논문집 Vol.27 No.1

        본 연구는 청소년 가출행동에 가족역동 관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하여 청소년 가출을 가족역동적 관점에서 살펴본 후, 가정의 심리적 환경을 가출행동과 관련된 가족역동 변인으로 선정하여 제시함으로써 청소년 가출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데 목적이 있었다. 청소년 가출의 원인은 복합적인 것이지만 주요 원인은 부적절한 부모의 양육태도, 가족성원간의 정서적 유대의 단절, 부모-자녀간의 대화의 빈곤, 가정에 대한 불만족, 가족 문화의 부재 등 가족기능의 약화 내지는 붕괴로 인한 것임이 본 연구를 통해 지적되었다. 청소년 가출을 막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에 관한 청소년 설문조사에서 가정의 화목이 2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가정, 학교, 개인, 사회환경의 종합적인 노력이 15.3%, 사회환경의 개선이 14.5%를 차지하였다. 이것을 볼 때 안정되고 화목한 가정환경을 위한 노력이 청소년 가출예방의 최우선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가정내의 스트레스를 극소화시키고 문제가정에 예방적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와 더불어 부모들로 하여금 자녀들을 행복하고 건강하게 양육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그만큼 자녀들의 가출문제도 예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은 채 가출청소년이 자신들의 가정으로 돌아가게 될 경우 가출은 되풀이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편 미국의 경우 26초에 한 명 꼴로 가출하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대책의 일환으로 가출청소년에게 사회복귀의 기회를 부여하는 '커브넌트 하우스(Covenant House, 聖約의 집)'가 있다. 커브넌트 하우스는 뉴욕 최대의 청소년 대상 수용시설로 미국 전역에 광범위한 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연간 약 1만 3천명의 청소년이 이 곳에서 새로운 삶을 꿈꾸며 재활의 의지를 다지고 있다. 커브넌트 하우스가 다른 보호기관과 다른 점은 일시 피난처를 제공하는 것만이 아니라 버려지고 가출한 청소년에게 사회복귀를 가능토록 해주는 것이 최종 목적이다. 우리나라도 커브넌트 하우스처럼 가출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국가적 차원에서의 대책이 다양하게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커브넌트 하우스와 같은 보호시설이 아무리 훌륭하고 가출청소년의 재활의지를 북돋을 수 있는 기능을 충실히 수행한다 할지라도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청소년 가출은 증가할 것이다. 즉 가정이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면 가정의 붕괴로 인한 가출은 계속될 것이다. 그러므로 청소년 가출의 예방을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가정에서 따뜻한 정서적 지지와 심리적 안정감을 찾을 수 있도록 부모-자녀간의 명료한 대화와 은화한 가정분위기를 바탕으로 가족의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가족복지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일반청소년과 시설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 비교

        남영옥,이상준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ich difference there is i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between home-reared adolescents and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and to grasp which effects these adolescents' social support has on adaptation to school. To do thi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at analyzed materials in 228 home-reared adolescents and 242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targe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school students. First, the home-reared elementary-school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higher perception on care-giver's support compared to institutionalized elementary-school students. Second, the institutionalized middle-school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higher perception on friend's support compared to home-reared middle-school students. Third, as for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and middle-school students, the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were indicated to have higher perception on teacher's support compared to home-reared adolescents. Fourth, the adaptation to school was indicated to be performed better by home-reared female students than institutionalized female students, and by home-reared elementary-school students than institutionalized elementary-school students. Fifth, in case of home-reared adolescents, the higher perception on care-giver's support, friend's support, and teacher's support led to showing the higher level in adjustment to school. And, in case of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the higher perception on care-giver's support and teacher's support led to showing the higher level in adjustment to school. 본 연구는 일반청소년들과 시설청소년들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들의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청소년 228명, 시설청소년 242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초등학생들이 시설초등학생들에 비해 양육자지지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중학생들이 일반중학생들에 비해 친구지지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과 여학생, 중학생들에서 시설청소년들이 일반청소년들에 비해 교사지지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체적으로 일반청소년들과 시설청소년들 간에 학교적응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과 학교급에 따라서는 일반여학생들이 시설여학생들에 비해서, 그리고 일반초등학생들이 시설초등학생들에 비해서 학교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반청소년들은 양육자지지와 친구지지, 교사지지를 높게 인식할수록, 그리고 시설청소년들은 양육자지지와 교사지지를 높게 인식할수록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사회적 탄력성과 영향요인

        남영옥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ate of adolescents with social resilience among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protective factors affecting their social resilience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facto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1 adolescents who used 15 social welfare centers. After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emplo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43.0% of the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were socially resilient. Second, the adolescents of single-parent families were more socially resilient when they had a more smooth communication with parents, when their peer group was more prosocial and when they were better supported by other adults. Third, as for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n the social resilience of the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the prosocial characteristic of the peer group had the largest impact on that, followed by backing of other adults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청소년들 중 사회적 탄력성을 나타내는 청소년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이들의 사회적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이들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 15개 사회복지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청소년 221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가정 청소년들 중 43.0%가 사회적 탄력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가정 청소년들은 부모와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수록, 또래집단의 특성이 친사회적일수록, 다른 성인의 지지가 높을수록 사회적 탄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사회적 탄력성에 대한 각 변수들의 영향력은 또래집단의 친사회적 특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다른 성인의 지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순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이혼가정 여부가 청소년의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남영옥,이상준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h of the influence of the divorce of parents on adolescent social adjust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2 adolescents whose parents were divorced used social welfare centers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divorce of the parents had an impact on their social adjustment through a secondhand path by being linked to living standard, parent-child communication process and adolescents' self-esteem. At the same time, that affected social adjustment through the path of living standard and their self-esteem. And that affected social adjustment through the path of self-esteem. The divorce of the parents exerted a firsthand influence on social adjustment before the path variables weren't considered, but that no longer affected it when the path variables were taken into account. 본 연구는 이혼가정 여부가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청소년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이르는 경로는 어떠한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사회복지기관을 이용하는 이혼가정의 청소년 자녀 20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변수가 투입되기 전의 이혼가정 여부는 청소년의 사회적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혼가정 여부는 다양한 경로변수인 가정의 경제적 수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거쳐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혼가정이라는 가족구조 자체가 청소년들의 사회적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수준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자아존중감을 경로로 하여, 또는 경제적 수준과 자아존중감을 경로로 하여 간접적으로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또한 이혼가정 여부는 자아존중감을 거치는 경로로도 청소년의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로변수가 투입되기 전 이혼가정 여부가 청소년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경로변수들이 투입되었을 때에는 그 영향력이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학사경고 원인 탐색을 위한 검사도구 개발

        남영옥,이대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8 No.3

        A recent universities and colleges have paid great attention to education and academic guidance of students to raise their competitiveness in employment by fostering talents suited for social dem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st tool for assessing causes for academic probation in order to systematically guide and manage students placed on academic prob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counsel, the study developed 112 question items about a total of 11 factors. Then through expert counsel, it determined 85 question items about seven factors that were finally selected as measurement items. By conduct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measuring items involving 2,817 persons, the study completed a test tool with 39 question items about the final seven factors. According t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final test tool, the test model turned out to be valid. Using the final test tool to test criterion validity, this study analyzed the t-test of the test results between a group of students in good academic standing and a group of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ll factors, except for the emotional factor,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o put all research findings together, the developed test tool was verified to be appropriate for exploring causes for academic probation. It was also concluded from the criterion validity test that it was necessary to review reclassifying the emotional factor among the test question items into the basic information item in the measurement items. The developed test tool is expected to be used usefully for systematically guiding and managing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최근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인재 양성과 취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대학에서 학생들의 교육과 학업지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체계적인 학사경고자 지도 및 관리를 위하여 학사경고 원인 진단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문헌조사와 전문가 자문을 통해 총 11개 요인에 대하여 112개의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자문을 통해 측정항목으로 선정된 7개 요인에 대하여 85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2,817명을 대상으로 측정항목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7개 요인(자아존중감, 정서영역, 학업동기, 자기관리, 대인관계, 학습방법, 정보습득)에 대한 39문항의 검사 도구를 완성하였다. 최종 검사 도구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검사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최종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일반학생과 학사경고자 집단 간 검사 결과를 T-test분석한 결과 정서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개발된 검사 도구는 학사경고 원인 탐색에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검사 문항 중 정서요인은 측정항목에서 기본정보항목으로 재분류하는 것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개발된 학사경고 원인 탐색 검사 도구는 향후 체계적인 학사경고자 지도 및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여자청소년의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남영옥,김정남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dolescent girls' experiences of suffering family violence on their violent behavior and the regulating effect of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their violent behavior as interaction ter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67 adolescent girls in the regions of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Multiple Linear Regression(MLR) model was us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s of suffering domestic violence turned out to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violent behavior. In terms of psychosocial factors, violent behavior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impulsiveness and aggressivenes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personal factor. Out of the subfactors of the family factor, parenting behavior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at. Concerning the school factor, friend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at. Second, as a result of inputting the interaction term of the experiences of suffering family violence and the psychosocial factors, aggressiveness, parenting behavior and friend orientation produced significant regulating effects when the experiences of suffering family violence affected violent behavior.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여자청소년의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인 사이에서 폭력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심리사회적 요인을 상호작용항으로 투입하여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지역의 467명의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위계적 다중선형회귀(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 피해경험은 폭력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사회적 요인 중 개인요인에서는 충동성과 공격성, 가족요인에서는 부모양육행동, 학교요인에서는 친구지향성이 폭력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여자청소년의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의 조절효과를 알아본 결과, 공격성, 부모양육행동, 친구지향성이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여자청소년의 특성에 맞춘 폭력행동의 예방책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