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도시권 자연공원을 활용한 환경체험교육프로그램 운영과 효과에 관한 연구

        남상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환경체험교육은 그 동안의 정규 교육적인 관점에서 지식전달 위주의 강의 중심적인 방법으로 실시된 환경교육을 보완해줄 수 있는 새로운 환경교육의 방법으로 부각되어 왔다. 그러나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실시된 환경체험교육은 외국의 것을 무분별하게 모방하거나, 널리 알려진 몇 개의 환경체험교육프로그램만을 답습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많은 초등학교의 교사들이 환경체험교육을 자연생태탐사(기행)등으로만 국한시켜서 많은 이동시간과 예산을 들여서 도시 외곽의 자연 지역으로만 떠나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런 생각들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체험교육 실시에 큰 장애가 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초등교육 현장의 현실적 요구에 부응함과 동시에 환경교육의 목표에 도달 할 수 있는 도시권 자연공원을 활용한 환경체험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제 운영, 그리고 개발된 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가한 참가자들(서울지역에서 선발한 40명의 초등학생)의 환경보전에 관한 ‘의식 및 태도’, ‘행동’, ‘실천의지(표현)’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권 내에 위치한 자연공원을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문가 사전조사(생태적 특성 및 생물상 조사, 교육장소로의 입지 타당성 조사)와 방문자 이용실태 및 요구조사 등을 통하여 도시권 자연공원은 환경체험교육을 경제적-시간적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의 환경교육 장소로도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교육 현장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참가자들의 ‘환경보전의식 및 태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한 동일집단의 사전, 사후 설문조사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도시권 자연공원을 활용한 환경체험교육프로그램이 참가자들의 환경보전의식 및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참가자들의 ‘환경보전 행동 변화’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참가자들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동일집단의 사전, 사후 가정에서의 행동 변화 조사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도시권 자연공원을 활용한 환경체험교육프로그램이 참가자들의 환경보전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참가자들의 ‘환경보전 실천의지(표현)’을 알아보기 귀해서 실시한 동일집단의 사전, 사후 동시쓰기를 통한 환경보전표현 방법 및 내용 변화 조사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도시권 자연공원을 활용한 환경체험교육프로그램이 참가자들의 환경보전 실천의지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Experiential Learning for Environment Education (henceforth, ELEE) has been illuminated as a method for new environmental education able to supply the former environmental education executed by the knowledge-teaching-based way in the formal educational point of view. However, the ELEE performed up to now in Korea shows significant problems. It has not only imitated recklessly other developed countries'', but it has also just followed some famous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particular, numerous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have thought that the ELEE is just limited to a nature -ecology travel and thus travelling sites must be natural regions in rural. These problems and misperception are puzzling obstacles to the fulfillment of the ELEE in elementary schools.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is aimed to explore the development and actual management of ''the ELEE in Metropolitan regions'', which satisfies these realistic demand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also achieves the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addition, the changes of awareness, attitudes, behaviors and volition of practice or representation of the constant participants- forty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ected in Seoul- in the developed program are also the target of this thesis. The results derived from my proposals are as follows: First, I accomplished advanced technical surveys relating to development of programs utilizing a natural park located in a metropolitan region and investigated visiting patterns and visitors'' demands. As a result, I confirmed that in a Metropolitan natural park, a prominent educational field, we can not only efficiently performs the ELEE in the aspects of economy and time, but we can use the park as a place for environment education of a community society. Second, in order to recognize the changes of the participants'' ''awareness and attitudes on environment preservation'', I carried out prior and post survey polls targeting same participant groups. The outcome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prior and post surveys and thus it means that the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in metropolitan natural parks causes positive changes on its participants'' awareness and behaviors on environment preservation. Thir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alternation of their behaviors, I also performed prior and post surveys on the alternation of children''s attitudes at home, questioning to their parents. The consequences also illustrate important contrast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s, thereby it reconfirm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in metropolitan natural parks. Finally, the prior and post surveys on way to express and change of content are fulfilled by means of writing juvenile song in the name of recognizing the participants'' volition and expression on environment preservation. The results of the last surveys also shows beneficial effects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in metropolitan natural parks, which inspires the participants to have more volitions to environment preservation.

      • 非住居 韓屋 價値要因 分析 및 制度的 支援方向

        남상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Many local governments are passing the ordinances about Han-ok and administering them after they considered concentration areas of Han-ok are useful source for tourism. There are lack of social concerns for the management and the public support of non-residential Han-ok and devaluation of social value nevertheless current situation is a gradual increase of Han-ok within the heavily settled areas. Therefore, major purpose of the research is analyzing value factors influencing the essential need of public support and maintain scheme as administrative side. There were some time and space restrictions so the study was based on Seochon area in Seoul between 2008 and 2013. It was because basic research started establishing district units plan for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examine value factors of public support for non residential Han-ok after then it was investigated further institutional strategies by portfolio analysis. First of all, it measured the approval of the public support regarding non-residential Han-ok as dependent variabl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and professionals’ FGI (Focus Group Interview) and then it elicited 12 independent variables (utilization of damaged traditional houses, use of Ham-ok with poor living conditions, valuable exterior forms of the buildings, value of non-residential Han-ok as community facilities, residential welfare provision, local identity, offering new jobs for the residents, traveler acceptance, provision of commercial places, a paucity of historicity, enhancing openness of Han-ok and promotion of artistic and cultural values).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 about the necessity of universal maintenance of non-residential Han-ok, there were 8 out of the 12 aff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decision of the supportive requirement. The participants represented that there are several social values of non-residential Han-ok compared with the usual Han-ok. First, it is enable to do practical use of the traditional houses with the poor living conditions for instance local business and the second values is the architectural historicity as its own traditions and culture. Moreover there is helpful way to provide welfare services such as medical centers or nurseries and the other one is essential value of non-residential estates in the clustered Han-ok areas. Consequently the value of Han-ok densely built-up district has escalated for city marketing strategies and the fifth reason is that those houses are available to utilizing tourist accommodations and leisure facilities. In addition, these are precious assets to offering general commerce such as supermarkets, guest houses or café. In the past ordinary people excluding the residents was very difficult to approach those Han-ok hence the last value is that more general visitors and foreign tourists are easy to access them. Beside it demonstrated the need of public supports just in case they are recognized that non-residential Han-ok has a negative effect like damaged historicity within traditional areas. After move on to the examination of institutional development scheme for non-residential Han-ok, there were indicated 12 public support factors by way of literature review, ordinance study, consent of primary improvement factors and additional requirement study. Furthermore it examined importance of individual sustaining factors and compared perception gap between the executives and the local people. As the result of portfolio analysis, both of two groups thought 6 significant support factors; the linkage development plan, clear ordinance for ‘utilization of loss and damaged traditional houses’, advanced street environment, organizing consultative group and control of external appearance. The next, the residents responded that ‘guarantee of parking space for visitors’ and ‘mitigation on the control of building coverage ratio’ are fundamental concern on the other hand, the executives do not consider them. Moreover they evaluated that ‘development of massed space of non-residential Han-ok’, ‘provision and management of non-residential properties’ and ‘restriction of non-residential region’ are less important while the executives think those are main issues. Finally this research looked at further political and actual feasibility of the suggested public support factors and then there were higher possibility to promote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utilization of loss and damaged Han-ok, establishing the related ordinances, advanced street environment and arrangement with the consultative group. However, mitigation on the control of building coverage ratio, guarantee of parking space for visitors and provision and management of non-residential properties were less feasible and linkage development plan, development of massed space of non-residential Han-ok and restriction of non-residential region were impossible to put the project into action even though they approve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it. 한옥 밀집지역이 관광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된 이후 많은 기초자치단체들이 한옥에 대한 지원조례를 만들어 운영해오고 있다. 그러나 한옥 밀집지역 내에서 비주거용 한옥으로 용도가 전환되어 사용되는 한옥이 점차 늘어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비주거 용도로 이용되고 있는 한옥에 대한 사회적 가치의 평가와 관리 및 제도적 지원방안에 대해서는 사회적 관심이 소홀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비주거 한옥에 대한 관리적 측면에서 비주거 한옥에 대한 제도적 지원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가치요인과 제도적 지원방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의 서촌지역이며, 시간적 범위는 서촌에 대한 계획적인 개발 및 보전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시점인 2008년부터 2013년 현재까지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로지스틱 모형을 활용하여 비주거 한옥의 제도적 지원 가치를 분석하였으며,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해 향후 비주거 한옥의 제도적 지원 방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우선 비주거 한옥의 제도적 지원 가치 분석에는 비주거 한옥에 대한 제도적 지원 찬성 여부를 종속변수로 선행연구 고찰 및 전문가 FGI를 거쳐 12개의 독립변수(훼손된 한옥의 이용, 주거환경 열악한 한옥의 활용, 한옥 외관상 가치, 지역 내 커뮤니티시설, 지역의 생활복지 서비스 제공, 지역의 정체성, 지역주민의 일자리 제공, 관광객 수용, 상업공간 제공, 역사성 부족, 한옥에 대한 개방성 강화, 예술문화 활성화 등)를 도출하였다. 비주거 한옥 제도적 지원 필요성 결정요인 분석결과, 총 12개의 요인들 중 8개의 요인이 비주거 한옥에 대한 제도적 지원 필요성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첫째, 지역(마을) 내 거주환경이 열악한 가옥을 상업용도 등 비주거 한옥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발생하는 가치, 둘째, 건축적 측면에서 한옥 자체가 갖는 고유의 역사성 가치, 셋째, 지역(마을)의 생활복지 서비스(보육 및 의료 등)를 제공하는 시설(수단)로서의 가치, 넷째, 한옥밀집지역 내 비주거 한옥의 가치, 다섯째, 도시마케팅 측면에서 한옥 밀집지역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방문하는 방문객의 체류 및 여가시설로서의 가치, 여섯째, 지역(마을) 내 일반상업(마트, 카페, 숙박시설 등) 시설(수단)을 제공하는 가치, 일곱째, 거주자 이외에 쉽게 접근할 수 없는 한옥을 일반 방문객 및 해외 관광객이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오는 가치를 비주거 한옥이 일반한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갖는 사회적 가치로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비주거 한옥이 전통지구 내 역사성 훼손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 경우 비주거 한옥에 대한 제도적 지원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비주거 한옥의 제도적 지원방향 분석은 조례 검토와 선행연구 검토, 1차 제도적 지원 항목 동의도 및 추가 요청사항 검토를 통해 12개의 제도적 지원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비주거 한옥에 대한 실무자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해 제도적 지원항목으로써 중요도 및 지역주민과 실무자 그룹 간 인식차이를 살펴보았다. 포트폴리오 분석결과, ‘발전계획 연계시 지원’, ‘멸실 및 훼손 가옥 활용시 지원’‘조례상 명시’, ‘가로환경 개선’, ‘협의체 마련’, ‘외관 규제’등 6개 제도적 지원항목은 향후 비주거 한옥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항목으로 지역주민과 실무자 공통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방문객 주차장 조성’, ‘건폐율 완화’ 등 2개 항목은 향후 비주거 한옥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항목으로 지역주민은 중요하게 판단하지만 실무자는 중요하게 평가하지 않는 제도적 지원항목으로 분석되었으며, 반대로 실무자들은 중요하게 판단하지만 지역주민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평가하지 않는 지원항목으로 ‘비주거 한옥 밀집공간 조성’, ‘비주거 공급 관리’, ‘비주거 위치 규제’등 3개 항목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무 그룹 심층 인터뷰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비주거 한옥의 제도적 지원 항목들의 현실적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근린생활시설 지원’, ‘멸실 및 훼손 가옥 활용시 지원’, ‘조례상 명기’, ‘가로환경 개선’, ‘협의체 마련’등은 향후 제도화 가능성이 높은 제도적 지원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건폐율 완화’, ‘방문객 주차장 조성’, ‘비주거 공급관리’등 3개 항목은 제도화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발전계획 연계시 지원’, ‘비주거 한옥 밀집공간 조성’, ‘외관 규제’, ‘비주거 위치 규제’등은 제도적 지원 필요성은 인정되지만, 제도화 가능성은 불투명한 지원방안인 것으로 나타났다.

      • Strap fiber의 제조공정 및 표면처리조건 연구

        남상덕 忠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paper introduces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eveloping strap fiber of Olefin by using HDPE and surface treatment technologies to provide natural and deliberative affinity through textile surface treatment. As a result of the main material spinning and stretching test, length and diameter ratio is set to 30:1 for optimum condition of extrude because melting is not sufficient if L/D(ratio of the diameter) ratio is less than 24:1 or more than 36:1 due to extruder characteristics. Temperature distribution of extruder is decided to geometric screw usage and polymer viscosity. 235 ℃ is set for this study due to size of extruder, shape of screw, general condition of environmental machines and property of MI experimental results. In 30%~40% stretching ratio, stretch and strength are intersected which is condition of optimized stretch and strength. Low viscosity and size are the most important properties of strap fiber surface treatment. Flexibility and elasticity is satisfied for aminosilicone emulsion (0.81㎛ size) and epoxysilicone emulsion (0.31㎛ size) which are manufactured through this study. In surface treatment curing experiment for Strap fiber, Methoxy aminosilane shows the fastest curing speed to form optimal Silane, as number of carbone in alkyl group is increasing, curing speed is slower. Catalyst of hardener experiment shows that Sn series catalyst is faster than Zn series in stiffening speed, as a result, Sn series catalyst has more stability. Through this study, latan furniture market is going to continuously increase by covering natural latan furniture's weaknesses which are in function of antibacterial and odorless, UV discontinuity.

      • 아파트형 공장의 건설 타당성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남상덕 서울산업대학교 주택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창원 국가산업단지 내 아파트형공장 건설의 필요성과 사업타당성 및 활성화 방안을 연구 주제로 삼았다. 과거 산업화시대에 도시의 성장에 있어서 절대적 역할을 했던 제조업은 탈공업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도시환경문제와 높은 지대로 인하여 도시 내에서 외곽지역으로 그 입지가 분산되었다. 그러나 산업생산의 구조적인 문제로 높은 지대에도 불구하고 많은 중소제조업들이 여전히 그 명맥을 유지하며 지역 경제의 밑거름이 되고 있으나 산업단지 내에서 중소제조업을 수용할 수 있는 입지 공간은 매우 제한적이므로 합법적인 공간을 확보하지 못한 공장들은 무허가 공장으로 전락하거나 경쟁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산업단지내에서 영세 중소제조업체들의 입지난을 해소하고, 무질서하게 입지하고 있는 영세한 중소제조업체들을 이전, 집단화, 협업 생산 체계화하여 도시환경과 작업환경의 개선으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한편, 유휴 노동력을 흡수하여 저소득층의 생활기반을 조성하고 노후화된 산업단지의 구조고도화 사업의 일환으로 아파트형 공장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발전되었다.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는 전문업종이나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산업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산업구조 및 생산패턴의 변화에 부응하여 새로운 경쟁력을 창출 할 수 있다.또한, 토지이용의 고도화로 중소제조업체의 공업용지난을 해소하고, 자가 공장 확보의 기회를 제공하여 안정적인 경영환경과 규모의 경제활동을 통한 경쟁력과 생산성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아파트형 공장에 대한 긍정적 효과가 기대되면서 1989년부터 법규와 관련제도가 마련되면서 본격적으로 아파트형 공장이 건설되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부터 아파트형 공장은 산업입지정책 수단 및 개발사업의 한 영역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산업패턴과 생산시스템의 변화에 따라 재개발지역의 공업용지나 산업단지 내 대기업 이전부지 등에 아파트형 공장의 건설은 더욱 확산 될 전망이다.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아파트형공장 건설 타당성과 활성화 방안을 분석한 결과 첫째, 현재 산업단지내의 용지가격과 건설공사비등을 고려한 저렴한 공급가와 폭넓게 분포되어 있는 잠재적인 수요층을 고려 할 때 사업성이 양호한 만큼, 건설 타당성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필요성과 기대효과 측면에서는 만성적인 수급 불균형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용지난 해결과 도시외곽에 난립하고 있는 무등록 공장의 정비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조사되었다. 또한, 도심지나 산업단지에 있는 많은 기능 인력의 활용이 가능하고, 이는 도시 영세민에게 근로기회를 부여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한다는 점이 고무적인 결과로 분석된다. 셋째, 영세 중소제조업체를 위한 맞춤형 금융지원이나 적극적인 세제 지원제도를 제공하여 임대 및 장기할부제도를 활성화 할 경우, 아파트형 공장은 조기에 정착될 수 있는 매우 긍정적인 대안으로 분석되었다.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to discuss the need of the Apartment Type Factory along with its feasibility and activation method within the Changwon National Industry Zone. The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was the major engine for the urban city growth during the past industrial period, has been pushed out of the urban zones to the suburban outskirts due to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high land costs. Despite the high land cost, however, lots of small manufacturers are still located within the urban area playing the initial manure of the local economy. Because of the limited land site, many of the existing small and medium sized factories are losing their legal licenses as well as their competitive power. The Apartment Type Factory was proposed as a new building type to resolve the problems stated above within the urban area: the lack of site land and inefficient location strategy of the factories. The Apartment Type Factory plan contributed to greater productivity through re-grouping and cooperative produc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urban working environment. Moreover, this plan created more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the low-income bracket. The Apartment Type Factory resolved the lack of land site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and industrial zone and enabled smaller manufacturers to acquire their own factory buildings and site lands. Since the year 1989, the Apartment Type Factory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construction market based on the new regulations and supporting systems with affirmative expectations. After its prudent debut, it wa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building type to accelerate the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industrial policies. It is very possible that there will be much more need for this new type of factor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partment Type Factories in the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Zone to determine their validity and further potential, I concluded three following facts; First, it has very high potential based on the higher cost of the site land and the construction cost considering the existing larger needs for the building types. Second, there will be a constant demand for the land sites of the smaller factories because of the needs for legalization of unlicenced factories located along the suburban outskirts. The easily available skilled labor force from the highly populated metropolitan area is another advantage of this type of building, which will enable the stable employment. Third, we have to provide proper regulations, financing systems and taxation policies. By providing proper leasing systems and long-term mortgage loans, we can promote the building of more Apartment Type Factories.

      • 상장기업의 도산과 유대관계형 금융에 관한 연구 : 경제위기 기간을 전후하여

        남상덕 중앙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8639

        단기간 내에 고도의 압축성장을 이룩하는 과정에서 우리 기업은 자기 지본이 부족하고 내부유보가 빈약하여 외부차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으며 그로 인해 부채비율이 높아지고 이자보상배율이 낮아지는 등 재무구조가 악화되었다. 기업의 외부차입은 자본시장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은행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은행위주의 간접금융이 발전하게 되었다. 은행중심의 금융제도는 은행-기업간 유대관계의 형성을 통해 정보의 비대칭성을 감소시켜 금융중개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유대관계형 금융의 이점을 갖고 있으나 과도한 간접금융 의존도로 인해 기업의 과잉차입과 재무구조 악화를 유발한 측면도 있었다. 고도의 압축성장 과정에서 기업과 금융 모두 구조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우리 경제는 1997년 위기를 맞게 되었고 강도 높은 기업 및 금융 구조조정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경제위기 기간 중의 기업구조조정 및 금융구조조정 조치의 성과에 주목하여 기업도산과 은행-기업 유대관계에 관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첫째, 경제위기 초래의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었던 기업의 높은 부채비율에 대하여 이를 축소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이 타당한 것이었는지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하여 기업부채비율이 기업도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은행 증심의 기업자금공급 구조하에서 은행-기업간의 유대관계가 중요하다는 전제아래 “동일한 부채비율이라도 은행-기업간의 유대관계의 긴밀도가 높은 경우 기업도산 확률을 낮출 수 있는가?” 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통하여 은행과 기업간의 유대관계가 기업도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경제위기 기간중 기업의 도산확률은 기업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기업부채수준을 통제한 후 유대관계형 금융이 기업도산에 미치는 영향은 유대관계를 나타내는 대용변수인 기업이 대출받은 은행 수가 적을수록 도산확률이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부채비율축소로 대표되는 기업구조조정 조치의 타당성이 입증되었고 아울러 금융위기 시 유대관계 및 유대관계형 금융의 중요성이 입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