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중과 페이션시 — 오클로스에서 생태계급까지

        김홍중 한국현대문학회 202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72

        이 연구는 안병무와 서남동의 민중 개념을 페이션시의 관점에서 탐구하고 그 현재적 의미를 성찰하려는 시도다. 페이션시(patiency)는 감수자(patient)의 실존, 체험, 힘을 지칭하는 개념이며, 페이션시의 관점은 저 감수자들의 세계, 수동성의 가치, 감수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행위역량을 적극적으로 평가하려는 이론적 스탠스다. 잘 알려진 것처럼, 안병무와 서남동은 성서의 오클로스(ochlos)에서 민중의 원형을 발견한다. 오클로스는 라오스(laos)와 달리 정치적 소속을 결여한 비(非)주체로서 예수를 무조건적으로 따르는 회중(會衆)을 가리킨다. 마가복음에 대한 집중적 독해를 통해 안병무는 예수와 오클로스가 불가분의 어셈블리지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그 핵심에 그들이 공유하는 감수자적 위치가 있다. 감수의 극한인 십자가형에서 부활로 이어지는 예수사건을 반복하는 존재로서 민중 역시 수난받는 한(恨)의 주체(감수자)에서 사회를 변혁하는(斷) 저항적 주체(행위자), 즉 스스로를 초월하는 존재로 간주되고 있다. 이 연구는 민중신학의 민중 개념을 특징짓는 이 ‘겪음에서 행위로의 전환’ 논리를 페이션시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통해 해명하고, 민중 개념이 우리 시대의 인류세 파국상황에 던지는 함의를 라투르의 생태계급을 살펴보면서 성찰해 보려는 한 시도다. This article attempts at exploring the concept of Minjung of Ahn Byeong Moo and Suh Nam Dong from the viewpoint of patiency and also at reflecting on its actual signification. Patiency refers to the existence, experience and competence of the patient. In the same vein, the viewpoint of patiency can be said to be the intellectual stance of positively evaluating the world of patients, the value of passivity, and the power of action formed in the course of passion. Ahn and Suh discovered the origin of Minjung in the figure of ochlos in Bible. Unlike the laos, ochlos are those crowd who follow Jesus without any condition, deprived of political identity. By reinterpreting The Gospel of Mark, Ahn showed that Jesus and ochlos formed an assemblage, which was due to their shared position of patienthood. Minjung repetes the Jesus event ranging from the crucifixion to ressurection, in their own transformation from patients suffering from han sentiment to the powerful agents performing social change. This article explains this logic of transition from passion to action characterizing concept of Minjung, and explores its implications on the Anthropocene catastrophe of our times, in examining the concept of ecological class of Bruno Latou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플랫폼의 사회이론: 플랫폼 자본주의와 알고리즘 통치성을 중심으로

        김홍중 한국이론사회학회 2022 사회와 이론 Vol.41 No.-

        This article attempts at making an approach to the theoretical impacts of the advent of platform society on the social theories, from two major perspectives. First theme concerns the platform capitalism, on the subject of which this article presents the following three theses. i) thesis of social factory(platform capitalism incorporates the non-market vital activities into the labor), ii) thesis of asocial social(the rise of the social in the platform society reassembles the society), iii) thesis of dissolution of the spirit(in the platform capitalism, the spirit disappears). Second theme concerns the algorithm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discussions of Scott Lash on the ‘techhnological forms of life’ caused by the acquisition of power of algorithm and those of Antoinette Rouvroy on the algorithmic governmentality suggesting that 21st century governmentality pivots around a novel constellation of the real, the knowldege, and the subjectivity. 이 연구는 플랫폼 사회의 도래가 사회이론에 가져온 쟁점들을 크게 두 가지관점에서 다루어 보고자 한다. 첫째는 플랫폼 자본주의의 테마다. 이와 연관해서 이 연구는 다음 세 가지 테제를 제시한다. i) ‘사회적 공장’ 테제(플랫폼 자본주의는비시장적 생명 활동전반을 노동으로 포섭한다), ii) ‘비사회적 소셜’ 테제(플랫폼 자본주의에서 ‘소셜’의 부상은 ‘사회’를 재조립한다), iii) 그리고 ‘정신의소실(消失)’ 테제(플랫폼 자본주의에서 ‘정신(spirit)’은 소실된다). 둘째는 알고리즘의 테마다. 이 연구는 알고리즘으로 권력이 전환되면서 형성된 ‘기술적 삶의형식’을 다룬 스콧 래시의 논의와 ‘알고리즘 통치성’(디지털 행태주의) 개념을제안하면서 21세기의 통치성이 새로운 실재, 지식, 주체성을 형성시켜가고 있다는 루브루아의 논의를 소개한다.

      • KCI등재

        일본 태양의 근원과 소비에트 오리엔탈리즘

        김홍중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22 슬라브학보 Vol.37 No.4

        동양-아시아는 러시아 문학의 오래된 주제 중 하나였지만, 실제의 아시아를 다룬 작품은 많지 않다. 필냐크의 소설 『일본 태양의 근원』은 소련에서는 처음으로 실제 동아시아를 주제로 삼은 소설이다. 마치 신곡에서의 단테처럼 필냐크는 자신이 주인공이 되어 일본이라는 낯선 공간 속으로 여행을 떠나고 일본의 근본을 이해하려 한다. 하지만 소련과 일본의 프롤레타리아 비평가들은 이 작품을 이국 정취라 비판하면서 소설이 아닌 일상문인 기행문으로 평가절하한다. 그럴 뿐만 아니라 이국 정취의 사용으로 19세기 피에르 로티의 『국화 부인』처럼 피상적이고 거짓된 일본의 모습을 묘사한다고 비난했다. 이 논문에서는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과 바흐친의 창의적 이해(творческое понимание) 개념을 중심으로 『일본 태양의 근원』의 이국 정취 문제를 다시 생각해 본다.

      • KCI등재

        심벌이미지에 대한 오행 분석의 결과 차이 - 오행 형상과 오방색 중심으로 -

        김홍중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4

        There are many studies conducted on modern design images with the aim to enrich our discourse on design based on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which is one of our traditional philosophy and thoughts. However, most of these studies ar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pe of the five elements, Ohbangsaek and win-win conflict among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and studies to analyze the same design based on the shape of the five elements and the Ohbangsaek system have seldom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sign images based on the form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and Ohbangsaek’ and analyze and propose in such a way as to enable it to analyze the same five elements without classifying the results of analysis and derive the same results of analysis. For the study problems, this study set 3 study problem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and ‘Ohbangsaek’? Second, why the images of the design produced recently are classified into different five elements when the respective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form of five elements and the Ohbangsaek? Third, how to analyze the forms and Ohbangsaek appearing in the design images based on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and propose designs? To do this, this study has reviewed the existing studies and literature relating to Yin-Yang and Five Elements and Fenshui and then defined the form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and the meaning of Ohbangsaek. Furthermore, this study has made analysis model and analyzed the existing design images based on two systems- the form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and Ohbangsaek. As a result, this study has found the reasons why the five elements are classified differently when the form of the five elements and Ohbangsaek applied and proposed the way to enable the same classification of the five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the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현대 디자인 이미지에 대해서 우리의 전통 철학, 사상 중 음양오행론을 바탕으로 디자인 담론을 더욱 깊고 풍성하게 만들기 위한 분석 연구가 많이 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하나의 디자인 이미지를 오행 체계로 분석하고 그 결과가 형상과 오방색 각각 다르게 분류되지 않고 동일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게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로는 첫째, 동양 음양오행론의 형상과 오방색은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 둘째, 현재 제작된 디자인 이미지를 오행의 형상과 오방색으로 분석한 각각의 해석을 비교하면 왜 서로 다른 오행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생기는가? 셋째, 디자인 이미지에 나타난 형상과 오방색을 어떻게 음양오행론으로 분석하고 디자인을 제안 할 것인가?로 정리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음양오행, 풍수분야의 문헌 고찰을 조사하고 분석 모형을 만들어 음양오행론의 형상과 오방색 두 체계로 기존에 제작된 디자인 이미지를 각각 분석 연구 하였다. 그래서 오행의 형상과 오방색 두 가지로 적용했을 때 오행이 다르게 분류되는 원인을 찾고 동일하게 오행 분류가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를 바탕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뤄지길 바란다.

      • KCI등재

        21세기 사회이론의 필수통과지점: 브뤼노 라투르의 행위 이론

        김홍중 한국이론사회학회 2022 사회와 이론 Vol.43 No.-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the actor-network theory of Latour constitutes the obligatory passage point for 21st century social theory, focusing on Latour’s theory of action. In sharp contrast with 20th century mainstream sociological theory of action premised on the rational human actor and his agency, Latour boldly reassembles the action theory from the viewpoint of assemblage ontology. Latourian actor is semiotic actant and Whiteheadian proposition at the same time, which allowed him to encompass the nonhuman actors as the members of the society and also to conceptualize the society as an open-ended associations under dynamic changes. Latour’s concept of action can be characterized by its relatedness, eventfulness, and distributedness. Analyzing each of these, I examine in what points Latour’s action theory helps us rethink the meaning of action in 21st century. 이 연구는 브뤼노 라투르의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21세기 사회이론이 탐구하고 고려해야 하는 ‘필수통과지점’을 이룬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연구는 라투르의 행위이론에 초점을 맞춘다. 합리적 인간 행위자와 그가 소유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행위능력을 중시해온 20세기의 주류 사회학 행위이론과 대립하면서, 라투르는 어셈블리지 존재론에 기초한 행위자-네트워크 개념으로 행위이론을 과감하게 재구성한다. 라투르가 보는 행위자는 기호학적 행위소이자 화이트헤드가 말하는 명제다. 이를 통해 라투르는 인간-너머의 행위자들을 사회의 구성원으로 통합하는 동시에, 사회를 역동적 변화에 열린 연합체로 개념화한다. 라투르가 이론화하는 행위는 고도의 관계성, 사건성, 분산성으로 특징지어진다. 나는 이를 각각 분석함으로써, 라투르 행위이론이 21세기적 맥락에서 행위의 의미를 어떻게 사고할 수 있게 하는지를 점검한다.

      • KCI등재

        러시아 문화 산업의 기원 - 핑커톤 시리즈 : 문화적 배경과 의미

        김홍중 한국러시아문학회 2018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61 No.-

        После «Кровавого воскресенья» 1905 года в русском обществе возникла новая масса, умеющая элементарно писать и читать. В отличии от интеллигентов и разночинцев 19-ого века она появилась на фоне индустриализации. Она состоит из рабочего класса и школьников в общественных учреждениях. Их увлекал небывалый импортный из Америки детектив, который критики и литераторы презрительно называли Пинкертоновщиной. Она первая массовая литература для новой русской массы. Определенная халтурой критиками дешевая уличная литература отличалась от лубочной литературы бывших лет в своей роли и функции в обществе и литературной жизни. Больше всего эта массовая литература является первым продуктом культуриндустрии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и важна для понимания русского общества и культуры того времени. В данной статье с точки зрения теории культуриндустрии анализируются феномены «пинкертоновщины».

      • KCI등재후보

        삘냑의 <일본 태양의 기원>에 나타난 장르와 동서(東西)의 문제

        김홍중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09 외국학연구 Vol.13 No.1

        Данная работа посвящена анализу повести о Японии Б. А. Пильняка «Корни японского солнца». Это произведение Пильняка до сих пор совсем не изучен и остается в тени литературно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Корни японского солнца» имеет важное значение в нескольких сторонах. Во-первых, несмотря на то, что произведение называется «повестью», само произведение долгое время считалось очерком, который отражает личное впечатление, а не художественным творчеством. Однако «Корни японского солнца» является художественной прозой, к которой автор пытался применить особый литературный прием. У него «повесть» не обозначает современной литературный вид. Понятие «повесть» Пильняка надо отнести к средневековой русской литературной традиции. Когда мы рассматриваем это произведение с этой точки зрения, то «Корни японского солнца» становится новым литературным экспериментом. Во-вторых, само название этого произведения наше внимание обращает к важной теме того времени «проблема» Востока. У него восток, не только обозначает настоящий восток. Для него восток как бы является одним символом, который господствовать над всеми его произведениями. Итак, «Корни японского солнца» не просто путешественный очерк, а художественное творчество, которое утверждает его «восток» как литературный символ.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