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성권의 형법적 보호 필요성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통신비밀보호법에 의한 대화의 비밀에 대한 형법적 보호와의 비교 ―

        김호기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서울법학 Vol.30 No.3

        The general right of personality, grounded in human dignity, is accepted as one of the fundamental constitutional Rights.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recognizes the right to his/her own voice, as a concrete form of the general right of personality, against the misappropriation of a person’s voice. The right to his/her own voice encompasses every aspect of the self-determination regarding whether his/her own voice is to be stored, heard or transmitted. Though, it currently does not constitute a criminal offense to violate the right to his/her own voice. Privacy as a constitutional right is guaranteed separately from the human dignity in the Korean Constitution. The Communications Protection Act, anchored in privacy and not in autonomy or self-determination, provide for the protection of private conversation. Although this Act requires in principle the consent of all parties to legally record a conversation, it allows any party to a conversation to record a conversation without the consent of other parties. Some argue that the right to his/her own voice deserves more protection and it should be criminally prohibited to record a conversation unless everyone participating give their consent, even if he who records is a party to the conversation. Even though it is undeniable that the self-determination of an individual should be respected under all circumstances, it does not imply that a breach of the individual’s autonomy should always result in criminal sanction. It has long been customarily socially acceptable that an individual can legally record a conversation without the other person's consent when he is a party to the conversation. There seems no proper cause to justify the criminalisation of activities that have long been regarded as socially as well as ethically tolerable. 우리나라 헌법에 명문의 규정은 없으나 해석상 발언자가 자신의 말에 대하여 갖는 권리, 즉 음성권이 기본권으로서 보장되고 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에는 음성권 보호를 위한 형벌규정은 마련되어 있지 않으나, 이미 오래 전부터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보호하기 위하여 통신비밀보호법을 제정・시행하면서 공개되지 아니한 타인간의 대화를 녹음・청취하는 행위 등을 형사처벌하고 있어 왔는데, 이러한 통신비밀보호법의 형벌규정을 통하여 음성권의 보호영역 중 상당 부분이 사실상 형법적 보호를 받고 있어 왔다. 다만 통신비밀보호법은 대화당사자 사이의 동의 없는 녹음행위는 처벌대상에서 배제하고 있는데,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는 음성권에 대한 충실한 보호를 위하여서는 이러한 행위를 형사처벌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음성권 보호를 위한 형벌규정을 새로 제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음성권 보호를 위하여 국가 형벌권을 행사할 필요가 있는가의 문제는 시대적, 사회적 배경에 따라 다르게 판단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오랜 기간 대화 당사자 사이의 동의 없는 녹음행위가 사회적으로 승인된 행위로 간주되어 왔고 일반 사회구성원도 그러한 신뢰 하에 생활영위 방식을 결정하여 왔음을 고려한다면, 그러한 행위로 인하여 특별히 사회적으로 중대한 문제가 새로 발생하고 있는 것이 아닌 이상, 음성권 보호를 위한 새로운 형벌규정 제정은 필요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시동잠금장치 프로그램 시행과 관련된 논점 및 입법 방향 ― 스웨덴의 비전 제로 정책의 취지 도입 필요성 및 이러한 취지에 기초한 시동잠금장치 프로그램 도입이 갖는 의미의 검토 ―

        김호기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서울법학 Vol.26 No.4

        Drunk driving is a serious problem. Many different types of sanctions such as fines, imprisonment, suspension or withdrawal of the driving license have been put into practice to prevent drunk driving, but proved only partially successful. Most of all, they are not effective to change the behavior of those who are alcohol dependent. Alcohol interlock programs are now regarded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measures to prevent drinking and driving. This article proposes that the philosophy of the Swedish Vision Zero policy should be adopted in designing the road transport system. That is to say, it should be assumed that “it can never be ethically acceptable that people are killed or seriously injured when moving within the road transport system” and, in this regard, it is urgently needed to introduce the alcohol ignition interlock program to increase road safety and thereby protect road users. In legislating alcohol interlock program, it would be a better choice to introduce a mandatory administrative model that require all high-risk drunk drivers such as repeat offenders, High BAC offenders, and young drivers with less experience to install an alcohol ignition interlock device regardless of their consent. It is also recommended to mandate vehicles like school busses, commercial trucks, and vehicles carrying hazardous materials be fitted with an alcohol ignition interlock device. Considering that the problem of alcohol related traffic accidents is very severe and alcohol interlock programs offer offenders a possibility to continue driving, the mandatory administrative model of alcohol interlock program would not be found to violate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drunk drivers. However, it would be better to limit the administrative discretion to extend the duration of an alcohol interlock program participation to avoid any constitutional issues that may rise regarding the length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기존의 형사법적, 행정적 대응으로는 음주운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폐해를 방지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음주운전자에 대하여 운전면허 재취득 내지 유지의 요건으로 음주시동잠금장치를 설치하도록 하는 제도를 도입하는 국가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 제도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개인의 자유를 보장해 주기 위하여 제한적으로 음주시동잠금장치를 도입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으나, 교통안전과 관련된 정책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근본적으로 스웨덴에서 시작된 비전 제로 정책의 바탕에 놓인 이념을 받아들여서 교통참여자의 안전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음주운전이 만연한 현실이나 시동잠금장치의 사용이 운전 자체를 허용하면서도 음주 후 운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치라는 점 등을 고려한다면 음주운전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서는 시동잠금장치 제도를 폭넓게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행정 모델의 형태로 입법화하여 상습 음주운전자, 단속 당시 혈중알코올농도 수준이 높았던 운전자, 연령이 낮고 운전경험이 많지 않은 음주운전자 등 음주운전으로 인하여 중대한 법익침해를 야기할 수 있는 운전자에 대하여 당사자의 희망 여부를 묻지 아니하고 시동잠금장치 설치를 강제하는 것이 타당하며, 이외에도 화물자동차, 통학차량, 위험물질 운반 차량 등에 대하여서도 장치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