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부모-자녀 보고의 차이에 따른 소아청소년의 비만 양상 : 소아청소년 비만군을 중심으로

        김지아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과체중 및 비만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자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대하여 부모와 자녀 간의 보고 불일치 여부 및 유형과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의 관계를 탐색한 연구이다. 지역 사회 기반 고도비만 소아청소년 중재연구의 기저선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총 120명의 소아청소년(평균 연령 = 11.4세, SD=1.5)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대한 부모-자녀 간의 보고 불일치를 측정하기 위해, 부모가 자녀의 정서 및 행동 문제를 보고하는 CBCL(Child Behavior Checklist, 아동 및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부모용)과 자녀가 스스로의 문제에 대해 보고하는 YSR(Youth Self Report,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자기보고용)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고 일치 및 불일치 집단을 다음과 정의하였다: (1) 부모-자녀 간의 보고가 일치하는 집단 (CBCL=YSR); (2) 자녀만 스스로의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보고한 집단 (CBCL<YSR); (3) 부모만 자녀의 문제를 심각하게 보고한 집단 (CBCL>YSR). 본 연구에서 자녀의 비만 심각도는 BMI를 성별 및 연령을 기준으로 산출한 BMI-Z점수를 활용하여 측정되었다. 또한 부모-자녀 간의 보고 불일치 유형과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공변인을 통제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의 성별, 나이, 사회경제적수준, 자아존중감, 어머니의 체지량지수 및 우울정도를 공변인으로 설정하여 통제하였다. CBCL을 활용하여 가족의 경제적 수준, 부모의 학력을 수집하였고, 어머니의 체질량지수와 같은 부모의 생리적 지표와 어머니의 우울 심각도,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포함한 심리적인 요인들도 함께 분석하였다. 보고 일치 및 불일치 여부에 따른 자녀의 비만 심각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내재화 문제에 대한 보고 불일치 여부와 자녀의 비만 심각도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현화 문제에 대한 보고 불일치 집단이 보고 일치하는 집단에 비해 자녀의 비만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t=-2.352, p<0.05). 또한, 보고 불일치 유형과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내재화 문제에 대한 보고 불일치 유형과 자녀의 비만 심각도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현화 문제에 대하여 자녀만 스스로의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보고한 집단이 공변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보고 일치하는 집단에 비해 자녀의 비만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t=2.343, p<0.05). 즉, 자녀의 외현화 문제에 대한 보고 불일치는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 관련이 있었으며, 특히 자녀만 스스로의 외현화 문제에 대해 심각하다고 보고한 집단이 보고 일치하는 집단에 비해 체중 문제가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과체중 및 비만인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간의 보고 불일치와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이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소아청소년 대상 선별도구인 CBCL과 YSR를 활용하여 부모-자녀 간의 보고 불일치와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의 관계를 탐색한 국내외 최초의 연구라는 의의가 있다. 또한 자녀만 스스로의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보고한 경우, 가지고 있는 체중 문제들이 심각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 현장에서 이들 집단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환기한다.

      • 입원환자가 인식한 환자중심간호가 환자경험에 미치는 영향

        김지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가 인식하는 환자중심간호와 환자경험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중심간호가 환자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환자중심간호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A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 147명이며, 자료 수집은 2021년 10월 12일부터 10월 24일까지 실시되었다. 연구 도구로 사용된 환자중심간호는 Suhonen (2000)이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양인숙(2008)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도영경 등(2015)이 개발하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귀속된 환자경험평가 문항을 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Welch’s F, Dunnett’s T3,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환자중심간호는 5점 만점에 평균 3.78±0.60점이었고, 환자중심간호의 하위요인 중 환자중심간호 제공에 대한 인식은 3.68±0.69점, 환자중심간호 반영에 대한 인식은 3.89±0.59점이었다. 연구대상자의 환자경험은 100점 만점에 평균 84.46±13.83점이었으며, 환자경험의 하위요인은 간호사 영역 89.81±15.03점, 병원 환경 86.14±18.46점, 투약 및 치료과정 83.71±17.12점, 전반적 평가 83.44±11.73점, 의사 영역 82.60±19.19점, 환자권리보장 81.56±19.06점 순이었다.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경험은 대상자의 최종학력에 따라 환자경험 총점(F=4.728, p=.004), 간호사 영역(F=5.298, p=0.003), 의사 영역(F=4.431, p=.009), 환자권리보장(F=4.297, p=.010)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병원환경은 최종학력(F=4.398, p=.009), 진료과(F=3.435, p<.001), 재원기간(F=5.161, p=.008),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재원 여부(t=5.979,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환자중심간호와 환자경험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662, p<.001), 환자중심간호와 환자경험의 하위 영역인 간호사 영역(r=.527, p<.001), 의사 영역(r=.430, p<.001), 투약 및 치료 과정(r=.693, p<.001), 병원환경(r=.318, p<.001), 환자권리보장(r=.535, p<.001), 전반적 평가(r=.675, p<.001) 간에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환자중심간호에 따른 환자경험의 회귀모형을 검증한 결과, F=56.868(p<.00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43.4%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 환자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환자중심간호이었으므로 환자경험 증진을 위해 환자중심간호에 대한 간호사 대상 교육과 직접간호시간 증진 및 간호전달체계 보완과 같은 처우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pati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 has been replaced by the patient experiences questionnaire as the latter makes it possible to measure actual patient-centeredness in medical service. Furthermore, it has been proved that patient-centered care had an impact on patient satisfac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atients’ perception of patient-centered care, their experience in hospita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ata were collected from 147 inpatients from a general hospital in Seoul, South Korea through written questionnaires between October 12 – 24, 2021.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6.0 was used to analyze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ir perception of patient-centered care, and their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Welch’s ANOVA, Dunnett’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were 3.788±0.60 for the patient-centered care, 3.68±0.69 for the specific nursing interventions(Individualized Care Scale-A, ICS-A), and 3.89±0.59 for how they perceive individuality in their own scale(Individualized Care Scale-B, ICS-B), out of 5. The mean scores were 84.46±13.83 for patients’ experience, 89.81±15.03 for the nurses’ area, 86.14±18.46 for the hospital environment, 83.71±17.12 for the medication and treatment process, 83.44±11.73 for the overall estimation, 82.60±19.19 for the doctoral area, and 81.56±19.06 for the patient’s rights, out of 100. 2. Among the patients’ general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education level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on patient’s experience (F=4.728, p=.004), nurses’ area (F=5.298, p=0.003), doctoral area (F=4.431, p=.009), and patients’ rights (F=4.297, p=.010). Education level (F=4.398, p=.009), unit (F=3.435, p<.001), length of stay (F=5.161, p=.008), and whether it was a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t=5.979, p<.001) had significant differences on hospital environment. 3. Patient-centered ca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tients’ experience (r=.662, p<.001), nurses’ area (r=.527, p<.001), doctoral area (r=.430 =, p<.001), medication & treatment process (r=.693, p<.001), hospital environment (r=.318, p<.001), patients’ right (r=.535, p<.001), and overall evaluation (r=.675, p<.001). 4. The factor which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atients’ positive experience was patient-centered care. The level of power was 43.4% and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56.868, p<.001). This finding shows that patients’ experience is preceded by patient-centered care. Therefore, to promote patient’s experience, spotlighted as a medical institute evaluation tool, our results suggest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raise nurses’ awareness of patient-centered care and organizational support for nursing work environment. Therefore, improvement in supplementing the patient-centered delivery system, nurse education for patient-centered care, and sufficient time between nurse and patient is necessary.

      • 요양병원간호사의 도덕적고뇌와 도덕적 민감성

        김지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moral distres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moral distress and to identify correlation moral distress and moral sensitivity among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March 21 to April 8, 2016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180 nurses at a long term care hospitals in G. provinces. Moral Distress measurement tool(21 item checklist)was used on the basis of (Moral Distress Scale for Psychiatric Nurses:MDS-P, Ohnishi et al., 2010)was translated and adapted by Noh, Dabok et al., was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and was verified the contents validity by experts. Measurement tools of moral sensitivity was used as the Moral Sensitivity Questionnaire(Lutzen, 1997) which translated into Korean and modified by Han et al.(2010) for measuring the nurses’s moral sensitiv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moral distress in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was 3.57 out of 6 point scale, and ‘When a patient care by neglecting the patient's condition worsening’ showed the highest scores(4.03),‘When the hospital staff suspected to be tolerated but the patient abuse’(4.01). 2. The mean score of moral sensitivity in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was 4.82 out of 7 point scale, and the sub-domain of professional responsibility had the highest score(5.53). 3. Moral di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woman nurses more than man nurses, charge nurses above more than staff nurses, if there is an educational experience for the moral/ethical issues and with experienced ethical dilemmas when nursing practices. 4. Moral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experienced ethical dilemmas more than with unexperienced ethical dilemmas when nursing practice. 5.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ral distress and moral sensitivity(r=.494, p<.001), there was positive correlated on the area of patient-centered care, professional responsibility, conflict and moral meaning within sub-domain of moral sensitivity. 6. On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moral distress were moral sensitivity and were or not the experienced ethical dilemmas when nursing practices. 7. Situation that nurses experienced moral distress; conditions was related to inappropriate care behavior was not guaranteed the quality of nursing care, conditions related to unethical the human rights, conditions related to the lack of nursing staff and conditions related to the lack of support of organizational and national level. In conclusion, on personal side, needs principles-based care and enhancement of empathy ability in order to reduce moral distress, on hospital organizational side, needs promotion of ethical environment in order to protect patient rights and such as ethical educations to be activated for all employees.

      • 대학생의 성인애착, 사회적지지, 자기통제력, 스마트폰 과다사용 간의 구조적 관계

        김지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structual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 social support, self-control and smartphone overuse of university students, and verifying that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dult attachment and smartphone overuse. Participant in this study are 527 students (201 male, 326 female) of university in the cities of Daegu and the provinces of the Gyeongbuk. The scales used for this study are ECRS(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 Scale), Social Support Scale, SCS(Self-Control Scale) and Korean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s for structur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adult attachment, social support, self-control and smartphone overuse. It showed that a university students’ adult attachment directly affected social support, self-control and smartphone overuse. In addition,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appeared to be directly related to smartphone overuse. Second,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worked as significant mediators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university students’ adult attachment and smartphone overuse. In other words, the university students’ adult attachment affected not only directly smartphone overuse but also indirectly via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This result found that there is a necessary for increasing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by improving adult attachment to reduce their smartphone overuse. To reduce smartphone overuse, in conclusion, we should consider the adult attachment, and also intervene multidimensionally for increasing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at the same time.

      • 패밀리레스토랑 고객이 지각한 메뉴품질이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금전적가치의 매개효과

        김지아 세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에 상륙한 서양식 패밀리레스토랑이 지난 1990년대 중반까지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내세우며 자리를 잡으면서 이후 토종 브랜드까지 가세하며 2000년대 중반까지는 그야말로 패밀리레스토랑의 전성기가 펼쳐졌다. 하지만 경쟁 점포들이 증가하며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는 업체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장기화된 경기침체와 인구구조가 급속히 변화하면서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여기에 생활수준 향상과 외식산업의 발달로 대체식품 등을 구매함으로써 패밀리레스토랑을 찾는 회수는 급격이 줄어들고 있다. 수준 높은 음식과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소비자들은 메뉴에 대한 기대감과 욕구가 높아지고 있어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메뉴선택속성으로 고객들의 전환의도를 감소시킬 것이라는 전제하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패밀리레스토랑 고객이 지각한 메뉴품질이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금전적가치를 매개효과로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 조사 대상은 서울과 경기권에 패밀리레스토랑을 이용해본 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배포 및 작성을 이용한 자기기입법을 통해 360부를 조사하였고, 이중에서 응답이 불성실한 16부를 제외하여 총 344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선택속성들을 추가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방법으로 가설들을 검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패밀리레스토랑 고객이 지각한 메뉴품질은 첫 번째 요인으로 맛과 청결성 위생적인 메뉴, 두 번째 요인으로는 다양하고 건강한 메뉴로 금전적가치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다양하고 건강한 메뉴보다 맛있고 청결하고 위생적인 메뉴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패밀리레스토랑 고객이 지각한 메뉴품질은 전환의도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메뉴품질 첫 번째 요인인 맛있고 청결하고 위생적인 메뉴는 전환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두 번째 요인인 다양하고 건강한 메뉴는 비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패밀리레스토랑 고객이 지각한 메뉴품질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금전적가치는 매개효과 검증결과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해당 패밀리레스토랑 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호텔 및 외식, 기타서비스 분야에도 영향을 미칠 것을 기대한다.

      •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말초신경병증 증상, 수면의 질 및 스트레스 반응 간의 관계

        김지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CIPN) is a common reported symptom by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which can negatively impact their quality of life.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aimed to explore the CIPN, sleep quality, and stress respons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Convenience sampling was conducted to recruit 140 adult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Seoul between June 10 and November 18, 2020. CIPN, sleep quality, and stress response were measured using the Chemotherapy 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Assessment Tool (CIPNAT),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SRI),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analysis of variance (ANOVA) test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26.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patients experienced CIPN (n = 136, 97.1%). Among CIPN symptoms, nerve pain was reported as the most severe and distressing symptom, and numbness in the hands and feet wa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ymptom. The sleep quality of the patients was generally poor (mean = 6.49, SD = 3.08). More than 50% of patients (n = 79, 56.4%) were categorized as the low sleep quality group. Almost all patients experienced stress response (n = 138, 98.6%). Fatigue was the most common type of stress response (95.0%), followed by frustration (93.6%), tension (85.7%), depression (81.4%), and somatization (70.7%). Patients who received 11 or more chemotherapy cycles reported more severe CINP symptoms (t = -9.022, p<.001), lower sleep quality (t = -2.908, p = .004), and higher stress response (t = -3.299, p = .002) than those with less than 11 chemotherapy cycles. This study identified that more severe CINP was associated with lower sleep quality and higher stress respons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CIN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th sleep quality (r = .290, p = .001) and stress response (r = .356, p<.001). Sleep qual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tress response (r = .479, p<.001). This study identified that more severe CINP was associated with lower sleep quality and higher stress respons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The number of chemotherapy cycles received by patients was also associated with CINP, sleep quality, and stress response. Therefore, regular assessment and appropriate management of CINP could improve the sleep quality and stress response in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particularly those who are undergoing long-term chemotherapy, contributing to their quality of life.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를 대상으로 말초신경병증 증상, 수면의 질 및 스트레스 반응을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간호 중재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0년 6월 10일부터 2020년 11월 18일까지 서울 소재의 상급종합병원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성인 암 환자 140명을 편의표집하였다. 말초신경병증 증상은 말초신경병증평가도구(Chemotherapy 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Assessment Tool [CIPNAT])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검증받은 후 사용하였고, 수면의 질은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검증한 도구를 이용, 스트레스 반응은 스트레스 반응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말초신경병증 증상은 대상자의 97.1%가 경험하였으며, 증상 중에서는 발의 둔한 느낌이 69.3%, 발의 저린감이 68.6%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수면의 질은 평균 6.49±3.08점으로 수면의 질이 낮은 군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56.4%(79명)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반응은 대상자의 98.6%가 경험하였으며, 하위영역에서 피로가 95.0%, 좌절이 93.6%로 많이 나타났다. 2. 말초신경병증 증상은 말초신경병증을 경험한 기간(F=13.113, p<.001), 항암 종류(t=2.235, p=.027), 누적용량(F=43.438, p<.001), 항암 차수(t=-9.022,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말초신경병증을 6개월 이상 경험한 집단이 6개월 미만인 집단보다 말초신경병증 증상이 심했다. 또한, 파클리탁셀을 투약한 집단이 납-파클리탁셀을 투약한 집단보다 말초신경병증 증상이 심했으며, 누적용량 1,000mg 미만 집단, 1,000~2,000mg 미만 집단, 2,000mg 이상 투약받은 집단 순으로 말초신경병증 증상이 심했다. 그리고 항암 차수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말초신경병증 증상이 심했다. 수면의 질은 항암 차수(t=-2.908, p=.00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항암 차수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수면의 질이 낮았다. 스트레스 반응은 진단명(F=2.899, p=.024), 말초신경병증을 경험한 기간(F=5.686, p<.001), 항암 종류(t=3.050, p=.003), 누적용량(F=4.665, p=.011), 항암 차수(t=-3.299, p=.002), 항암 주기(F=3.184, p=.044), 신경 독성항암제 수(F=6.305, p=.00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말초신경병증을 경험한 기간 중 1년 6개월 이상 집단이 6개월 미만 집단보다 스트레스 반응이 높았다. 파클리탁셀을 투약한 집단이 납-파클리탁셀을 투약한 집단보다 스트레스 반응이 높았고, 누적용량 2,000mg 이상인 집단이 1,000mg 미만 집단보다 스트레스 반응이 높았다. 항암 차수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스트레스 반응이 높았으며, 신경독성 항암제 수는 파클리탁셀을 단독 투여한 집단이 다른 1개의 신경독성 항암제를 추가하여 투약한 집단보다 스트레스 반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말초신경병증 증상 정도는 수면의 질(r=.290, p<.01), 스트레스 반응(r=.35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수면의 질의 경우 스트레스 반응(r=.479,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암 환자의 말초신경병증 증상이 심할수록 수면의 질은 낮고, 스트레스 반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말초신경병증 증상, 수면의 질, 스트레스 반응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항암 차수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말초신경병증 증상이 심했고, 수면의 질은 낮고, 스트레스 반응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항암치료가 길어지는 환자에게 주기적으로 말초신경병증 증상과 수면의 질, 스트레스 반응을 사정하고, 평가하여 관리한다면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도 도움일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마인드셋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지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마인드셋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수학 6단원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를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으로 구성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마인드셋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의 변화가 있었는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검사를 위한 측정도구로 마인드셋은 Dweck(2000)이 개발하고 김보미(2016)가 수정보완한 마인드셋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고정 마인드셋과 성장 마인드셋 두 가지 하위요소로 구분하였다. 수학적 자기효능감은 김아영과 박인영(2001)이 제작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여 수정보완한 김경아(2010)의 질문지를 최승용(2012)이 수정보완한 수학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수학 과제 난이도 선호, 수학 자기조절 효능감, 수학 자신감의 세 가지 하위요소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마인드셋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의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마인드셋’(Dweck, 2017), ‘스탠퍼드 수학공부법’(Boaler, 2017)과 ‘언락’(Boaler, 2020)을 참고하여 초등학생들의 특성 및 이해 수준에 맞는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을 구성하였다. 이후 실험 집단은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을 적용하였고, 통제 집단은 아무런 적용을 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실험 집단의 마인드셋과 수학적 자기효능감을 사후에 다시 측정하여 변화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위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의 핵심 요소로 ‘풍부한 수학 과제 경험하기’, ‘실수와 실패의 가치 탐색하기’, ‘성취의욕과 도전 의식 기르기’, ‘창의성 기르기’, ‘끈기와 노력 기르기’, ‘칭찬 주고 받기’ 등 6가지를 추출하였다. 또한 이 6가지 핵심 요소들로 이루어진 수학 수업을 구성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한 학급에 적용한 결과, 이 요소들이 충분히 초등학교 수업에서 구현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요소들이 독립적으로 기능할 때 보다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통합적으로 기능할 때 수업 효과가 극대화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이 연구에서 구성한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마인드셋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장 마인드셋을 지닌 학습자를 더욱 견고한 성장 마인드셋을 지닌 학습자로 변화시켰다. 또한 자신의 능력은 노력으로 변하지 않는다는 믿음인 고정 마인드셋을 지닌 학습자 역시 자신의 능력은 노력을 통하여 변할 수 있다는 믿음인 성장 마인드셋을 지닌 학습자로 변화시켰다. 셋째, 이 연구에서 구성한 성장 마인드셋 수학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소인 수학 과제 난이도 선호, 수학 자기조절 효능감, 수학 자신감이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를 나타내며 상승하는 효과를 보였다.

      •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제활동상태를 중심으로

        김지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현대사회에서 노동시장의 양극화는 경제성장이라는 긍정적 측면에 반하여 고용불평등을 만들어내고 있다. 사회구조적 환경으로 인하여 생긴 고용불평등은 건강불평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주요한 사회적, 정책적 현안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용불평등에 주목하여 경제활동상태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EQ-5D)의 차이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7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들을 경제활동상태와 정규직여부에 따라 비경제활동, 정규직 외, 정규직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EQ-5D 각 영역에서의 문제호소비율을 파악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하였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EQ-5D 5가지 모든 영역에서 연령, 교육수준, 결혼여부, 건강보험 유형에서 정규직에 비하여, 정규직 외, 비경제활동이 문제호소비율이 높았다. 건강관련 삶의 질 지수(EQ-5D index score)는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미혼보다는 기혼이, 소득오분위수 중 중상일 경우 삶의 질이 높았으며, 성별과, 거주지역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역별 분석의 경우, 통증/불편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비경제활동에 비하여 정규직 외, 정규직이 삶의 질이 높았으며, 특히, 자기관리와 일상활동 영역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용불확실성이 근로자의 건강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요인이라 판단되며, 정규직 근로자 외의 집단의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한 직무여건과 관련된 제도적, 정책적 보호 지원 체계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경제활동상태별 건강관련 삶의 질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논의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a modern society that values work-life balance, labor market polarization creates employment inequality against the positive side of economic growth. Due to unequality in employment caused by the social structure environment, health inequality occurred, and this issue became a major social and policy issue around the world. This study focused on employment inequality to identify the difference and between economic activity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figure out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EQ-5D. To identify abovementioned, the 7th Korean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7) data was used and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non-economic activities, temporary employment and regular employment groups according to their status of economic activities with employment status. Chi-square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ratio of respondents’ health status in each variables. Also,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roceeded to identify the degree of effect on EQ-5D. In result, non-economic activities and temporary employment groups’ level of health status were lower than regular employment in all five variables of EQ-5D. Additionally, 1) with lower age, 2) higher education, 3) married, 4) higher income status groups have shown that their EQ-5D index score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In regard with five dependent variables of EQ-5D, temporary and regular employment group displayed higher level compared to non-economic activities except ‘pain/discomfort’ variable. With the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employment uncertainty is one of the factor that affects employee’s overall health status. To obtain the equality and break the inequality that is intrinsically spreaded among non-economic activities, temporary and regular employees, work and welfare environment should be changed institutionally and politically to protect all related group for enhancing overall individual and national level of health. In addition, it is right time to provide a further discussion of reducing the gap of the quality of life by restructuring our social inequality from all companies as well as national political ways.

      •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와의 비교

        김지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언어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동시에 치료사중심 언어치료 프로그램과의 비교를 통하여 그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언어장애아동의 어휘량을 증가시키고 의사소통 의도를 증진시키며 심리적 능동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나아가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이 언어장애아동 부모의 상호작용 행동 변화와 아동의 상호작용 행동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아동중심 언어치료와 아동중심 놀이치료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였으며 아동중심 언어치료의 현장연구를 통해 한계성을 검토하고 이를 보완한 예비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전문가의 협의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생활연령 만 3세에서 만 5세 사이의 언어장애아동으로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실시 집단인 실험집단 아동 6명, 치료사중심 언어치료 실시 집단인 비교집단 아동 6명, 통제집단 아동 6명과 이들 각 집단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과 치료사중심 언어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16회기를 각 아동마다 1 : 1의 개별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으며 회기시간은 아동은 40분, 부모상담 20분으로 총 60분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 실험집단,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 및 통제집단 간의 사전검사 결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Kruskal-Wallis 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 실험집단과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 통제집단 내 각 척도별 사전-사후 검사 결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 실험집단과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 통제집단 간 각 척도별 사후검사 결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Kruskal-Wallis Test를 실시하였으며, Bonfferoni correction을 통해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어휘량과 의사소통 의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자발화 수집을 통한 자발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의 적용과 회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초기, 중기, 후기에 따른 비디오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은 기본 원리, 놀이 환경, 부모 상담, 치료사의 역할, 기법으로 구성된 언어장애 중재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집단과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 모두에서 어휘량과 의사소통 의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집단에서의 어휘양의 증가폭이 더 컸으며 의사소통 의도에서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집단은 주관적 진술의 증가가 높게 나타났고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은 반응의 증가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집단의 심리적 능동성이 향상되었으나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넷째, 프로그램 실시 후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집단에서 부모의 상호작용 행동에서 지지적이고 반응적이고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아동의 상호작용 행동에서도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태도 변화가 나타났으나 치료사중심 언어치료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언어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어휘량과 의사소통 의도, 심리적 능동성,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 행동 변화에 모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치료자중심 언어치료와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놀이치료와 언어치료의 다 영역간의 통합된 중재 프로그램으로써 언어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언어치료 중재 전략의 이론적 틀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언어장애아동의 언어적, 심리적 어려움을 동시에 다루어 주는 중재 접근법을 개발함으로써 언어장애아동에게 심리적 문제를 감소시켜주고 동시에 언어능력을 향상시켜주는 새로운 중재 프로그램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아동중심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과 예시를 제시하여 언어치료사들이 현장에서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하였다. 넷째, 언어치료 현장에서 아동과 부모를 동시에 프로그램에 참여시켜 아동의 부모와 아동 모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아동중심 놀이언어치료, 치료사중심 언어치료, 언어장애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compared to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Kim, Ji A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ed by Professor Han, You‐Ji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and to test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the program to language‐impaired children and, at the same time, to compare it with a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program.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increase language‐impaired children’s vocabulary size, to reinforce their communication intent, and to enhance their psychological activity through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Furthermore, it examined the effects of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on language‐impaired children’s interaction behavior as well as on their parents’ interaction behavior. In order to develop a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on child‐centered intervention and child‐centered play therapy, and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child‐centered intervention through a field survey. Based on the results, a preliminary program was designed and applied, and through discussions with experts on the results,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language‐impaired children at 3‐5 of chronological age and their mothers, and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6) that participated in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a comparative group (n=6) that participated in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and a control group (n=6).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and the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program were applied twice a week and a total of 16 sessions. Each child attended an 1:1 individual session, and each session took 40 minutes for the child, and 20 minutes for parent counseling, so a total of 60 minutes.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through SPSS 18.0, and analysis methods used we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non‐parametric Kruskal‐Wallis 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pretest among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 the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rd,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examine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for each scale within each of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 the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urth, non‐parametric Kruskal‐Wallis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posttest for each scale among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 the clinician‐directed speech therapy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a post‐hoc test was made through Bonfferoni correction. Fifth, spontaneous speech was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analysis of vocabulary size and communication intent. Sixth, changes resulting from the application of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were examined by analyzing the videos of the early, middle and later session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as a language impairment intervention program consisting of basic principles, play environment, parent counseling, clinician’s roles, and techniques. Seco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both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 and the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group showed increased vocabulary size and communication intent. However,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 showed a larger increase in vocabulary size. With regard to communication intent, moreover, while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 showed a large increase in subjective statements, the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group showed a large increase in responses. Thir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child‐ 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 showed improvement in psychological activity, but the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Fourth, after the program, the parents of the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group showed supportive, responsive, and positive changes in their interaction behavior, and the children also showed initiative and active attitudes in their interaction behavior, but the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This study developed a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program and applied it to language‐impaired children, and proved that it was effective for the children’s vocabulary size, communication intent, and psychological activity and for their and their parents’ interaction behavior and that its effect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Given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meaning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n intervention program integrating both play therapy and speech therapy and provided a theoretical frame for new intervention strategies applicable in the field of speech therapy.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n intervention approach handling both language‐impaired children’s linguistic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at the same time and, by doing so, suggested a new intervention program mitigating language‐impaired children’s psychological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enhancing their language abilities. Third, this study presented specific child‐centered methods and examples for speech therapists’ easy application in the field. Fourt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 program that involves bo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help both of them. Keywords: child‐centered play intervention, clinician‐directed intervention, language impai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