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극교육의 창의성 - 개인주의적 창의성과 사회문화적 창의성의 통합적 배치

        김주연 ( Kim Joo-yon ) 한국드라마학회 2017 드라마연구 Vol.0 No.52

        현재 연극 교육의 창의성은 개인주의를 강조하는 작은 창의성에 기대어, 개인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내었으나, 연극 내용과 형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사회, 정치, 문화적 이슈들을 적절하게 다루지 못하며, 발달의 측면을 해명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의 보완을 위해 `사회문화적 창의성` 도입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사회문화적 창의성`은 연극 예술 형식이 사회문화적으로 발전시켜온 내용과 형식을 학습자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 여러 사회문화적 이슈들을 다룰 수 있게 하며, 발달에 대한 문제를 해명할 수 있게 한다. `개인주의적 창의성`과 `사회문화적 창의성`은 이론적으로 개인을 조명한다는 측면에서 공통점을 지니나 그 외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하여 창의성 수업에서 이 들을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부정적 측면을 부각시켜 어느 한편을 배제하기보다, 실제 수업의 요구에 맞게 통합적으로 배치시킬 필요가 있다. 내용면에서 사회문화적 창의성이 추구하는 연극의 내용과 형식을 중심으로 삼되, 방법적으로 개인주의적 창의성이 추구하는 개별적 탐구와 사회문화적 창의성이 추구하는 학습공동체 구성원 사이의 적극적 상호작용을 함께 배치할 것을 제안한다. `개인주의적 창의성`과 `사회문화적 창의성`의 통합적 배치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연극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연극 교사는 학습자들에 대한 이해와 함께. 연극형식과 내용에 대한 유기적 관계를 이해하는 안목을 지녀야 한다. 개인주의적 창의성에 기반을 둔 현재의 연극교육의 창의성은 학습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낸다는 측면에서 환영받을 만 하나, 연극과목으로서의 정체성확보와 사회, 문화적 환경과의 연결을 위해 변화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개인주의적 창의성에 사회문화적 창의성을 통합적으로 배치할 것을 제안하면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적절한 교사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creativity of current theatre education is grounded on individualist approach so that promotes participants` spontaneous involvement. However, it results in neither employing theatre form and content nor dealing with social, political, cultural issues and articulating development. To complement this, socio-cultural creativity is needed. socio-cultural creativity provides a way for learners to interact with socio-culturally constructed art forms and contents. Socio-cultural creativity requires interacting with socio-cultural signs and tools so that drama/theatre education can be articulated in terms of development. Although individualist creativity and socio-cultural creativity have different aspects, they can be integrated for practical purposes on the basis of individuals` autonomous and spontaneous meaning-making. While including individual`s autonomous experiment of individualist creativity, the frame for experiment is employed from theatre form and content which is the key element of socio-cultural creativity. For this integration, theatre teacher needs to understand learners in terms of their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nd the organic relationships of theatre form and content. To embody creativity which facilitate learner`s involvement and the creativity of theatre, the current individualist creativity requires to be complemented with socio-cultural creativity.

      • KCI등재

        스토리 드라마: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읽기 교육

        김주연 ( Kim Joo Yo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4

        본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읽기 교육과 관련하여 제시된 원리들은 대략 3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텍스트 의미장의 확대`, `맥락 중심 의미 구성`, `성찰적, 비판적 독자 형성`이 이에 해당 한다. 이들은 서로 다른 지점을 강조하고 있어 이들 원리를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선행연구는 상황과 조건에 따라 이들 원리를 선별하여 배치하도록 제안한다. 세 종류의 읽기 교육 원리를 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스토리드라마는 유용하다. 스토리드라마는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읽기 교육의 기반인 담화공동체 구성과 근접 발달 영역의 생성을 수월하게 한다. 또한 감정, 정서, 신체를 활용한 의미의 자발적 표현, 동일시 과정을 담은 드라마적 즉흥 표현, 하나의 스토리와 여러 개의 드라마를 통해 드러나는 여러 개의 맥락들은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읽기 교육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그런데 세 종류의 읽기 교육은 스토리와 드라마적 표현을 연결하는 방식의 차이에 의해 다르게 구현된다. `텍스트 의미장의 확대`는 독자들의 맥락을 드라마적 표현을 통해 드러내는 수준에서 이뤄진다. 맥락에 의한 의미의 다양성을 인식하고, 텍스트 의미망의 확대를 가져오는 차원에서 멈춘다. `맥락 중심 의미 구성`은 독자들이 드러낸 맥락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이뤄진다. 맥락을 드러내는 것에서 더 나아가, 여러 개 맥락들을 연결하여, 서로 공유하는 지점들에 대한 대화까지 아우른다. 이는 독자, 상황, 사회문화적 맥락까지 아우르는 텍스트 의미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성찰적, 비판적 독자 형성`은 스토리의 맥락과 독자들의 맥락 사이의 차이를 조명함으로써 가능하다. `맥락 중심 의미 구성`이 공유되는 부분에 대한 의미 구성이라면, `성찰적, 비판적 독자 형성`은 맥락들 사이의 차이, 거리두기를 통해 가능한 의미 구성이다. 어떤 차이가있으며, 차이가 어디서 비롯되었는가를 논하는 과정을 통해 성찰적, 비판적 독자가 형성된다. This thesis explores story drama as a socio-cultural constructivist approach to teaching reading. There are three types of socio-cultural constructivist approaches in terms of teaching reading which are `expanding meaning field of text`, `meaning making driven by context` `reflective and critical reader`. These place emphasis on different spots so that a problem is raised how to apply these different approaches. A possible answer can be that these can be deployed according to conditions and needs. This study offers story drama as a method embody these approaches. Story drama has a structure to facilitate organizing reading community and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Besides, story drama as a social medium allow dynamic social interactions and provokes spontaneous meaning making and expression through employment of feeling, body, imagination and so on. Furthermore, the dual layering of fiction and actuality makes participants discover their contexts and confronts them with difference. This enables them to reflect and crticise their subjective meaning and the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 which constitutes the subjective meaning.

      • KCI등재후보

        교육연극, 방법에서 철학으로: 황정현의 교육연극 접근방식 고찰

        김주연 ( Joo Yon Kim ),김병주 ( Byoung Joo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4

        국내에 소개된 지 불과 25년 남짓한 우리 교육연극의 역사에서 황정현은 줄곧 중심에 자리하여 왔다. 2000년 한국교육연극학회 설립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2004년부터 2009년까지 3, 4대 회장을 역임하면서, 각종 워크샵 및 학술 세미나 개최와 학술지 발간 등 교육연극 다변화의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또한 정규 양성과정이 전무하던 2005년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특별과정 신설을 시작으로, 2007년 대학원 석사과정 설립을 이루어내며 한국 교육연극의 양적·질적 변화의 토대를 구축 하였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뿌리내린 교육연극이 우리 교육의 현장과 문화예술의 현장에서 본격 적 도약을 목전에 둔 시점에서 그는 앞으로의 과제들을 후학들의 몫으로 남겨둔 채 황망하게 영면 하였다. 일 년이 흐른 지금, 그가 교육연극의 틀을 마련하면서 그렸던 밑그림은 무엇이고 후학들에 게 이 그림은 어떤 의미를 제시하는 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황정현이 교육연극에 접근한 방식은 크게 두 가지 단계로 나눠 볼 수 있다. 하나는 총체적 언어 교육을 위한 방법적 접근방식과 또 하 나는 하나의 교과로 확립하려고 한 교과 교육적 접근방식이다. 황정현은 연극의 허구성을 통한 총 체적 의미 구성과 제1, 2의 언어 기능을 모두 포용하는 연극의 언어적 총체성에서 총체적 언어 교 육 구현을 위한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또한 창의적 사고력을 촉진하면서, 허구세계에 기반을 둔 인 지 과정에서 산출되는 인식내용을 구성주의적으로 생성하는 교육연극에서 교과 교육적 가능성을 보았다. 이러한 그의 접근 방식들은 교육연극이 국내 교육현장에서 어떤 궤적을 그리며 성장해왔는지를 보여준다. 총체적 언어 교육을 위한 방법적 접근방식과 하나의 교과로 확립하려 한 교과 교육적 접근방식은 교육연극이 교육과 만났을 때, 한편으로는 방법으로서 또 한편으로는 목적으로서 현실화될 수 있음을 제시하여 교육연극의 가능성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Hwang had taken central role for the last 25 years of Korean educational drama history. He actively participated in forming Korea Association for Drama/ Theatre and Education, and he had served as president from 2004 to 2009. During the time, he established M.A. program of Educational Drama, the first-ever in Korea, and essentially constructed foundational work for educational drama in Korea, before his sudden and untimely demise in 2013. Therefore, it is worth exploring what he sought from educational drama. Hwang``s theoretical approaches are divided into two ways. Educational method for whole language approach is at one hand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is the other. Hwang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embodying whole language approach from wholistic meaning making process and the diversity of languages intrinsic in drama``s fiction. In term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Hwang attempts to establish educational drama as a subject illuminating drama``s cognitive process. To employ educational drama as a method for whole language approach, he pinpointed drama``s wholistic meaning making process and the wholeness of language. This is a new way to seek educational method becaus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are connected in principle. In addition, his trial to establish educational drama as a subject is another valuable trial. His approaches demonstrates that educational drama operates not only as an educational method but also as a subject, and his approaches may become a blue-print to guide where educational drama need to aim for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드라마 관습 활동을 통한 사회세계의 이해

        김주연 ( Joo Yon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3

        사회과에서 예술을 활용한 대표적 예로 교육연극은 자주 거론되고 있다. 이에 교육연극을 활용한 사회과 교육에 대한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이러한 연구들에서 교육 연극의 활용은 그 기법을 차용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교육연극의 방법적 활용을, 단순한 기법 차용 수준에서 접근하는 것은, 예술이 가져다 줄 수 있는 실제적이며 통찰적 앎을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기법을 활용하는 수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활용원리, 즉 예술의 미적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이러한 원리가 사회과와 어떤 공통분모를 갖는지 탐구한다면 예술 활용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교육연극의 미적 작동원리를 탐구하여 이를 메타시스와 미적 참여로 보고 이를 사회과와 만날 수 있는 지점으로 보았다.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결과 아동들의 인식이 좁은 주관적 세계에서 사회라는 넓은 지평으로 나아가는 변화를 보였으며 자발적 탐구 의욕까지 끌어내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 연극을 사회과 교육에 활용할 때 기법적 차원으로서가 아닌, 미적 원리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접근으로, 그 접근 방식이 다소 수정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해본다. 이렇게 하였을 때 ,예술이 제공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통찰력 있는 앎이 근본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D.I.E. (Drama in Education) is recurrently mentioned as exemplifying how art can be used in teaching social studies. Therefore, various researches about how D.I.E. can be employed in teaching social studies are carried out. However, such researches remain simply making use of some drama conventions. Such approach which simply uses drama conventions might restrain practical and insightful awareness which art can bring out. Beyond simple usage of drama conventions, if the aesthetic principle of D.I.E. is understood and explored in terms of social studies, it will increase the effect of teaching through art. In this sense, this study explores the aesthetic principle of D.I.E. and discovers metaxis and aesthetic engagement as the principle.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is is the overlapping area with social study. Through applying this principle into classroom, it is found that children`s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 is exptended into the cognition of society. In addition, their positive and voluntary desire towards learning social studies is brought ou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pproach of D.I.E. to social studies needs to be changed from simply using drama conventions to employing aesthetic principle of D.I.E. Then, the understanding will become more practical and insightful in a more fundamental level.

      • KCI등재

        드라마의 교육 방법적 활용 방안 모색 : 과정 드라마를 통한 개념 탐구

        김주연 ( Joo Yon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2 드라마연구 Vol.- No.38

        In 2011,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has launched educational drama program which helps teachers teach their subjects with dramatic methods. This attempt reflects a trend that educational drama is rapidly booming nowadays and gives rise to deeper discussion of drama as a learning medium. Specially, the employment of dramatic method is done mainly in primary school so that it remains as simple mechanical applications of dramatic conventions. Hence, dramatic method for acquiring complex concepts is demand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suggests Heathcote`s process-centered drama which is regarded as a method to encompass a wide range of meaning making. In Heathcote`s process-centered drama, three- layered meaning can be produced: meaning coming from identification; meaning coming from distancing; meaning coming from metaxis. Having included a variety of meaning making, Heathcote`s process-centered drama is appropriate for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Besides, this study provides the principle of process-centered drama which is emotional engagement and critical detachment. To embody this principle, devices are listed: living through drama, interest and consensus, teacher-in-role, finding connection, critical reflection and self-spectatorship. The outcome of application of Heathcote`s process-centered drama into middle school classroom is persuasively positiv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Heathcote`s process-centered drama as an effective learning medium for understanding complex concepts. Emotional engagement and critical detachment are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process-centered drama. 2011년 서울시 교육청의 중학교 교과연계 연극 교육 프로그램은 교육 방법으로서의 연극 활용이 그동안 진행되어온 소규모 단위에서, 행정 자치 수준의 대단위로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확대는 초등학교 중심의 매뉴얼식 연극 활용이라는 그동안 진행되어온 접근 방식에 대한 다양화의 필요성을 낳았다. 특히 이번 서울시 교육청 프로그램이 선택한 중학교 교육과정은 복잡한 과정을 요하는 개념과 원리 탐구가 주를 이뤄, 이에 어울리는 교육 연극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중학교 이상 교육과정의 개념과 원리 탐구를 위한 방법으로서 히스코트의 과정 드라마를 제시한다. 히스코트의 과정드라마는 세 층위의 의미-동일시에서의 의미, 거리두기에서의 의미, 메타시스 의미-를 허락함으로써 복잡한 과정을 요하는 개념 탐구에 효과적 방법으로 기능할 수 있다. 더불어 히스코트 과정 드라마의 작동 원리와 그 원리 구현을 위한 장치들도 제시하였는데, 과정 드라마는 감정적 몰입과 비판적 거리두기 원리로 구성되며 이를 위한 장치로 ``살아보기 드라마(living through drama)``, ``관심과 합의``, ``역할 내 교사``, ``연결 지점 찾기`` 그리고 ``비판적 성찰``, ``자기-관객 개념(self-spectatorship)등이 있다. 이러한 원리와 장치를 지닌 과정드라마를 실제 중학교에 적용해본 결과 그 효과가 설득력 있게 드러났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층적 개념 이해를 위한 연극 교육 방법으로서 과정드라마를 제안하면서, 이를 실제 적용할 시 감정적 몰입과 비판적 거리두기가 필요충분조건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어과 ‘연극’의 위상 정립: ‘복합양식성’으로서의 연극

        김주연 ( Kim Joo Yo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3

        연극의 의미소통성을 규명하기 위해 연극을 복합양식성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매체 언어로서의 연극의 이론적 위상을 탐색하고자 한다. 복합양식성은 사회기호학에서 조명하는 개념으로서, 언어가 지니는 의미의 구성과 소통이라는 특권적 지위에 도전하고, 언어를 다른 기호 양식들과 동일한 하나의 양식으로 놓는다. 이때, 다양한 양식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의미를 구성하고 소통할 때 사용하는데 이렇게 결합된 양식들을 복합양식성으로 규정한다. 연극을 기호적 차원의 복합양식성으로 규정하기 위해서는, 연극을 기호로 바라보는 관점의 타당성을 탐색해야 한다. 예술을 맥락과의 연관 속에서 해석해야 한다는 문화이론(cultural theory)은 연극을 ‘시각문화’로 볼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하고, 더불어 시각문화를 기호의 차원에서 해석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함으로써, 연극을 기호로 해석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이 된다. 더불어, 연극의 수행성과 미적 감흥에 대한 기호적 접근의 한계를 포함하여, 본 연구는 매체언어로서의 연극의 개념을 제시한다. 매체언어로서 연극은 연극이 만들어지는 사회 문화적 맥락을 중시하고, 구성하는 주체들과 보는 관객들 사이의 관심과 흥미에 따라 연극을 구성하고 소통하게 한다. 더불어, 의미의 구성과 소통을 중심으로 삼되, 그 외 연극의 중요한 요소인 미적감흥이나 기호 불가역적 수행성 등에 대해서 열려있는 상태이다. 본 연구가 중요하게 다루는 연극의 양식(mode)은 ‘신체적 구현 양식(embodied mode)'이다. ‘신체적 구현 양식’은 의미를 구성하고 소통하는 주체의 실행을 배제하는 ‘언어 양식’과 ‘제스처 양식’의 한계를 밝힌다. ‘신체적 구현 양식’은 소통에 직접 참여하는 당사자의 ‘제스처와 말하기의 동시 협력적 표현성’을 고려한 것으로, 의미구성의 주체를 강조하는 복합양식성의 의미와도 맞닿는다. 연극은 따라서, 시각적, 청각적, 신체적 구현 양식으로 구성되어 복합양식성을 띤다. To identify the communicative aspects of drama/theatre,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place of drama/theatre as medium language. When various modes are put together, then, it is called multimodality. Multimodality is a concept which challenges the privileged status of language as an unique means to construct and communicate meaning and places language at a same level with other signs. To define drama/theatre as multimodality which is based upon signs, drama/theatre should be interpreted as signs. The cultural theory that art should be interpreted in relation to context provides a perspective on the drama/theater as a "visual culture" and a framework for interpreting visual culture as sign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of drama/theatre as a medium language, embracing that the medium language is hardly possible to approach aesthetic feeling. As a medium language, drama/theatre values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 which drama/theatre is made, and organizes and communicates the drama/theatre according to the interest of the audience. In addition, drama/theatre as a medium language acknowledges the performativity and aesthetic feeling to which it could not get access. The mode of drama/theatre that this study particularly deals with is 'embodied mode'. The 'embodied mode' takes into account the 'co expressiveness of speech and gesture' of an individual. Thus, drama/theatre consists of visual, auditory, and embodied modes.

      • KCI등재후보

        사회적, 교육적 교실 즉흥극의 생성 원리 탐구 : "의미 구성"을 중심으로

        김주연 ( Joo Yon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5 드라마연구 Vol.0 No.45

        Theatre or drama has become varied for the last 25 years. O``Toole divides these theatre into four categories in terms of aims, linguistic/communicative purpose, expressive/developmental purpose, social/pedagogical purpose and aesthetic/cognitive purpose. Especially, as social/pedagogical purpose of classroom drama has been increased, this study attempt to explore the principles of meaning-making of social/pedagogical classroom drama. When social/pedagogical classroom drama is interpreted in the wider sense, it points to ‘the change of understanding of self and the world’. This drama is based on improvisation which features ‘identification’ and is built upon role which involves historical, social, philosophical meaning. Since role and context have these dimensions, social/pedagogical meaning can be produced. At this point, metaxis effect needs to be encouraged and peer-participants and teacher need to intervene in order to expand meaning. Metaxis effect expands meaning from fiction to reality and the intervention of peer-participants and teacher brings about change of present participants`` cognitive level. Participants produces meaning from within fiction and go to expand meaning from fiction to meaning across fiction and reality. Finally they reaches the change of their present cognitive level. Such expansion of meaning needs to go through the experience of fiction, metaxis effect, the intervention of peer-participants and teacher. Eventually, the expanded meaning is holistic understanding which is cognitive, emotional and affective. These principles are variously embodied in T.I.E(Theatre in Education), forum theatre and process drama. T.I.E and forum theatre embody meanings brought about by metaxis effect due to materials close to reality. Process drama can produce the change of present cognitive level depending on active conversation among participants. 지난 25년간 학교에서 연극은 다양화되었다. 오툴(O``Toole)은 다양화된 학교 연극을 목적측면에서 범주화하여 언어적/소통적(linguistic/communicative), 표현적/발달적(expressive/developmental), 사회적/교육적(social/pedagogical), 미적/인지적(aesthetic/cognitive)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사회적/교육적 목적의 학교 연극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본 글에서는 사회적/교육적 학교 연극의 의미가 어떤 원리로 생성되는지 탐구하였다. 사회적/교육적 학교 연극은 광의로 해석했을 때 ‘자신과 세계에 대한 이해의변화’를 목적으로 이뤄지는 연극을 일컫는다. 이는 주로 동일시(identification)의 성격을 띤 즉흥극으로 진행되는데, 역사적, 사회적, 철학적 함의를 띤 역할을 허구세계 구축의 기본바탕으로 삼는다. 역할(role)과 배경(context)을 기본 축으로 삼았을 때 사회적/교육적 의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생성되는 의미를 확장하기 위해서, 메탁시스 효과 발생과 동료와 교사의 개입이 필요하다. 메탁시스 효과는 허구세계에 머무를 수 있는 의미를 현실세계에 까지 확장시키는 효과를 낳으며, 동료와 교사의 개입은 현재의 수준에 머무르기 쉬운 참가자들의 이해수준에 변화를 가져온다. 허구세계 경험, 메탁시스 효과, 동료와 교사의 개입 과정을 거쳐 참가자들이 형성하는 의미는, 기존의 이해수준에서의 허구세계의 의미, 그리고 현실세계에 대한 의미 그리고 최종적으로 기존의 이해수준의 변화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지식은 인지적, 감각적, 정서적 이해를 아우르는 통합적 이해가 된다. 국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사회적/교육적 패러다임 교실 즉흥극의 대표적 실천들인 티아이이(T.I.E), 토론연극, 과정드라마를 허구세계 내 의미 구성, 허구세계와 현실세계에 대한 메탁시스 의미 구성, 현존하는 의미체계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분석해보았다. 현재 티아이이는 현실과 밀착한 소재를 선택하여, 메탁시스 의미 구성을 자연스럽게 일어나도록 한다. 본드에 의해 시도되고 있는 보편적 의미로의 확대라는 삼차적 의미는 국내에서 실천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토론연극은 드라마 세계 내 갈등의 문제 해결을 관객들의 적극적 개입으로 탐구하는 형식을 띠고 있어, 소재는 현실과 더욱더 밀착되어 메탁시스적 의미 구성이 더욱 용이하도록 구축된다. 드라마적 몰입과 비판적 거리두기로 이뤄진 과정드라마는 반추 활동의 상호작용정도에 따라 삼차적 의미 구성까지 가능하다. 학교연극에서 허구세계 즉 ‘극’을 어떻게 구성할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활발했던 반면, 이를 통해 의미는 어떻게 형성되고 어디까지 구성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 않았다. 본 글은 학교연극의 사회적/교육적 목적을 실현하는데 있어 의미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탐구함으로써 현재의 모습과 앞으로의 방향을 가늠해보려는 시도 중의 하나이다.

      • KCI등재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서의 문제해결 과정 분석: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내용패턴의 차이

        임규연 ( Kyu Yon Lim ),김주연 ( Joo Yeun Kim ),김혜준 ( Hae June Kim ),김영주 ( Young Joo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상호작용 내용패턴의 양과 순서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학습자간 상호작용 내용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학습자간 상호작용 메시지를 Poole과 Holmes(1995)가 제시한 문제해결 기능에 따라 6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내용을 분석(Content Analysis)하였다. 그 후 그들의 연구에서 사용한 8가지 문제해결 단계로 재분류하여 내용을 패턴화하였다. 집단별 문제해결과정을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 내용패턴의 양과 순서 모두 다른 양상을 보였다. 지원적 스캐폴딩을 제공받은 집단은 문제분석(PA) 패턴이,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받은 집단은 문제해결안 도출(SD)이 빈번히 나타났다. 지원적 스캐폴딩을 제공받은 집단에서는 문제해결과정 조정(OO) 후 문제분석(PA)으로의 이동한 경로가 많았던 반면,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받은 집단은 문제해결과정 조정에서 해결안 도출(SD)의 경로가 빈번하였다. 이는 학습초기에는 문제 표상 및 해결안 탐색을 촉진하는 지원적 스캐폴딩을, 학습 후기에는 지식을 공유하고 협의하는 과정을 촉진하는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을 질적으로 탐색함으로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웹기반 협력적 문제해결 학습환경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on patterns of two groups in terms of the amount and the sequences in web-bas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The two groups were provided with different types of scaffoldings. A content analysis framework suggested by Pool and Holmes (1995) was used to analyze communication patterns for problem solving process. The results showed differently for two groups both in the amount and the sequences. Students provided with supportive scaffoldings went through Problem Analysis (PA) patterns most often in their communication, whereas students provided with reflective scaffoldings frequently showed Solution Development (SD) patterns. In terms of sequences, it was the most frequent path from Orientation (OO) to Problem Analysis (PA) in the supportive scaffolding groups. On the contrary, it was the most frequent path from Orientation (OO) to Solution Development (SD) in the reflective scaffolding groups. By exploring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proces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on designing efficient web-base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문제해결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이 문제해결력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연 ( Joo Yeun Kim ),박효선 ( Hyo Sun Park ),임규연 ( Kyu Yon L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문제해결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이 문제해결력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스캐폴딩 효과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스캐폴딩 유형으로는 문제해결학습의 성공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영역-특수 지식과 메타인지적 지식을 지원할 수 있는 지원적 스캐폴딩과 성찰적 스캐폴딩을 제공하였다. 총 76명의 대학생이 2개의 실험집단과 1개의 통제집단으로 나뉘어 총 6주에 걸쳐 3회의 문제해결학습을 하였다. 주어진 과제는 신참 보육교사가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교수매체 중 3가지 유형의 교수매체를 직접 제작하여 원래의 목적대로 사용한 후 또 다른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는 창의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개별적 스캐폴딩의 효과 비교 및 시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 유형의 교수매체를 제작한 직후 문제해결력과 성취도에 대한 측정이 3번에 걸쳐 이루어졌다. 스캐폴딩 유형의 개별적인 효과와 시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한 결과, 스캐폴딩 유형은 문제해결력과 성취도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스캐폴딩 유형과 시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도 존재했다. 이 연구를 통해 문제해결학습에서 문제해결력과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시되는 스캐폴딩 유형의 효과에 대한 비교 우위와 제시 순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affolding types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chievement and the changes of the scaffolding effects over time in problem solving learning with creative thinking method. Treatments for the experiment were supportive scaffolding for domain-specific knowledge and reflective scaffolding for meta-cognitive knowledge. Participants were 76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assigned to two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They worked on problem solving learning with creative thinking method for six weeks. The given problem solving task was to create instructional materials and use them according to the original purpose, and then present another creative ways to reutilize the materials. To compare the effect of each scaffolding types and analyze the changes over time, the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achievement were measured three times throughout the problem solving activities. One-way ANOVA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repor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er`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scaffolding types. Al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affolding types and time.

      • KCI등재

        문제해결학습에서의 동료피드백: 피드백 수용도의 매개효과 탐색

        임규연 ( Kyu Yon Lim ),김영주 ( Young Joo Kim ),진명화 ( Myunghwa Jin ),김주연 ( Joo Yeun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문제해결학습 맥락에서 진행되는 동료피드백 활동의 효과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가 제공받은 동료피드백의 품질 및 동료 피드백 제공자에 대한 정서적 신뢰도와 학업성과(성취도, 만족도)간의 관계를 동료피드백 수용도가 매개하는지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A전문대학에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업에 참여하는 유아교육 전공생 52명을 대상으로 개별적으로 수업설계안을 개발하도록 하였으며, 그에 대해 동료피드백을 주고받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이때 학습자들이 제출한 수업설계안 초안을 다른 학습자 한명에게 무선할당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피드백 수용도는 학습자가 제공받은 동료피드백의 품질과 학업성과(성취도, 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드백 수용도는 동료피드백 제공자에 대한 정서적 신뢰와 만족도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료에 대한 정서적 신뢰가 높을수록 해당 동료가 제공하는 피드백을 더 수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동료피드백 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피드백 제공자에 대한 정서적 신뢰도가 학업성과를 긍정적으로 예측하며 이 과정에서 피드백 수용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문제해결학습에서 동료피드백 활동을 설계할 때는 학습자간의 정서적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eer feedback quality, emotional trust on peer feedback provider, feedback accept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problem-solving learning. The participants were 52 college stud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y were asked to design a lesson plan based on ASSURE model in the educational methods and technology cla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eedback acceptanc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peer feedback which students received and achievement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Second, feedback accepta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trust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trust on the feedback provider, the more the feedback provided by a peer is accepted. That is, the emotional trust on the feedback provider positively predicts satisfaction, and feedback accept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process. Therefore, feedback acceptance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to enhance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