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중심으로
김종선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국문요약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정청소년을 중심으로 -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가족상담·치료학과 : 김종선 지도교수 : 오규영 1990년대 이후 다문화가정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이에 따라 다문화가정청소년 수도 증가하였는데, 2015년 교육부 교육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청소년 수는 67,806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가정청소년과는 다른 환경에서 성장한 다문화가정청소년들에게 합리적 의사결정에 의한 진로선택을 할 수 있도록 특성화되고 차별화된 진로교육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된다. 하지만 이들에게 맞는 특성화된 진로교육과 진로교육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는 미흡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청소년들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검증하여 다문화가정청소년들의 진로교육과 진로교육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연구목적을 고려하여 비교적 다문화가정 분포도가 높은 경기도 K시와 충청남도 C시에 거주하는 16세부터 19세까지의 다문화가정청소년 2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개발한 중·고등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지(임언· 정윤경·상경아, 2001)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회수된 검사지는 SPSS 18.0 Package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분석, LSD(Least Significant Different) 다중회기분석을 진행하였다. 차이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인 중 첫째, 성별은 여학생이 친구지지와 독립성, 일의 중요성, 계획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연령이 낮을수록 또래 문화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특성 때문에 연령에 따른 사회적지지는 16세 미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적은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지각 할수록 성적과 관련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다문화가정청소년을 한국인으로 보는 주변시각은 교사가 다문화가정청소년과 일반가정청소년을 동일시 한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성장 배경과 문화적 환경이 다른 다문화가정청소년에 대한 차별화된 지원과 배려의 측면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부정적이다. 다섯째, 진로의사결정에서 문제의논을 부모와 함께 하는 집단이 혼자 하는 집단보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며, 부모의 양육태도를 부정적으로 보는 집단은 문제의논을 주로 친구와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에서도 부모와 문제의논을 하는 집단이 교사지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국적정체성에서는 스스로를 외국인이라고 생각할수록 일의 중요성이나 계획성에서 차이가 났으며, 더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외국부모의 한국어 실력이 높을수록 교사지지가 높았고, 언어를 통해 문화적 이질성을 극복함으로써 자기이해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위의 결과를 기초로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위계적 회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인 사회적지지가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부모보다는 교사나 친구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둘째, 일의 중요성에는 여학생이 일의 중요성 수준이 높았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부(負)적일수록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이런 결과는 다문화가정청소년들이 일의 중요성을 보는 관점에서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영향을 덜 받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계획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여학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여학생들이 자신의 미래 직업에 대한 대비가 훨씬 체계적임을 의미한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계획성이 높았다. 넷째, 자기이해에서는 긍정적인 양육태도인 온정/사랑이 높을수록 자기이해가 높았으며, 사회적지지인 교사지지나 친구지지가 높을수록 자기이해가 높았다. 진로성숙도의 하위유형 변인으로 독립성, 일의 중요성, 계획성, 자기이해는 사회적지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가정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양육태도와 사회적지지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가정청소년에게는 사회적지지에 대한 영향이 일반가정청소년보다 중요하며, 특히 사회적지지 중 교사지지는 자기효능감을 높여주는 중요 역할을 하고, 진로성숙도의 하위유형인 자기이해, 독립성, 계획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학교현장에서 교사지지와 친구지지가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특성화된 진로교육과 프로그램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주요어 : 진로성숙도, 진로교육, 사회적지지,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The Effect of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Maturity - Research o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Sun mo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Family Counseling and Treatment Department : Kim Jong Sun Supervisor: Professor Oh Kyu Young This study has objective of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policy making for multicultural family youth after analyzing and verifying the effect of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 on the career maturity of the youth.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research topic has been determined as below: 1. Are there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basi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2. Do parenting attitude and social support as perceived by the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ties have impact on career maturity?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Career Maturity Examination Paper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ee Un, Jeong Yun Gyeong, Sang Gyeong Ah, 2001) develop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n 250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ged between 16 and 19 living in Gyeonggi K city and Chungcheongnamdo C city which have relative higher percentage of multicultural family distribution. For analysis, statistical program SPSS18.0 Package i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alysis, LSD(Least Significant Differ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male students had higher support from friends and career maturity compared to male students. For age, students younger than 16 years of age has higher social support. Academic performance differed as the adolescents were more aware of the warmth and love demonstrated in their parents' parenting attitude. Perception of recognizing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y as Korean has meaningful difference in teachers support. Students who discussed with parents when making career decisions perceived their parenting attitude more positively, and teachers support is higher among social support. Female students were more sensitive to ethnic/national identity than male students, an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task and planning ability. Based on thi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career maturity to subordinate scope. Independence has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eacher and friend support. Importance of career has meaningful difference among female students and with mor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more meaningful the difference was. Female students also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Planning, and it was especially true with mor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The same result showed in Self-understand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to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y is more important than to the students of regular family. Especially, teacher and friend support from school environment increases self-efficacy, which has an effect on career maturity. Based on this, qualitative changes need to be made in school environment rather than home environment for career maturity. Also, specialized multicultural approach and flexibility need to be used.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policymaking are required for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from multicutural families. Key Words : Career maturity, Career education, Social Support,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준법지원인제도는 2011년 3월 자본금 5000억원 이상인 상장회사에 의무적으로 준법통제기준 및 준법지원인제도를 도입하도록 하는 상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고, 2012년 4월에는 발효가 되었다. 준법지원인제도는 우선, 절차면에서나 성급하게 도입이 되었고, 회사측에도 큰 비용이 수반되는 제도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준법지원인제도는 불법행위나 분쟁을 사전적으로 예방하는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준법지원인 제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임의적 준법지원인제도로의 전환, 도입에 따른 인센티브의 도입 등이 있으며, 이러한 개선방안들을 통해 준법지원인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포괄적 학교체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종선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본 연구는 포괄적 학교체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과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포괄적 학교체육 프로그램은 삶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포괄적 학교체육 프로그램은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대상은 2023년 M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를 조사하여 무선할당 방법으로 선정된 4개 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총 96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포괄적 학교체육 프로그램은 M시의 학생 특성에 근거하여 영양 유형, 신체활동 유형, 사회적 지원 유형으로 재구성하였다. 포괄적 학교체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집단 A, B ,C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4개월간 집단별 실험 처치를 진행하였다. 연구 절차는 96부의 설문지를 연구 대상에게 배포한 후 설문 내용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문항 분석과 Cronbach’s α값을 활용하여 자료의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측정모형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완성된 설문지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과 Scheffé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출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괄적 학교체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배경변인인 성별에 따른 삶의 만족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차이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삶에 만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 유형에 따른 차이는 신체활동, 사회적 지원, 영양, 통제집단 순으로 삶의 만족이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신체활동 유형은 영양 유형과 사회적 지원 및 통제집단에 대해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원 유형 또한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포괄적 학교체육 프로그램의 참여는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신체활동 유형이 삶에 만족에 대해 가장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유형이라 볼 수 있으며, 사회적 지원 유형 또한 만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영양 유형은 통제집단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포괄적 학교체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배경변인인 성별에 따른 몰입을 분석한 결과 일반 몰입과 자의식 상실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차이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몰입의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 유형에 따른 몰입의 차이는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몰입의 요인 중 일반 몰입에서는 신체활동이 영양 및 통제집단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사회적 지원 유형이 통제집단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 외 요인들은 신체활동 유형만이 영양과 사회적 지원 및 통제집단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포괄적 학교체육 프로그램의 참여는 초등학생의 몰입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며, 신체활동 유형은 몰입에 대해 가장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유형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일반 몰입에서는 사회적 지원 유형 또한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포괄적 학교체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학문적 성취 및 신체적 효과뿐만 아니라 삶의 만족과 몰입 등과 같이 심리적인 효과 또한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역 학생들의 특성에 맞춰 새로 구성한 포괄적 학교체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포괄적 학교체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신체적으로 건강해지고 학문적으로 더욱 탄탄해질 뿐만 아니 정서적 발달을 도모해 본인의 삶에 더욱 만족하며 몰입할 수 있도록 노력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학습과 학습전이의 관계에 대한 조직시민행동의 조절효과
김종선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이 연구는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 학습전이 정도,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을 측정하고, 둘째,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의 수준과 학습전이 정도, 조직시민행동의 상관관계를 측정하며, 셋째,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의 수준과 학습전이 정도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Choi(2009)가 개발한 무형식 학습 활동 측정문항, Niehoff와 Moorman(1993)이 개발한 조직시민행동 측정문항, Rouiller와 Goldstein(1993)의 연구를 토대로 이도형(1995)가 개발한 설문 문항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행정구역별 비율 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2012년 10월 17일부터 동월 26일까지 인천 지역에 재직 중인 지방일반행정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552부가 회수되었으나(회수율 : 74.3%), 이 중 많은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응답이라고 판단되는 9부를 제외하고 총 543부를 유효 자료로 활용하였다(유효 자료율 : 73.1%).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16.0 versi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첫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과 각 요인별 문항에 대한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무형식 학습 활동 정도, 학습전이 정도,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인식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셋째,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이 학습전이 정도, 조직시민행동 수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넷째,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과 학습전이 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과 학습전이 정도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 수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같은 분석 절차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을 분석한 결과, 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그 다음으로 외부탐색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급별로 살펴본 결과, 직급이 높은 공무원은 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에 있어서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이 높게 이뤄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근속년수가 긴 공무원들은 외부탐색에 있어서 무형식 학습활동 수준이 높게 이뤄지고 있음을 인식하였다. 또한, 직렬별로는 행정직과 기술직이 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에 있어서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이 세무직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학습전이 정도를 분석한 결과, 직급이 높은 집단은 학습전이 정도에 있어 그 정도가 높게 이뤄지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조직시민행동 정도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직급이 높고, 근속년수가 긴 공무원들은 조직시민행동 정도가 높게 이뤄지고 있음을 인식하였다. 넷째,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의 수준, 학습전이 정도, 조직시민행동 수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과 학습전이 정도,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과 조직시민행동 수준, 조직시민행동과 학습전이 정도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 하위 변인과 학습전이 정도, 조직시민행동 수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 하위 변인 각각은 학습전이 정도, 조직시민행동 수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의 수준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무형식 학습 활동(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 외부탐색)은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 별로 타인과의 학습과 자기성찰이 학습전이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난 반면에 외부탐색은 학습전이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무형식 학습 활동 수준과 학습전이 정도 간 조직시민행동의 조절회귀분석 결과, 조직시민행동은 무형식 학습 활동의 타인과의 학습과 학습전이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분석 결과,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무형식 학습 활동을 통해 학습전이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터에서의 상사, 동료, 부하 등의 구성원과의 협력 학습과 자기에 대한 성찰의 활동을 촉진 될 수 있는 환경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전이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 지방일반행정공무원의 이타심(altruism), 예의바른 행동(courtesy), 정당한 행동(sportsmanship), 양심적 행동(conscientiousness), 참여적 행동(civic virtue) 등의 조직시민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분위기 및 환경 조성과 기회를 함께 제공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지방일반행정공무원, 무형식 학습, 학습전이, 조직시민행동.
고효율 광전소자를 위한 주석산화물(SnO2) 전자수송층의 특성에 관한 연구
Perovskite solar cells (PSCs) have achieved a high efficiency of more than 25.7% by using chemical bath deposition (CBD) method for uniform and fine SnO2 thin films used as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controlling interfaces through surface treatment between the perovskite layer and hole transport layer (HTL). However, at the ETL and perovskite interface, a lot of recombination occurs due to the defects of ETL, which lowers the device performance. In this study, different annealing temperatures were applied to control the defect of SnO2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SCs. From various analysi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oxygen vacancy on the surface was increased as the annealing temperature raised and it promoted non-radiative recombination at the interface, thereby lower the device performance. From optimized annealing temperature that can reduce such defect, we further improved device performance up to 24. 15%. We suggest a direction in which PSCs can achieve much higher efficiency from this study.
김종선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영재교육에 대한 영재 부모의 인식 및 요구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영재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체계적인 부모교육의 계획과 실행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으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강남에 위치한 D영재교육센터에 아동을 둔 부모와 충남에 위치한 S대학교 영재교육센터 A교육원에 아동을 둔 부모, C교육원에 아동을 둔 부모, C초등학교 영재학급에 아동을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영재교육 진흥법에서 설명하는 영재성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대부분의 부모들이 모르고 있었으며, 자녀의 영재성을 판별하고, 계발하기 위해서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이 가장 적절하다고 인식하였다. 자녀가 영재성이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 지능 또는 창의성 검사를 통해 알게 된 부모가 가장 많았으며, 자녀의 영재성 중 영재성을 가진 아동의 특성에 대해 가장 궁금해 하였고, 영재성을 가진 아동의 능력 중에는 창의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부모들이 학교교육 외에 특별한 영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잠재력의 계발을 위해 영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영재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일반교육과 달라야 하며, 영재아들을 일반아동들과 따로 분리하여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현재 자녀가 받고 있는 영재교육은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영재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정부 차원의 행정적․재정적 지원 부족이 가장 큰 장애요인이라고 인식하였다. 자녀의 영재성을 계발하기 위한 교육은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에서 받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영재교육의 시기는 초등학교 1, 2학년이 가장 적절하며, 영재교육원 입학을 위해서는 지능이나 잠재능력으로 영재를 판별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영재교육은 영재교육을 전공한 교사가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합교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는 부모가 가장 많았다. 둘째, 영재교육에 대한 영재아 부모의 요구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부모들이 부모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참여할 의향이 있었으며, 회사원 및 공무원인 아버지가 다른 부모보다 부모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참여할 의향이 높았다. 영재아 부모교육은 영재 자녀들을 잘 이해하기 위하여 받으려고 하였으며, 대부분의 부모들이 영재교육을 지금보다 더 확대 실시해야 한다고 요구하였다. 자녀의 영재성을 성장시키고 발달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었으며, 자녀가 영재성을 지니고 있다 해도 미래의 성공이 그다지 보장되어 있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영재아 부모의 부모교육은 학문의 분야별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요구하는 부모가 가장 많았으며, 대학원 졸인 아버지와 전문직에 종사하는 아버지, 그리고 30대인 어머니가 다른 부모보다 특정한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요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영재성의 개념이나 판별기준 등에 관한 정확한 기준을 마련하여 부모들에게 제공되어야 하며,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으로 부모의 영재 자녀 특성에 대한 내용의 강화가 요구되어야 하고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계획과 운영 시에는 영재 부모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모발 염색 시 전·후처리 방법에 따른 모발의 성상변화에 대한 연구
김종선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헤어컬러는 개인의 특성과 개성을 부각시켜 개인의 이미지를 극대화 시켜주지만 펌과 염색 등 화학시술은 결국 모발 손상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펌과 염색 등 화학 시술 시 모발 손상의 저감화를 위해 염색 전처리로 케라틴과 콜라겐을 처리하고, 염색 후처리로 클리닉 처치한 후 모발을 1회부터 4회까지 염색하고 각 회마다 1회, 10회, 20회, 30회까지 세정하여 시료의 굵기와 색차 변화를 알아보고 아미노산 잔량을 분석한 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모발의 굵기는 염색과 샴푸를 반복할수록 굵기가 감소되어 축소되었다. 그러나 케라틴, 콜라겐 전처리군은 염색 1∼2회 차까지 대조군보다 굵기가 증가되어 확대되었으나, 반복 세정 시 감소폭이 높으므로, 단백질의 유출이 클리닉 후처리군에 비해 약 3배 크게 용출됨이 확인되었다. 클리닉 후처리군은 모발이 굵어지지는 않았고, 단백질의 유출이 실리콘의 역 할로 인해 모발 굵기 용출량이 케라틴, 콜라겐 전처리군에 비해 약 3배 적게 용출됨이 확인되었다. 모발의 색차는 케라틴, 콜라겐 전처리군은 전처리로 인해 클리닉 후처리군보다 미세하게 낮게 측정되었지만, 그 차이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차이이며, 케라틴, 콜라겐 전처리군과 클리닉 후처리군은 세정을 반복할수록 L*값과 b*값은 증가되었고, a*값은 감소하게 관찰되었다. 또한 케라틴, 콜라겐 전처리군과 클리닉 후처리군의 L*, a*, b*값은 미세한 차이 가 났으며, 그 차이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하지만 용출도의 차이는 있었으며, 케라틴, 콜라겐 전처리군은 세정 시 일정하게 용출되었으나, 클리닉 후처리군은 20∼30회 세정 시 가장 큰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염색 1∼2회 차는 차이가 거의 없었지만 손상이 진행된 3∼4회 차에는 20∼30회 세정 시 약 2배∼3배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리콘으로 인한 용출량이 적어지므로 단백질이 용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을 의미하였다. 아미노산 잔량은 케라틴, 콜라겐 전처리군에 염색 1회 모발이 대조군보다 아미노산 잔량이 증가되었으며, 염색 횟수가 증가할수록 아미노산 잔량은 점차 감소되었고, 염색 2회 차까지도 대조군과 비슷한 아미노산 잔량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염색 3회 차는 용출량이 점점 높아져서 클리닉 후처리군과 거의 비슷하게 감소되었다. 클리닉 후처리군의 염색 1회 모발의 아미노산 잔량은 대조군보다 감소되었고, 그 차이는 케라틴, 콜라 겐 전처리군 3회 차보다 미세하게 높게 측정되었으며, 클리닉 후처리군은 2∼3회 차는 미세한 차이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염색 횟수가 증가할수록 아미노산 잔량의 용출량이 줄어들었고, 케라틴, 콜라겐 전처리군은 아미노산 조성률이 증가하였으나 용출도가 높은 반면 클리닉 후처리군은 아미노산 조성률은 감소하였으나 용출도가 적게 측정되었다. 모발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는 대조군은 6개의 층이 확인됐고 CK1-30군은 5개, D1-30군은 6개로 나타났으며, CK2-30군은 4개, D2-30군은 6개, CK3-30군은 4개, D3-30군은 5개로 클리닉을 처리한 후처리가 큐티클에서는 1∼2개 층이 더 관찰되었다. CMC는 CK1-30군과 D1-30군은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었고, CK2-30군과 D2-30군은 CMC에 공포가 발견되었으며, CK3-30군은 형태를 알아보지 못할 정도로 손상되었고, D3-30군은 형태가 육안으로 확인되었으나 공포가 심해져 있었다. IMF는 대조군이 육안으로는 많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CK1-30군은 대조군보다 진해지고 넓어져 육안으로도 잘 확인되었고, D1-30군은 대조군과 비슷하나 미세하나마 진하게 확인되었다. CK2-30군은 미세하게 좁아지며 공포가 발견되었고, D2-30군은 뚜렷하게 확인되었으며 공포가 확인되었다. CK3-30군은 공포가 심해지면서 부위가 넓어졌고, D3-30군은 공포가 확산되게 확인되었다. 실험을 분석한 결과, 케라틴, 콜라겐 전처리군과 클리닉 후처리군 모두 장단점이 있다. 그 장단점을 정확히 인지한다면 모발손상은 줄어들 것이다. 케라틴, 콜라겐 전처리는 아미노산 잔량을 증가하여 모발을 확대시키고, 클리닉 후처리는 단백질 용출을 막는 것으로 그 사용 방법이 다르다고 사료된다. 이런 결과는 헤어살롱에서 내부 손상의 회복을 위해서는 전처리인 케라틴, 콜라겐을 처리하고 외부 손상의 회복을 위해서는 클리닉을 처방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