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미국의 토착주의와 캘리포니아 주민제안 187

        金潤田 청주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adaptation of the New Immigration Act in 1965, huge numbers of Latino and Asian Immigrants have arrived in the United States for the milions of jobs that have opened up in service, retail, and light manufacturing. This contemporary wave of immigration from Asia, Mexico, and Latin America have already surpassed in total numbers the immigration from southern and eastern Europe of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his great influx of immigrants(especially Mexicans), most of them settled in California, heightened societal anxiety and helped resurrect nativism and xenophobia. Approved by 57% of Californians in the 1994 referendum, Proposition 187 became a symbol of the racist, anti-immigrant politics pervasive in America around the turn of the 21th century. An initiative known as "Save Our State," Proposition 187 was designed to prevent illegal aliens in the state of California. It severely restricted the access of undocumented immigrants to public services, including school and hospitals. And it also required employees fo public agencies such as doctors, nurses, and teachers to report suspicious immigrants to the Immigration and Naturalization Service. Why was the anti-immigrant rhetoric so prominent in contemporary America? What were the major reasons for anti-foreign sentiment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and evaluate intensively the following three subjects -- ① the changing racial and ethnic demographies of immigration in the post-1965 period, ② the economic uncertainty and job security among the nation's population, and ③ social and cultural conflicts between new immigrants and native Americans. As mentioned in "Economic influence" section in chapter II, most restrictionists mainly focused upon the economic and related impacts of immigration. They usually downplayed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 (or racial role) as a principal causation for nativism. However,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wo factors -- the drastic changes of demography of immigration flows and socio-cultural conflicts between immigrants and natives -- were much more influential to help fuel the calls for nativism and immigration restriction. The driving force for Proposition 187 was a fear that traditional WASP cultures and values might threaten and endanger unless "un-American" immigrants were tightly regulated. 주제어(Keywords): 토착주의, 캘리포니아 주민제안 187, 불법 이민자, 신이민법, 국적별 이민할당제

      • 수트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연구

        김윤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hape of the suit has been changed in various ways, and it is still worn as a garment suitable for culture and society.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between suits is that there are more details than other clothes, so you can check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suit. According to the research conducted by this researcher, suits are the most identified item in the resale market where clothing waste is collected and re-sold, and the demand for suits is not decreasing, which raises an environmental problem. In addition to suits, upcycling fashion has emerged to solve clothing waste, and many brands and consumers prefer it. Upcycling fashion is used as a means of developing materials or creating new products using various discarded clothing wastes. However, practical research applied to fashion design using discarded suits remain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pplies the up-cycling design method to dismantle the suit in a handicraft way using the discarded suit, and to characterize the components of a series of suits. In addition, through the production of upcycling fashion design works, we want to recreate discarded suits to spread sustainable fashion design and to expand the diversity of upcycling fashion designs emphasizing the asymmetrical silhouette image of various works. To this end, we first collected literature and visual data related to the suit in order to explore the concept of the suit, the background of its formation, and the transition process. In addition, the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suit were analyzed with a focus on the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the suit. In addition, literature and visual materials related to upcycling design methods were collected to explore the concept of upcycling,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methods, and present examples of upcycling modern fashion design through electronic documents and websites. Based on the analyzed theoretical background, the elements of the suit were selected as motifs and an upcycling expression technique was applied to develop an artistic high value-added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multiple points. First,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suit can be divided into external structural features and internal structural features. Outward features were divided into lapels, pockets, vents, and jacket body, and internal features were categorized into lining, wick, shoulder pads, sleeve heads, chest pieces, and manufacturing methods. Second, the upcycling expression technique used in the work was expressed as a combination of dismantling, splicing, appending, cutting, dislocating, and folding. The dismantling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a new formative image by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frame, and the splicing enlarges the area and makes another optical illusion appear. Adding and folding were possible to present a perspective that reveals three-dimensional and textured expressions. The cutting reveals the body or represents a different formativeness through a change in shape, and the avant-garde is a heterogeneous encounter, resulting in a creative feeling and a unique formativeness through the destruction of stereotypes. Third, among the upcycling design methods utilized, it is also a method appli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a suit that are commonly applied to both dismantling and splicing. A total of five design methods were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work performed in this study, so the first work mainly uses the outer features of the suit and the avant-garde method allows you to check the internal features of the trousers, and the second work is the ego and avant-garde. As a result,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inner body and the characteristics of additional components can be confirmed. The third piece is the piece that reveals the most internal components, and the method is also applied for texture expression. The fourth work is a reversible work that allows you to simultaneously check the appearance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suit. The fifth and final piece is characterized by a zero-waste finished piece. Fourth, the understanding of the suit's components and various dismantled pieces and materials was an important factor in reflecting the components in the work. In the creative experiment of dismantling and recombining all works by hand, in order to produce the work of this study, the design to be implemented as a handicraft work and the components of the suit were designed to be suitable. As a result, the rarity and original image of the work were revealed. Fifth, it was possible to express the unique composition of clothes by synthesizing the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the suit and the design method of upcycling. In addition, the asymmetric silhouette allowed various images to be expressed in the formativeness of the work, and most of the same colors were used so that the selected suit melted into a single work of black and gray when creating the work. Additionally, all suit materials selected were used in this study with no waste applied to create ethical upcycling artwork. Together, this study used all of the suit materials selected with zero waste applied to create an ethical upcycling pie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upcycling fashion industry. In the future, upcycling fashion design including aesthetic value is not limited to upcycling fashion design, and many consumers and various follow-up measures are being made as a temporary alternative method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by using various objects, discarded clothes, suits, etc. . Research.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field of expression of fashion design will be further expanded. 수트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되어져 왔고 현재도 문화와 사회에 맞는 의복으로 착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수트의 차별점은 다른 의복에 비해 디테일이 많아 내부 구성요소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자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의류폐기물을 모아 재판매하는 구제시장에서 가장 많이 확인되는 아이템은 수트로, 수트의 수요는 줄고 있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문제에 문제점으로 제기된다. 수트 뿐만 아니라 의류폐기물을 해결하기 위해 업사이클링 패션이 등장하였고 많은 브랜드와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있다. 업사이클링 패션은 소재를 개발하거나 버려지는 다양한 의류폐기물을 사용하여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버려지는 수트를 활용하여 패션 디자인에 응용한 실질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버려진 수트를 활용하여 수공예적인 방법으로 해체, 재조합시키고 수트의 구성요소의 특징을 나타내는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작품 제작을 통해 버려지는 수트를 재탄생시켜 지속 가능한 패션디자인을 전파하고 다양한 작품의 실험적인 이미지가 강조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의 다양성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수트와 관련된 문헌 자료 및 시각 자료를 수집하여 수트의 개념과 형성배경, 변천과정을 탐구하고 수트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수트의 외형적 특징과 내부적 특징으로 나눠 분석하였다. 그리고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과 관련된 문헌 및 시각 자료를 수집하여 업사이클링의 개념에 대해 탐구하고 디자인 방법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전자문헌과 웹사이트를 통해 업사이클링 현대 패션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수트의 구성요소를 모티브로 선정하고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을 응용하여 예술적인 고부가가치가 포함된 디자인 전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트의 구조적 특징은 외형적 구조적 특징과 내부적 구조적 특징으로 나눌수 있다. 외형적 특징은 라펠, 포켓, 벤트, 재킷 몸판으로 나누었으며, 내부적 특징은 안감, 심지, 어깨패드, 슬리브헤드, 체스트 피스, 제조공법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작품에 활용한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은 해체하기, 이어붙이기, 덧붙이기, 전위, 접기, 스티칭/올풀기 조합으로 나타내었다. 해체하기는 기존의 가지고 있던 틀을 탈피하여 새로운 조형 이미지를 표현 가능하게 하였고, 이어붙이기는 면적을 넓혀 또 하나의 착시현상을 나타나게 한다. 덧붙이기와 접기는 질감 표현을 드러내는 시각 제시가 가능하였다. 스티칭과 올풀기는 신체를 드러내거나 디자인 연출 변화를 통한 색다른 조형성을 나타내며, 전위는 이질적인 만남으로 창의적인 느낌과 고정관념 파괴로 독특한 조형성이 나타난다. 셋째, 활용된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 중 해체하기와 이어붙이기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하였으며 이는 수트의 구성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적용해야 되는 방법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작품 디자인은 총 5가지 디자인 방법이 적용되어 첫 번째 작품은 수트의 외형적 특징을 주로 나타내었고, 전위 방법으로 바지의 내부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며, 두 번째 작품은 덧붙이기와 전위로 재킷 몸판의 내부적 특징과 추가적인 구성요소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 작품은 내부적 구성요소가 가장 많이 드러나는 작품으로 질감표현을 위해 접기 방법도 적용하였다. 네 번째 작품은 리버시블 작품으로 수트의 외형, 내부적 특징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마지막 다섯 번째 작품은 제로웨이스트가 적용된 작품으로 덧붙이기와 올풀기 방법이 강조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넷째, 수트의 구성요소와 다양한 해체 조각들 및 소재에 대한 이해도가 구성요소를 작품에 반영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었다. 모든 작업을 수작업으로 진행하여 해체시키고 재조합하는 창조적 실험 가운데 본 연구의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 수공예적인 작업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디자인과 수트의 구성요소가 적합하도록 디자인하였다. 그로인해 작품의 희소성과 독창적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수트의 구성요소와 업사이클링 디자인 방법을 융합함으로써 의상의 독특한 구성법을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적인 이미지로 작품의 조형성에 다양한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였으며 선정 수트가 블랙과 그레이로 작품 제작시 하나의 작품으로 이질감 없이 녹아들 수 있도록 대부분 동일 색상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어두운 계열의 수트 색상 선정으로 수트의 구성요소가 잘 보이지 않는 부분은 스트레이트 스티칭 기법을 작품에 함께 녹여내었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윤리적인 업사이클링 작품 제작을 위해 제로웨이스트를 적용하여 선정된 수트 재료를 모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업사이클링 패션 산업계에 중요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앞으로 수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오브제와 버려진 의류를 사용하여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시적 대안적 방법의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에 머무르지 않고 미적가치를 포함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이 많은 소비자들과 다양한 후속연구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패션 디자인의 표현 영역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 DBAE 교육과정을 도입한 미술 감상 지도방안 : 중등미술 교육 중심으로

        김윤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문화시대’, ‘영상시대’, ‘정보화시대’라고 불리어진다. 우리학생들이 주인공이 되는 21세기는 문화의 필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미술교육은 이러한 현상에 맞추어야 하는데 오히려 학생들은 학교에서 미술교육을 받으면서 미술에 대한 관심조차 잃어버리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미술교육에서 ‘미술’이란 범위를 ‘표현’으로만 축소 해석하여 단지 미술 제작만이 미술교육의 전부인 것처럼 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미술교육이 문화교육으로서 의의를 갖기 위해서는 ‘미술’의 광범위한 의미와 내용을 수용해야 하므로 학교교육에서는 제작 중심이었던 교육 내용이 감상· 이해와 함께 구성 되어야 한다. 미술 이해 교육과 미술 감상 교육은 훈련을 통한 학습을 시켜야 효율적 이며, 이것을 포함한 미술교육은 DBAE (Discipline -Based Art Education)이다. DBAE는 우리미술 감상지도에 꼭 필요한 자료이다. 우리미술교육에서 DBAE의 교육과정이 체계적이고 면밀한 비판적 수용이 필요하며, 한국정서가 내포된 교육과정 모색에 연구 목적을 삼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미술교육사, 제 7차 교육 과정을 통해 미술 감상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 둘째, 중·고등학교 미술교과서를 영역 편성별로 분석하였으며, 셋째, 미술 감상 교육에서 DBAE교육과정 도입의 배경, 교훈, 문제점, DBAE의 감상교육의 영역과 활용 그리고 교수· 학습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DBAE교육을 도입한 감상 교육의 교수·지도안을 통한 감상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이로 인하여 학습자들이 능동적 사고와 상호작용을 통한 미술 감상의 통합적 이해로 감상태도 육성을 언급하고자 한다. 이상의 문헌연구를 통해 볼 때, DBAE가 우리에게 미술을 가르칠 수 있는 교과라는 인식의 전환에 기여 했으며, 미술교육에서 DBAE를 통한 미술 감상 수업을 할 때 시사점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교육에서 이해를 중시하기 위해선 사고의 전환이 있어야 할 것이다. 미술 감상 교육은 꼭 감상시간이 아니더라도 생활 속에서 언제 어디서나 가능하다는 생각을 가져야 할 것이다. 둘째, 미술사 교육은 암기식의 교육보다는 미술작품을 이해하며 스스로 감상할 수 있게 교사는 적절한 질문들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미학교육은 난해한 철학원리 보다는 이를 학습자의 심리와 발달단계에 맞게 미술작품을 선정하여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토의를 하여 가치판단의 근거를 마련케 하는 영역이다. 넷째, 미술비평은 미술작품의 단순히 행해지는 학습자가 좋고 나쁨으로 가치판단하기 보다 직관, 묘사, 분석, 해석, 재해석, 표현, 비교감상과 같은 단계를 따라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미술 실기 때 학습자들 서로의 작품을 보며 토론하며 감상할 수 있게 교사의 적절한 지도가 필요하다. 이상으로 DBAE를 통한 미술 감상 수업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정부의 수업대책도 급하지만 교사들은 감상지도에 적절하게 지도할 수 있게 올바른 문화 인식과 자료준비와 변화하는 사회에 대처하는 감상지도 방법을 연구해야 미술을 통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방식의 지각과 사고를 개발하며 보다 확대된 사고를 가질 수 있다. The 21st Century is called "Culture times", "Media times", and "Information times". In this Century that students will representative, the Need of Culture is getting bigger. Also the Art education should follow with the cultural incident,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that most students lost the interesting of the field about Art at their school. The reason of the result, in the Art education, is that the Range of "Art" has been reduced, and make people thought the Art Production is all about Art. For Art education have a meaning as Culture education, the Art education must have extensive meaning and contents. Therefore, in the school education, the education method that has been oriented with Art Production is necessary for converting to the method of the appreciated Art. The Understanding of Art and the appreciation of Art are practical when it's provided through training. Also the Art educationcontain those of education method is DBAE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DBAE is essential data for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the Art education today, the education model of DBAE needs organizational and critical acceptance, and it has a purpose of research about the education model intended Korea emotion. For the research, the first, Art education history, I considered that the current status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based on the 7th Education progressing. The second, Ianalyzed a schoolbook for Mid-high school with each contented section. The third, I will discuss, in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ebackground of introduction about DBAE, instruction, and issue. Also, in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mention that the practice and field of DBAE appreciation education and the educationmodel of appreciation education with intended DBAE education theory. On this based, we will find the way of education model, and expect teachers can educate the appreciation attitude on Art education with reciprocal action and active consideration. With the researchmentioned above, DBAE contributed on the point of change that the Art is the material can be educated to people with it. On the Art education, the point of view when teachers are participated in the class with DBASE's model isbelow. The first, the turning of thinking is necessary for the understanding Art education. It means that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is can be precededanytime in addition to its class time. The second, the Art history education must be the self-motivate The forth, the Art criticism must be preceded organizationally and logically with the way that the following step such as intuition, draw, analysis, interpretation, expression, comparing appreciation. The fifth, students will need an appropriate instruction that can make them appreciate and discuss about their work. In the result, the most important of art education is that teachers need to prepare for their class with appropriate culturalrecognition and class material when they teach their students with the instruction of DBAE. With those of effort, students can recognize the various intuitions and developed thinking that will manage the society.

      • 클래식 음악공연 티켓가격의 적정성 조사 연구

        김윤전 성신여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hich is a survey, was conducted due to problems that aroused based upon actual experiences of hesitation of purchasing an expensive performance of a famous musici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in-point the barrier that prevents the public, especially aged twenty to forty, from being exposed to classical music. This study points out the theoretical importance of classical music and of art education by examining research articles, media articles, and a public survey. Also compared the current culture of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in Korea to the current culture of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in Western countries, where classical music was first established. This was achieved by interviewing individuals from schools, public locations, and offices of various companies in Seoul. Interviewee ages ranged from early-twenties to mid-forties. The content a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is survey are following. 1. With a total of 191 interviewers, 67 individuals were in their twenties, 61 individuals were in their thirties, 63 were individuals in their forties which points out the abundance of interviewers in their twenties. 2. When examining the cultural life of the public, the interviewers that were in their twenties mostly claimed to experience a cultural life in approximately every once a month while interviewers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mostly claimed to experience a cultural life in approximately every once in three to four months. The type of genre that was preferred among all ages of the interviewers was movies. However as the age of the interviewers increased, their preference of genre gradually shifted from movies towards plays and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The most common opinion of preference of certain genres were based upon ‘a prices that is economically affordable.’ 3. Focusing the interest in classical music, most interviewers had an impression of classical music as ‘a cultural experience which is educational and intellectual.’ However, contrasting to their high interest in classical music, most interviewers were familiar with very little number of classical musicians. 4. Among the various opinions from the interviewers regarding classical music performance tickets, some claimed that they would not attend the concert if the tickets are too expensive regardless of the famous performer. They also claimed that they envied individuals that were not financially affected by the expensive concert ticket prices. Some also claimed that expensive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symbolized the privilege of upper class. Especially, the idealistic concert ticket price among these interviewers revealed to be extremely deviated from the ticket prices of recent concerts of famous performers. The expensive concert ticket prices produced a great wall for the public audience, and made the public audience to realistically feel distanced and apprehensive to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In conclusion, in order to allow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to become an active cultural experience among the public and to further allow the public to gain this rewarding cultural experience, the problems of pricy concert tickets must be resolved.

      • 유치원 특수학급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놀이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윤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 특수학급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놀이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해 심층면담을 통해 알아보고 유치원 특수학급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놀이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교육청 소속의 공립 유치원 특수학급에서 근무 중인 경력 5년 이상의 유아특수교사 4명이며,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사전에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동의를 얻어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전사된 자료는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범주화여 상위범주 4개, 하위범주 19개, 개념 51개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들은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해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자기 것으로 이해하는 과정을 거치며 교육과정 설계자로서 주체성을 확립해나갔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들이 놀이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시 무엇을 중요시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는지 알 수 있었다. 교사 자신만의 신념과 특수교육대상유아의 개별성 등을 고려하였다. 셋째, 유아특수교사들은 놀이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시 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교사의 자율성, 전문성을 기반으로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에서 유아와 함께 서로 상호작용하며 교육과정을 만들어나가고 있었다. 넷째, 유아특수교사들은 놀이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지원 방안으로 다양한 사례 나눔과 단일연령 특수학급, 교사당 유아 수 감축,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유치원 구성원의 특수교육대상유아에 대한 올바른 인식에 대해 함께 고민해야 함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강조하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가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교사의 역량을 강화하여 유아특수교육의 질을 제고하는데에 의의가 있다.

      •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활동이 위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윤전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조직과 공중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위기관리 측면에서 평소 소비자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해온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가 실제 위기 상황에서 공중의 위기 인식 및 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즉, 기업의 ‘위기관리’ 측면에서의 브랜드 커뮤니티 운영의 효용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식음료 기업인 대상주식회사의 ‘청정원 커뮤니티 사이트’의 회원과 비회원을 대상으로 실제 해당 기업에서 발생하였던 식품 내의 이물질 혼입과 같은 부정적인 뉴스기사를 제공하여 위기 상황을 제시한 후, 회원과 비회원간의 위기 전후의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더불어 위기 이슈에 대한 수용태도에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회원의 경우에도 활동기간 및 참여 정도에 따라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청정원 커뮤니티 회원 100명과 비회원 100명을 대상으로 11월 5일부터 11월 18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결과 위기 이슈 전 브랜드 커뮤니티 회원이 비회원보다 브랜드에 대한 태도(신뢰성, 가격, 디자인, 친근함, 충성도) 점수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위기 이슈 후에는 회원과 비회원 모두 디자인을 제외한 브랜드에 대한 태도(신뢰성, 가격, 친근함, 충성도) 점수가 하락하였으나, 여전히 회원이 비회원보다 더 높은 태도 점수를 보였으며, 이 중 신뢰성과 충성도 요인에 있어서는 회원이 비회원보다 브랜드에 대한 태도 점수 변화에 더 적은 감소율을 보였다. 더불어 유일하게 디자인의 경우에만 위기 이슈 전과 후 태도 점수가 동일하게 나타나서 위기 이슈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원의 커뮤니티 활동기간에 따라서도 활동기간 2년 초과 회원이 2년 이하의 회원보다 브랜드태도(신뢰성 및 가격, 디자인, 친근함, 충성도)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는 친근함과 충성도의 항목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위기 이슈 이후에는 디자인 요인을 제외하고는 모든 요인에서 브랜드 태도 점수가 활동기간 2년 초과 회원이 2년 이하의 회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그러나 위기 이슈 전과 후의 브랜드 태도의 차이 변화를 살펴보면 디자인 요인을 제외하고는 모두 활동기간과 상관없이 점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때, 활동기간별 감소 정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커뮤니티 참여 정도에 따라서는 참여 정도가 높은 회원이 낮은 회원에 비하여 브랜드 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위기 이슈 전과 후의 태도 변화를 살펴보면 모든 회원의 점수가 하락했으나 신뢰성에 대한 태도 점수에 있어서 참여정도가 높은 회원이 낮은 회원보다 더 적은 감소율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커뮤니티의 참여 정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브랜드 태도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마지막으로 위기 이슈에 대한 행동유형에 있어서도 회원보다 비회원인 경우 해당 위기 이슈에 대한 내용을 스크랩하여 블로그나 SNS에 등록하거나, 다른 웹사이트 게시판 또는 이메일 등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적극적으로 알려주는 경향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회원인 경우에는 그냥 혼자 알고만 있는 경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브랜드 커뮤니티 회원이 비회원보다 브랜드에 대해 더 우호적인 태도를 나타내며, 먹거리와 같은 소비자들이 매우 민감하게 느끼는 브랜드 위기상황의 발생 하에서도 브랜드 커뮤니티의 회원, 그 중에서도 참여 정도가 높은 회원의 경우에는 비회원에 비하여 브랜드에 대한 신뢰성 및 충성도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적게 받고, 위기의 확산 및 파급에 참여할 확률이 낮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기업은 브랜드의 홍보 및 다양한 마케팅의 도구로써 활용가치가 있는 브랜드 커뮤니티를 지속적으로 운영하면서, 동시에 효과적인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툴로서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보이며, 이를 위해서는 단순히 회원 수나 운영기간에만 집중하기 보다는 지속적인 소비자 관계를 통해 이용자의 충성도 및 몰입도가 높은 브랜드 커뮤니티로 육성하여 브랜드 위기의 파급 및 확산을 감소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활용해야 할 것이다.

      • 의학 교육에서 시각 예술의 활용에 관한 연구

        김윤전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의학 교육에서 의료인문학의 등장으로 인해 시각 예술을 활용한 의학 교육 수업의 필요성과 그 효과성에 대한 현상들을 반영하여 시각 예술의 시각적 사고 특성에 기반한 의학 교육의 목적, 내용과 방법의 확장 가능성을 탐색해 본 간 학제적, 실행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시각 예술을 활용한 의학 교육의 교육적 필요성과 이론적 탐색에 관한 문제이다. 의료인문학과 의학 교육, 시각적 사고 전략, 시각 예술을 활용한 의학 교육에 관한 국내외 연구 동향과 적용 사례를 통해 의학 교육을 위한 시각 예술의 접근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둘째, 교육적 실천에 관한 문제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시각 예술을 활용하여 어떻게 지도할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적 문제이다. 위의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시각 예술을 활용한 의학 교육 실험 수업을 통해 구체적인 수업 지도안과 방법적 원리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셋째, 실행 연구를 통한 교육적 가치와 실천 담론 생산에 관한 문제이다. 실행 연구를 통해 시각 예술의 시각적 사고 특성에 기반한 의학 교육이 기존의 의학 교육의 목적과 내용, 방법적 측면의 확장에 어떠한 방식으로 기여하는지 탐색하고, 의학 교육 과정의 맥락에서 그 가능성과 한계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실행 연구에 앞서 시각 예술의 특성을 시각적 사고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시각적 사고 특성을 의료인문학, 의학 교육 등과 맺는 관련성을 통해 실행 연구를 위한 방법적, 분석적 틀을 만들고 구체적인 시각 예술 활용을 통한 의학 교육의 목표, 방법적 원리들에 대한 접근을 시도해보았다. 시각 예술을 활용한 의학 교육이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하도록 실험 수업을 구상하고,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계획들을 제시하였다. 이 실험 수업은 SPICES 교육 설계 모델을 기반으로 구성되었으며, ‘시각적 사고 전략’의 원리를 도입하여 연구참여자들의 관찰력, 해석 능력,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 수업은 ‘주의 깊게 바라보기’, ‘열린 질문과 대화’, ‘스토리텔링’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실험 수업을 실행하고, 실험 관찰, 심층 면담 등의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교수-학습 과정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은 ‘시각적 사고 전략’을 적용하여 의학과 미술을 연결하는 과정을 탐구하고, 이를 통해 의료인문학적인 측면을 통합한 교육 경험을 쌓았다. 연구참여자들의 인터뷰를 종합하여, 본 미술 감상 수업의 의학 교육적 가치 및 시사점을 도출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수업은 연구참여자들의 주의 깊게 관찰하는 능력과 논리적 사고 능력 및 커뮤니케이션 스킬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은 다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분야와 관점을 통해 이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였으며, 의학에서 모호성을 다루는 과정의 필요성을 이해하였다. 미술 작품 해석과 의료 진단 사이의 공통성을 강조한 연구참여자들은, 이러한 공통성을 바탕으로 시각 예술과 의학 분야 간의 협력적인 전문 분야 간 공동 작업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아이디어는 임상 의학을 위한 새로운 시각으로 예술적 관점을 활용하고, 전문 분야 간 임상 팀의 활동을 변화시키는 데 고려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의학 교육에 특화된 미술 감상 수업을 체계적으로 실현하였다. 이 수업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학습 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지는 않았지만, 수업의 각 단계에서 일관된 ‘시각적 사고 전략’ 방법론을 적용하여 미술 감상 교육을 진행하였고, 연구참여자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교육 방법, 교육 내용, 교육 결과에 대한 효과를 정성적으로 측정하였다. 특히, 이 수업은 의학 교육 분야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체’와 ‘삶과 죽음’과 같은 주제를 선택하였다. 이러한 주제는 의학 학생들에게 친숙하며, 관련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주제들은 인간의 실존적인 질문과 철학적인 측면에서의 탐구를 촉진하여, 연구참여자들에게 자신의 가치관과 신념 등 개인적이면서도 의미 있는 사고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작품 선정 과정에서 시각 예술 반응에 관한 뇌과학 연구를 참고하여 작품의 질을 고려한 더욱 효과적인 작품을 선택하고자 하였다. 이 수업은 교육 이론과 현장을 결합하여 국내 의학 교육 분야에서의 미술 감상 수업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시도로 작용하였다. ‘시각적 사고 전략’을 적용한 미술 감상 수업을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이를 현실 의학 교육 환경에서 실행하는 초기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교육 이론과 현장 간의 간극을 좁히려는 노력이었다. 연구 과정에서 얻은 주요 인사이트 중 하나는, ‘시각적 사고 전략’을 의학 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 이론적으로는 바람직하다고 여겨질 수 있지만, 이를 현실 수업에서 실제로 구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어려움과 도전은 성과 중심 의학 교육 현장에서의 복잡한 상황과 관련이 있다. 또한 이 초기 연구를 통해 의학 교육 현장에서의 미술 감상 교육은 이론적 모델링을 넘어서 현실 수업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효과를 고려해야 함을 명확하게 이해하게 되었다. 이는 교육 이론과 현장 간의 협력을 강조하며, 교육 현장에서의 실제 조건을 고려한 현실적인 교육 전략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앞서 서술하였듯이, 본 연구는 의학 교육에서 시각 예술을 활용한 실행 연구이다. 즉, 시각 예술과 의학 교육 간의 상호학제적 연구이자 동시에 실증적 사례 연구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학전문대학원 3학년 학생 6명을 대상으로 미술 감상의 단기 개입을 시행하였다. 국내 시각 예술과 의학 교육 간 상호학제적 연구의 초기 단계로서 이 연구를 통해 참여한 학생들의 소중한 경험이 한국의 문화적 및 임상적 맥락에서 더 나은 임상적 실천을 위한 기회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 웹 페이지에서 반응하는 N세대의 색채 감성변화의 분석 연구 : 디지털 색채 디자인을 중심으로

        김윤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우리 사회의 가장 큰 흐름 중 하나는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급속한 발달에 의한 정보화의 사회, 첨단 영상 사회로의 진행이다. 컴퓨터의 출현과 함께 사용자들은 다양한 기능의 매체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으며, world wide web의 등장과 활용범위의 확대로 다양한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시간?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광대한 정보를 흡수?활용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성인이나 청소년의 구분없이 디지털 환경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특히 성장하는 N세대 학생들에게 이런 무분별한 정보의 노출에 대비가 없음은 현시대의 문제점으로 주목되어지고 있다. 또한 늘어가는 청소년 범죄와 비관자살?환경 부적응으로 인한 청소년의 방황은 그저 방관할 수 없는 시대의 문제점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인 문제는 어떤 특별한 대안이 나와 한순간에 해결이 되어질 수는 없을 것이다. 현대화의 과정 속에 사람의 심성이 날로 거칠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모든 것을 흡수할 수 있고 용이하게 고칠 수 있는 청소년기의 학생들에 관한 정서 교육을 통하여 이를 바로 잡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지금까지의 색채 이론이 주로 산업적인 측면에서 사무실의 작업 효율을 제고하거나 병원에서의 신경증 혹은 정신병 환자의 치료에 역점을 두고 이루어져왔다. 이제 이 색채의 심리적 효과를 아동기에서 청소년기의 학생들에게까지 도입하여 정서적인 안정을 도모하고, 점차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이바지하며, 자신도 원만한 성격을 갖추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도록 하려는 취지에서 본 연구를 시작한다. 또한 무분별한 디지털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메말라가는 정서에 조금이나마 색채 심리를 활용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이루기 위해 그들의 디지털 색채에 대한 연상과 감성 변화의 반응을 알아보고 분석하고자 한다. 물론 이러한 연구로써 모든 사회적 문제를 한순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다만 본인은 여기에서 산업적인 면에서나, 병리학적인 면에서 성과를 거두고 사용하고 있는 색채의 심리 요법을 N세대들의 인성 함양에 도입하여 디지털 매체 등의 공간을 좋은 인성의 발현에 적합한 환경으로 만들어서 이 사회에 친화적 사람으로 육성하는데 그 착안점으로서 색채 심리를 교육에 도입하는 연구의 시작이 되기를 바라는 의도를 갖고 있는 것이다.

      • 백반증의 병리조직학적 소견 : Histopathologic features in vitiligo

        김윤전 아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 목적 : 백반증의 진단은 대개 임상 양상과 우드등 검사로 이루어지지만, 때로 임상 양상만으로 백반증과 다른 저색소 질환을 감별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백반증의 조직학적 소견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나 아직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반증을 진단, 혹은 감별 진단할 때에 중요한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알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00명의 백반증 환자와 30명의 탈색모반 환자의 정상 및 병변 부위의 조직 검체를 대상으로 Fontana-Masson, S-100 단백, NKI/beteb, MART-1염색을 시행하였다. 염증이 있는 경우 CD3, CD20, CD68, CD1a염색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결 과 : 일반 염색에서 백반증 조직은 인접 정상 조직에 비해 진피의 염증 소견과 기저막의 탈색 소견을 더 많이 나타내었다. 탈색 모반 조직도 주변의 정상 조직에 비해 기저막의 탈색 소견을 보였으나 그 빈도가 백반증보다 훨씬 적었다. 백반증 조직의 16%에서 멜라닌이 남아있었으며 이 때 색소가 있는 면적은 전체 표피 면적의 0.06%를 차지하였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한 결과 NKI/beteb 염색은 12%의 백반증 조직에서 양성 소견을 보였으며 mm2당 7.68개의 색소세포가 존재하여 인접 정상의 384.36/mm2 개보다 유의하게 적었다. 탈색모반에서도 색소 세포 숫자는 병변에서 243.86/mm2 개가 측정되어 인접 정상에서 412.65/mm2 개와 차이를 보였으나 그 차이는 백반증 조직보다 작았다. MART-1염색에서도 백반증 조직의 13% 에서 양성 소견을 보였고 mm2당 95.75 개의 색소세포가 관찰되어 NKI/beteb staining과 비슷한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S-100에 양성을 나타내는 세포는 모든 백반증 조직에 존재하였으며 그 숫자도 175.36/mm2 개로 NKI/beteb염색이나 MART-1염색보다 훨씬 많았다. Background :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differentiate vitiligo from other hypopigmented disorders only by clinical features. However, only a few reports are available on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vitiligo. Purpose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lineate the microscopic alterations that are important in the diagnosis or differential diagnosis of vitiligo. Methods : We examined histopathologic findings of 100 cases with vitiligo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perilesional normal skin. We also compared them to 30 cases with nevus depigmentosus skin. Results : The general histologic features of vitiligo showed more frequent basal hypopigmentation and dermal inflammation than perilesional normal skin. Basal hypopigmentation compared with perilesional normal skin was also found in nevus depigmentosus but the incidence was much lower than vitiligo skin. In Fontana-Masson staining, 16% of vitiliginous skin showed the presence of melanin. The ratio of pigmented area to epidermal area was 0.06% in vitiligo, while 17% in perilesional normal skin and 8.9% in nevus depigmentosus skin. I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melanocytes, 12% of vitiliginous skin showed the presence of melanocytes in NKI/beteb stain, and their average number of melanocytes was 7.68/mm2 while 384.36/mm2 in normal skin. In nevus depigmentosus lesion, the average number of melanocytes was also decreased but the amount of decrease was much less than that of vitiligo. MART-1 staining showed similar findings to NKI/beteb staining. However, S-100 protein positive cells were detected 100% of vitiligo skin and their average number 175.36/mm2, which is much higher than those of NKI/beteb and MART-1 staining. Especially, S-100 protein positive cells were increased in inflammatory vitiligo than noninflammatory vitiligo. This may be due to Langerhans cells, which were increased in inflammatory vitiligo. We also confirmed the presence of melanocytes on electron microscopy, which showed vacuolization and tansepidermal elimination. Conclusions : There exist a few melanocytes and melanin in some vitiligo. Therefore the diagnosis of vitiligo should be made considering clinicopathologic features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