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의 초인지 양식 분류 탐색

        김윤옥 학습전략중재학회 2012 학습전략중재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대학생들의 초인지의 구성요소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들의 초인지 양식 가운데 일반적인 요인은 영역별로 서로 어떻게 다른가? 셋째, 대학생들의 초인지 양식은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른가? 넷째, 대학생들의 초인지 양식은 학년에 따라 서로 다른가? 다섯째, 대학생들의 초인지 양식 가운데 특정 선호 유형이 있는가? 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연구문제들은 중부지방의 한 교육대학교 2,3학년 77명을 대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로서는, 첫째로 초인지 양식은 김윤옥(2010)의 이론적 탐색에서 추출한 바와 같이 성인학습자인 대학생들에게도 초인지 지식, 초인지 경험, 모니터링, 자기-규제 등으로 구성됨이 검증되었다. 둘째로 대학생들의 초인지 사용 상태를 일반적인 요인별로 어떠한가를 분석해 볼 때 초인지 기술, 초인지 지식, 초인지 경험, 모니터, 자기-규제 등의 순위로 나타났다. 셋째로 대학생들의 초인지 양식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모니터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들의 초인지 양식은 초인지 기술과 모니터 요인 등에서 3학년이 2학년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본 연구대상의 대학생들으의 초인지 양식 가운데 선호유형이 존재함이 나타났다. 이에 따른 함의가 논의 및 결론에서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에 대한 문장작성전략 교수가 문장작성 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윤옥,전정미 한국특수교육학회 2003 특수교육학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문장작성전략 교수가 초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문장작성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D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습장애 학생 3명이었다. ‘호랑이문장작성전략’ 학습지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전략 활용 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자기효능감 수준도 함께 검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호랑이문장작성전략(김윤옥 외, 2003)’을 전략교수 5단계 과정을 통해 적용하였으며,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전략 교수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장애 학생들이 ‘호랑이문장작성전략’을 완전학습 할 수 있고 전략 훈련이 문장작성능력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효과적인 쓰기 지도가 되기 위해서 문장작성전략 뿐만 아니라 문단 및 글을 작성하는데 필요한 전략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검색어> 문장작성전략, 학습장애, 자기효능감 Effects towards the Writing Abilities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tudents with LD by a Sentence Writing Strategy

      • KCI등재

        대화적 듣기 교육 현황 연구

        김윤옥 우리말학회 2014 우리말연구 Vol.37 No.-

        대화참여자들이 서로 협력하여 의미를 구성한다고 보는 대인 의 사소통에서 대화적 듣기는 중요하다. 그러나 분석적 듣기와 공감적 듣기 에 대한 연구에 비해 대화적 듣기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화적 듣기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대화적 듣기는 대화 참여 자들이 협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는 최고의 방법으로 분석적 듣기의 ‘나- 방향’과 공감적 듣기의 ‘너 방향’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청자와 화자가 서 로 함께 구성하고 있는 우리에게로 관심을 가진다. 대화적 듣기는 두 주 체들의 만남으로 상호 의미를 형성하는 특성을 지니며 상호 의미를 형성 하기 위해서는 ‘우리’에게 관심을 갖고 넥스팅으로 격려하기를 해야 한 다. 넥스팅으로 격려하기 방법으로는 넥스팅에 도움이 되는- 바꾸어 말하 기, 바꾸어 말해달라고 요청하기, 비유 이용하기가 있다. 그 다음으로는 대화적 듣기의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대화적 듣기는 상호교섭적인 화 법의 특성으로 교육과정에 반영이 되어있었으나 대화적 듣기에 관한 하 위 방법들이 반영된 것은 찾아보기가 힘들었다. 마지막으로는 이를 토대로 3가지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화법교육 방향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김윤옥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6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for improving self-expressions of the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Methods:Therefore I examined the Self- expressions on speaking-listening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searched the importance of self-expression ability in communication. I analyzed the listening-speaking education area in korean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ith self- expressions. And I contemplate the aspect of the lower grade teachers’ instruction method. Results:As a result, It is reflected self- expressions in current curriculum but focused on speaking the polite and fair words in textbooks. But the lower grade teachers have taught I-message as self- expression in elementary school and they know that self-expression is important in communiction. Conclusion:I suggest reflecting personal narratives, I-message of emmotional expression way and increasing time for self-expression training in the speaking-listen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목적: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화법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방법: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대인 의사소통 관점에서 자기표현의 의미를 탐색하고, 화법에서 자기표현 능력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재 분석을 통하여 자기표현의 교육 현황을 고찰하고 초등학교 저학년 담임 교사 4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의사소통 실태와 지도 방법에 대해 설문 조사하고 면담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그 결과 현행 교육과정에서도 자기표현을 교육하고 있었으나 초등학교 저학년 수준에서는 바르고 고운 말 사용에 대한 교육 내용이 많았다. 교사들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의사소통에서 자기표현이 중요함을 알고 있었으며, 학생들의 생각과 감정 표현의 방법으로 ‘나-전달법’을 지도하고 있었다. 결론: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화법교육 방향으로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경험적 내러티브를 반영, 감정표현 방법으로 ‘나-전달법’ 지도, 자기표현 교육 시간 늘리기 등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총체적 언어 접근에 기반한 기초 문식성 지도 사례 연구

        김윤옥,신의경 한국국어교육학회 2022 새국어교육 Vol.- No.130

        목적: 이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체적 언어 접근에 기반한 기초 문식성 지도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총체적 언어 접근과 프레네 교육의 의미를 탐색하고, 지도 사례를 조사하였다. 먼저, 세종시 초등학교 1학년을 담임하고 있거나 담임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초 문식성 지도 방법에 대해 면담하였다. 그리고 해당 사례를 찾아 교사와 심층면담하고 1년간의 교육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총체적 언어 접근에 기반한 기초 문식성 지도 방법은 발표 방법 익히기, 경험 이야기 나누기, 글로 쓰기, 따라 쓰기, 질문하기, 고쳐 쓰기, 출판하기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총체적 언어 접근에 기반한 기초 문식성 지도는 학생들의 경험을 활용하여, 통합적으로 지도하며, 1년 동안의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다. 결론: 총체적 언어 접근에 기반한 기초 문식성 지도는 초등학교 1학년 발달 단계에 적합하고, 학생들의 기초 문식성 지도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경험을 기초 문식성 지도 내용으로 구성하고, 통합적으로 지도하며, 초등학교 1학년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공식적 말하기 교육내용 고찰

        김윤옥 한국국어교육학회 2006 새국어교육 Vol.0 No.72

        Students have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ideas, bur they didn't systematically and concretely learn how to speak in school. So I inspect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eaking and the contents of speaking education in the 7th korean curriculum. The contents of public speaking education have mainly general contents about the way of express to create and organize, but little concrete contents of it. So I suggest that the contents of public speaking education are presented by speaking types and constructed of the ability to use language, the ability to organize a message logically and the psycholog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according to Seo, Jae Cheol's idea. Most of all, we should study about student's public speaking realities and structure the contents of public speaking education based on it. So it needs that we systematically support the studies about it. 학교에서 학생들은 자기의 생각이나 의견을 표현할 기회를 자주 갖게 되지만, 어떠한 방식으로 말해야 하는가를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지도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공식적 말하기의 특징을 살피고,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상에 나와있는 말하기 교육내용을 살펴보았다. 공식적 말하기에 관한 내용은 내용생성이나 내용조직 면에서 일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었고 표현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그래서 공식적 말하기 내용을 구조화하기 위해 말하기 유형별로 말하기 내용을 제시하는 것과 서재철의 논의에 따라 언어구사능력, 논리적 조직 능력, 심적 전달 능력에 따라 구조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공식적인 말하기 실태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학생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구조화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말하기 실태를 파악한 후 학생들에게 필요한 말하기 교육을 정선해야 하며 이러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