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한국어 비원어민 화자 간에 나타난 말 끼어들기 양상 연구

        김영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한국어 비원어민 화자 간의 대화를 통해 나타난 말 끼어들기의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 비원어민 화자 간 대화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말 끼어들기 현상이 대화의 상호작용 속에서 미치는 영향 및 결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말 끼어들기가 갖는 교육적 함의를 모색해보고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먼저 말 끼어들기가 갖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서 기술하였고 국내와 국외로 나누어 말 끼어들기에 관한 선행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검토해 보았다. 또한 이들 주요 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말 끼어들기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이론적인 틀로 대화분석의 개념과 대화규칙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말차례 규칙과 관련하여 말 끼어들기 및 추이적정지점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비원어민 화자 간 대화 자료 수집을 위해 연구 절차, 연구 대상, 자료 수집 방법을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예비 조사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의 분석 및 전사 방법에 대해서도 기술하고자 하였다. 4장은 말 끼어들기 유형을 토대로 한국어 비원어민 화자 간에 나타난 말 끼어들기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것은 크게 말 끼어들기를 방법 및 기능의 관점에서 다양한 유형을 제시하였고 유학생과 여성 결혼이민자 그룹 간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 적절한 추이적정지점을 예측하기 위한 방안으로 먼저 통사적 단위의 관점에서 말 끼어들기 현상이 일어나는 지점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앞서 4장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하여 5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한국어 교재에 듣기 지문 활용과 말하기 과제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어 비원어민 화자 간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이 일어나도록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비원어민 화자들이 실제 한국인들의 발화처럼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였으며 발화할 때 일정한 차례를 지키기 보다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대방이 발화하는 중에 말 끼어들기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원어민 화자간의 말 끼어들기는 대화의 내용을 확인하거나 수정 및 보충하기 위해 말 끼어들기를 하기도 하고 대화를 적극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말 끼어들기를 시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은 상대방의 말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이거나 호응하는 말 끼어들기를 통해 원활한 대화가 이어지도록 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tries to show different aspects of “interruption” during dialogues through gathering and analyzing records of the conversations between non-native Korean speakers and studying how the interruptions affect the interactivity. The objective was to propose measures to implement the subtle lessons learned from the experiment to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Chapter one discusses the need and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and reviews prev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such experiment as well as studying their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Chapter two suggests a theoretical framework under which, dialogue rules and analysis methods are set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facets of the cutting-in. In addition, the optimal point of engagement in relation with the lingual patterns is mentioned. Chapter three explains the test procedure, data collection methods and how the candidates are selected followed by the preliminary and the main test. The method of analysis for the overall, combined data is discussed as well. Chapter four examines the process under an existing framework that was presented by Im, Gyu Hong (2001). The procedure provides various characteristics of “cutting in” by taking a separate approach for its method of use from its functional use and also investigates the difference in results between international students and immigrant wives. Furthermore, the routine occurrences of “cutting in” are scrutinized in order to predict the optimal point of engagement. Based on the results from chapter four, chapter five explores implementing these ideas for Korean education using listening and verbal exercises that can induce natural interactions between foreign Korean speakers.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foreigners tried to speak Korean like the natives and they cut in during dialogues in various ways rather than waited for their turn to talk. Sometimes one interrupted the other to correct mistakes and at other times, to lead the conversation. But it was apparent that the interruptions took place to serve a positive cooperation via friendly responses and encouraging remarks.

      • 조정 선수들의 Pre-warm up 강도가 2,000m 로잉 에르고미터 수행시 혈중젖산에 미치는 영향

        김영은 강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fluence of pre-warm up intensity of rowing athletes to blood lactate when conducting 2,000m rowing ergometer Kim Young-Eun Majoring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PURPOSE: This study confirmed the changes of rowing athletes' lactate when conducting 2,000m rowing ergometer in accordance with intensity of pre-warm up, and aims to suggest a basic data of efficient and appropriate pre-warm up intensity for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exercise performance capability of rowing.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 pre-test and 3 tests with 2 weeks of wash out period between each test. Pre-test measured maximal oxygen uptake(V˙O2max), maximal heart rate(HRmax) of test subjects based on Bruce protocol on tread mill, and set heart rate of pre-warm up intensity(50-60%, 65-75%, 80-90%) of each subjects. As for the main test, the subjects conducted rowing ergometer for 1 minutes per each pre-warm up intensity and had 2 minutes of rest. After 3 minutes of resting, they conducted 2,000m rowing ergometer in full power, and had 2, 5, 10 minutes of resting right after the ergometer. There were total 7 lactate measuring (before pre-warm up, after pre-warm up, 3 minutes after pre-wam up, after ergometer, 2, 5, 10 minutes after ergometer). The study used SPSS Ver.23 statistics program on measured data to calculate mean and SD of each variables, and as for the mean difference of each period(7 point) of measuring of each group(3 groups) in accordance with intensity, the study conducted Two-way repeated ANOVa to examine interactive effectiveness. An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ime within group, the study used One-way ANOVA and once there is a difference, the study conducted post test based on LSD.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data was α<.05. RESULTS: As for the analysis result of changes of lactate when conducting 2,000m rowing ergometer in accordance with pre-warm up intensity, among the difference of period within group, right after WU, WU intensity(80-90%) group' lactate (5.00±1.76 mmol.l⁻¹)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U intensity(50-60%) group's lactate(2.99±0.72 mmol.l⁻¹)(p<.05). In 3 minutes rest after WU, the WU intensity(80-90%) group's lactate(4.72±1.06 mmol.l⁻¹)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U intensity(50-60%) group's lactate(2.79±1.50 mmol.l⁻¹) and WU intensity(65-75%) group's lactate (2.22±0.57 mmol.l⁻¹)(p<.05). Right after 2,000m rowing ergometer, WU intensity 50-60% group's lactate (11.34±3.67 mmol.l⁻¹)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WU intensity (65-75%) group's lactate(10.28±1.37 mmol.l⁻¹) and WU intensity (80-90%) group's lactate(9.23±2.31 mmol.l⁻¹)(p<.05). As for 10 minutes resting after 2,000m rowing ergometer, WU intensity 50-60% group's lactate(11.25±3.51 mmol.l⁻¹)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U intensity (80-90%) group's lactate(8.40±1.91 mmol.l⁻¹)(p<.05), DISCUSSION: Higher WU intensity led to significantly higher lactate concentrate compared to low intensity group after WU, but after ergometer, the insignificantly lower lactate concentrate was measured. As for the ergometer record, WU intensity (65~75%) group had the best record. Thus, for high intensity sports likw rowing,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lactate secretion from mid-high intensity pre-warm up before game decreased lactate secretion during game, and thus, it could contribute to playing game as an energy source rather than a fatigue substance. 조정선수들의 Pre-warm up 강도가 2,000m 로잉 에르고미터 수행시 혈중젖산에 미치는 영향 김영은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RPOSE: 본 연구는 조정선수들의 Pre-warm up 강도에 따른 2,000m 로잉 에르고미터 수행 시 나타나는 젖산 변화를 확인하고, 조정 경기 중 운동수행력의 유지와 향상에 보다 적합하고 효율적인 Pre-warm up강도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METHODS: 본 연구는 사전검사 이후 본 검사는 3차에 걸쳐 실시하였고, 3차의 검사 사이에는 2주간의 wash out 기간을 가졌다. 사전 검사는 트레드밀에서의 Bruce protocol을 이용하여 피험자들의 최대산소섭취량(V˙O2max) 및 최대심박수(HRmax)의 측정값들을 토대로 각 피험자들의 Pre-warm up 강도(50-60%, 65-75%, 80-90%)의 심박수를 설정하였다. 본 검사는 로잉 에르고미터에서 Pre-warm up 강도별로 1분 동안 실시하고, 3분 동안의 휴식을 가졌다. 3분 휴식 이후 2,000m 로잉 에르고미터를 전력으로 실시하도록 독려하였고 에르고미터 직후 2분, 5분, 10분 동안의 휴식기를 가졌다. 젖산 측정은 총 7회(Pre-warm up 전, Pre-warm up 직후, Pre-warm up 후 3분, 에르고미터 직후, 에르고미터 후 2분, 에르고미터 후 5분, 에르고미터 후 10분)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될 모든 자료는 SPSS Ver.23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측정 변인들의 평균(Mean)과 표준편차(SD)를 구하고 운동 강도에 따른 집단(3) 별 측정 시기 간(7) 평균차이 검증은 반복이원변량분석(Two-way repeated ANOVA)을 실시하여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집단 내 시기에 따른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One-way ANOVA를 이용하였으며 시기 간 차이가 인정될 경우 LSD에 의한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의 유의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RESULTS: Pre-warm up 강도에 따른 2,000m 로잉 에르고미터 수행 시 나타나는 젖산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집단 내 시기별 차이에서 WU직후에서 WU강도(80-90%)집단이 젖산 수치(5.00±1.76 mmol.l⁻¹)로 WU강도(50-60%)집단의 젖산수치(2.99±0.72 mmol.l⁻¹)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WU직후 3분의 휴식에서 WU강도(80-90%)집단에서 젖산수치(4.72±1.06 mmol.l⁻¹)로 WU강도(50-60%)집단의 젖산수치(2.79±1.50 mmol.l⁻¹)와 WU강도(65-75%)집단의 젖산수치(2.22±0.57 mmol.l⁻¹)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2,000m 로잉에르고 미터 직후에서 WU강도50-60% 집단이 젖산 수치 (11.34±3.67 mmol.l⁻¹)로 WU강도(65-75%)집단의 젖산수치(10.28±1.37 mmol.l⁻¹)와 WU강도(80-90%)집단의 젖산수치(9.23±2.31 mmol.l⁻¹)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왔다(p<.05). 2,000m 로잉에르고미터 이후 휴식 10분에 WU강도50-60% 집단이 젖산 수치 (11.25±3.51 mmol.l⁻¹)로 WU강도(80-90%)집단이 젖산 수치(8.40±1.91 mmol.l⁻¹)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DISCUSSION: WU강도가 고강도일수록 WU이후 나타난 젖산의 수치에서 저강도의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젖산농도로 측정되지만, 에르고미터 이후에서는 유의하게 낮은 젖산의 농도로 측정되었다. 에르고미터 기록에서는 WU강도(65-75%)의 그룹에서 기록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냈다. 따라서 조정과 같은 고강도 종목에서의 경기 전 중강도 Pre-warm up이 선행되어 생성된 젖산의 농도는 경기 중 생성되는 젖산 농도를 감소시키고 젖산은 더 이상 피로물질이 아닌 에너지원으로서 경기력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반응적 및 주도적 공격성 청소년의 사회정보처리 특징

        김영은 아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반응적 공격성 및 주도적 공격성 청소년의 사회정보처리 특징을 비교하였다. 반응적 및 주도적 공격성에 대한 교사-평정도구를 사용하여 네 집단(반응적 공격성 집단, 주도적 공격성 집단, 반응-주도적 공격성 집단, 비공격적 집단)으로 구분하고, 네 집단 간에 적대적 귀인편파, 반응탐색과 반응선택, 목적선택, 결과-기대와 자기-효능감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반응적 공격성 집단은 반응-주도적 공격성 집단과 비공격적 집단에 비해, 그리고 반응-주도적 공격성 집단은 주도적 공격성 집단에 비해 애매한 도발상황에서 적대적 귀인편파를 나타내었고, 반응적 공격성 집단과 반응-주도적 공격성 집단은 주도적 공격성 집단과 비공격적 집단에 비해 보복 목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도적 공격성 집단은 반응-주도적 공격성 집단, 반응적 공격성 집단, 비공격적 집단에 비해 지배목적을 가지며, 비공격적 집단에 비해 더 많은 공격반응율을 보였고, 반응적 공격성 집단과 비공격적 집단에 비해 신체적 공격행동에 대해 더 높은 자기효능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주도적 공격성 집단은 반응적 공격성 집단에 비해 신체적 공격행동에 대해 더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했고, 비공격적 집단에 비해 언어적 공격행동에 대해 더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교실 사용언어가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의 어휘 습득,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소집단 활동을 중심으로

        김영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TETE; Teaching English in English, TEE)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활발해짐에 따라 실제 영어 수업에서 학습자들이 겪을 수 있는 한계점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을 통해 7차 교육과정에서 지향하고 있는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외국어 수업 시간 중 교실 안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크게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는 언어와 학습자들 간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는 언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교실 내 언어는 동일한 언어를 공통적으로 사용하는(homogeneous)집단일 경우 해당 모국어를 사용하는 경우와 목표 언어(target language)를 사용하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의 영어 수업에서는 목표 언어인 영어를 사용하기 보다는 한국어를 사용하여 교사가 영어의 4가지 기능을 가르쳤으며, 학습자들 사이에서도 한국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하는 경우가 가장 보편적인 형태였다. 하지만 의사소통중심 교수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의 일환으로 목표언어를 사용하여 영어를 가르치는 수업으로의 전환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목표언어를 학습함에 있어서 교사가 사용하는 언어는 학습자들에게 중요한 요소일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 간에 사용하는 언어도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우리나라와 같은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한국 대학생 학습자들을 선정하여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과 영어와 제한된 한국어로 진행하는 말하기 과업 활동 중심의 수업을 중심으로 학습자들의 목표 어휘 습득, 말하기 능력의 변화와 말하기 과업 수행 중 의미협상의 과정 및 학습자들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학습자들의 입장 및 요구를 파악하며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에서의 장점을 최대화시키고 한계점을 극복하여 보다 효율적인 영어과 수업을 계획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8명을 대상으로 소집단 말하기 활동을 30분씩 6차시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모든 대화나 학습 과정들은 비디오 및 오디오 녹음을 통해 교실 사용언어 변인이 미칠 수 있는 효과에 관해 연구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폐쇄형 설문과 개방형 심층 설문지를 바탕으로 교실사용언어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의견을 들어볼 수 있었다. 수집된 학습자들의 대화 자료는 전사 및 분석 되었고 학습자들의 의미 협상 방식을 바탕으로 실제 학습자들이 교실 내에서 어떠한 방식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해 나가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습득 영역에서는 영어를 사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던 실험집단 I과 영어와 한국어를 사용하였던 실험집단 II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영어를 사용하여 교사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한 실험집단 I은 사전·사후·지연 어휘 평가에서 각각 실험집단 II에 비해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또한 상·하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어휘 습득 영역을 살펴볼 때 상위 학습자들에 비해 하위 학습자들이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둘째, 말하기 영역에서는 영어를 교실 사용언어로 학습하였던 실험집단 I과 영어와 한국어를 교실 사용언어로 학습하였던 실험집단 II와의 통계적인 차이는 살펴볼 수 없었지만, 어휘 습득 영역과 마찬가지로 실험집단 I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실험집단 II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II의 경우 사전 점수에 비해 사후 점수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서 말하기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 영어와 한국어를 병행하기보다 영어로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드러낸다. 상·하위 학습자들 중 상위 학습자들은 말하기 영역 중 과제 완성도, 유창성 및 복잡성 면에서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실험 수업을 통해 정확성 및 복잡성 면에서 사전 평가에 비해 향상도를 보였다. 본 연구가 단기간 6차시의 말하기 과업 활동을 중심으로 말하기 능력의 변화를 살펴보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연구가 진행된다면 학습자들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 예상된다. 셋째, 의미 협상 방식에 있어서는 Ellis(2003)가 제시한 '명료화 요청(clarification request)', '이해확인(comprehension check)', '재확인(confirmation check)', '형식 오류 수정(recast)'의 4가지 항목의 사용을 평가하였는데 학습자들은 '명료화 요청'을 가장 많이 의미 협상 방식에서 채택하고 있었으며, '이해확인'과 '형식 오류 수정'을 통한 의미 협상 방식은 다른 영역에 비해 사용 빈도수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이유는 학습자들이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계획된 말하기 과업 활동 중심의 수업을 받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문법적으로 정확한 발화를 구사하는 것 보다 의미 전달에 더 중요한 초점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의미를 파악하며 상호작용을 진행하는 '명료화 요청'의 의미협상 방식을 가장 많이 채택하였던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의 설문을 통해서 정의적인 측면과 학습자들의 교실 사용언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는데,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학습자들은 교사가 모국어인 한국어를 사용하여 수업시간에 개념을 제시하기 보다는 목표언어인 영어의 입력을 쉽게 조절하여 쉽게 풀이해주는 방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학습자들이 외국어로 영어를 학습하는 상황이지만 구체적인 어휘나 표현들은 실제 언어 사용 상황을 통해 입력을 받고 싶어 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성인 학습자들의 높은 학습동기요인도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별히 EFL상황의 성인 학습자들에게는 교실 내 영어 입력이 긍정적인 학습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교실 사용언어에 대해 교사 및 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고려해 볼 때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에서 교사의 언어와 학습자의 언어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특별히 영어 수업에서 모국어를 사용하여 입력을 주는 방식보다는 교사가 학습자들의 필요를 미리 파악하여 학습자들의 이해에 어려움을 주는 요소에 관한 교실 사용언어를 조직하고, 교사의 언어를 체계화, 계층화시켜서 단계별로 학습자들에게 제시한다면 학습자들은 영어가 외국어로 사용되는 EFL상황이지만 교사의 영어 입력과 학습자들의 목표언어 사용을 통해 유의미한 영어 수업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또한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관해서 교사가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며 학습자들의 의미협상 방식에서도 4가지 영역을 고루 사용하며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아직까지도 우리나라에서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에 대한 많은 우려의 목소리가 있지만, 교사가 교실 사용언어를 조직함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영어 학습자들에게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면 목표 언어의 노출이 제한되어 있는 EFL상황이지만 교실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능력 증진 및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의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language medium of classroom instruction, English only or both English and Korean, has an effect on Korean college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speaking ability and attitude. As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pursues the policy,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TETE)', many teachers and students are now expected to have classes taught only in English. As a result,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ETE, whi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anguage variables on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in the classroom. However,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learning process of many students, supplementary in-depth examinations should be made from the learner's viewpoint. Therefore, current study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lassroom language on Korean college students, using variables of vocabulary learning, speaking ability, and attitude of English learners, who performed six different speaking tasks. Two groups, consisting of fou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promote learners' participation and elicitation,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within the small group setting. The tasks were designed to elicit students' utterances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analyze learner's language and interaction abilities. The topic of each activity was closely related with college life. The participants were engaged in six sessions, each involving 30-minute speaking tasks. All the spoken language and interaction among teacher-student, student-student was audio-recorded, video-taped, and transcribed. The findings through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lassroom language use did not have any statistical effect on vocabulary learning. Although the statistics result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e Experimental Group I, whose classroom language was controlled as English-only environment, scored better on the pretest, posttest and delayed test that was performed one week after the lesson. In consideration of proficiency levels, learners of lower proficiency showed greater improvements than learners of higher proficiency for both experimental groups. Second, the results from the speaking tests indicated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However,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I, which used English as a classroom language showed improvement after the lesson, Experimental Group II, which used English and Korean as a classroom language scored lower on the posttest than on the pretest. In addition, students with lower proficiency level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fluency and complexity category of analytic scoring.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vocabulary tests, whichi indicated the group using English as a classroom language showed better performance on speaking test as well. It is speculated that the result is due to the different language input and output among learners, sinc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I engaged in the activities with various modifications of their English input, which indeed promoted language learning. Furthermore, while performing the speaking activities, students used 'negotiation of meaning' pattern. Among the 4 sub-categories of negotiation of meaning pattern, 'clarification request' was the most commonly practiced category. Also, students rarely used 'comprehension check' and 'recast' skills to communicate within the classroom environment, offering some meaningful suggestions for both teachers and learners: to promote more a meaningful interaction in a language classroom setting, teachers should guide students and provide exemplary models of interaction patterns, so that students can take advantage of different functions of the negotiation of meaning. Thus, students would eventually incorporate such patterns into their own language learning skills. Lastly, through the questionnaire, students reported that rather than being exposed to the English and Korean mediums of instruction, they preferred to be in the English-only speaking environment to develop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Accordingly, in order to promot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teacher's role in the classroom is critical, because the teacher presents the most of the input in the classroom. Based on this idea, through well-organized and stratified 'teacher talk', students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English language skills and gain meaningful classroom experiences. When learner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ppropriate feedback and guidance from the teacher is a necessity in order to benefit numerous students who are in the EFL learning environment. While there were many concerns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ETE in the Korean-English education context, with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and teachers' well-planned, structured lesson, both learners and teachers will ultimately benefit from TETE. Through learners' and teachers' active engagement, learners can improv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gain meaningful classroom experiences. Even though this study displayed several results and implications in the language classroom surroundings, further investigations are suggested involving a greater population, extended periods and different classroom settings.

      • 픽토그램(pictogram)을 활용한 지도 방법이 초등학생의 영어 알파벳 인식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영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실용영어를 위한 말하기, 쓰기 영역이 중요시되는 사회적 요구와 2011년부터 실행된 3,4학년 검정 영어교과서 도입이라는 흐름 속에서 쓰기교육의 시작인 알파벳 인식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알파벳의 인식 정도를 알아본 결과 알파벳 유사 형태에 따른 식별을 어려워 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알파벳 픽토그램을 활용한 지도가 알파벳 인식 능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 지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의 실행을 위해 충남 아산 지역 A초등학교 3학년 112명 학생들을 표집하여 16주 동안 알파벳 픽토그램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실험반과 알파벳과 그림이 따로 제시된 자료를 활용한 통제반으로 나누어 실험 수업을 했다. 또한 초등학교 3학년 14종의 검정 교과서의 알파벳 관련 내용만 발췌하여 단원별 제시 알파벳, 지도 방법 및 활동, 제시 단어, 알파벳 픽토그램의 활용 여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알파벳 픽토그램을 활용한 교수․학습은 초등학교 3학년 학습자의 알파벳 인식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 영역인 알파벳 읽기, 쓰기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효과 또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알파벳 픽토그램을 활용한 교수․학습은 b/d, m/n, p/q, u/v, I/l 과같은 혼동하기 쉬운 알파벳 모양 식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알파벳 픽토그램을 활용한 교수․학습은 초등학교 3학년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미치며 하위 영역인 흥미도, 자신감, 자기 주도력 항목에 실험반이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넷째, 초등학교 3학년 검정 교과서 14종을 분석한 결과 알파벳 대․소문자 따라쓰기, 알파벳 대․소문자 연결하기 활동이 가장 많았고, 알파벳 모양과 소리, 단어를 그림과 함께 제시한 교과서는 8종이며 그 중 알파벳 픽토그램을 부분적으로 활용한 교과서는 1종이었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학습자들이 알파벳의 이름을 알고 있으면 알파벳을 인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읽기의 기초 단계인 소리와 철자의 관계를 학습자들이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알파벳 학습 활동이 빠르게 끝나버릴 때가 많다. 본 연구를 통해 알파벳 픽토그램을 활용한 교수․학습은 학습자들이 재미있게 알파벳 모양을 인지하고 소리와 철자와의 관계를 인식하는 긍정적인 도움이 되는 방법임을 제시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읽기와 쓰기의 시작인 알파벳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다감각적으로 총체적인 학습을 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게 추상적인 기호로서의 알파벳이 아닌 알파벳 픽토그램과 같은 이야기와 그림이 연상되는 감성적인 영어 학습이 필요하다. 현재 개발된 자료들은 영미문화의 것이 대부분인데, EFL환경에서 보다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알파벳 인식에 대한 의견이 학자들마다 다르므로 EFL 언어 학습자의 알파벳 인식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사용에 제한점이 있었으며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측정도구에 대한 고민은 앞으로 진행되는 관련 연구에서 지속되어야 한다. 셋째, 현 검정 교과서의 알파벳 지도 방법에 있어서 알파벳의 모양, 소리, 단어 인지와의 자연스러운 연계가 되는 활동과 그를 위해 저학년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한 교수․학습 자료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김영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chil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and, for this purpose, performed tasks as follows. First,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chil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and examine differences in child rearing stres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pastors’ wives. Second, we determined the relation between chil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and the husband’s (pasto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perceived by pastors’ wives. Third, w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chil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and church believers’ expectation from and perception on pastors’ children. Lastly, w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chil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and their role satisfaction. For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20 pastors' wives with preschool children. To measure chil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we used the scale utilized in researches by Oh Eun gyeong (2001) and Jeong Yeong ae (2004), revising it for this research. To measure husband's (pasto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perceived by pastors' wives, we used the scale utilized in researches by Nor Hyun mi (1999) and Yu Dong mi (2003), revising it for this research. To measure church believers' expectation from and perception on pastors' children, we used the scale utilized in researches by Kang Gyeng soo (1994), revising it for this research. And to measure role satisfaction of pastors' wives, we used the scale utilized in researches by Kim Jeong kwon (1997) and Nam Myeong hyun(2003), revising it for this research. From collected data, we calculated the total score of chil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using SPSS. Differences in child rearing stress according to wives' background variables were determined based on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One Way ANOVA, and the relation between chil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and the husband's (pasto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perceived by pastor's wives was examin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he relation between chil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and church believers' expectation from and perception on pastors' children was examin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lation between chil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and their role satisfaction was examin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s of chi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was 67.3 (13.12) out of 88, which is 76.46 (14.9) out of 100, a high level through not serious.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chi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chil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was higher when their marriage life was short, when it had not been long since becoming a pastors' wife, when their perception on stress was more serious than ordinary people's, when the number of children was large, when children were young, when the husband did not spend much time with the children, when the husband's position was high, when the number of registered believers was small, when the church was in an urban area, when the house was situated inside the church and when the average monthly income was small.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chil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and the husband's (pasto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perceived by pastors' wive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that is chil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was lower when the husband'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was high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chil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and church believers' expectation from and perception on pastors' children, the two factor were in a positive correlation, that is chil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was higher when church believers' expectation from and perception on pastors' children were high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chil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and their role satisfactio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that is child rearing stress in pastors' wives was lower when their role satisfaction was high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본 연구에서는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에 관하여 연구하며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는 어떠한지 알아보았고, 이는 목회자 아내의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목회자 아내가 인식한 남편(목회자)의 자녀 양육 참여 정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셋째,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목회자 자녀에 대한 교인들의 기대와 인식과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는 목회자 아내의 역할 만족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유아기 자녀를 둔 목회자 아내 22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오은경(2001)과 정영애(2004)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수정 · 보완하였고, 목회자 아내가 인식한 남편(목회자)의 자녀 양육 참여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노현미(1999)와 유동미(2003)의 연구에서 사용한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 정도 척도를 수정 · 보완하여 아내가 측정하였고, 목회자 자녀에 대한 교인들의 기대와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강경수(1994)의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를 수정 · 보완하였고, 목회자 아내의 역할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김정권(1997)과 남명현(2003)의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를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하여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의 총점을 구하였고, 아내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목회자 아내가 인식한 남편(목회자)의 자녀 양육 참여 정도의 관계,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목회자 자녀에 대한 교인들의 기대와 인식의 관계,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목회자 아내의 역할 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 문제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의 평균은 총점 88점 만점에 67.3(13.12)점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면 76.47(14.9)점으로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목회자 아내의 배경변인에 따른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를 알아본 결과, 목회자 아내가 결혼 한 년 수가 짧을수록, 목회자 아내 된 년 수가 짧을수록, 목회자 아내가 일반인과 비교하여 생각한 스트레스에 대한 인식이 심각할수록, 목회자 아내의 자녀가 많을수록, 목회자 아내의 자녀의 나이가 어릴수록, 남편과 자녀가 함께 보내는 여가시간이 적을수록, 남편의 직위가 높을수록, 섬기는 교회의 등록교인 수가 적을수록, 농어촌 교회일수록, 사택이 교회 안에 위치할 때, 목회자 아내의 가정 월 평균 수입이 적을수록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목회자 아내가 인식한 남편(목회자)의 자녀 양육 참여 정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목회자 아내가 인식한 남편의 자녀 양육 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자녀 양육 스트레스도 낮아지는 부적 상관관계에 있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목회자 자녀에 대한 교인들의 기대와 인식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목회자 자녀에 대한 교인들의 기대와 인식이 높을수록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는 높아지는 정적 상관관계에 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와 목회자 아내가 인식한 남편의 자녀 양육 참여 정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목회자 아내의 역할 만족도가 높을수록 목회자 아내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는 낮아지는 부적 상관관계에 있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