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괴테의 시 'Kennst du das Land'에 곡을 붙인 -슈베르트, 슈만, 볼프 가곡 비교·연구-

        김에스더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의 소설 ⌜Wilhelm Meister(빌헬름 마이스터)⌟중 미뇽(Mignon)의 노래 ⌜Kennst du das Land(그 나라를 아시나요)⌟에 곡을 붙인 세 작곡가 슈베르트(Robert Alexander Schubert, 1810∼1856)와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 볼프(Hugo Philipp Jacob Wolf, 1860∼1903)의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아울러 작곡가별·시기별 특징에 따른 정확한 이해와 해석을 통해, 낭만주의 독일 예술가곡을 대표하는 이 세 작곡가의 작품에 대한 바른 연주 방법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우선, 괴테의 생애와 「빌헬름 마이스터」의 내용을 살펴본 후, 슈베르트와 슈만, 볼프의 생애와 그들 가곡의 일반적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시 「Kennst du das Land」의 해석을 거쳐, 여기에 곡을 붙인 세 작곡가의 실제 작품을 형식, 화성과 반주, 성악 선율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슈베르트의 「Mignon」은 단조로운 순차진행과 단순한 서정적 선율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전체적으로 온음계 화성을 사용했지만 회화적 표현을 위해 화성에 변화를 주었다. 이 곡은 슈베르트의 초기작품으로 이후에 작곡된 가곡의 피아노 반주보다는 덜 회화적이지만, 반주가 갖는 역할의 중요성을 보여주려 노력했다. 슈만의 「Kennst du das Land」는 전체적으로 낭만주의 성격이 강하게 드러나고 슈베르트보다 음악의 짜임새가 복잡하다. 멜로디는 서정적이나 반음계 화성이 많이 나타난다. 반주는 독립적이지만 성악 선율과 조화를 이루며 동등한 위치를 차지한다. 볼프의 「Mignon」은 시어를 중요하게 여겨 성악 성부에 낭송조를 선율로 사용하였다. 슈만보다 더 많은 반음계 화성을 사용했고 잦은 전조로 인해 무조 음악으로 가려는 성향이 보인다. 피아노는 성악 성부의 부족한 표현을 보충해 주며, 이전의 두 작곡가들이 배치한 것보다 피아노 반주의 역할이 우월한 위치에 있다고 하겠다. 세 작곡가 모두 시와 음악의 결합을 중요하게 여기며, 개인의 특성에 맞게 예술가곡으로 재창조하였다. 동일한 시에 곡을 붙인 이들 세 작품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서로 다른 시기별 작곡기법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이해하고, 연주자의 보다 깊이 있는 곡 해석을 돕고자 한다. Three leading composers of Romantic Deutsches Kunstlied, namely, Robert Alexander Schubert(1810∼1856), Robert Alexander Schumann(1810∼1856), and Hugo Philipp Jacob Wolf(1860~1903) wrote music based on the same poetry「Kennst du das Land」which is one of Mignon’s lieder from the novel「Wilhelm Meister」by Johann Wolfgang von Goethe(1749~1832). This thesis will analyze those three works in relation to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sers and periods. Through this study, performers will understand the concept of each work precisely and will learn the proper way to perform. First of all,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lifetime of Goethe and contents of「Wilhelm Meister」and it will consider the lifetime of Schubert, Schumann, and Wolf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ser’s lieder. Furthermore, it will translate the poetry「Kennst du das Land」and compare and analyze the three different works by above composers focusing on the form, harmony and accompaniment, and vocal melody. Upon the analysis of「Mignon」by Schubert, he put emphasis on writing lyrical and simple melody with the step progression. He used diatonic harmony throughout the work but he also used different style of harmony to create pictorial effects. As this work is one of Schubert’s early works, the accompaniment is less pictorial than his later works; however, he still tried to show the importance of accompaniment. Upon the analysis of「Kennst du das Land」by Schumann, the romanticism is well brought out in this work, and it is more complicated in overall composition than Schubert’s. The melody is lyrical but chromatic harmony appears frequently. Although the accompaniment is independent, it is well-balanced with vocal melody and both melody and accompaniment take almost the same role. Upon the analysis of「Mignon」by Wolf, the melody is in recitation style and Wolf put emphasis on the poetic language as much as he used vocal parts. He used more chromatic harmony than Schumann did; moreover, his work has a tendency to become atonalism because of frequent modulations. The accompaniment helps the melody to fully express the music, and it takes dominant role much more than any other two works. All of three composers focused on combining the poetry with music, and they reformed it as Kunstlied according to their own characteristics. As this thesis compares and analyzes three composers’ Lieder based on the same poetry, it will help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ange in composing style and technique of each period. Also, this thesis will help singers and pianists to analyze deep into the works.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소나타에 관한 연구 : 피아노 소나타 No.2, Op.14을 중심으로

        김에스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S.Prokofiev(1891-1953), a Russain pianist and composer representating Neoclassicalism, left achieved great work without losing his own color despite the turbulent times in the twentieth centry. He established his own new musical language by combining Classical with Modern following the musical trend of the twentieth centry. In his early days of composing, mainly influenced by Russian music, his music was mainly lively and bright. In the wake of the Russian Revolution in 1917, many artists were pushed aside from the mainstream culture. This sudden change in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as a whole has had a great impact on Prokofiev’s life. He left his home country for a while to work in Paris and in the United States. Later 14 years, when he returned to Russia, he composed music that conformed to the government’s “Artistic suppression policy”. This policy was a part of the government’s method to establish social realism, but he did not lose his musical color until the end, leaving behind a variety of works including Sonata, Concertos, Symphonies and Ballet music. Prokofiev described his musical features in his autobiography in five ways: Classical, Modern, Toccata, lyrical and Grotesque. In particular, it emphasizes melody and lyricism, and the piano is treated as a percussion instrument, so it used a lot of Toccata style. Since there are no stylistically stark changes in Prokofiev’musical life, the five musical characteristics mentioned above are shown with a difference in degree and are applied to all of Prokofiev’s works. ≪Piano Sonata No.2 Op.14 in d minor≫ an early work by Prokofiev, has the fiev musical characteristic distinctively emphasized in each movement. The first and fourth movements used the form Allegro Sonata and the classical elements like simple rhythms and accompaniment were used to clear the main melody. The second movement uses accents or staccato in the form of a Toccata. The third movement is a slow movement by Andante, which is characterized by a Grotesque and Lyrical melody, with a sudden leap and a combination of discord and sharp contrast of music. In the fourth movement, the elements used in the first movement are used to connect the entire song organically. 세르게이 프로코피에프(Sergei Prokofiv, 1891-1953)는 신고전주의를 대표하는 러시아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 20세기의 격동의 시대적 흐름 속에서도 자신만의 색채를 잃지 않고 많은 작품을 남겼다. 피아노를 타악기로 생각하였고, 고전적 요소와 20세기 음악적 흐름에 따른 현대적 요소를 결합하여 자신만의 새로운 음악적 어법을 확립하였다. 작곡 초기에는 주로 러시아의 음악에 영향을 받았으며 자국에서 활동하였으며 활기차고 밝은 느낌의 작품들이 많다. 이후 러시아 혁명으로 인해 혼란스러운 고국을 떠나 망명하는 작곡가들이 생겼는데, 프로코피에프 역시 미국과 파리로 망명하여 새로운 환경에서 음악적 견해를 넓혀가며 작품활동을 이어나갔다. 다시 고국으로 돌아왔을 땐, 당시‘사회적 리얼리즘’의 일환으로‘예술탄압정책’이 시행되고 있어 많은 예술가의 창작활동에 제약이 걸렸고, 프로코피에프는 정책에 따라 국가에 순응하면서도 자신만의 음악을 만들어냈다. 프로코피에프는 20세기 작곡가로서는 드물게 다작을 남겼으며, 훌륭한 피아니스트이기도 했던 그는 작곡한 곡을 직접 초연하기도 했다. 그의 피아노 음악으로는 45년에 걸쳐 작곡한 9개의 소나타가 대표적이며, 피아노 협주곡, 그 외로는 발레음악을 직접 편곡하거나 고전적 형식을 따른 음악들이 있다. 그는 자서전에 자신의 작품에 대한 음악적 특징을 고전적, 현대적, 토카타적, 서정성, 그리고 그로테스크로 정리하였다. 이 다섯가지의 특징들은 정도의 차이만 나타날 뿐 프로코피에프의 모든 작품에 적용된다. ≪Piano Sonata No.2 op.14 d minor≫는 프로코피에프의 초기작품으로 자신이 추구했던 5가지 음악적 특징들이 잘 나타난 작품이다. 악장마다 조금 더 강조되는 요소들이 있는데, 1악장과 4악장은 알레그로 소나타 형식을 사용했으며, 단순리듬과 주선율에 반주를 가진 고전적 형식을 따르고 있다. 2악장은 스케르쵸 형식으로 악센트나 스타카토를 사용하여 선율보다는 리듬을 강조하는 토카타적 요소가 두드러진다. 3악장은 Andante의 느린 악장으로 반음계로 진행하거나, 갑작스러운 도약이 나타나며 불협화음, 급격한 악상의 대비와의 결합으로 해학적이면서도 서정적인 선율이 특징적이다. 4악장에서는 1악장의 요소들을 사용하여 곡 전체를 유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 파커 팔머의 교육사상을 통한 기독교교육적 공동체 교사교육 :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김에스더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맞아 세계와 우리나라가 안고 있는 교육의 위기와 정체성 도전에 동시대를 사는 그리스도인으로 과감히 맞서 영적 여정을 살고 있는 팔머를 통해 교육적 대안과 길을 찾고자 하였다. 행복한 삶을 위해 배우는 지식이 거꾸로 인간의 삶을 파멸로 이끄는 지식의 폭력을 팔머는 통찰하였다. 기존의 객관적이고 진보적인 교육에서 인식된 지식은 가치중립적이고 도구적이어서 개인의 이익과 승리를 위해 세상을 조작하는데 사용되었기에 책임감을 가지고 세상의 문제를 풀어가는 일에 소용되는 살아있는 지식이 되지 못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떠밀려온 인식주체인 인간은 자동 인식 대상인 지식과 세상으로부터 소외되고 지식의 오만한 힘에 정복당하여 파멸과 죽음의 위기 가운데 내몰리는 지경이 된 것이다. 암중모색(暗中摸索)하는 처지의 참담함 속에서 표류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맞서 일어날 수 있는 놀라운 통찰과 혜안으로 팔머는 근대의 지식을 출발시킨 원천을 호기심과 지배욕으로 진단하였다. 지배욕에서는 응용과학처럼 실용적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지식만 있을 뿐이고 호기심에서는 순수 이론처럼 지식 자체가 목적인 지식만 양산된다. 호기심과 지배욕으로 특징되는 현 교육사조가 이끄는 결말은 죽음으로 이끄는 지식이라는 위기를 타개하는 놀라운 대안으로 팔머는 생명으로 이끄는 지식인 자비와 사랑을 말한다. 지식에 대한 우리의 가장 깊은 욕구는 세계가 처음 창조되었을 때의 유기적 공동체를 재창조하려는 열정이며 지식의 기원은 이런 공동체에 대한 사랑이라는 것이다. 사랑에서 발원하는 지식은 인식주체를 그 대상으로부터 소외시키지 않고 올바른 관계를 회복시키며 책임감 있는 지식, 상호적이고 인격적인 지식을 가능하게 한다고 팔머는 말하였다. 교육을 진리의 순종이라고 말한 팔머에 정의가 암시하듯 팔머를 통한 인식대상과 인식주체간의 간주관적(Intersubjectivity) 입장의 진리 이해와 통찰을 얻기 위해서는 국내에 번역된 저서연구를 통해서 귀한 사상을 공유할 수 있음은 큰 행운이었다. 이어 본 논문을 간단한 장별 요약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2장, 파커팔머의 생애에서 다방면으로 활동하고 있는 그의 이력과 심원한 영적 통찰력과 교훈을 요약하여 팔머를 향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3장, 파커팔머의 교육사상에서는 사상의 배경이 되는 내용 소개와 주요 교육사상을 다섯 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4장에서는 기독교교육적으로 보는 공동체 이해를 살폈고 팔머가 말하는 공동체현상의 세 가지 스펙트럼을 소개하였다. 앎과 가르침, 학습으로 나누어 소개 후 팔머의 교사 공동체 특징을 7가지 열거하였다. 5장에서는 파커팔머에 근거한 기독교교육적 공동체 교사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논하였고, 마지막으로 팔머가 그의 공동체 정신의 실천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국내외 훈련 방법과 사례들을 소개 후, 필자가 제시하는 E.I.T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제언으로 마무리를 한다.

      • 구성주의 박물관교육의 디지털 미디어 활용 방안 : “내 안의 가능성을 찾아라!”를 중심으로

        김에스더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Since the widespread of digital technologies, also known as the Digital Innovation, digital media has proven their educational capabilities. As a result, the museum education sector has been utilizing digital media in its education programs. Meantime, constructivist education emphasizes composing personal knowledge through learner-centered, cooperative empirical education. While the paradigm shifted du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 the constructivist education theory has shown its significance. Nowadays, museums operat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using digital media, so that they embody the value of museum education and practice constructivist education theory. Regarding such tendency,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direction for application of digital media in constructivist museum education through the case study on the youth education program, ‘Find My Inner Potential!’, produc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in attempt to diversify the methods of viewing and studying the contents of museums. With the case method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above,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fundamental documents to define the elements of digital media use and applied the deducted aspects in the case analysis. To begin with, it examined the concepts and attributes of digital media in the early 21st century, in which digital technology proliferated, and clarified the educational effects in relations with the new digital media paradigm. Furthermore, referring to the notion of constructivism and its development process in learning theory,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vist museum education and correlations between digital media and constructivist education theory. This process demonstrated the necessary elements for constructivist museum education to make use of digital media. As a next step, the study focused on the main subject case of this research, ‘Find My Inner Potential’ program, based on the deductions made from the earlier stage of this study. This includes analysis of programs from 2014 to 2017 regarding the years of production; it also categorized the media contents, which was the outcome of production based education, by two genres: film production (2014~2016) and game production (2017). In the analysis, it is convinced that ‘Find My Inner Potential!’s development process, in which they gave shapes to museum collections into media contents, diversified means to experience the museum contents and allowed the learners a career explor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evident that the program failed to fulfill its educational purpose as the developers focused on technical aspects, such as experience in digital media and technology, and finishing the project.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s for digital media use in museum education by referring to domestic and foreign cases with implications deduced from the case. The research indicates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it is recommended that museums create digital environments for the educational benefits of digital media and make it into a medium for creative activities rather than mere empirical education. Secondly, museums need to develop programs that suit their digital environment. To do so, it is necessary to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institution and make improvements through cooperation with external organizations. Thirdly, the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must consider the learners’ backgrounds and contexts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also, it should guide learners to work cooperatively on substantial assignments to motivate them and improve their problem-solving skills. Lastly, it is crucial to arrange education that trains one’s insight in the latest trends in digital technology and museum for the sake of training professional personnel who are cognizant of the significance that digital media utilization hold. Expectantly, constructivist museum education sector develops a pertinent methodology of digital media utilization through this study, followed by sustainable museum education programmed to be designed and operated. 이른바 디지털 혁명이라 불리는 디지털 기술의 보편적 확산이 이루어진 후, 디지털 미디어가 교육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이 입증됨에 따라 박물관교육 분야에서도 교육 프로그램에 디지털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한편 학습자 중심의 협동적 체험학습을 통해 이루어지는 개인적인 지식의 구성을 강조하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은 기술발전에 의한 패러다임의 전환 가운데 당위성을 획득하였다. 이때 박물관은 비정형교육기관으로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박물관교육의 가치를 구현하고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실천하기 위한 여러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 중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박물관의 소장품에 대한 탐구와 감상의 방법을 다양화하기 위해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콘텐츠를 제작한 국립중앙박물관의 청소년 교육 프로그램 “내 안의 가능성을 찾아라!”의 사례를 통해, 구성주의 박물관교육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사례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기본적인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디지털 미디어 활용의 요소를 도출하고 사례분석에 적용하였다. 먼저 디지털 기술의 확산이 일어난 21세기 초반을 기준으로 디지털 미디어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시대적 변화에 따라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 패러다임과 그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의 교육적 효과를 정리하였다. 이어서 구성주의의 개념과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발전과정을 통해 구성주의 박물관교육의 특징과 디지털 미디어와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연관성을 찾았다. 그 과정에서 구성주의 박물관교육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기 위한 요소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집중사례인 “내 안의 가능성을 찾아라!” 프로그램을 앞서 도출한 요소를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먼저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운영된 프로그램의 연도별 특징과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어서 제작기반 교육의 결과물이었던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의 장르를 기준으로 영상제작(2014~2016), 게임제작(2017)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 안의 가능성을 찾아라!”가 소장품에 대한 탐구를 발전시켜 콘텐츠로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소장품 감상의 다양화와 진로탐색을 가능케 했다는 의의를 찾을 수 있는 반면,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과정에서 디지털 기술 및 미디어의 체험과 결과물 완성에 집중하게 되어 본래의 교육적 목표가 실현되지 못한 점을 강조하였다. 다음으로는 집중사례에서 도출한 시사점을 디지털 미디어를 교육에 적용한 국내·외 박물관의 사례와 함께 정리하여 박물관교육에서 디지털 미디어 활용의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은 디지털 미디어의 교육적 효과를 누리기 위해 박물관의 디지털 환경을 조성하고, 단순한 체험교육의 수단이 아닌 창조 활동의 매개이자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 둘째, 박물관은 자신의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며, 그를 위해서는 기관의 현황을 파악하고 외부기관 등의 협력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 교육대상인 학습자의 배경과 맥락을 고려해야 하며, 실재적인 과제를 협동학습으로 수행하게 하여 문제해결능력을 기르고 동기를 부여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디지털 미디어 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디지털 기술과 박물관을 둘러싼 시대적 흐름에 기민하게 반응하는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구성주의 박물관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방법론이 개발되고, 그에 따라 지속가능한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운영되기를 기대한다.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담화표지 연구 : {뭐}, {왜}, {어디}를 중심으로

        김에스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he request speech act for non-native learners of Korean. The current research work concerns the necessity of teaching Korean discourse markers to Korean language learners. Special attention is placed on the functions and usages of such discourse markers as {mwo}, {wae} and {eodi}. Plan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these discourse markers are proposed. Since discourse markers express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s and the intention of utterance, they play a role in leading smooth conversations as discourse tactics, reducing discord in conversation and letting listeners who are conversation participants know speakers' inten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Korean education is to foster communication competence evenly possessing not only learners' grammatical competence but also sociolinguistic competence, discourse competence, and strategic competence, the accurate understanding and usage of discourse markers, which is an indispensable element in the aspect of using language in actuality, is very important in the area of the education of a second language. However, there has been a limited number of work done on the discourse markers which are used frequently in a vis-a-vis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therefore, the current study reviews the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s displaying colloquial characteristics in a spoken discourse. Then, these functions are further related to the speech act to assist the foreigners toward the proper understanding and usage of the discourse markers. It is expected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expression of discourse markers in spoken discourse for Korean learners shall become the foundation for the specific and systematic education of discourse markers, which can be utilized in an actual field of Korean education, and that research on this area will be done more vigorously in future.

      • 방언시(詩) 교육 방법 연구

        김에스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현대시에서 방언시를 분류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교수·학습할 적절한 모형을 만드는 것이 목적으로 한다. 방언시란, 방언을 의도적으로 활용하여 시에서 그 방언을 사용하는 지역 문화의 특색을 살리고 시적 정조를 극대화하며 시인이 의도하고자 하는 정감을 잘 살린 현대시를 뜻한다. 방언시는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교육적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학습자의 실제적인 구어 능력을 향상시키고, 문화의 지역성과 다원성을 경험하게 하며, 학습자의 지역정체성을 신장시킴은 물론 작품을 보는 심미안을 형성시켜준다. 제7 차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지역화가 두드러져서 각 지역 특색에 맞는 교과서와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을 권하고 있는데 그에 비해 교육과정 내용의 지역화는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에 방언이나 지역 문화에 관한 언급이 없어 교과서에 방언시가 따로 구분되어 수록되어 있지는 않은 형편이다. 따라서 현 교육과정에서 방언시는 일반적인 현대시와 같은 방법으로 교수·학습되고 있으며, 방언시만의 고유한 특징들이 발현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실제 교실의 교수·학습 상황을 살펴보면, 시 교육 방법론에 대한 연구나 이론화도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방언시만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논하는 것의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방언시는 방언시만이 갖는 어휘적, 의미적, 문화적 특징이 있으므로 일반적인 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가르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고 판단된다.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시를 일률적인 방법으로 가르치는 것이 오히려 수업의 한계를 가져올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언시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일반적인 시 교육 방법론과 방언시 교육 방법론 사이의 연계성을 구축한다. 특히 독자 반응 중심의 시 교육 방법론과 대화적 관점에 의한 시 교육 방법론, 문화 교육으로서의 시 교육 방법론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다. 또한 방언시 교육의 범주를 확정하기 위해 시 교육에서의 방언시, 국어학에서의 방언시로 나누어 방언시 교육과 연구 실태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방언시의 교육적 의의에 대한 검토 과정을 통해 방언시 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해 논한다. 또한 현 교육과정에서의 방언시 교수·학습 현황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인데,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 국어 과목에 수록된 방언시와 문학 교과서, 문법 교과서에서 활용되는 방언시의 교수·학습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문제점을 찾아보고 이를 개선할 방안을 연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방언시 교수·학습 모형의 구안을 위해 최미숙의 대화 중심의 현대시 교수·학습 모형과 경규진의 독자 반응 중심의 교수·학습 모형을 비교·고찰하고, 여기에 방언시의 특색을 살린 활동들을 창조한 대화 중심의 방언시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한다. 대화 중심의 방언시 교수·학습 모형은 방언시를 소리 내어 읽고 의미를 추론하고 분석하며, 그 결과를 동료 학습자와 선생님과 나누고 또 방언시를 써 보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듣기·말하기·읽기·쓰기·문학·국어지식의 영역 통합적인 능력을 신장시켜준다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뿐만 아니라 방언시를 통해 지역 문화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체험하고 지역 정체성을 간접 경험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본 논문은 대화 중심의 방언시 교수·학습 모형을 백석의 <여우난곬족>에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이에 맞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설계하고, 본 모형의 의의와 효과에 대해 정리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대화 중심의 방언시 교수·학습 모형을 통해 학습자는 한 차원 더 높은 시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ntend to make the proper model that studies dialect poetries effectively ,apart from modern poetries. Dialect poetries is modern poetry that uses a dialect on purpose to reveal a local culture and express a poet's intention that enhance the poetic mood and deliver the meaning of poet. Dialect poetries have an educational effect on a leaner that improve ability to use spoken language and experience the cultural pluralism and think creatively and have the local identification and aesthetic sense to read the poet. The 7th curriculum aimed at regionalism and emphasized textbooks, specific methods and contents that fitted with features of local area. However, regionalism of curriculum is making slow progress. Besides, the textbooks contained no dialect poetries and mention of local culture. So, dialect poetries are studied in the same way of studying modern poetries and learners doesn't learn specific features of dialect poetries. Many people are questioning the necessity of teaching methods of dialect poetries, because there are not enough study and theorization of modern poetries's teaching methods. But, dialect poetries have not only cultural but also grammatical features. So it is have a difficulty in teaching dialect poetries in the same way of modern poetries. Regardless of diverse features, teaching of poetries uniformly can bring about difficulty in taking lessons. This thesis considered theoretical background in teaching dialect poetries and builded connection between teaching methods of modern poetries and dialect poetries. Moreover, it classified teaching methods of dialect poetries into two category - dialect poetries in education of poetries and dialect poetries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to verify category of teaching dialect poetries. And it studied educational meaning of teaching of dialect poetries and proved need for teaching dialect poetries. It studied dialect poetries in Korean Textbook and Literature Textbook and looked for the problems and solve them. And it compared Choi, Mi-Sook's teaching-learning model that studied modern poetries using conversation with Kyung, Kyu-Jin's teaching-learning model that studied in response of readers in order to design new teaching-learning model of dialect poetries. In addition to, it set out teaching-learning model that emphasized features of dialect poetries. Learners can read dialect poetries loudly and infer the meaning of it through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dialect poetries using conversation. And they shared their thoughts with teacher and friends and composed dialect poetries by themselves. Through this experience, they can improve ability to listen to, speak to, read and write language and gain total korean language skills. Moreover, they can go through particularity of local culture and confirm their identification. Teaching-learning model of dialect poetries using conversation was applied to the Baek-suk's poem and designed new teaching-learning model that emphasized features of dialect poetries in this thesis. And it discussed meaning and effectiveness of new teaching-learning model. Learners can advance ability to appreciate poetries through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dialect poetries using conversation.

      • 장르 분석을 통한 인과표현의 복잡도 산정

        김에스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제까지 한국어 문형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형태·통사적, 의미적 층위에서 고전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연구는 각 문형이 지닌 언어학적 특성을 고찰하여 언어 지식적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언어는 내적인 특성만으로는 규명할 수 없는 다양한 측면들이 존재한다. 언어교육에서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언어를 습득한다는 것은 더 이상 사회적으로 규칙화된, 고정적인 문법 지식의 습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진정한 의미에서 언어 습득이란 의사소통 상황과 맥락에 맞는 적절한 언어 수행을 동반하는 것이다. 본고에서 특징적인 점은 담화·화용적 복잡도로 ‘장르’를 설정하였다는 점이다. 인과표현이 장르에 따라 사용 양상이 달라질 것이라는 가정 하에 말뭉치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형태·통사적, 의미적, 담화·화용적 관점에서 인과표현이 지닌 복잡도를 통합적으로 산정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궁극적으로 한국어교육에서 교육 문법 항목으로서 문형 기술에 있어 담화 차원에서의 논의를 가능하게 할 것이며, 유사 의미를 지닌 문형 간의 변별적 특성을 밝힐 수 있는 준거 자료로의 기능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고의 개괄적인 논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 방법 및 대상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와 관련된 분야의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인과의 의미기능을 지닌 연결표현을 선정하였고,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자료는 국어사전과 한국어 학습 사전, 한국어 교재 6종이다. 4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용으로 선정한 인과표현을 대상으로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해 사용 빈도 및 사용 양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실제 사용 빈도와 한국어 교재와의 중복도를 비교하여 실제 생활에서 사용되는 인과표현과 한국어 교수·학습 현장에서 중요도 있게 교수되고 있는 인과표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인과표현이 개별 장르에서 사용되고 있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장르를 구어성 장르 및 문어성 장르로 1차 분류하였으며, 2차적으로 세부 장르별로 나누었다. 구어성 장르로는 대화와 소설의 대화문, 문어성 장르로는 소설의 서술문, 신문, 학술산문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인과표현이 준말과 본말로 나타나는 문형들을 중심으로 사용 빈도 및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각 인과표현이 지니는 장르별 사용 양상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였고, 장르별로 현저하게 나타나는 특성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였다. 5장에서는 인과표현의 복잡도를 형태적·통사적·의미적·담화/화용적 층위에서 통합적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교수에 있어 적용 가능한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내용을 종합하여 결론을 이끌어 내었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문법 연구에서의 제언을 논의하였다.

      • 과제기반교수법을 활용한 상대대우법 교육연구

        김에스더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국어 상대대우법은 화자와 청자의 관계와 담화 상황에 따라 사용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요인을 고려한 형태와 의미에 초점을 맞춘 교육 방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형태에 초점을 더 두고 있으며 관계와 상황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 한국어 상대대우법은 화자와 청자의 관계-신분 차이, 나이 차이, 지위 차이-와 거리, 상황, 발화의 성격이 어떤지에 따라 다르게 선택된다. 특히 어떤 상황에서는 나이보다 지위나 신분이 더 중시 여겨질 때도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요인을 고려한 한국어 상대대우법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화․청자의 관계와 담화 상황을 중심으로 기존 교재를 분석했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상대대우법 교육 방안을 마련했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한국어 상대대우법과 과제기반 교수법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한국어 상대대우법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서 사회언어학적 요인을 중심으로 교수해야 함을 확인했다. 그리고 과제기반 교수법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서 한국어 상대대우법을 교수할 때 과제기반 교수법을 활용해야 효과적임을 확인했다. 3장에서는 한국어 상대대우법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기존 교재를 분석했다. 그리하여 기존 교재에서 한국어 상대대우법의 개념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 확인했다. 그리고 한국어 상대대우법을 교수하기 위해 어떤 과제를 제시하고 있는지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교재의 문제점을 도출했고,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4장에서는 과제기반 교수법을 도입한 한국어 상대대우법 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그리하여 3장에서 도출한 방안을 토대로 교수모형을 제시했고 이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비록 실제 현장에서 실험해 볼 수 없어 효과를 입증할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렇지만 기존의 연구에서는 한국어 상대대우법을 교수하기 위해 화계와 문법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지만 본 연구에서는 소재를 바탕으로 화․청자의 관계와 담화 상황을 고려한 과제를 제시했다는 것이 구별된다. 그러므로 이것을 기초로 초급과 고급 수준의 교육 방안도 모색되길 바란다. 그리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 실제 언어상황에서 한국어 상대대우법을 상황과 관계에 따라 적절하고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도록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 현장과 연계되어 논의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서로 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orean honorific are used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audience and the situation of the discourse. Therefore, considering the factors, studies on education methods focusing on meaning and form have been conducted. However, there is more fucus on forms and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of on the relationship and circumstances. Korean honorific are chose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 the difference in social standing, the age difference, the status difference - and the distance, the situation, and the nature of the utterance. In some cases status or position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pose Korean honorific considering these factor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analyzes existing textbook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rsation and conversation the situation of discourse. Based on this, I prepared a training plan for Korean honorific. In the second chapter, we examined the Korean honorific and task-based language teaching in order to present the basis of this research.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t should be taught based on sociolinguistic factors while looking at existing studies on Korean honorific. And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 task - based teaching method, the task - based teaching method is effective when teaching the Korean honorific. In the third chapter, we analyzed the existing textbooks to suggest Korean honorific teaching methods. Therefore, I confirmed how to present the concept of Korean honorific in existing textbooks. And I have confirmed what kind of tasks are presented to teach the Korean honorific. Based on this, we have identified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textbooks and proposed an alternative to solve them. In the forth chapter, the contents of the Korean honorific teaching method introduced with the task - based teaching method are presented concretely. Therefore, based on the method derived from Chapter 3, the teaching model was presented and specific education contents were presented.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in that it can not be tested on the actual field and the effect can not be verified. However, in the existing research, discussions have been made with respect to the vocabulary and grammar in order to teach the Korean honorific, In this research, it is distinguished that it presents the problem concerning the relation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and the situation of the discourse based on the material. Therefore, it is hoped that elementary level and advanced level education plans should be sought based on this. So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es so that Korean learners can speak Korean honorific in the actual language situation properly and fluent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relation. Also, cooperation should be made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in education field rather than ending discussion in connection with education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