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A study on methodology for trend analysis and technology forecasting using unstructured patent data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focused on case of biopharmaceutical field

        김시우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기술예측은 과학과 경제발전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다양한 미래 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객관적인 데이터의 평가를 통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기술 개발 전략 및 연구개발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과학 산업분야에서 주요 이슈가 되어 왔다.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특허 제도가 확립되어 있다. 과학 산업분야의 연구자들은 본 출원공개 제도를 통해 연구와 투자의 중복을 방지하고 효과적인 연구개발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특허 데이터는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3백만 건이 출원되고 있으며 이는 빅 데이터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특허 데이터의 종류는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가 있다. 특허 데이터는 공백 또는 유망기술을 도출하는 등 기술예측을 위한 데이터 소스로 사용될 수 있다. 기술예측을 위한 다양한 특허분석 방법론이 연구되어 왔다. 출원일, 출원인, 국가 코드, IPC code, CPC code 등의 정형 데이터를 이용한 특허분석 방법론들은 과학 산업의 첨단 기술을 분석하고 의미 있는 연구개발 방향을 제시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또한, 특허 분석 결과는 산업 분야의 실질적인 니즈와 간극이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목, 초록, 청구항 등 비정형 특허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이 요구된다. 그러나 비정형 특허 데이터는 거대한 텍스트 코퍼스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이 비정형 특허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자연어 처리 기법을 이용한 특허 분석 방법론이 제안되고 있다. 딥러닝 기반의 자연어 처리 기법은 기계 학습을 위한 훈련 데이터 세트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 훈련 데이터 세트를 준비하는 것은 어렵고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 세트도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분야의 실질적인 니즈와의 간극을 최소화하고 비정형 특허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두 가지 특허 분석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론들을 검증하기 위해, 바이오의약품 분야에 적용하였다. 바이오의약품 분야는 신물질 발굴부터 신약개발까지 높은 투자가치와 고액의 자금과 장기투자가 가능한 지식기반 산업이다. 방법론 적용 결과, 바이오의약품 분야의 특허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향 분석이 가능하였고, 공백 및 유망기술을 도출할 수 있었다. In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forecasting can effectively link science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prepare for various future situations. Establishing directions for R&D management and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through the evaluation of objective data has been a major issue in the scientific industry. Patent systems are now established in most countries. Researchers in the scientific industry can prevent overlapping R&D research and investment and set effective R&D directions through this application disclosure system. Patent data are filed about 3 million annually worldwide,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big data. There are two types of patent data: structured data and unstructured data. Patent data can be used as a data source for technology forecasting such as deducing vacant or promising technologies. Various patent analysis methodologies have been studied for technology forecasting. Patent analysis methodology using structured data such as application date, applicant, country code, IPC code and CPC code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difficult to analyze advanced technologies in the scientific industry and suggest a meaningful R&D direction. Also, results of patent analysis have gaps with the practical needs of the industry. To overcome this, methodoloeis that can actively utilize unstructured patent data such as title, abstract, and claims is required. However, it is not easy to utilize unstructured patent data due to exist in the form of a big text corpus. Patent analysis methodologie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analyze unstructured patent dat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based on deep learning requires a training data set for machine learn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pare this training data set and the provided data set is also limited. In this study, we proposed two patent analysis methodologies to minimize the gap with practical needs in the industrial field and systematically analyze unstructured patent data.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ologies, we applied them to the field of biopharmaceuticals. The biopharmaceutical field is a knowledge-based industry with high investment value and a large amount of money and long-term investment from the discovery of new substances to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As a result of applying methodologies, based on patent data in the field of biopharmaceuticals, trends analysis was possible and vacant and promising technologies could be deduced.

      • 청년층의 멀티미디어기기 사용 정도와 인지언어능력 간의 관계

        김시우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독은 ‘독으로 지칭되는 유해물질에 의한 신체증상’으로 의약품, 농약과 같은 중독(intoxication, 약물중독)과 습관적인 약물복용이나 인터넷 중독과 같이 반복적이며 정신적으로 의존적인 중독(addition, 의존증)을 동시에 뜻하는 말이다. 인터넷 중독은 1996년에 처음 등장했으며 주로 인터넷의 강박적 사용으로 인한 우울함이나 초조함과 같은 정서적인 영역을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하지만 인터넷과 같은 멀티미디어기기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대상자에게서 본인의 기억력이 과거보다 저하 되었다는 ‘디지털 치매’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주관적 기억 장애를 호소하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기기를 많이 접하고 사용하는 청년층에서 주관적 기억장애를 호소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성인 집단과 멀티미디어기기로 인한 디지털 치매 증상을 호소하는 집단을 대상으로 MMQ-A, K-CIST, SVLT, CWST, 추론적 이해능력 과제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 과제수행능력 차이를 보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군간 MMQ-A, K-CIST, SVLT, CWST, 추론적 이해능력에 대한 수행능력을 비교한 결과 K-CIST를 제외한(p>.05) MMQ-A, SVLT 재인, CWST(p<.05), SVLT 즉각회상, SVLT지연회상, 추론적 이해능력(p<.0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멀티미디어기기 사용시간에 따른 MMQ-A, K-CIST, SVLT, CWST, 추론적 이해능력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MMQ-A, SVLT 즉각회상(p>.05), SVLT 지연회상(p>.01)이 사용시간이 늘어날수록 과제수행능력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일반 성인군과 디지털 치매군 간의 MMQ-A, K-CIST, SVLT, CWST, 추론적 이해능력 과제수행능력 비교결과 디지털 치매군이 일반 성인군보다 과제 수행능력이 떨어졌다. 이는 멀티미디어기기로 인한 주관적 기억장애인 디지털 치매를 호소하는 청년층이 기억력 언어능력의 불만을 호소하는 것은 실질적인 인지적 서동이 일어난 것임을 알 수 있다. Addiction is a ‘Physical symptom caused by harmful substances referred to as poison,’ which means both addiction such as drugs and pesticides and repetitive and mentally dependent addiction such as habitual drug use or Internet addiction. Internet addiction first appeared in 1996 and is sai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emotional area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mainly due to compulsive use of the Internet. However, a growing percentage of subjects who use multimedia devices such as the Internet are complaining of subjective memory disorders using the term "digital dementia" that their memory has deteriorated compared to the past. In particular, the rate of complaining of subjective memory disorders is increasing among young people who encounter and use multimedia devices a lot. Therefore, in this study, MMQ-A, K-CIST, SVLT, CWST,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tasks are conducted for the general adult group and the group complaining of digital dementia symptoms caused by multimedia devices to see the difference in task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performance capabilities for MMQ-A, K-CIST, SVLT, CWST, and inference comprehension between the two groups (p>.05) MMQ-A, SVLT Jaein, CWST (p<.05), SVLT immediate recall, and SVLT delay, and reasoning comprehens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1).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MMQ-A, K-CIST, SVLT, CWST,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ability according to multimedia device usage time, MMQ-A and SVLT immediate recall (p>).05), as SVLT delayed recall (p>.01) increased the usage tim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in task performance ability.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comparing MMQ-A, K-CIST, SVLT, CWST,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task performance ability between the general adult group and the digital dementia group, the digital dementia group had less task performance ability than the general adult group. It can be seen that it is a practical cognitive disturbance for young people complaining of digital dementia with a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caused by multimedia devices to complain of memory language skills.

      • 부산해변을 통해서 본 일상의 발견에 대한 사진 표현 연구 : 포토저널리즘으로 본 현대의 일상 표현을 중심으로

        김시우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rough Exhibition "2007 Busan Sea and My eyes", as the debater whom it sees the subject which is a life expresses the photograph by day-to-day perspective ordinary based on expresses of new photojournalism, I'm able to recognize I'm the moderns living a day-to-day lives and a member of the modern society as well. In other words, I am a modern, observer and photo producer ,but has the duplicity which is a consumer who simultaneously consumes the culture. Although this duplicity limit back of the observer stands today, it is the method which will be able to approach the ordinary world. The media, including Photo journalism, is easy to overlook important factors that consist of ordinary of individual, the microscopic power which is soaks into the ordinary, and ordinary small works, because it is often biased by information characteristic, speed, the case for passing situations in the social phenomenon criticism. After World War Ⅰ and World War Ⅱ, contemporary photography makes the cultural currents form which one is enormous, having an interest and turning the eye, about personal sight and the ordinary world. The terms 'dailiness' in philosophical discussion is dissecting in-depth, about The city called a special space, production in capitalistic societies, authority, and a social class, etc. Like this theory is a topic that many photographers have been created in their photos. Also, escaping an approach method of 'Symptoms Criticism' and 'Material Principle', The force, presented by New Vision, where the photograph is intervened to the society is doubled. Working with Photos, photographers, who currently live the same time unit, photographically express ordinary of circumference and individual. Therefore, he or she presents condition of life and life of human being and rediscovers the ordinary value of the individual, as a foundation developing society of modern times in balance. Through our society's identity and personal identity, photographers show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through photo works. Via photos of the day-to-day conduct of the discovery, the actual conditions which life are various are understood by photo working. Simultaneously, modern society and the existence of human life in addition to human minor will be realized as opportunity to rediscover our culture and identity. Photo traits, such as expression, function, art, and history, reappear forms of the culture which is various it accommodated from Western advanced culture, our culture currently, and the cultural identity which it follows in, through the reproduction of life inside, in everyday life. This debater could notice that by the record of ordinary life of the beach inside down town. Through the discovery of routine, recording and reproducing offer our today's appearance, and recognize this is Korean element. Amid the swirl of cultural, This makes us measure a genuine which is need to look at the value. 2007Busan Sea and My eyes전(展)을 통하여 본 논자는 삶이라는 주제를 뉴 포토저널리즘의 일상적 시각으로 사진을 표현함으로써, 나 자신 또한 덧없는 일상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이며,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현대 사회의 구성원임을 인식한다. 즉 현대인이며, 관찰자이며, 사진 작업을 하는 논자 또한 생산자이면서, 동시에 그 문화를 소비하는 소비자라는 이중성을 가진다. 이러한 이중성은 현대 관찰자의 한계이면서, 동시에 보다 일상 세계에 접근 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포토저널리즘을 포함한 미디어는 정보성과 신속성, 사건 상황에 대한 전달이라는 사회 현상 비판에 치우침으로써, 현대 사회 구조 속에 개인의 일상과 그 일상에 스며든 미시적인 권력과 일상의 작은 일 들이 현대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간과하기 쉽다. 1·2차 세계대전 이후 현대 사진은 개인적 시각과 일상적 세계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눈을 돌리며, 하나의 거대한 문화 조류를 형성하게 된다. ‘일상성’이라는 철학적 담론은 도시라는 특수한 공간,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생산과 소비 활동의 영역, 권력과 계층 등에 대해 심층적으로 해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론은 많은 사진가들의 주제가 되어 사진으로 만들어져 왔다. 또한 소재주의와 현상 비판의 접근 방식을 벗어나 평범한 일상으로 눈을 돌려 새로운 시각을 제시함으로써, 사진이 사회에 개입되는 힘은 배가 된다. 현재 동시대를 살아가며 사진 작업을 하는 사진가들은 주변과 개인의 일상을 사진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인간의 삶과 삶의 조건들을 제시하며, 현대 사회를 조화롭게 발전시키는 토대로써, 개인의 일상적 가치를 재발견한다. 우리 사회의 정체성과 개인의 정체성을 통해 인간 존재의 의미를 사진 작품을 통해 보여주는 것이다. 사진가의 행위에 따른 일상의 발견을 통한 삶의 다양한 현상들은 사진 작업에 의해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과 동시에 현대 사회와 인간의 소소한 일상이 인간의 존재성과 더불어 우리의 문화와 정체성을 재발견하는 계기임을 깨닫게 된다. 표현과 기능, 예술과 기록이라는 사진의 습성은 현대 사회 속에서 서구 선진 문화에서 수용한 다양한 문화의 형태와 우리 문화의 현재와 그에 따른 문화적 정체성을 일상생활 속의 삶의 모습을 통해 재현한다. 본 논자가 도심지 속 해변의 일상적 삶의 기록을 이어가며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일상은 우리 삶을 이루는 근본이자 원인이며, 기록과 재현을 통한 일상의 발견은 우리의 현 모습을 제시하고 이것이 한국적인 것임을 인식한다. 이것은 문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진정 가치를 두고 살펴보아야 할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만들 것이다.

      • 차대 보행자 사고 시 보행자 거동에 따른 머리상해지수에 관한 실험적연구

        김시우 성균관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the numbers of pedestrian fatalities and injuries are steadily declining worldwide, pedestrian protection is still an important issue. Each year, thousands of pedestrians and cyclists are struck by motor vehicles. In Korea, around 3,600 pedestrians are killed which are about 40% in overall traffic accidents. Recently, based on the trend of pedestrian accidents, extensive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fields of pedestrian protection in order to establish pedestrian safety regulations. The global technical regulation(gtr) of the pedestrian safety is establishing in UN/ECE WP29 for the purpose of international harmonization(IHRA). The proposed gtr is based on research IHRA pedestrian safety working group and European Union, Japa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Korea. Two kinds of headform impact angle were proposed by IHRA and gtr. In this research, establishing methods of headform impact such as deciding process and background are reviewed. And experiments of pedestrian head protection a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two kind of headform impact angles at a domestic vehicle. Based on the test results, headform impact angle which in proposed by gtr can considerably reduce head injury criteria about 12~31% comparing to the IHRA proposed headform impact angle. Also it is found that the testing vehicle didn't comply with pedestrian head protection in gtr.

      • 능성어(Epinephelus septemfasciatus) 난과 치어로 부터의 Nervous Necrosis Virus(NNV) 검출

        김시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능성어는 높은 부가가치 어종으로 새로운 양식 대상어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종묘생산시기에 빈번히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 (Viral nervous necrosis, VNN)으로 인해 큰 경제적 손실을 입고 있다. VNN의 원인체인 nervous necrosis virus (NNV)는 보균상태의 친어에서 수정 및 부화과정을 경유하여 자치어에 전파되는 수직감염이 알려져 있으며, 이는 능성어류 종묘생산 초기단계 (부화후 10-20일)에 가장 심각한 피해를 유발하는 대량폐사의 중요 병원체로 알려져 왔다. 건강한 종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수정란의 NNV오염 유무를 보다 정밀하게 검사하여 무감염란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NNV의 수직감염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능성어의 난과 자치어로 부터 미량의 NNV를 검출하는 방법을 구축하고 이를 종묘생산 현장에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난과 치어로 부터 NNV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기존의 NNV검출 PCR법의 검출감도 개선을 시도하였다. RNA 추출법에 따른 검출 감도를 비교하고, PCR mixture의 세부 조성 변화를 통해 최적의 조건을 탐색하였으며, 이들 최적화 조건을 Nested-PCR에 적용하였다. 개선된 Nested-PCR법은 종묘생산과정의 난과 치어의 모니터링에 사용하여 사용 적합성 유무를 판별하였다. 새롭게 설정된 Nested-PCR법 등을 적용하여 NNV 항체 반응이 확인되지 않는 능성어 친어로부터 무감염 난 및 정자를 확보하여 인공수정을 통해 수정 및 부화를 실시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부화 후 30일까지 지속적인 질병발생을 모니터링 하였다. RNA추출 및 NNV검출용 PCR법의 개선과 Nested-PCR을 적용한 결과 기존 105.3 TCID50/ml의 검출감도에서 102.3 TCID50/ml로 약 1,000배 증가된 검출 감도가 확인되었다. 개선된 PCR법의 현장 검증결과 기존 방법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던 VNN 무증상어(보균어) 및 난에서도 양성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NNV-free 친어를 이용한 종묘생산에서는 부화 후 25일 이내에 대량폐사가 발생하였으나, 바이러스검출 결과 사육 전체 기간 동안 NNV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병원성 세균이나 기생충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능성어 종묘생산 초기의 대량폐사가 NNV 이외에 다른 요인에 의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선된 PCR법은 능성어의 난과 치어에 존재할 수 있는 미량의 NNV를 지금까지의 방법에 비교해 보다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었으며, 실제 종묘생산 과정에서의 적용 실험을 통하여 무감염 능성어 종묘생산을 위한 NNV 검출방법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Including sevenband grouper, groupers are becoming important aquaculture species among many Asian countries. In Korea, sevenband grouper is not a major aquaculture species yet, however, it has big potential in aquaculture industry. One of the main constraint in grouper aquaculture industry is viral nervous necrosis disease (VNN) outbreak. Since the first report of VNN occurrence in Korea 1989, the outbreak of the VNN was observed annually in summer and early autumn season when water temperature is around 24~26℃. The viral infection resulted an acute or chronic mortality in the host, especially the mortality rate of juvenile fis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dult fish. Vertical transmission from sevenband grouper brood stock which is nervous necrosis virus (NNV) carrier stage, to its larvae makes hard to control VNN In this study, we try to increase NNV detection limit by compare RNA extraction method (Trizol vs Kit), optimization of PCR mixture combination (dNTPs, Ex taq, MgCl2) and application of nested PCR. Improved PCR method was verified using field samples including grouper sperm, egg and fry. This PCR method was used for brood stock selection and monitoring of NNV outbreak in specific pathogen free (SPF) seed production trial. The result of improving RNA extraction method, optimization of PCR mixture combination and application of nested PCR, NNV detection limit was increased from 105.3 TCID50/ml to 102.3 TCID50/ml. It is about 1,000 times more sensitive than before. Also, this improved PCR proves its effectiveness in the field trial by detecting NNV from egg and fry, whereas traditional PCR method could not detect. Meanwhile, we could observe mass mortality in SPF seed production trial, but NNV, bacteria and parasites were not detected. It means NNV may not the only reason of mass mortality in early stage of sevenband grouper. According to this study, improved PCR method can detect trace of NNV from egg, sperm and fry than traditional PCR. Also it is proved that, this method is useful in SPF seed production.

      • 미주지역 한인들의 세대갈등 연구 : 영진 리의 『용비어천가』, 로이드 서의 『아메리칸 환갑』, 인스 최의 『김씨네 편의점』을 중심으로

        김시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Diaspora" is originally derived from the Greek experience of the ancient times when they have to settle down in new regions, far away from their home country. However, the idea has been extended to represent th confusion and conflict of identity resulted by migration. William Safran, the first researcher of the concept of diaspora, defines it by six distinctive features. And Robin Cohen categorized Safran’s six diaspora features into nine. Avtar Brah not only studied diaspora space, but also diaspora phenomenon that many ethnic groups experienced. He pointed out racial discrimination, jobs, sexism discrimination and diaspora's reality between Asians living in the UK and the US. However, some researchers believe that it is impossible to define diaspora of recent immigration phenomena on the basis of the earlier studies. For example, In-Jin Yoon said that it is impossible to evaluate diaspora and that it can confirm the community’s personality based on the level of interaction, sense of belonging, sense of fellowship. Even though each scholar offers his or her own concept of diaspora, diaspora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refers to immigrants who have cultural, political and 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ir hometowns and new places and who live with persistent questions about their identity. The Korean diaspora, which is familiar to us, is that the people who left their country and go to the US and Canada to achieve the American dream. However, many problems they have to face, such as language barrier, identity problems, and difficulty in adapting to new society, have provided a rich pool for many Korean American playwrights. The purpose of this thesis will examine the experience each person's diaspora, focusing on the Korean American playwright Young Jean Lee's Songs of the Dragons Flying to Heaven, Lloyd Suh's American Hwangap and Kim's convenience by Ins Choi, who is a Korean-Canadian. Songs of the Dragons Flying to Heaven is a provocative experimental play which is full of sarcasm and satire about racism. [Korean American] who appear in the play tries to escape from her own identity, which is rooted in the Korean people, clearly criticizing Korean parents. Through the feelings of hopelessness among Korean immigrants, despair of Korean Americans who do not have a sense of belonging, and exaggerated behavior of three [Koreans], this play is focused on American people’s fixed idea of an orientalism of asian people. American Hwangap focuses on the reunion of the family of Korean immigrants who divorced, and the conflicts in the process of the family reunion. Min-suk Chun, the main character of this work, returns to the United States and goes back to his family because of his 'Hwangap' party. However, in the process of reconciliation with his family, the conflict and identity confusion between his ex-wife Mary and his three children are the main part of the play. Kim's convenience is a play of a immigrant family's conflict like American Hwangap.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have a lot of common backgrounds. Unlike Chun from American Hwangap, Mr. Kim of Kim's Convenience has a high self-esteem as a Korean with a firm ethnic identity. However, Mr. Kim’s rather stubborn attitude about the Korean identity brings about conflicts with his family. To sum up, this thesis examines the conflict of between different generation of Korean immigrants and identity crisis of manin characters from three plays that are introduced earlier. ‘디아스포라’(Diaspora)는 그리스 언어에서 유래했으며 원래는 기존에 살고 있던 지역이나 고향에서 벗어나 타향살이를 하는 것을 의미했다. 하지만 현재는 다른 나라에서 온 이민자들의 소속감 상실에 관한 자아정체성 혼란 및 정신적 갈등을 나타내는 데 주로 쓰이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디아스포라를 연구한 대표적인 연구자는 디아스포라의 개념에 대해 처음으로 학문적인 접근을 시작하여 여섯 가지 특징을 구성한 윌리엄 사프란(William Safran)이다. 그리고 로빈 코헨(Robin Cohen)은 사프란이 제시한 디아스포라의 여섯 가지 특징을 좀 더 확장하고 구체화 시켜서 아홉 가지로 분류하였다. 아브타 브라(Avtar Brah)는 디아스포라 공간을 연구했을 뿐만이 아니라 여러 나라의 소수민족이 겪는 디아스포라의 현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영국과 미국에서 거주하는 아시아인이 경험한 인종차별문제, 고용문제, 성차별문제와 디아스포라의 현상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지적을 언급하였다.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선행연구에 의해 정의된 디아스포라 개념이 현재의 이민자 발생 현상에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말한다. 윤인진은 모든 디아스포라의 개념을 평가하는 것은 무리라고 말하며, 디아스포라를 공동체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소속감, 연대감의 수준에 따라 공동체의 성격을 확인할 수 있는 변수의 개념으로 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이처럼, 디아스포라 개념에 대해서 학자마다 정의와 해석이 다양하다. 하지만 결국 디아스포라는 고향과 새로이 정착하게 된 곳과의 사이에서 문화적, 정치적, 심리적 차이를 느끼며 정체성에 대한 끊임없는 의문을 가지고 살아가는 이주자들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재외한인 디아스포라는 보통 아메리칸 드림을 성취하기 위해서 조국을 떠나 미국이나 캐나다로 이민을 간 사람들을 말한다. 하지만 이민을 간다고 해서 한인 이민자들의 삶이 더 좋아진다고 볼 수 없으며 언어장벽, 정체성의 문제, 해외생활의 적응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한인 이민자들이 겪은 경험은 특히 한인 이민자 출신의 작가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문학 작품의 소재로 사용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계 미국인 희곡 작가 영진 리의 『용비어천가』(Songs of the Dragons Flying to Heaven, 2006)와 로이드 서의 『아메리칸 환갑』(American Hwangap, 2005), 그리고 한국계 캐나다인 인스 최의 『김씨네 편의점』(Kim's Convenience, 2011)을 중심으로 디아스포라 경험을 적용하여 각 인물의 정체성 혼란과 이민 세대의 갈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용비어천가』는 인종주의에 대한 독설과 풍자로 가득 찬 도발적인 성격의 실험극으로 미국 연극계에서 인정받은 작품이다. 『용비어천가』의 [한국계 미국인]은 한국인 부모에 노골적인 비판을 하며 한국인 뿌리를 가지고 있는 자신의 정체성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용비어천가』는 한인 이민자들 간의 세대 간의 갈등과 소속감을 가지지 못하는 [한국계 미국인]의 절망감과 [한국인] 세 명의 과장된 행동을 통해서 미국인이 가지고 있는 동양인에 대한 고정관념, 즉 오리엔탈리즘적인 시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메리칸 환갑』은 이혼을 한 한인 이민자 가족의 재결합과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점에서 작품의 성격이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작품 주인공 전민석은 환갑잔치를 계기로 가족들이 있는 미국으로 다시 돌아온다. 하지만 가족과 화해를 하는 과정에서 아내 메리와 세 남매 사이에서 벌어지는 갈등과 정체성 혼란은 이 극의 주요내용이다. 『김씨네 편의점』은 『아메리칸 환갑』과 비슷하게 이민자 가족 간의 갈등에 대한 작품이다. 캐나다를 배경으로 두었지만 미국과 캐나다의 한국인 이민자의 성격은 비슷하며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기 위해 캐나다로 오는 경우도 허다하다. 『아메리칸 환갑』의 전민석과 달리『김씨네 편의점』의 김씨는 한국인으로서 높은 자부심과 민족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김씨가 가지고 있는 강한 한국적인 모습은 가족들과 갈등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이 세 작품의 주요 등장인물들에게 나타나는 세대 간의 갈등과 정체성의 혼란을 디아스포라의 경험에 관련지어 연구해보고자 한다.

      • 진재 김윤겸의《영남기행화첩》연구

        김시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classify and reanalyze “The Album of Landscapes of the Yeongnam Area“, which was produced between 1765 to 1770, the later years of Jinjae Kim Yun-gyeom(金允謙, 1711~1775), in the context of confirming Kim Yun-gyeom’s journey, not in the order of the arrangement. By examing the 14 pictures of Gyeongsangnam-do province(present place name of Yeongnam) landscapes, which were included in the painting album, along with the travelogues and poems written by literary figures of the same period, I tried to approach Kim Yun-gyeom’s perception of famous places, the nature of the excurs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The Album of Landscapes of the Yeongnam Area” had limitations in grasping the detailed motives for excursions or production purposes, as there were few literature data on Kim Yun-gyeom and no direct record of the album was confirmed. I chose the method of estimating and approaching Kim Yun-gyeom’s personal journey by grasping it. Prior to the analysis of the painting album, the background of Kim Yun-gyeom’s ability to leave the Yeongnam region’s scenic spots as a painting album was the first thing I examined. In his early years, Kim Yun-gyeom was influnced by Andong Kim families’s artistic conception and mainly painted real-life landscape paintings. When he was in his 40s, he drew pictures while interacting artistically with various figures regardless of school or faction, such as writing comments on the paintings of Kang Se-hwang(姜世晃, 1713~1791), Kim Hee-seong(金喜誠, ?~later 1763), Sim Sa-jeong(沈師正, 1707~1769), or receiving requests for paintings from Nam Yoo-yong(南有容, 1698~1773) and Sim Hwan-ji(沈煥之, 1730~1802). In this process, Kim Yun-gyeom is presumed to have learned about the main attractions of Gyeongsangnam-do, and from 1765 to 1768, he was able to visit while working at Sochon Station(召村驛) in Jinju, Gyeongsangnam-do. The attractions of the Yeongnam region where Kim Yun-gyeom visited were mainly located on the roads near Sochon Station or places he could visit while accompanying him on his official tour while serving as an official at Sochon Station. Kim Yun-gyeom's selection of the theme was mainly influenced by the people who were associated with him, as well as the environment in which he had been working at Sochon Station. “The Album of Landscapes of the Yeongnam Area” is largely composed of works depicting the attractions of five regions. Geochang(居昌): Songdae(松臺), Gaseopam(迦葉菴), Gaseop-dongpok(迦葉衕瀑), Sunam(蓴巖), Hamyang(咸陽): Wolyeon(月淵), Sadam(蛇潭), Hayongyudam(下龍游潭), Geukrakam(極樂菴), Sancheong(山淸): Hwanajeong(換鵞亭), Hapcheon(陜川): Hongryu-dong(紅流衕), Haeinsa(海印寺), Busan(釜山): Molundae(沒雲臺), Taejongdae(太宗臺), Yeonggadae(永嘉臺). If we classify these sights according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18th century, the sights of Hapcheon and Busan were famous even to the Yangbans(兩班) in the Seoul area, and the sights of Geochang and Hamyang were known mainly among the local Sarim(士林). For this reason, Haeinsa, Hongryu-dong in Hapcheon, and Molundae, Taejongdae, and Yeonggadae in Busan are confirmed as subjects in real-life landscape paintings in Yeongnam region, such as Jeong-seon and “Gyonam MyeongseungCheop” (嶠南名勝帖) in the late Joseon period, but the painting of scenic sites in Anuisam-dong(安義三洞) and Jiri Mountain(智異山) are rarely confirmed except from Kim Yun-gyeom’s works. Anuisam-dong’s real-view landscape paintings, which are ra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inly depict the entire valley view of Hwarim-dong(花林洞), Simjin-dong(尋眞洞), Wonhak-dong(猿鶴洞), or depict only parts of famous scenic spots where the iconic landmark of the places. Compare to this, Kim Yun-gyeom’s paintings are the only work that has individually visualized Songdae, Wolyoen, Sunam, Gaseopam, Gaseop-dongpok, and Geukrakam, which are hidden scenic spots in Anuisam-dong valley, as in the Yeongnam album. In the case of Yongyudam and sadam, it was a tourist scenic sites located on the border adjacent to Jiri Mountain and a place visited while touring Mount Jiri. In addition to the Yeongnam album, Kim Yungyeom’s single-page Jiri mountain painting, “Geumdae dae Jiri”(金臺對智異全面) and “Eomcheon”(嚴川), which are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ve been confirmed, It is possible to guess some of Kim Yun-gyeom’s route of journey. He visualized several scenic spots in the form of revealing his cruise route when drawing the Anuisam-dong and Jiri Mountain areas. The paintings of Anuisam-dong expresses Kim Yun-gyeom’s perception and sense of facing various natural scenery in a place that has never been visited before. He described his experiences and senses in his works so that the viewer of the painting could also have an indirect experience while watching them. The main scenery of the scenic spots was placed in a wide area in the front of the pictures, and the water stream gradually narrowed and the rock became smaller as it went to the far view. The method of painting, which depicts strange rocks and bizarre stones and flowing streams, was confirmed to have used the minimum method, and depicted the shape with thin and light strokes. The tree expression is also T-shaped, and there are no other expressions except for pine trees drawn quickly. In this way, the Anuisam-dong paintings minimized old-style painting methods, arranged landscapes around perspective, and depicted various strange shaped rocks and the flow of water in a variety of ways. The work depicting the vicinity of Jiri Mountain is almost similar to Anuisam-dong ones,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several parts. When drawing Anuisam-dong, he paid attention to the natural scenery such as strangely shaped rocks and streams, but in the case of Yongyudam, the information and perception that Kim Yungyeom recognized in relation to the famous places were expressed in the paintings. The elements that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cenic spots are confirmed, such as expressing the house in Hayongyudam, the building in Hwanajeong in detail. “Geumdae dae Jiri”, which depicts Mount Jiri, also combined and expressed the peaks of Jiri and the valleys of rivers originating from the mountain in one screen rather than drawing Jiri mountain viewed from Geumdae in one sight. This is the point that Kim Yun-gyeom’s perception whom was aware of Jiri mountain, Eomcheon Stream, and Yongyudam. Therefore, the scenic spots of Anuisam-dong and Yongyudam area are similar in composition and expression, but when you see the paintings of Yongyudam area, more detailed and sophisticated expressions are confirmed, so it is estimated that these two areas were not visited at once. When Kim Yun-gyeom visualizing Jiri Mountain, he drew several specific places along the travel route, but when drawing Hapcheon and Busan, he left only the representative places of the region. In other words, the paintings depicting the Jiri Mountain area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ogues that reveal Kim Yun-gyeom’s travel itinerary, while the works depicting the Hapcheon and Busan show the nature of scenic spots focusing on specific view points. Kim Yun-gyeom utilized many of the compositions and painting styles of his existing works when drawing Haeinsa, Hongryu-dong in Hapcheon, and Molundae, Taejongdae, and Yeonggadae in Busa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ttraction, he expressed his own characteristic painting style in the paintings while following and describing the composion and expression method of the existing styles. However, compared to the paintings of the Jiri Mountain area, it can be seen that the panoramic view of the scenic spot from a plain point of view and a somewhat monotonous and repetitive expression method are confirmed rather than a free attempt in terms of composition and painting style. This study confirmed “The Album of Landscapes of the Yeongnam Area“ in Kim Yun-gyeom’s artistic perspective and experience, and attempted to see the painting while estimating his journey. Accordingly, it was the album that the mixtur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haengsagyung-do(紀行寫景圖) and Myeongseungmyengso-do(名勝名所圖). This shows how Kim Yun-gyeom perceiv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cenic spots. He recognized Anuisam-dong and Yongyudam area as a region of Jiri mountain, and Hapcheon and Busan focused on major scenic spots representing the region and expressed them in paintings. This paper analyzed “The Album of Landscapes of the Yeongnam Area“ in connection with Kim Yun-gyeom’s personal background, and through these various analyses, it can be defined as a meaningful art work that confirms Kim Yun-gyeom’s perspective as a literary artist who enjoyed traveling and a bureaucrat who has never been to a new area, Yeongnam province. 본 연구는 진재 김윤겸의 만년인 1765년에서 1770년 무렵에 제작된《영남기행화첩》을 장첩 순서가 아닌 김윤겸의 여정이 확인되는 맥락으로 묶어 재분류하고 재분석하려는 시도이다. 화첩에 장첩된 14장의 경상남도 명소 그림을 같은 시기 문인들이 기술한 유람록 및 시문과 함께 살펴보며 김윤겸의 명소 인식과 유람 성격, 작품 특징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영남기행화첩》은 김윤겸에 대한 문헌 자료가 적고 특히 화첩에 대한 직접적인 기록이 확인되지 않아 상세한 유람 동기나 제작목적을 파악하기에 한계가 있었으나 본 고에서는 18세기 당시의 경상남도 명소 인식과 유람 성격 전반을 파악하여 김윤겸 개인의 유람을 추정하고 접근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화첩 분석에 앞서 먼저 김윤겸이 영남지역 명소를 화첩으로 남길 수 있었던 배경을 알아보았다. 김윤겸은 초년에 안동 김문의 산수 예술관에서 영향을 받아 실경산수화를 주로 그렸다. 40대 이후가 되면 강세황, 김희성, 심사정 등의 그림을 보고 화평을 쓰거나 남유용, 심환지로부터 그림을 부탁받기도 하는 등 학파와 당파에 관계없이 여러 인물과 예술적으로 교유하며 그림을 그렸다. 이 과정에서 김윤겸은 경상남도의 주요 명소를 알게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1765년에서 1768년 무렵 경상남도 진주 소촌역에서 찰방직을 하며 방문할 수 있었다. 김윤겸이 방문했던 영남지역의 명소는 주로 소촌역 인근 역로 상에 위치하여 있었거나 찰방 관직 중 순행에 동행하여 방문할 수 있었던 곳이었기에 김윤겸의 화재 선정에는 교유하던 인물들의 영향과 더불어 소촌역에서 찰방직을 했던 환경이 주요하게 작용했다. 《영남기행화첩》은 크게 다섯 지역의 명소를 그린 작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거창 : <송대>, <가섭암>, <가섭동폭>, <순암>, 함양 : <월연>, <사담>, <하룡유담>, <극락암>, 산청(산음) : <환아정>, 합천 : <홍류동>, <해인사>, 부산(동래) : <몰운대>, <태종대>, <영가대>이다. 이 명소들을 18세기의 지리정보로 분류하면 합천과 부산의 명소들은 서울 지역 문인들에게도 알려져 있던 유명 명소였고 거창과 함양의 명소는 주로 지역 사림들 사이에서 알려져 있었던 곳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합천의 해인사, 홍류동 그리고 부산의 몰운대, 태종대, 영가대는 조선 후기에 정선을 비롯하여 《교남명승첩》과 같은 영남지역 실경산수화에서 제재로서 확인되지만, 안의삼동과 지리산 권역 명소들은 김윤겸의 작품 외에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조선 후기에 드물게 확인되는 안의삼동(安義三洞) 실경산수화는 주로 화림동(花林洞), 심진동(尋眞洞), 원학동(猿鶴洞)의 동천 전체 경관을 묘사하거나 명소 일부만을 그린 명승명소도의 성격을 갖고 있다. 《영남기행화첩》의 경우처럼 동천 내 명소인 송대, 월연, 순암, 가섭암, 가섭동폭, 극락암을 각 장에 개별적으로 시각화한 것은 김윤겸의 작품이 유일하다. 용유담과 사담의 경우에는 지리산이 인접한 경계에 있는 명소이자 지리산을 유람하는 중 방문 되던 공간이었는데 김윤겸이 그린 낱장의 지리산 그림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대대지리전면>과 <엄천>이 확인되어 지리산 권역을 시각화 한 김윤겸의 유람 형태를 일부 추측해볼 수 있다. 이렇듯 김윤겸은 안의삼동과 지리산 권역을 그릴 때 자신의 유람 경로가 드러나는 형식으로 여러 명소를 시각화하였다. 《영남기행화첩》중 안의삼동 그림에는 이제껏 방문해보지 못했던 명소에서 다채로운 자연경관을 마주한 김윤겸의 인식과 감각이 표현되어 있다. 김윤겸은 작품에서 자신의 경험과 감각을 그림을 보는 사람도 시각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묘사하였는데 이 때문에 구도에서 특징적인 그의 시각이 나타난다. 근경에 명소의 주요 경물을 넓은 영역에 배치하고, 흐르는 계곡 물줄기나 바위를 활용하여 원경으로 갈수록 점차 물줄기는 좁아지고 바위는 작아지는 원근법을 사용하였다. 기암괴석과 흐르는 물줄기를 그린 필법은 준법을 최소한으로 사용한 것이 확인되며, 얇고 가벼운 선으로 형상을 묘사했다. 수목 표현 역시 T자형으로 빠르게 그린 소나무를 제외하면 다른 표현은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안의삼동 그림은 준법을 최소화하면서 원근감을 중심으로 경물을 배치하였고, 여러 기암괴석과 물의 흐름을 다채롭게 묘사하였다. 지리산 인근을 그린 작품은 안의삼동과 거의 유사하지만 몇 가지 부분에서 차이가 확인된다. 안의삼동을 그릴 때는 기암괴석, 냇물과 같은 자연경관에 주목했다면 용유담 인근 명소에서는 김윤겸이 명소와 관련해 인지하고 있던 정보나 인식이 그림에 표현되었다. 일례로 <하룡유담> 속 인가(人家)를 표현한 점이나 <환아정>의 건물을 상세하게 그린 점, 용유담 하류와 엄천, 사담의 경우 산속의 계곡 명소가 아닌 넓은 지대에 위치한 곳들이었기 때문에 경관을 넓게 표현하는 등 김윤겸의 시각과 더불어 명소의 정보가 되는 요소들이 확인된다. 지리산을 그린 <금대대지리전면> 역시 금대에서 바라본 지리산을 단편적으로 그리기보다는 지리산 산봉우리와 산에서 비롯된 하천 계곡을 한 화면에 조합하여 표현하였는데 이 또한 지리산과 엄천, 용유담에 대해 인지하고 있던 김윤겸의 인식이 확인되는 부분이다. 이렇듯 안의삼동과 용유담 명소는 구도와 표현에서 서로 비슷한 부분이 많지만, 용유담 인근 그림에 이르면 더욱 세밀하고 정교해진 표현법이 확인되기에 이 두 지역은 한 번에 유람 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지리산 일대를 시각화할 때는 유람 경로마다 있던 여러 명소를 그린 것과 달리 합천과 부산 명소를 그릴 때는 그 지역의 대표적인 명소만을 남겼다. 즉 지리산 일대를 그린 그림은 김윤겸의 유람 여정이 드러나는 기행사경도의 성격을 보이는 반면, 합천과 부산 일대를 그린 작품들에서는 명승지에 집중한 명승명소도적인 성격이 나타난다. 김윤겸은 합천의 해인사, 홍류동과 부산의 몰운대, 태종대, 영가대를 그릴 때 기존 작품의 구도나 화풍을 다수 활용하였다. 각 명소의 특징에 따라 기존 화풍의 구도와 표현 방식을 답습하여 묘사하면서도 자신의 특징적인 화풍을 그림에 표현하였다. 그러나 지리산 권역 그림과 비교하면 구도와 화풍 면에서 자유로운 시도보다 평시점으로 명소 전경을 그리고 다소 단조롭고 반복되는 표현 방식이 확인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영남기행화첩》을 김윤겸의 예술관과 체험 안에서 확인하고, 그의 유람 여정을 추정하며 그림을 보는 시도를 하였다. 이에 《영남기행화첩》은 지역에 대한 김윤겸의 인식에 따라 그림에서 다양한 표현 방식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는 안의삼동과 용유담 일대를 하나의 지리산 권역으로 인식하였고, 합천과 부산은 지역을 대표하는 주요 명승지에 집중하여 그림에 표현하였다. 본 논문은 《영남기행화첩》을 김윤겸의 개인적인 배경과 연관 지어 분석함으로써 이 화첩이 산수 유람을 즐기던 문인 화가로서의 시각과 가본 적 없던 새로운 지역에 방문한 관료로서의 시각이 동시에 확인되는 작품이며, 정선 이후 여러 지역의 명승지가 시각화되던 과정에서 제작된 김윤겸만의 특색있는 작품으로 정의 내릴 수 있었다.

      • Web기반의 군 정비부품 구매관리 시스템 설계

        김시우 부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ilitary Equipment Parts Sales System wa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increase in e-commerce, therefore allowing purchase of military spare parts over the internet. The Defense Procurement EDI system currently in use covers all military materials related to the Department of Defense. Therefore, its application is geared towards long-term, pre-planned items, which makes it less efficient for sudden, unplanned purchases. With proper allocation of maintenance budget, this system can be very useful for maintenance units. Thus, improving overall maintenance level for military equipment and contributing to the Armed Forces as a whole. The system greatly reduces paper work and administrative concerns related to it, provide efficiency in terms of time and labor, which brings about savings in the defense budget. Since transactions are done openly over the internet, firms are guaranteed for participation in a fair bidding, which will help create a more positive and reliable public image for the Armed Forces. The rapid development in the computer and internet industry will bring forward advancement in e-commerce and its related applications. It is my small hope to contribute in the military parts purchas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Military Parts Sales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