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신석기시대 무덤에서 발견된 돼지 두개골의 사회경제적 의미와 성격

        김승옥(Seung Og Kim) 한국신석기학회 2005 한국신석기연구 Vol.- No.9

        이 글은 다양한 민족지와 민족사 자료를 이용하여 일련의 고고학적 모델을 제시하고 제시된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 산동(山東) 반도의 신석기시대 고고학 자료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중국 신석기시대 돼지의 대규모 생산은 식량자원과 종교적 의례행위뿐만이 아니라 정치 엘리트의 경제적 부와 사회적 불평등을 제고할 수 있는 상징적 수단으로 이용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돼지는 외래기원의 위신재를 획득할 수 있는 경제적 자산이고 이는 곧 정치적 헤게모니의 창출과 연결된다. 이 글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무덤에서 발견되는 돼지 두개골의 변동양상은 장거리 교역을 통해 획득된 위신재의 변화와 궤를 같이 한다. 결론적으로 중국 신석기시대의 돼지는 동물성 단백질을 얻기 위한 생계의 중요한 수단이자 사회적 생산의 필수적 대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Archaeological constructs guided by ethnographic and ethnohistorical information are tested against archaeological data from Neolithic Shandong. The study of Neolithic burials show that intensive pig production was important not only for human diet and ritual but also for the display of individual wealth and inequality in the rise of political elites. In addition, pigs served as funds of power for controlling exotic sumptuary items in order to achieve chiefly political hegemony. The data suggest that, in the long term, the fluctuation of pigs skulls in mortuary symbolism coincides with that of prestige goods from long-distance exchange. In short, pigs most likely functioned in ancient China as both means of subsistence and objects fo social production.

      • KCI등재

        만경강 일대 선사문화의 전개와 성격 -전북혁신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김승옥 ( Kim Seung-og ) 호남고고학회 2017 湖南考古學報 Vol.55 No.-

        이 글은 전북혁신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만경강 일대 선사시대 유적의 전개과정과 특징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석기시대 유적은 만경강 일대의 많은 지점에서 발견되었지만 토층과 석기 조합에서 대부분 유사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들은 거의 모두 후기 구석기시대에 해당한다. 신석기시대 유구로는 전북혁신도시 내에서 소수 의 수혈과 대천리식 주거지로 추정되는 유구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유구들의 연대는 신석기시대 중기 전후로 편년 된다. 만경강 일대에서는 전주 동산동의 청동기시대 조기 취락에 이어 전기 유적이 산발적으로 발견되는데, 전기 취락 은 입지와 분포에서 중서부 지역과 별반 차이가 없으나 가락동, 역삼동, 흔암리, 그리고 미사리형 문화가 모두 확인 된다는 특징을 보인다. 전기 문화는 미사리 → 가락동 → 역삼동형의 순으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완주 구암리유적에서는 주변의 여러 촌락민들이 모여 공동으로 제의 행위를 했으리라 추정되는 대형 환호와 제의 유구가 발견되어 주목된다. 중기의 송국리형문화 단계에 이르면 만경강 일대에서도 수많은 취락과 분묘들이 발견 된다. 중기의 유적 중에서 동산동유적은 생활, 매장, 전문저장영역이 공간적으로 구분되는 중심 취락으로서 주변의 소규모 취락들을 횡적으로 연결하는 지역 거점취락으로 기능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초기철기시대의 점토대토기문화는 전북혁신도시 조사의 최대 성과라 할 수 있는데, 이 시기의 유적으로 대규모 의 분묘군과 함께 주거지, 구상유구, 수혈유구 등이 발견되었다. 신풍이나 갈동유적과 같은 대형 군집묘의 `탄생`은 중심 촌락의 형성과 촌락간의 사회적 계층화가 진전되었음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또한 황방산 일대에서 활발하게 발견되는 구상유구는 `제사`와 `축제`의 공간적 산물로서 여기에서 이루어지는 제의 행사에는 사회적 연결고리를 지닌 지역 내의 여러 촌락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였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prehistoric remains around Mangyeong river including Jeonbuk innovative city. The remains of the Paleolithic Age were found in many sites of Mangyeong river, but soil layers and stoneware combination showed a similar style and almost of them were made during the upper Paleolithic Age. The remains of the Neolithic Age were a few subterranean pits and Daecheon-ri type dwellings in Jeonbuk innovative city. The age of these subterranean pits and Daecheon-ri type dwellings was around the Middle Neolithic Age. The “Incipient” dwellings of the Bronze Age were found at Dongsandong in Jeonju. The Early dwelling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idwest region in terms of location and distribution but feature the confirmed various cultures of Garak-dong, Yeoksam-dong, Heunam-ri, and Misa-ri. Also,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Early Bronze Age culture in the Mangyeong river basin was affected by the order of Misa-ri, Garak-dong, and Yeoksam-dong. The Guam-ri site in Wanju is noticed because the large ditches and remains of sacred vestments where surrounding dwellers might gather for sacred vestments. In Songgungni-type culture of the Middle Bronze Age, many settlements and tombs were found in the area of Mangyeong river basin. Among these sites, the Dongsan-dong site served as the regional base settlement horizontally connecting small-sized settlements as the main settlement that spatially categorized life, store, professional storage areas.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that could be the maximum outcome of the excavation on Jeonbuk innovative city found various life remains such as dwelling sites, ditches, and subterranean pits, laying the important foundation for studying various aspects of the then society. In particular, the `creation` of large group tombs such as Sinpung and Galdong sites showed the creation of central settlements and the improvement of social stratification between villag- es. Besides, it seems that as the spacial product of `ancestral rites` and `festivals`, the ditches often found in Hwangbangsan had ancestral events that many socially interconnected villages were highly likely to join.

      • KCI등재후보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그리고 가야의 상호관계

        김승옥 ( Kim Seung Og ) 호남고고학회 2019 湖南考古學報 Vol.63 No.-

        이 글의 목적은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그리고 가야의 상호관계를 논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물질문화를 통한 정치체의 동정과 상호관계에 대한 이론적 전제 및 방법론에 대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호남지역 초기철기∼삼국시대 문화의 다양성과 마한의 시공간에 대해 논의한다. 마한의 시간적 전개과정은 물질문화와 문헌기록으로 볼 때 조기-전기-중기-후기로 나눌 수 있는데, 획기별로 마한의 주요 공간이 이동하였고 물질문화의 내용과 성격 역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글에서는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가야의 상호관계를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본다. 1단계(3세기 중반∼4세기 중후반)는 호남지역에서 마한과 백제, 가야가 상호관계와 교섭을 시작하는 시기이다. 이 단계의 마한 문화는 호남 서부 일대에서 전성기를 누리게 되고, 금강 상류의 진안고원과 운봉고원 일대를 제외한 섬진강 전역에 나타난다. 마한 문화의 지역적 차이는 서부와 동부로 대별되는데, 서부는 물론이고 동부에서도 소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서부와 상대적으로 이질적인 섬진강 중류와 하류, 보성강권 문화는 영산강 상류와 서남해안의 문화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된다. 호남지역, 특히 영산강유역의 마한 정치체는 중서부 지역 백제나 마한 정치체, 경남 서부의 금관가야와 활발한 대외관계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대외교섭은 중심과 주변간의 관계가 아닌, 소위 ‘동등 정치체간 교호관계’로 볼 수 있다. 2단계(4세기 후반∼5세기 후반)에 접어들면 전북 서부 일대는 백제의 지배영역으로 편입되지만 일부 거점지역을 제외한 영산강 일대는 정치와 문화의 자율성을 누렸던 것으로 판단된다. 섬진강유역권에서는 마한 문화가 점차 쇠퇴하면서 백제, 아라가야, 소가야의 문화요소가 혼재하게 된다. 그러나 5세기 중반 경에 이르면 백제와 대가야 세력이 치열한 각축을 벌이게 되는데, 그 핵심지대는 금강 상류와 섬진강 중류 일대로 추정된다. 마지막의 3단계(6세기 전반∼중반)에 이르면 백제가 호남지역 대부분을 영역화하기 시작하며 6세기 중반 경에는 직접지배가 완료되는데, 이는 물질자료와 문헌기록에서 입증된다. 영역화가 가장 늦은 지역은 섬진강 일대로 볼 수 있는데, 상류와 중류를 장악한 백제는 이후 운봉고원과 장수의 대가야 세력, 하류의 任那四縣을 정복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nterrelation between Mahan, Baekjae, and Gaya in the Honam Region. To this end, we first look at the theoretical premises and methodologies for examining the evolution and interrelation of political bodies based on material culture. Next, we discuss the diversity of the cultures within the Honam region from the early Iron Age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well as the space-time of Mahan. Based on material culture and written records, the temporal development of Mahan may be segmented into the initial- early-middle-late periods. The key spatial sphere of Mahan saw changes along with the progression of the periods, accompanied by diverse changes in the content and nature of its material culture. This study considers the interrelation between Mahan, Baekjae, and Gaya in the Honam region through three stages. The 1st Stage (middle 3rd century ~ middle-late 4th century) was one where interrelation and negotiations began between Mahan, Baekjae, and Gaya in the Honam region. During this stage, the ancient culture of Mahan reached its peak in the western areas of the Honam region, spreading throughout the Seomjin River area, with the exception of the Jinan highlands in the upper Geum River area and the vicinity of the Woonbong highlands. Regionally, Mahan culture exhibited marked differenc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with further differences found in each of the sub-regions in not only the western but also eastern areas. The cultures of the midstream and lower areas of the Seomjin River and that of the Boseong River area, which were relatively disparate from those of the western regions, came to form close relations with the cultures in the upper Youngsan River and the southwestern coastline. The Mahan political bodies of the Honam region - in particular those near the basin of the Youngsan River - pursued active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Baekjae and Mahan political bodies in the mid-western regions, as well as Geumgwan-Gaya in the western part of the Gyeongsangnam-do province. Such diplomatic negotiations may be regarded not as a relationship between a core and its periphery, but as an 'interaction relationship between equal political bodies'. With the advent of the 2nd Stage (late 4th century ~ late 5th century), the western areas of the Jeollabuk-do province came under the dominion of Baekjae. However, most areas of the Youngsan River - barring certain foothold territories - still retained their political and cultural autonomy. As the Mahan culture gradually deteriorated in the basin areas of the Seomjin River, there was a confluence of cultural elements from Baekjae, Ara-Gaya, and So-Gaya. However, by the mid-5th century, there occurred an intense power struggle between Baekjae and Dae-Gaya - the key areas of this struggle are presumed to be in the upper Geum River area and the midstream of the Seomjin River. Lastly, with the advent of the 3rd Stage (early to mid-6th century), most of the Honam region became the territory of Baekjae, with the establishment of direct control seeing completion by the mid-6th century. This is supported by both material culture and written records. The areas that were the last to come under Baekjae control appear to have been around the Seomjin River. After first subjugating the upper and midstream regions, Baekjae then went on to conquer Dae-Gaya in the Woonbong highlands and Jangsoo, as well as the Four Prefectures of Imna(任那四縣) in the downstream parts of the river.

      • KCI등재

        龍潭댐 無文土器時代 文化의 社會組織과 變天過程

        金承玉 호남고고학회 2004 湖南考古學報 Vol.19 No.-

        본고는 용담댐 수몰지구에서 발견된 무문토기시대의 유적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당시 문화의 전개과정과 성격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주거지와 무덤의 형식분류 및 편년을 살펴 본 다음 각 단계의 사회조직과 변천 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Ⅰ 단계(기원전 10∼9세기)의 무덤은 단독묘가 축조되는데, 이들 단독묘의 피장자는 가족 공동체를 대표하는 자의 무덤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구의 규모·형태·구조, 출토유물의 분석으로 볼 때 이들 단독묘의 피장자들 사이에서는 주목할만한 사회적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Ⅱ단계(기원전 8∼6세기)에 이르면 본격적인 송국리형 문화의 영향을 받아 유구의 대규모화, 군집화, 단위화가 발생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무덤간의 사 회적 관계도 차별화되는데, 예를 들어 여의곡 3·4·5호와 구곡A 5-1·5-2·5-3호는 다른 일반 무덤과 유구의 특징과 출토유물의 양상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무덤군은 다른 일반 무덤과 구별하여 '유력 가족묘'라 부를 수 있다. Ⅲ단계(기원전 5∼4세기)에서도 여의곡 1호와 2호는 유력묘의 특징을 보여주는데, 두 기 모두 개별적으로 축조 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유력 개인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용담댐의 무문토기시대 유적은 정자천과 안자천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는데 두 지 역은 상이한 시공간적 발전과 정을 보여주고 있다. 즉 Ⅰ 단계의 무문토기문화는 안자천에서만 나타난다. Ⅱ단계에 접어들면 안자천뿐만이 아니라 정자천에도 무문토기 문화가 등장하고 두 지역 모두 유력 가족묘가 등장한다. 그러나 안자천에 비해 정자천의 사회 는 훨씬 복잡하고 발전된 수준의 문화를 발전시키게 된다. Ⅲ단계에 들어서면 안자천의 무문토기시대 문화는 이제 소멸의 단계에 접어들게 되지만 정자천에서는 새로이 유력 개인묘가 등장하고 계속적인 발전을 이루게 된다. 실제로 유력 개인묘의 형태와 구조, 출토유물에서 볼 때 Ⅲ단계의 정자천 사회는 가장 높은 수준의 사회적 서 열화와 복잡화를 이룩하게 된다. 용담댐의 무문토기시대인들은 독특한 형태의 '용담식 지석묘' 를 축조하였고 이러한 용담식 지석묘는 섬진강과 보성강, 황강과 남강 일대, 그리고 전남의 일부 지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문화적 가교로서의 용담댐 부문 토기문화는 송국리형 주거지중 C형의 분포에서도 입증된다. This essay attempts to explain the developmental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mun(plain-coarse pottery) period culture,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archaeological sites in the area submerged by the Yongman-dam. It starts with the typological classification and chronology of the settlements and tombs. The analyses show that the Phase Ⅰ burials(1000-800 BC) are characterized by the individual tombs and that the persons buried in these tombs seems to be the head of an extended family. However,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burial size, form, structure, and artifacts found,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social hierarchy between the burials during Phase Ⅰ. The Phase Ⅱ burials(800-500 BC),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songgungni-type culture, were marked by the dramatic increase in the burial number and the formation of the burial cluster. Further, Phase Ⅱ exhibited the appearance of social status differentiation between the burials. For example, in comparison to other tombs, Tombs No. 3·4·5 at the Yuyigok site and Tombs No. 5-1·5-2·5-3 at the Gugok site exhibited the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burial characteristics and artifacts uncovered, indicating the appearance of the burials of high-ranking groups. These tombs can be designated as "high-ranking family burials". During Phase Ⅲ (500-300 BC), Tombs No. 1 and 2 also exhibited the characteristics of high-status tombs. Based on the fact that they were constructed separately, they can be titled as "high-status individual burials", Most sites of the Murnun period in the Yongdam-dam were found in the Jungja stream and the Ahhja stream, which had underwent the different developmental processes both time and space. The Phase Ⅰ sites were revealed only in the Ahhja stream. During Phase Ⅱ, the Murnun period culture was found in the Jungja stream as well as the Ahhja stream, both of which produced high-ranking family burials. Yet, the Murnun period society of the Jungja stream was much more complex and larger in site size than that of the Ahnja stream. While the Murnun period society of the Jungja stream seems to have showed a gradual decrease in social complexity and site sizes during the subsequent Phase Ⅲ, that of the Jungja stream witnessed an emergence of the new high-status individual burials and continued to prevail. In fact, based on the form and structure of high-status individual burials and artifacts found, the Phase Ⅲ society exhibited the highest social complexity and hierarchy. This essay shows that the Murnun period groups of the Yongdam-dam constructed "the Yongdam-type dolmens" and that this kind of cultur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Sumjin-gang river basin, the Posung-gang river basin, the Nam-gang river basin, and the Hwang-gang river basin. The Murnun period culture of the Yongdam-dam area as the cultural bridge is also supported by the distribution of the C-type houses of the Songnungni-type culture.

      • KCI등재

        金海 禮安里古墳群 築造集團의 社會構造와 性格

        金承玉 嶺南考古學會 2001 嶺南考古學 Vol.- No.29

        김해 예안리 고분군은 가야시대의 대규모 고분군으로서 많은 수의 무덤에서 인골 자료가 출토되어 한국 고대사회의 사회조직과 위계관계를 논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유적이다. 이 글은 무덤 피장자의 생전의 사회적 역할과 무덤자료의 변이성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예안리 고분군의 성과 연령에 따른 사회조직과 위계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이 글은 예안리 목곽묘와 석곽묘에서 발견된 피장자의 성과 연령의 차이에 따라 유구와 부장유물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특징과 관계를 나타내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예안리 고대사회는 피장자의 성에 따라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체계적으로 조직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즉 남성묘는 철모, 철촉, 철부와 깊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여성묘에 비해 묘광의 크기가 월등하게 크고 철기의 종류와 양이 우월하게 나타난다. 이에 비해 여성묘에서는 방추차 외에 여성과 관련시킬 수 있는 유물이 출토되지 않았다. 또한 예안리고분 축조집단은 연령차에 따라서 사회적 위계관계가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석곽묘와 목곽묘 단계 모두 성인묘에서는 유소아묘에 비해 철기의 종류 및 수량이 현저하게 높게 발견된다. 특히 유소아묘에서는 성인 남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철기들이 거의 발견되지 않아 주목된다. 목곽묘 단계의 예안리 사회는 성인사이에서도 나이가 많으면 많을수록 철기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양적인 면에서도 현저하게 많이 부장되어 연령에 따른 사회분화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석곽묘 단계의 예안리 사회는 성인 사이에서 이러한 차이를 거의 보여주지 않아 전자의 사회와 약간의 차이가 있다. 결론적으로 고대 예안리 사회는 성과 연령에 의해 조직된 사회적 질서를 보여주며, 철모, 철촉, 철부와 같은 사회적 지위와 연결되는 물적 매개물을 소유한 성인 남성은 농민임과 동시에 전사집단으로써 당시 사회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우월한 지위와 역할을 담당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The Yean-ni site, located in Kimh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ites which can provide archaeologists with much key information on the social structure and hierarchy of the ancient Korean society because it is the large-scale burial site belonging to the Kaya period and produced a large number of skeleton remain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role and rank of the deceased during life and the manner in which the remains are disposed of and accompanied by artifacts,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plore the social structure and hierarchical relationships of the ancient Yean-ni society through the analyses of mortuary variability in relation to age and sex, In other words, it attempts to explain how mortuary variability of wooden outer-coffin tombs(木槨墓) and stone lined tombs(石槨墓) found at Yean-ni was associated with age and sex. The analyses strongly suggest that the social position and role at the ancient Yean-ni community was systematically organized on the basis of sex differences , That is, while male tombs are correlated with iron socketed spearheads, iron arrowheads, and iron axes, female tombs are associated with only one artifact type, spindle whorls. Further, the results imply that the relative rank differentiation at Yean-ni might be associated with age differences, too. Adults were buried with a significantly greater variety and number of iron artifacts than were subadults during both outer-coffin tomb phase and stone lined tomb phase.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subadult tombs did not yield almost no iron artifacts, such as iron socketed spearheads, iron arrowheads, and iron axes, which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male tombs. During the outer-coffin tomb phase at Yean-ni, senile groups produced a greater variety and number of iron artifacts than adult groups did. Yet, during the stone lined tomb phas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nile and adult groups was observed in the occurrence and quantity of iron artifacts. In short, the analyses on the social organization of the Yean-ni community strongly suggest that the relative rank was distinguished by sex and age, and that adult males, both as agriculturists and warriors, had the highest status within the community.

      • KCI등재후보

        호남지역 마한 주거지의 편년

        金承玉 호남고고학회 2000 湖南考古學報 Vol.11 No.-

        최근 호남지역 마한주거지의 발견이 급증하고 있지만 고고학의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는 분포와 밀도, 편년에 대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글의 목적은 호남지역에서 현재까지 발견된 마한 주거지의 분포를 논하고, 주거지의 공간적 배치와 출토토기의 분석에 기초하여 마한주거지의 편년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호남지역 마한주거지를 전북 서해안, 영산강 상류, 영산강 하류, 보성강유역, 섬진강 상류로 나누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기원전 1세기부터 기원후 6세기초에 해당하는 호남지역 마한주거지들은 크게 4기로 나눌 수 있고, 전북 서해안의 주거지들은 다른 지역의 것에 비해 일찍 폐기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전북 서해안의 주거지들의 하한은 4세기 중반이후로 떨어지지 않지만 다른 지역주거지의 하한은 기원후 6세기 초엽까지 떨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전북지역의 마한세력이 전남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에 백제에 편입되었다는 역사적 기록을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주거지의 구조와 형태, 출토유물에 있어서 서해안의 평야지대와 동부 산악지대는 뚜렷한 공간적 차이를 보이고 있어 당시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을 시사하고 있다. Although the discovery of the Mahan settlements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few attempts have been made on the distribution and chronologies of them, which are the fundamental works in archaeology.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provide the chronological frameworks of the Mahan settlements found in the Honam province, which is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houses and the analyses of ceramic pots recovered. The Mahan settlements in the Honam province were divided into the four areas: the west coast of the Chonbuk province, the upper reaches of the Youngsan river, the lower reaches of the Youngsan river, the Posung river basin, and the upper reaches of the Sumjin river. The analyses show that the Mahan settlements, dating from the 2nd century BC to the 6th century AD, can be divided into the four phases and that those found in the Chonbuk province were discarded earlier than those found in the other areas. In other words, the settlements in the Chonbuk province were abandoned at least by the middle 4th century AD and those in other areas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early 6th century AD. Further, the analyses indicate that, based on the structures and shapes of the houses and artifacts recovered, there were the spatial differences between the plain area of the west and the mountainous area of the east in the Honam province, impling the political and/or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reas.

      • KCI등재후보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프리드리히 쉴러에게 미친 영향

        김승옥 한국비교문학회 2003 比較文學 Vol.31 No.-

        Friedrich Schiller hat die Werke William Shakespeares schon fru¨h in seiner Karlsschule kennengelernt. Sein Lehrer Abel berichtet : "kaum war die Vorlesung vollendet, so begehrte er [Schiller] das Buch von mir und von nun an las und studierte er dasselbe mit ununterbrochenem Eifer." Schiller wurde von diesen Tagen an von Shakespeare bis zu seinem Tode begleitet Shakespeares Einfuss bezieht sich nicht nur auf einen deutschen Dichter, sondern auf alle Dichter Europas, Amerikas und Asiens. Aber hier wird untersucht, wie Schiller seine Gedanken und die Motive seiner Dramen unter dem Einfluss Shakespeares formuliert hat Seine Jugendwerke, von den Ra¨bern bis zu Don Karlos, entstanden ganz unter dem Einfluss des 'gro¨ßten Menschenmalers', wenn er sagt: "Einen u¨berlegenden Schurken, dergleichen Franz [...] auf die Bußne zu bringen, - [. . .] oder besser ihn zum Gegenstand der bildenden Kunst zu machen, heißt mehr gewagt, als das Ansehen Shakespeares, des go¨rßten Menschenmalers, der einen Jago und Richard erschuf, entschuldigen"(Selbstrezension). Als Schiller Kabale und Liebe in Bauerbach schrieb, hat er Reinwald gebeten: "Sie werden mir einen Dienst erzeigen, wenn Sie mir Othello mit dem ba¨ldigsten verschaffen". Und wieder wollte er Shakespeare haben, als er Fiesco schrieb. So sind Ferdinand, Wurm und Luise vergleichbar mit Othello, Jago und Desdemona. Ein Taschentuch spielt bei Shakespeare eine ausschlagendende Rolle in der U¨berfu¨hrung der Desdemona, ein Schnupftuch bei Schiller in Kabale und Liebe. U¨ber Don Carlos hat er in einem Brief gesagt: "Carlos hat, wenn ich mich des Maßes bedienen darf, von Shakespeares Hamlet die Seele"(14.4.1783). Besonders kann man Wallenstein mit Macbeth, Maria Stuart mit King Henry Ⅷ vergleichen. Schillers spa¨ere Dramen, wie die Jungfrau von Orleans und Wilhelm Tell sind auch von den Dramen Shakespeares beeinflusst. Aber Schillers Dramen sind ganz anders als die Dramen von Shakespeare, weil er dem Dichter das Amt des Rechtsanwalts zufallen la¨ßt. Das ist sein Grundbegriff der modernen bu¨rgerlichen Moral, indem er in seinen A¨thetischen Schriften (A¨thetiche Erziehung) behauptet, dass der Dichter zum Erzieher der Menschheit berufen ist. Bei Schiller hat das Scho¨ne die Aufgabe die Menschen zu veredeln, was bei Shakespeare noch nicht bekannt ist, er kannte ja die Aufkla¨rung und die Franzo¨siche Revolution nicht. Schiller allein war imstande, 'die Bu¨hne als eine moralische Anstalt' zu betrachten. So ko¨nnen wir sagen, dass Schiller da einsetzen will, wo Shakespeare endet. Wie Goethe zu Eckermann sagt, kann Schiller es erreichen, 'daß die Seele seiner Stu¨cke zur Seele seines [Deutschen] Volkes wer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