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그리고 가야의 상호관계 = The Interrelation between Mahan, Baekjae, and Gaya in the Honam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351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그리고 가야의 상호관계를 논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물질문화를 통한 정치체의 동정과 상호관계에 대한 이론적 전제 및 방법론에 대해 살펴본...

      이 글의 목적은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그리고 가야의 상호관계를 논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물질문화를 통한 정치체의 동정과 상호관계에 대한 이론적 전제 및 방법론에 대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호남지역 초기철기∼삼국시대 문화의 다양성과 마한의 시공간에 대해 논의한다. 마한의 시간적 전개과정은 물질문화와 문헌기록으로 볼 때 조기-전기-중기-후기로 나눌 수 있는데, 획기별로 마한의 주요 공간이 이동하였고 물질문화의 내용과 성격 역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글에서는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가야의 상호관계를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본다. 1단계(3세기 중반∼4세기 중후반)는 호남지역에서 마한과 백제, 가야가 상호관계와 교섭을 시작하는 시기이다. 이 단계의 마한 문화는 호남 서부 일대에서 전성기를 누리게 되고, 금강 상류의 진안고원과 운봉고원 일대를 제외한 섬진강 전역에 나타난다. 마한 문화의 지역적 차이는 서부와 동부로 대별되는데, 서부는 물론이고 동부에서도 소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서부와 상대적으로 이질적인 섬진강 중류와 하류, 보성강권 문화는 영산강 상류와 서남해안의 문화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된다. 호남지역, 특히 영산강유역의 마한 정치체는 중서부 지역 백제나 마한 정치체, 경남 서부의 금관가야와 활발한 대외관계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대외교섭은 중심과 주변간의 관계가 아닌, 소위 ‘동등 정치체간 교호관계’로 볼 수 있다.
      2단계(4세기 후반∼5세기 후반)에 접어들면 전북 서부 일대는 백제의 지배영역으로 편입되지만 일부 거점지역을 제외한 영산강 일대는 정치와 문화의 자율성을 누렸던 것으로 판단된다. 섬진강유역권에서는 마한 문화가 점차 쇠퇴하면서 백제, 아라가야, 소가야의 문화요소가 혼재하게 된다. 그러나 5세기 중반 경에 이르면 백제와 대가야 세력이 치열한 각축을 벌이게 되는데, 그 핵심지대는 금강 상류와 섬진강 중류 일대로 추정된다. 마지막의 3단계(6세기 전반∼중반)에 이르면 백제가 호남지역 대부분을 영역화하기 시작하며 6세기 중반 경에는 직접지배가 완료되는데, 이는 물질자료와 문헌기록에서 입증된다. 영역화가 가장 늦은 지역은 섬진강 일대로 볼 수 있는데, 상류와 중류를 장악한 백제는 이후 운봉고원과 장수의 대가야 세력, 하류의 任那四縣을 정복하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nterrelation between Mahan, Baekjae, and Gaya in the Honam Region. To this end, we first look at the theoretical premises and methodologies for examining the evolution and interrelation of political bodi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nterrelation between Mahan, Baekjae, and Gaya in the Honam Region. To this end, we first look at the theoretical premises and methodologies for examining the evolution and interrelation of political bodies based on material culture. Next, we discuss the diversity of the cultures within the Honam region from the early Iron Age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well as the space-time of Mahan. Based on material culture and written records, the temporal development of Mahan may be segmented into the initial- early-middle-late periods. The key spatial sphere of Mahan saw changes along with the progression of the periods, accompanied by diverse changes in the content and nature of its material culture.
      This study considers the interrelation between Mahan, Baekjae, and Gaya in the Honam region through three stages. The 1st Stage (middle 3rd century ~ middle-late 4th century) was one where interrelation and negotiations began between Mahan, Baekjae, and Gaya in the Honam region. During this stage, the ancient culture of Mahan reached its peak in the western areas of the Honam region, spreading throughout the Seomjin River area, with the exception of the Jinan highlands in the upper Geum River area and the vicinity of the Woonbong highlands. Regionally, Mahan culture exhibited marked differenc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with further differences found in each of the sub-regions in not only the western but also eastern areas. The cultures of the midstream and lower areas of the Seomjin River and that of the Boseong River area, which were relatively disparate from those of the western regions, came to form close relations with the cultures in the upper Youngsan River and the southwestern coastline. The Mahan political bodies of the Honam region - in particular those near the basin of the Youngsan River - pursued active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Baekjae and Mahan political bodies in the mid-western regions, as well as Geumgwan-Gaya in the western part of the Gyeongsangnam-do province. Such diplomatic negotiations may be regarded not as a relationship between a core and its periphery, but as an 'interaction relationship between equal political bodies'.
      With the advent of the 2nd Stage (late 4th century ~ late 5th century), the western areas of the Jeollabuk-do province came under the dominion of Baekjae. However, most areas of the Youngsan River - barring certain foothold territories - still retained their political and cultural autonomy. As the Mahan culture gradually deteriorated in the basin areas of the Seomjin River, there was a confluence of cultural elements from Baekjae, Ara-Gaya, and So-Gaya. However, by the mid-5th century, there occurred an intense power struggle between Baekjae and Dae-Gaya - the key areas of this struggle are presumed to be in the upper Geum River area and the midstream of the Seomjin River. Lastly, with the advent of the 3rd Stage (early to mid-6th century), most of the Honam region became the territory of Baekjae, with the establishment of direct control seeing completion by the mid-6th century. This is supported by both material culture and written records. The areas that were the last to come under Baekjae control appear to have been around the Seomjin River. After first subjugating the upper and midstream regions, Baekjae then went on to conquer Dae-Gaya in the Woonbong highlands and Jangsoo, as well as the Four Prefectures of Imna(任那四縣) in the downstream parts of the rive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