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초음속 흡입구 블리드 출구 설계를 위한 전산유체해석 연구

        김보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초음속 항공기 흡입구는 충격파를 이용하여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충격파와 흡입구 경사면에서 발생한 난류 경계층은 상호작용하여 유동 박리, 경계층 프로파일 왜곡, 버즈 등의 현상을 유발한다. 이러한 유동 불안정성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초음속 흡입구 내에는 경계층 제어장치인 블리드 시스템이 설치된다. 본 연구에서는 블리드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루버 형상의 블리드 출구 설계를 위해 전산유체해석을 수행하였다. 선행연구가 수행되지 않은 블리드 출구 유동특성을 확인하기 앞서, 본 연구에서 사용할 SST 난류모델과 ANSYS Fluent v18.0 solver의 수치해석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우선 검증하였다. 초음속 비행조건에서 배출되는 블리드 유동에 대한 유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루버의 기하학적 형상을 설계변수로 하여 plenum chamber의 압력에 따른 블리드 출구에서의 물성치 변화를 비교하였다. 30° 평판 루버를 기준형상으로 하여 베인의 각도(30°, 15°)와 개수(12, 9, 6, 3 ea)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블리드 출구 주변에서 발생하는 충격파와 팽창파 등의 복잡한 유동패턴을 관찰하였다. 전산유체해석으로부터 얻은 정성적인 데이터베이스 경향과 유동패턴은 향후 블리드 출구 및 초음속 항공기 배기구 설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Supersonic aircraft inlet uses shock waves to slow down the air supplied to the engin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hock system and the boundary-layer may cause flow separation, boundary-layer profile distortion, and buzz. A bleed system, which is the boundary-layer control, is installed within the supersonic inlet to eliminate these flow instability. In this study, the CFD simulation was performed for the bleed exit design of louver structure, a component of the bleed system. No Studies related to bleed exit have been conducted. so, the bleed hole first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numerical results of the SST turbulence model and ANSYS Fluent v18.0 solver used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bleed flow discharged under supersonic flight conditions, the geometry configuration of the louver was used as a design parameter and the changes in properties at the bleed exit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plenum chamber were compared. Additionally, complex flow patterns such as shock and expansion wave around the bleed exit were observed.

      • 실내 공기의 다성분 청정제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김보환 水原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8639

        최근 실내대기질(Indoor Air Quality, IAQ)은 국제적으로 새로운 환경문제로 대두되어 그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고 있는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약 7만 여종에 달하는 새로운 화학물질이 합성되었으나 인간에 대해 미치는 영향은 아직 정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실내공간을 오염시키며 이로 인한 실내대기의 오염으로 빌딩증후군이 21세기 들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므로 실내환경을 쾌적한 자연환경에 가깝도록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대기질의 중요 인자인 산소, 온도, 습도, VOCs, 분진, CO_(2)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실험실적 수준에서 연구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실내 대기 조건을 측정하는 센서, 계측 및 제어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실내공간의 다양한 대기 조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산소/온도/습도/VOCs/분진/CO_(2) 청정제어 시스템 설계를 위하여 각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CPU에서 연산을 통하여 각각의 농도를 환산하였고 이를 외부의 제어대상(산소발생기, 에어컨, 히터, 가습기, 공기청정기 등)으로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설계하였다. 둘째, 산소 제어시스템은 산소센서에서 측정된 산소농도로 압력, 온도 및 습도의 보상회로를 거쳐 산소발생기를 제어하도록 설계하였으며 산소발생기는 분자체 방식에 의해 압축공기중 산소를 분리 공급하도록 설계하였다. 셋째, 온도제어시스템은 온도센서에서 온도를 저항값으로 측정하고 저항값의 변화를 전압값으로 변화시킨 다음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달하며 제어시스템의 계측부에서 출력되는 4~20mA의 값을 기준으로 에어컨을 On-Off 하도록 설계하였다. 넷째, 습도 제어시스템은 습도센서모듈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달하며 제어시스템의 계측부에서 출력되는 4~20mA의 값을 기준으로 On-Off하도록 설계하였다. 다섯째, VOCs 제어시스템은 VOCs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VOCs농도로 출력하여 이를 제어시스템이 공기 청정기를 제어하도록 설계하였다. 여섯째, Dust 제어시스템은 Dust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한 후 Dust값으로 환산하여 공기청정기를 3단계(150㎍/㎥이상, 80㎍/㎥~150㎍/㎥, 80㎍/㎥미만)로 제어하도록 설계하였다. 일곱째, CO_(2) 제어시스템으로 CO_(2)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CO_(2)농도로 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산소발생시스템을 설정된 상하한 값을 기준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하였다. 끝으로, 다성분 센서의 출력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Protocol을 설계하고, Digital Analog Converter 제어기능 설계, 출력 및 지령제어와 센서의 교정 및 보정(Adjustment & Calibration)기능을 갖는, 다성분 청정 제어시스템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실적 범위내에서 다성분 제어시스템이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This importance of indoor air quality(IAQ) has been raised since the beginning of 21 century for the better living environment. In the present study, various components such as oxygen, temperature, humidity, volatile organic compounds, suspended particle, and carbon dioxide have been measured for optinal management of indoor air quality in lab-scale. Each component was designed to replace sensing part easily while its life time and stable output were improved for better performance. Individual signal outputs were analyzed to propose measurement electrical circuits and their corresponding systems such as oxygen generator, heater, air cleaner, and humidifier. The protocol to control individual sensing outputs was designed while their softwares were developed for proper digital/analog conveter along with its adjustment and calibration system. The oxygen control system was designed to control an oxygen generator available in the type of molecular sieves. The temperature control system was made of a thermister and a microprocessor to control the air conditioner by the measured value from 4 to 20 mA. The humidity control system was designed with the humidity module to display output from 4 to 20 mA.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were monitored to control an air cleaner by the control system composed of its sensor and measurement device. Dust was controlled to monitor the level of dust in the range of below 80 ㎍/㎥, 80 to 150 ㎍/㎥, and above 150㎍/㎥. The carbon dioxide control system was composed of its sensor and monitoring system which controlled the specified upper and lower points. The developed multi-component system was examined for its stable performance, which was found to be acceptable within the experimental lab-scale.

      • PSC道路橋에 대한 步行者 中心의 振動使用性 硏究

        김보환 東新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WPC 교량에 대해 차량속도와 교면아스팔트의 포장 상태, 차량중량 등을 실험변수로 하여 차량이 교량을 주행할 때 교면진동이 보행자에게 미치는 진동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량의 진동사용성이라 함은 보행자가 느끼는 진동영향에 대한 교량의 사용성을 의미한다. 연구대상교량은 PSC 도로교(30m@3=90m, 연속교)의 한 종류인 WPC 교량 (Wide-flang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을 선정하였다. WPC 교량은 확폭플랜지 박스형 거더형태로 중립축을 상향 이동시켜 상·하 플랜지의 응력균형으로 최적 단면에 의해 효율을 극대화 시킨 교량으로 제구형 단면에 스티로폼을 넣어 슬래브 타설을 위한 확장된 바닥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진동사용성 평가를 위하여 교면의 아스팔트 포장상태를 BMS 기준으로 A, C등급, 차량중량은 130kN, 270kN, 주행속도는 20km/h, 40km/h, 50km/h로 구분하여 고려하였다. 교면상태가 C등급일 경우와 A등급일 경우에 대한 진동가속도 응답의 정량적인 차이는 본 연구의 실험 시 얻어진 환산중량 1.22~4.39km/h․kN 범위 내에서 13.4~37.6%로 분석되었다. 또한 수정된 Reiher-Meister의 가속도 허용곡선에 준하여 검토한 결과 WPC 거더 교량 위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느끼는 진동수준은 교면아스팔트 포장상태 A, C등급에 따라 각각 60%, 90%가 진동으로 인해 불안감을 느끼는 "Level B, disturbing" 수준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근거로 판단할 때 WPC 교량은 적절한 수준의 진동사용성을 확보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WPC 교량의 교면 진동가속도 응답을 추정할 수 있는 진동추정식을 신뢰도 50, 90, 95%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제안된 진동추정식들은 교면의 아스팔트 포장상태를 고려할 수 있다. 진동을 발생시키는 에너지원을 ‘환산중량’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포함시켰다. 진동가속도 응답 추정과 진동사용성을 평가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체계화하여 진동사용성 평가를 위한 Flow-chart를 본 연구에서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the vibration serviceability of pedestrian by travelling vehicles on the WPC, Wide-flang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was studied. Experiment variables were considered travelling speed of vehicles, pavement state of asphalt on the deck and weight of vehicles, preferentially. The vibration serviceability of bridge used in this study means serviceability of bridge considering pedestrian's vibration effect. The WPC girder bridge (30m@3=90m, continuous type), one type of general PSC bridge was chosen for study target. It was box-type girder form with wide flange, box-type girder was designed to motive stress balance of upper and lower flanges moving neutral axis upward. Also, it is characteristic that is consisted of extended deck plate so that this girder puts Styrofoam on trapezoid section and slab construction is available simply. More detailed experiment variables for pavement grade states, vehicle weight, travelling velocity were considered by A and C grades by BMS (Bridge Management System) standard, 130kN and 270kN, 20km/h, 40km/h and 50km/h, individually. The incremental ratio extent of vibration acceleration responses, asphalt pavement grade C over A, was construed to 13.4 ~ 37.6%. Only, these results are valid within extent of the Scaled-Weight 1.22~4.39km/h·kN. Results that evaluate vibration serviceability by the modified Reiher-Meister's acceleration permission curved line were expose each 60%, 90% according to asphalt pavement grade A and C correspond to ‘Level B, disturbing’. By experiment results, the WPC girder bridge on this study target was exposed that don`t have securing suitable vibration serviceability. The vibration equations for acceleration responses prediction of bridge deck were proposed into three types, reliability 50%, 90%, 95% respectively. These equations can consider asphalt pavement grade, and the vehicle’s weight and travelling velocity, which are the source of vibration, are combined into the term called, ‘Scaled Weight’. From this study, the Flow-Chart for acceleration responses prediction and vibration serviceability estimation was proposed.

      • 대학 행정직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보환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행정직원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직무영역별 직무만족도를 규명하는데 두고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 하였다. 첫째, 대학 행정직원의 직무영역별 전반적인 직무만족도를 규명한다. 둘째, 대학 행정직원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영역별 직무만족도를 규명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본 연구에 맞게 번안ㆍ수정한 설문지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경북지역에 소재하는 국·사립 대학교에 근무하는 행정직원 중 무선표집한 275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216부를 분석자료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적 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과 같은 기본적인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여 자료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하고, 연구문제에 따라 교차분석(x^(2)-test), 차이검증(t-test), 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행정직원의 직무만족도의 전반적인 수준은 보통(3,85<M<2.64)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영역별로는 직무자체, 급여·복지 및 근무환경, 동료, 교육훈련영역의 직무만족도는 상대적을 높게 나타난 반면, 인사 및 학교정책, 인정, 교수·학생과의 관계영역의 직무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자체영역에서는 전반적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재직연수가 많을수록, 직급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업무의 재량권과 업무량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재직연수가 적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사 및 학교정책영역에서는 국립대학이 사립대학보다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상벌제도와 의사결정 참여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국립대학 보다 사립대학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급여, 복지 및 근무환경영역에서는 사립대학이 국립대학보다 급여제도와 휴가 및 보상제도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인정영역에서는 국립대학이 사립대학보다 직업선택에 대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교수, 학생과의 관계영역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재직연수가 많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교수와의 인간관계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연령이 적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동료영역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훈련영역에서는 50대와 20대가 40대, 30대보다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연구대상을 대구·경북지역 4년제 대학 행정직원을 연구대상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을 전국 대학의 행정직원으로 넓혀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직무만족에 대한 보다나은 연구를 위해서는 행정직원의 책임과 소신, 단체행동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컴팩(compact)방적사의 제조메카니즘과 그 특성화

        김보환 忠南大學校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9

        Most of the technical advances in ring spinners are aim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of existing technology. The ring spinner is still widely applied to short and long staple yarn formations. Due to the productivity limitation of ring spinners, the innovative spinning systems, such as open-end rotor, friction, air-jet, solo, and air-vortex spinners, have developed commercially. In recent, the compact spinner is also introduced and it's technique is to minimize the size of the spinning triangle at the draft system of ring spinning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large spinning triangle of ring spinners has increased the hairiness,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Textile Engineering in February, 2008. defective and evenness of ring spun yarns, because the fibers forming the surface of the yarn are more highly tensioned than that in the core part of the yarn. Thus, the compact spinner emphasizes on improving yarn quality rather than increasing productivity. In recent, various compact spinning methods are also developed and are made a commercialization. Since the various compact systems have different spinning mechanism and yarn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yarn formation mechanism, yarn structure and yarn properties of these various compact spinners. The overall objective of this present work is to make comparative study for morphological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act yarn produced by different spinners. We have studied under three stages of experiments for the following specific goals; 1. To compare the yarn formation of compact spinning systems and the structural differences among the yarns, produced by various spinners such as OE rotor, air-vortex and ring systems. 2.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compact spun yarns compared to various compact systems such as system(A), system(B) and system(C), and ring system with the same production conditions. 3. To investigate the various air-suction system of compact spinner technology and structural differences among the yarns, produced by different suction pressure and hole size of compact systems, and compared to ring spun yarns. From the result of three stages experiments, we can obtain the following summary and conclusions; 1. Regardless spinning systems, the characteristic such as evenness, defective and hairiness of combed yarns, as well tensile strength are better and higher than those of carded yarns, because the structure of combed yarn shows more uniform and even fiber twist architect than the cared yarns. 2. Compared to other spinning systems, the compact system can produce the spun yarn having the most clear structure and best fiber arrangement. Thus, the compact spun yarns is composed of a perfect spiral structure without protruding fibers on the yarn surface. 3. The characteristics of compact spun yarns such as irregularity, yarn faults, hairiness, and tensile strength have best performance among ring, rotor and air-vortex spinning systems. 4. A comparison of three various compact systems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system(A) and system(B) represent higher tensile strength of the yarn and clearer structure and lower hairiness of yarns, respectively. Meanwhile, system(C) has lowest yarn fault and evenness levels owing to minimizing spinning triangle area. 5. The hairiness, evenness and defective of the compact yarn produced by the compact system(C) have a decreasing trend with increasing the air pressure of suction apparatus. 6. From the consideration of yarn structure, yarn characteristics and electric power cost, the optimum condition for hole size and air pressure of suction apparatus for the compact spinning system(C) is determined the level of 2.0mm and 250mmH2O, respectively.

      • 편의점 판매자의 안전상비의약품 관련 지식 수준 평가

        김보환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Objective: Over-The-Counter(OTC) medicine sales began since November 15, 1928. The number of people buying OTC medicines at convenience stores is increasing. Though the law compels store owners to complete 4 hours long training education about safe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 which is enforced by The Kore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sales by part-timer comprises a great portion of OTC medicine sales. This research assures the knowledge of convenience store owner and part-timer if they’re appropriate to sell OTC medicine and if they’re surely understanding the knowledge of training education. After investigating retailor’s knowledge level, medicine consumer’s knowledge level would be compared with retailor’s knowledge level. Methods: An Object of research is an analysis of a survey of 20 convenience store owners and 145 part-timers spread all over convenience stores which are located within a 2-kilometer radiu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Dongnae-gu 24 stores, Nam-gu 26 stores). Population is set as 20s and 30s who frequently visit convenience store, and 314 questionnaires of convenience store visitor who purchase OTC medicine is used for analysis. Survey was proceed from March 24, 2016 to April 16, and fill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Questionnaire was classified as questionnaire for customer and questionnaire for retailor, and questionnaire for retailor was once more classified as questionnaire for owner and questionnaire for part-timer. Questionnaire for retailor consist of 39 questions such as common properties, convenience store customer properties, experience of OTC medicine sales or distribution, experience of relevant education, and relevant knowledge, etc. Questionnaire for customer consist of 24 questions such as common properties, experience of OTC medicine purchasing, and relevant knowledge, etc. SPSS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Stu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54.1% of customer had experience of visiting convenience store only for purchasing OTC medicine, and their number of visiting averaged 3.6 times. Daily OTC medicine sales averaged 2.1 times and it showed that most of the sales was made after 6 p.m. The reason of buying OTC medicine at convenience store were “Close of the hospital or pharmacy” accounted for 48.1% and “Accessibility” accounted for 33.4%. Customer’s standard of selecting OTC medicine were “Selection by oneself without an advice” accounted for 43.6%, “Selection with an advice of professional such as doctor or pharmacist” accounted for 21.0%, “Selection with an advice of convenience store worker” accounted for 15.0%, “Selection with an advice of someone close” accounted for 10.5% and “Selection with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and advertisement” accounted for 9.5%. 53.6% of retailor who gave the advice to customer prefer to deliver the information verbally not to read the information from medicine manual. Only 26.9% of part-timer took safety education about OTC medicine, and education about stock control and disposal was entirely not implemented. 72.9% of customer explained the correct amount of dosage, but only 37.0% of retailor answered correctly (P<0.001). 80.9% of customer explained correct time for taking medicine, but only 47.9% of retailor answered correctly. The limit of the research is an arbitrary selection of retailor and customer within restricted area. There is a restriction to generalize the result of research because this research is based on survey which miss a selection of objective one and have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respondent’s personal tendency. Conclusion: The research shows that about a quarter of part-timer take safety education from their store owner but education about stock control and disposal was not completed. The research shows that the knowledge level of retailor was lower than the knowledge level of customer. To make safe use of OTC medicine and prevent the side-effect of medicine, education for retailor must be tightened.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consistent public relation efforts and education for OTC medicine customer. 목적: 안전상비의약품 판매는 2012년 11월 15일부터 시작되었고, 편의점에서 안전상비의약품을 구입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비록 편의점 업주로 하여금 대한약사회에서 시행하는 안전성 확보와 품질관리에 관한 4시간의 교육을 이수하도록 법으로 강제하고 있지만, 안전상비의약품의 판매 중 상당부분은 종업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편의점 업주와 종업원들이 안전상비의약품 판매를 위한 최소한의 교육을 받았는지, 그리고 교육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에 대하여 얼마만큼의 지식을 갖추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의약품 구매 고객의 지식에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동래구와 남구의 대학교 반경 2km 이내에 위치한 전체 편의점(동래구 24개소, 남구 26개소)에 적을 둔 사장 20명과 아르바이트생 145명의 설문을 분석에 이용하였고, 편의점 이용 비율이 높은 20대와 30대를 소비자 설문 대상 모집단으로 정하고 편의점 방문하는 소비자 중 안전상비의약품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314부의 설문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조사는 2016년 3월 24일부터 4월 16일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직접 기입식 설문지를 작성 하였다. 설문지는 판매자용과 소비자용으로 구분하였고, 판매자용은 편의점 사장과 아르바이트로 다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판매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의 구성은 일반특성, 퍈의점 이용 고객 특성, 취급 안전상비의약품, 안전상비의약품 판매 경험, 관련 교육경험, 관련지식 등 총 39문한으로 구성하였다. 소비자를 대상으로 일반특성, 안전상비의약품 구매 경험, 관련 지식등 총 2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Student t-test, chi-square tes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소비자의 54.1%는 안전상비의약품 구매만을 위해 편의점을 이용한 경험이 있었고 지금까지 구입 횟수는 평균 3.6회로 나타났다. 안전상비의약품은 하루 평균 2.1개가 판매되며 저녁 6시 이후에 가장 많이 판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편의점에서 약을 구입한 이유는 병원이나 약국이 문을 닫아서가 48.1%로 가장 많았으며 가까워서가 33.4%로 그 뒤를 이었다. 안전상비의약품을 선택할 때 조언 없이 직접 선택한다가 43.6%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가(의사,약사)의 조언에 따라 선택한다 21.0%, 편의점 직원의 조언을 통해 선택한다 15.0%, 주변 사람의 조언을 통해 선택한다 10.5%, 인터넷과 광고를 통해 선택한다 9.5%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에게 조언한 판매자의 53.6%는 약품설명서의 내용을 전달한 것이 아니라 직접 설명하는 방법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점 아르바이트의 26.9%만이 안전상비의약품 안전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재고관리와 폐기에 대한 내용은 전혀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소비자의 72.9%는 복용량을 정확하게 설명한 반면, 판매자는 37.0%만이 정확하게 답하였고(P<0.001), 소비자의 80.9%는 복용시간을 정확하게 설명한 반면 판매자는 47.9%만 정답을 맞추었다(P<0.001). 연구의 제한점은 특정 지역의 편의점을 중심으로 한 판매자와 소비자를 임의로 선정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객관적인 자를 바탕으로 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설문을 통해서만 정보를 입수했으므로 응답자의 주관적 성향을 제거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약이 있을 수 있다. 결론: 편의점 아르바이트 종업원 중 약 1/4만이 점주로부터 안전상비의약품 안전교육을 받았으며 재고관리·폐기에 대한 교육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판매자가 소비자보다 지식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안전상비의약품으로 인한 부작용 예방 등 약품안전을 위해서는 판매자에 대한 교육을 더욱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안전상비의약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 객체 탐색 기술을 이용한 산업용 물류 가이드 차량 자율주행 연구 : 딥러닝 YOLOv5 객체 탐지, DNN 데이터 예측을 중심으로

        김보환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국내외 산업용 물류 자동 가이드 차량 대부분은 규정된 통신규약에 맞 게 인터페이스 된 지령에 따라 지정된 위치와 장소에 최소한의 오차로 이 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초기에는 경로를 자동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바닥에 마그네틱 가이드나 특정 라인 인쇄 필름과 센서 등을 통한 위치이동 가이드를 설정해서 사용 했으며 물류 창고, 물류 시스템, 물류 운송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서비스 용 가이드 로봇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산업의 형태 변화로 디지털 대전환의 등장으로 인해 제조에서 물류 프 로세스도 디지털 전환이 매우 필요하게 되었다. 현재 산업용 물류 자동 가이드 차량의 자율주행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 술들이 필요하다. 산업용 가이드 로봇은 주행 환경을 인식해 위험을 판단 하고, 주행 경로를 계획해 스스로 운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가 이드 로봇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센서 기술이 필요하며 이 센서들은 초음 파 센서, 근접센서,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이 있으며, 이들을 통해 차량 주변의 물체들을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가이드 로봇의 주행 경로를 계 획한다. 또한, 산업용 가이드 로봇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GPS 센서 와 IMU 센서도 필요하다. 이 외에도 가이드 로봇제어를 위한 컴퓨터 제 어 시스템, 상위 제어 시스템, 가이드 로봇의 주행 경로를 계획하는 알고 리즘 등 다양한 기술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들이 모두 결합 되어야만 동시적 위치 추정을 이용한 차량 자율주행이 실현될 수 있다. 이런 형태로 디지털 대전환에 적합하게 시스템을 변화하려고 하나 산 업용 가이드 로봇 제어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업그레이드가 어렵거나 하 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비용을 추가로 부담하기 힘든 경우에는 로봇 기술 을 진화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차량의 관리 시스템과 생산 관리 시스템 (MES) 상 위 시스템 연동의 변화를 주기보다는 차량 자체의 저가의 카메라를 추가 하여서 학습을 통한 특정 객체 인식 및 초점 인식을 통해서 계산값을 유 추하고 유추되는 값들을 딥러닝 DNN을 통하여 차량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인지 예측하고자 한다. Most automatically guided vehicles for domestic and foreign industrial logistics are designed to move at designated locations and locations with minimal error according to instructions interfaceed in accordance with prescribed communication protocols. Initially, a magnetic guide or a positioning guide through a specific line printing film and sensor was set and used on the floor to automatically move the route, and the demand for service guide robots increased as the logistics warehouse, logistics system, and logistics transportation markets grew.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due to the change in the form of the industry, the logistics process in manufacturing has also become very necessary for digital transformation. Currently, various technologies are required for autonomous driving of automatic industrial logistics guide vehicles. Industrial guide robots must recognize the driving environment to judge the risk, plan the driving route, and drive on their own. For this, sensor technology that recogniz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guide robot is first required, and these sensors include ultrasonic sensors, proximity sensors, cameras, radars, and lidar, and through these sensors recognize objects around the vehicle and plan the driving route of the guide robot based on this. In addition, GPS sensors and IMU sensors are also requir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industrial logistics robots. In addition,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computer control systems for logistics robot control, higher control systems, and algorithms for planning the driving route of the guide robot are required. Only when all of these technologies are combined can autonomous vehicle driving using simultaneous position estimation be realized. In this form, it is very difficult to evolve robot technology if the system is trying to change to suit the digital transformation, but it is difficult to upgrade the interface of the industrial guide robot control system or to bear additional hardware and software costs. In this paper, rather than changing the link between the vehicle's management system and the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MES) upper system, the low-cost USB camera or network camera is added to the vehicle itself to infer calculated values through YOLOv5 deep learning recognition and location correction, depth and focus recognition, and to predict in advance that the vehicle's problem occurs due to the deep learning judgment of abnormal data on movement values through deep learning DN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