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과 인권

        김병록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4 法學論叢 Vol.31 No.1

        인권과 인공지능은 오늘날 빠르게 발전하는 디지털 시대에 서로 상호작용하는 두 가지 중요한 개념이다. 사람들의 삶 곳곳으로 확산되는 인공지능 기술은 인권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이 질문은 점점 더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인공지능은 컴퓨터 시스템이 인간과 같은 사고와 의사결정 능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게 하는 분야이다. 그러나인공지능으로 인해 발생하는 일부 문제는 인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인권과 인공지능의 상호작용은 복잡한 문제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사람과 인권에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는 반면,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잠재력도크다. 따라서 인공지능 기술은 윤리적, 법적 틀이 뒷받침되는 접근 방식을 통해 인권을 준수하면서 개발되고 사용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인공지능과 표현의 자유, 인공지능과 사생활의 자유, 인공지능과 편향‧혐오‧차별, 인공지능과 명예훼손, 인공지능과 저작권 등의 인권 문제를 검토한 후 인공지능에 대한 법적 대응의 문제를 논하기로한다. 국가와 과학기술 간의 관계에 관하여 헌법은 “국가는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 및 인력의 개발을 통하여 국민경제의 발전에 노력하여야 한다(제127조), 저작자・발명가・과학기술자의 권리는 법률로써 보호한다(제22조)”고 규정하여 국가가 직접 과학기술의진흥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계획하고 형성하면서, 일정한 방향으로 이끌어나가도록 선언하고 있다. 이러한 헌법 규정과 관련지어 볼 때 과학기술정책의 수립과 이행은 민주복지국가로서의 대한민국에 주어진 중대한 의무라고 볼 수 있다. 즉, 인공지능 시스템의 발전 및 활용을 촉진한다는 가치와 인공지능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적정한 대응 사이에 균형을 달성하는 것이 주된 입법 의무라 할 수 있다. 인공지능과 인권 사이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윤리적 가치를 준수하고, 투명하고 책임 있는 시스템을 사용하고, 법적 규제를 업데이트하고, 이해관계자 참여가 보장되는 접근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인공지능의 잠재적인 이점을 활용하면서인권이 보호되는 미래를 건설할 수 있을 것이다. Human righ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two important concepts that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oday's rapidly developing digital age. How will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ffect human rights that are spreading throughout people's lives? This question has become an increasing focus of attention.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e field that enables computer systems to simulate human-like thinking and decision-making capabilities. However, some of the problems that arise from artificial intelligence may have a direct impact on human rights.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righ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complex problem. Whil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as the potential to harm people and human rights, it also has great potential to be used to protect and promote human rights. Therefor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must be developed and used while observing human rights through an approach supported by an ethical and legal framework. In this paper, after reviewing human rights issu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freedom of expressi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freedom of privac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as, hate, discrimin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fam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pyright, we will discuss the issue of legal response to artificial intelligence.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science and technology,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the state shall endeavor to develop the national economy through innov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manpower (Article 127), and the rights of authors, inventors, and scientists are protected by law (Article 22)." It declares that the state will actively plan and form for the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lead in a certain direction. In relation to these constitutional provisions,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can be seen as an important duty given to the Republic of Korea as a democratic welfare state. It can be said that the main legislative duty is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the value of promoting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and the appropriate response to the risks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pose.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 rights, it is necessary to comply with ethical values, use transparent and responsible systems, update legal regulations, and adopt an approach that guarantees stakeholder participation. By doing so, we will be able to build a future where human rights are protected while taking advantage of the potential benefi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 KCI등재

        소프트웨어 도입을 위한 기술성 평가모형

        김병록,이주헌 한국경영과학회 1994 한국경영과학회지 Vol.19 No.2

        Software acquisition involves purchase of new technology as well as the product itself. Consequently, evaluation of candidate packages or development contractors requires formal models that can objectively compare the candidates'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user requirements. This paper proposes three technological evaluation models for software acquisition : 1) a structural model that organizes the technological factors to be evaluated, 2) a scoring model that quantifies the candidates' technological values, and 3) an organization model that organizes and assigns responsibilities to technical evaluators. Three models, initially built on expert surveys and later refines through interviews with opinion leaders, are primarily intended for governmental use : the Korean government is expected to use these models as the software acquisition standards, starting in 1994.

      • KCI등재

        청와대 국민청원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병록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法學論叢 Vol.26 No.2

        Blue House Petition System utilizes the attributes of play to enhanc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and to attract participation that is the basis of communication. The expansion of participation through Blue House Petition System does not guarantee rational decision making, but plays a positive role in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strengthening direct democracy. Thus, the substance of populism is political disaffection, In other words, people treat political disaffection as populism. In addition, the petitioners project their disaffection upon the petition of the Blue House, but this is not linked with a populist because the independent variable on petitioners’ attitudes toward populism and the populist is not valid in the test. On the contrary, it is worth mentioning that the demand for political participation between Korean citizens is strongly formed and projected into the Blue House petition. This can be confirmed in the political situation of South Korea recently. Citizens’ voices reflected through ‘Cheong Wa Dae’s petition democracy threaten the various devices of the rule of law, especially the separation of power. However, the tension between democracy and the rule of law is not new. From the beginning, their relationship is very ambivalent. This was precisely what German public law professor Carl Schmitt had captured. A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petition law,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adigm of the petition act. On the subject side, the object of petition limited to n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expanded and reflected, and the e-petition system should reflect the change of the times. In this study, I argue that the government should make efforts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that play can be a catalyst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by promoting public participation in politics do. 국민청원제도는 정부가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소통의 기본이 되는 참여를 끌어내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국민청원제도를 통한 참여의 확대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의민주주의의 한계를 보완하고 직접민주주의를 강화하는데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청와대의 청원민주주의를 통해 반영된 시민들의 목소리가 법치주의의 여러 장치들, 특히 권력분립원리를 위협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그런데 민주주의와 법치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긴장관계는 아주 새로운 것은 아니다.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는상호관계를 맺기 때문이다. 칼 슈미트(C. Schmitt)는 합법성과 정당성의 대립관계를보여줌으로써 민주주의와 법치주의가 갈등을 빚을 수밖에 없음을 지적한 바 있다. 청원법은 형식적 측면에서 문서로만 제한하는 청원방법을 철폐하여 청원법의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대상적 측면에서는 국가기관 등으로 한정하고 있는 청원대상을확대ㆍ개편해야 하며 e-청원제도 등 시대변화를 반영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대의민주주의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정부가 국민과의 소통의 기회를 늘리는 데 힘써야 하며, 제도적 보완을 통해서 청와대 국민청원이 대중의 정치 참여를 촉진하고 양자간의 소통을 원활히 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필자는 궁극적으로 국회중심의 청원제도 형성을 기대하고 있다. 헌법은 국민이 청원권을 행사할 수 있는 대상기관으로 ‘국가기관’이라고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공적 성격의 민원이 청원의 주 대상인 점을 고려할 때, 그 주 대상은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 KCI등재

        정치의 과도한 사법화와 사법국가의 문제

        김병록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法學論叢 Vol.28 No.1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of recent social trend has been the transformation of courts into major political decision-making and a corresponding judicialization of politics. Our society is burdened with carrying out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In such a society as ours, the phenomenon of `judicialization of politics` in society is being treated by scholars as an issue of conflict between rule of law and democracy. Many case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in 2004 has caused a new academic point of view regarding its role and power. As the Court finalized controversial cases of political nature, legal academia commented that the Court started to lead judicialization of politic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offer an academic frame for a close examination of judicialization of politics by showing various types of judicialization of politics through a constitutional case study. So, we need a case-by-case approach to evaluate this phenomenon. By this approach, we can find that judicialization of politics would cause the collapse of politics or politicization of adjudication, due to unacceptable and incoherent constitutional arguments, and, at the same time, that it would make vitalization of politics in certain situations. 최근 입법, 행정을 포괄하는 정치적 문제들이 정치권 내에서 해결되지 못하고 사법부의 관할로 들어오고 있으며, 이는 사법부의 결정에 정치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사법적 결정에 대한 정치적 평가는 필연적으로 개개 법관의 독립을 위협하게 된다. 이른바 사법농단에 대한 정치적·법적 처리과정에서 사법권도 책임을 져야한다는 의견이 강해지고 있지만, 이는 법치주의의 최후의 보루인 사법권의 독립을 저해한다는 우려도 있다. 그래서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에 대한 해결 과제는 사법의 독립성과 책임성의 조화라고 본다.

      • KCI등재

        광주 군 공항 갈등해결의 담론분석적 접근

        김병록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19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3 No.3

        This study explored the conflict resolutions of residents and local governments through discourse analysis on the compensation of noise damage and move of Gwangju airforce base.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search, discourse analysis has ben advanced to the interview of present conflicts about residents, local government servants, airforce oficals. As a result of discourse analysis, the futher improvements are neded to resolve the move conflicts of Gwangju airforce base. First, the National Asembly shoud establish the complete law for the noise damage compensation. Second, the Administration must promote the constant participation and persuasion of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Third, the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of airforce base move ned to join actively promotion of area development and economic activity. Fourth, the conflict cordination experts should be educated and aplicated. 본 연구는 광주 군 공항 소음피해 보상 및 이전과 관련하여 지역주민과 합세한 지자체 간의 갈등을 담론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단계는 국방․군사시설 입지갈등과 담론분석에 대한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사례의 분석기준을 설정하고 쟁점별 담론분석을 통해 해결방안을 도출하였다. 담론분석은 문헌조사를 토대로 갈등현장의 주민, 지자체 공무원, 공군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담론분석 결과, 군 공항 이전을 둘러싼 갈등해결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개선사항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국회는 군용비행장 소음피해 보상과 관련하여 완전한 입법화를 추진한다. 둘째, 중앙정부는 군 공항 이전지역의 지자체와 지역주민에 대해서 지속적인 설득 및 참여를유도한다. 셋째, 군 공항 이전지역 지자체 및 지역주민은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지역개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촉진한다. 넷째, 갈등조정 전문가 양성과 활용이다.

      • KCI등재

        한국의 정부조직과 법적문제

        김병록 한국동북아학회 2001 한국동북아논총 Vol.6 No.2

        정부조직을 법률로 정하도록 한 것은 정부조직이 더 이상 법률로부터 자유로운 영역이 아님을 말해준다. 그래서 정부조직법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정부조직법은 정부의 설치·조직과 직무범위를 정하는 기본법이므로 국민의 권리·의무와 직결된 법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부조직 개편 역시 헌법이 정하는 기본틀 속에서 민주주의 원리·법치국가 원리·사회국가 원리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는 국민의 실질적 자유와 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3面鏡이라 할 수 있는 민주주의원리·법치국가원리·사회국가원리를 정부조직개편의 규준으로 설정하고, 이 세가지 원리의 관점에서 정부조직개편의 쟁점을 정리하고 바람직한 개정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단, 논의의 범위는 국민의 정부의 법개정에 한정하고, 작지만 효율적인 정부를 지향했던 국민정부의 세차례에 걸친 정부조직개편의 공과를 짚어 보고 있다.

      • KCI등재

        기본소득은 사회보장의 대안인가?

        김병록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2023 국가법연구 Vol.19 No.3

        In the face of the economic crisis caused by the COVID-19 epidemic, discussions on basic income are becoming active again. Basic income theorists say that AI and robots will eliminate jobs and that the introduction of basic income will be inevitable. But the problem is social security. The principle of a 'welfare state' must work in social security. The welfare state is based on mutual aid and social solidarity. It is a system in which citizens put taxes and insurance premiums into the community's piggy bank, and people who need them take them out according to the size they need. The entire nation saves money in piggy banks, but the n received is always a small number. The salary is generous because n is small. I don't take it right away, but I can always go and get help when I'm in danger and a need for social recognition arises. But there are no piggy banks in basic income countries. Everyone shares it as it is. It cannot be more equal than this, but the salary is inevitably low because there are many ns. And there is no social solidarity or mutual aid. The state just plays the role of Robin Hood. The contrast of redistribution varies by income level, and there is no social security or welfare. This is why social security cannot be left to basic income now and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global economic inequality, socioeconomic polarization is intensifying in Korea, and basic income is draw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system that can contribute to resolving economic injustice amid concerns over employment loss caused by digital technology innovation.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 위기 국면 이후, 기본소득 논의가 다시 활발해지고 있다. 기본소득론자들은 AI와 로봇이 일자리를 없앨 것이라며 기본소득의 도입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문제는 사회보장이다. 사회보장에는 ‘복지국가’의 원리가 작동해야 한다. 복지국가는 상부상조와 사회적 연대를 바탕으로 한다. 공동체의 돼지저금통에 시민들이 세금과 보험료를 십시일반 집어넣고, 필요한 사람이 필요한 크기에 맞추어 꺼내어 가는 시스템이다. 돼지저금통에 저금은 전 국민이 하지만 받는 n은 늘 소수다. n이 작으니 급여가 후하다. 내가 당장 가져가지는 않지만, 나도 위험에 빠지고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욕구가 발생하면 언제나 가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기본소득 국가에는 돼지저금통이 없다. 모든 이가 그대로 나눠 갖는다. 이보다 더 평등할 수는 없으나 n이 많으니 급여가 낮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사회적 연대나 상부상조도 없다. 그저 국가가 로빈후드(Robin Hood) 역할만 한다. 소득수준별로 재분배의 명암이 달라질 뿐, 사회적 보장도 복지도 없다. 현재도 미래에도 사회보장을 기본소득에 맡길 수는 없는 이유다. 글로벌 경제의 불평등과 함께 우리나라도 사회경제적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는 추세이며, 최근 4차 산업혁명 담론과 함께 디지털 기술 혁신으로 인한 고용 감소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는 상황 속에서 기본소득은 경제적 부정의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대안적 제도로 주목받고 있지만 법적 검토의 필요성이 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