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호텔회계 시스템품질이 이용자태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경윤 경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서비스 분야에서 호텔회계시스템이 얼마만큼 효율적으로 활용되어지는가를 전제로 하여, 호텔회계시스템의 활용실태를 실증분석하고, 이러한 호텔회계시스템의 품질변수가 호텔회계시스템 이용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이론연구를 통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선행연구의 측정변수를 참고하여 설문 문항을 선정,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연구모형에 대한 실증분석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적인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를 위하여 2007년 3월부터 4월까지의 기간 동안 설문지의 배포와 수집을 하였고 표본으로 선정한 서울시내 특급관광호텔 표본기업에 50부씩 총 500부의 설문지가 배포 되었고 회수된 설무지중 353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자료를 근거로 가설검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회계시스템의 품질은 사용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은 가설의 검증결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즉, 호텔회계시스템을 구성하는 정보품질이나 시스템품질, 서비스품질이 높으면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둘째, 호텔 회계시스템의 사용자 만족도는 호텔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가설 2-1는 가설의 검증결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즉, 호텔 회계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 만족도가 상승될수록 호텔의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셋째, 호텔 회계시스템의 사용자 만족도는 호텔 비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가설 2-2는 가설의 검증결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즉 호텔회계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 만족도가 상승될수록 호텔의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넷째, 호텔 회계시스템 품질은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1은 가설의 검증결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즉 호텔 회계시스템을 구성하는 정보품질이나 시스템품질이 높아 질수록 호텔의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호텔 회계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품질이 높아질수록 호텔의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증분석의 결과에 따른 호텔회계시스템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이 성과중심의 효율적인 호텔회계시스템을 구축하려면 품질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호텔회계정보시스템의 품질을 구성하는 정보품질, 시스템품질과 함께 서비스품질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호텔회계정보시스템을 구성하는 회계정보에 대한 인적, 기술적 지원, 두 가지 측면의 품질관리를 사용자 중심으로 구성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호텔회계시스템의 품질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회계시스템을 활용하는 내부구성원의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점이다, 이는 호텔 내부 구성원이 호텔회계정보시스템의 품질이 향상되면 호텔전반에 관한 회계적 자료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게 되며 이러한 호텔 회계자료에 대한 활용과 함께 호텔 구성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셋째, 호텔회계정보시스템의 품질 수준에 따라 호텔회계정보시스템의 활용과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회계시스템의 활용하는 수준은 내부 구성원의 업무특성과 필요성에 달려있지만 호텔회계시스템의 활용과 이를 통한 경영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도구로 확장하여 호텔회계시스템의 구축에 따른 비용요인을 상쇄할 수 있다. 넷째, 호텔회계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가 높아지게 되면, 호텔 구성원의 이용수준도 높아진다는 점이다. 호텔회계시스템의 접근과 활용이 용이하고 시스템에 대한 확실한 서비스를 제공받았을 때 만족도가 제고되어짐을 알 수 있다. 즉 회계시스템의 기능과 서비스에 대하여 사용자가 만족하게 되면 시스템에 대한 이용 빈도와 활용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호텔회계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고품질의 회계정보가 내부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며 호텔내부의 관리자가 하게 되는 의사결정의 효율성도 높인다는 것이다. 따라서 회계정보를 제공하는 회계부서의 정보전달 서비스와 시스템을 개선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state of utilizing the hotel accounting system under the premise of how such a hotel accounting system is efficiently utilized in a hotel service area and to verify the effect of a quality variable in such a hotel accounting system on a satisfaction of a user to a hotel accounting syste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uthor established the research hypothesis through the study of existing theories, prepared the questionnaire by selecting the questions with a reference to a variable to be surveyed in the preliminary study, collected the data by using the questionnaire in respect of the actual proof-type analysis on research model, and conducted the verification on a statistical hypothesis.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in this study, the author distribute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 for the period from March till April, 2007. 50 questionnaires per each sampled special class sightseeing hotel, 500 questionnaires in total, were distributed to sampled special class sightseeing hotels in Seoul selected as samples. 353 questionnaires out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 actual proof-type analysis. The result of verification on hypothesis based on the questionnaire data is as follows: First, Hypothesis 1 that the quality of hotel accounting system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 user's satisfaction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n the hypothesis. In other words, if the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or service quality consisting of the hotel accounting system is high,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a user's satisfaction who uses it. Second, Hypothesis 2-1 that the satisfaction of a user to the hotel accounting system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 financial outcome of a hotel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n the hypothesis. Namely, if the satisfaction of a user who uses the hotel accounting system is increased,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a financial outcome of a hotel. Third, Hypothesis 2-2 that the satisfaction of a user to the hotel accounting system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 non-financial outcome of a hotel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n the hypothesis. In other words, as the satisfaction of a user who uses the hotel accounting system is increased,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a non-financial outcome of a hotel. Fourth, Hypothesis 3-1 that the quality of the hotel accounting system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 financial outcome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n the hypothesis. Namely, as the information quality or system quality consisting of the hotel accounting system is higher,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a hotel's financial outcome. In other words, as the system quality consisting of the hotel accounting system is higher,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a hotel's non-financial outcome. The suggestions on the hotel accounting system following the result of such an actual proof-typ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f a hotel wants to establish an outcome-oriented efficient hotel accounting system, a quality management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the service quality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quality and system quality consisting of the quality of the hotel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Subsequently, it is necessary to form and manage the quality management of two aspects such as a personnel support and a technical support regarding the accounting information, which consists of the hotel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in a user-oriented manner. Second, as the evaluation on the quality of hotel accounting system is higher, the satisfaction of an internal member who utilizes an accounting system gets increased. This means that if a quality of hotel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is enhanced, then an internal member of hotel will periodically check the overall accounting data on the hotel and the satisfaction of the hotel member will be improved along with the utilization of such accounting data in a hotel. Third, the level of quality in hotel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has an effect on the utilization of hotel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general, the level of utilizing the hotel accounting system depends on a business characteristic and necessity of internal members. However, it can be expanded to a tool to enhance a utilization of hotel accounting system and an efficiency in business management through it and thus it is possible to offset the cost factor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hotel accounting system. Fourth, as a user's satisfaction on hotel accounting system gets increased, the level of use by a hotel member can be enhanced. It can be found that if an access and utilization to hotel accounting system is easy and a reliable service on a system is provided, the satisfaction degree can be enhanced. In other words, if a user is satisfied with the function and service of accounting system,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scope of utilization toward the system can be expanded. Lastly, the accounting information of high quality provided by the hotel accounting system improves the efficiency in internal management and enhances the efficiency in decision-making that is done by a manager inside the hotel. Thus, diverse efforts should be supported in this regard by way of improving the service and system to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accounting department which provides the accounting information.

      •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과의 관계

        김경윤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 among critical thinking, nursing process competency and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of nurses working in middle sized hospital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62 nurses working in the three hospitals located in G and P city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rough July 6 to July 20 of 201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back test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IBM SPSS statistics 21.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was 4.35±0.72 of 7,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3.30±0.36 of 5, nursing process competency was 3.39±0.51 of 5. Nurses'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r=.417, p<.001)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y(r=.576, p<.001). Full model accounted for 65.1% of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by nursing process competency(β=.567,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β=.337, p<.001), critical thinking educational experience(β=.109, p=.004), Master's degree(β=.091, p=.032). Conclusion: Nurses'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y. Nursing process competency was influencing factor of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Thus to increase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of nurses, it is required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y of nurses.

      • 오영수 소설 연구

        김경윤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Oh Young Soo Novel's inclination on tradition, style of writing, and how these characteristics function in the novel. The author's individual style and the technique of writing shows his literary capabilities and competence. Further more, his style of writing often decide how he embodies and expresses the theme of his literature. Therefore, a novel's style of writing should be unique and artistic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hapter observes how the recovery of humanism is expressed variously through inclination on tradition and criticism toward the modern civilization. In his novel, Oh Young Soo is not afraid to use Gyeongsang-do dialect and folksy vocabularies. These characteristics not only represents the retro-like theme, but also plays a role of preserving folkway through the novel's style of writing. The simple, savory, and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side described in his novel is well supported through the use of dialects and folksy vocabularies. The humor and satire expressed in the novel sharply criticize the dark reality. The life of the ordinary citizens is used to refer to the society and its reality. Furthermore, the violent nature of ideology is also expressed through the brutal sacrifice of the citizens. His style of writing also utilizes clever satire to sharply criticize the modern society that is full corruption. The lyrics of the 1950's deeply show how human's desire to seek in to its inner mind is expressed in the midst of chaotic times after the war. The lyrical nature of Oh Young Soo's novel is born through the setting of country side and the truly humanistic personalities of the characters. The third chapter looks into the harmonic pursuit between the nature and an innocent human. His compact style of conversation, which is quite similar to the features of the dialects, helps the readers rapidly grasp the main character's situation or psychological state. The composition or conflictual elements is rarely featured while the topics consistently stay on traditional and ordinary side. The concise and easy sentences well describe simple and innocent people. The description of nature scenery is not simply a description of beauty, but rather a beauty that is derived out of the harmony between man and nature. The general atmosphere of the novel is very poetic and musical at the same time. From the thematic perspective, the poetic emotions is scattered through the realm of childhood to emphasize the innate goodness of human nature and humanistic world of the innocent citizens, which is without any conflict. Such rhythmic style of writing that gives poetic sense is a very unique characteristics of Oh Young Soo's literature. Furthermore, the symbolic medium between animals and plants is used to progress the plots of the events. The symbolism of plants, which is combined with the natural phenomenon, expresses the process of separation, yearnings, and the return. Through the symbolism of animals, the author is displaying the heartless nature of the modern society. All in all, the subject of plant and animals is used to re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harmony between man and nature is used to show man's true meaning to life. The author's literary atmosphere, charm, uniqueness is well shown through the novel's style of writing. These characteristics are so well standardized that the readers will be able to recognize Oh Young Soo's writing in the other novels written by Oh Young Soo. It can be successfully concluded that Oh Young Soo created his own unique lyricism through the use of traditional style of writing, humor, satire, and briefness. 본 논문은 오영수 소설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작가의 문체와 기법은 작가의 문학적인 개성을 나타내 주기도 한다. 또한, 문체를 통해 어떻게 주제를 표현하였는가에 따라 문학 성패가 결정된다. 소설의 문체는 결국 개성적이면서 예술적 표현이 되어야 한다. 2장에서는 전통지향과 현대 문명 비판을 통한 인간성 회복의 의지가 다양한 방식으로 형상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오영수는 경상도 사투리와 토속적인 어휘를 자연스럽게 거침없이 쓰고 있다. 소설에 사용된 토속어나 사투리는 단순한 의미가 아니라, 사라져 가는 토속성을 소설 문체로 살려 놓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그의 문학에서 빚어지는 시골의 소박하고 구수한 전통적 분위기는 사투리와 토속어의 사용에 크게 힘입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소설에 구현된 풍자와 해학은 어두운 현실을 통렬하게 비판한다. 소시민의 삶을 통해 현실과 사회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며 무참히 희생되는 서민들을 등장시켜 이념의 폭력성을 고발하고 있다. 또한, 그의 문체는 당대의 시대상을 날카롭게 풍자하는 문학 효과를 발휘하면서 그의 시선은 부조리와 부패로 가득 한 현대사회를 통렬하게 비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장에서는 리리시즘과 순수한 인정의 세계를 살펴보았다. 그는 사투리의 사용 못지않게 짧고 알기 쉬운 대화체 위주의 문체는 압축과 생략을 통한 간결성으로 인물의 심리나 상황을 빨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주고 있다. 소설의 구성이나 갈등은 거의 보이지 않고 주제나 소재도 전통적인 것과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에서 구했다. 소설의 문장이 간결하지만 어렵지 않고 순수하고 소박한 사람들의 성격을 잘 표현하고 있다. 작품 속에 표현되는 자연 풍경은 아름다움의 묘사 아니라 인간과 자연의 조화에서 오는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있다. 소설 전반의 분위기가 시적 요소와 운율을 내포하고 시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주제적인 면에서는 시적 정서를 드리우는 어린아이의 마음을 통해 인간의 선성을 강조하고 있다. 갈등이 무화된 순박한 서민들의 휴머니즘적 세계를 서정적으로 묘사하는 문학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리듬감을 주는 시적인 감각을 특이하게 표현한 문체는 오영수 문학의 개성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자연의 소재로 상징적인 매개체를 통해 사건의 내용을 진행하고 있다. 자연현상과 결합하여 상징성을 띠고 있는 식물을 통해서는 각 인물의 그리움, 이별과 기다림, 다시 되돌아오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동물을 통해서는 현대 사회의 각박한 문제를 제기하며 비판하고 있다. 그는 자연을 소재로 하여 인물과 자연의 관계를 작품 속에 구현시키며, 인간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통해 인간 본연의 삶을 추구하였다. 그의 소설에는 작가의 문학적 분위기와, 매력, 개성이 문체를 통해 잘 드러난다. 어떤 작품을 읽어도 오영수의 소설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정형화되어 있다. 오영수는 전통주의 문체와, 해학과 풍자, 간결성을 통한 서정성이 가득한 문체로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하였다.

      • Dietary and Health-related Factors on Chronic Disease in Korean Adults

        김경윤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studies reporting that dietary life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hronic diseases, such as cognitive impairment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previous studies, mild cognitive impairment was defined as an intermediate stage between normal cognitive impairment and progression of Alzheimer's dementia as age increased and continued to require the establishment of practical guidelines to manage risk factors that accelerated disease progression.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foods or dietary patterns, such as Mediterranean diet and MIND diet, on memory and cognitive funct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consistency in outcomes for establishing guidelines for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quantify the significant variation of food intake in the large populations. Study 1 was conducted on 276 participants aged 50 or older who visited S Hospital in Gwangju from July 2017 to August 2018.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112 intake foods of the subjects into 20 food groups and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a food group and cognitive function.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intake by adults over 50 years of ≤2 times/day of cooked white rice (p ≤ 0.005) compared with intake of ≥3 times/day, cooked rice with other grains and legumes (p = 0.015), certain fruits (p < 0.05), milk (low fat and normal) (p = 0.044), liquid-type yogurt (p = 0.019), and curd-type yogurt (p = 0.015) were associated with reduced prevalenc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reducing medications taken by managing the accompanying chronic diseases, maintaining more than 3 hours of sleep time, drinking of adequate alcohol, and balancing lifestyles to alleviate depression.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study of dietary patterns for demonstrating the mixed effects of all the foods in individual diets. Dietary pattern analysis identifies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nutrients and foods, and it has the advantage of explaining how foods ingested by an actual subject are combined. Therefore, dietary pattern research is considered to be a valid method for disease-related investigations that considers the interaction and synergy of nutrients in food. In Study 2, factor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overall food intake trends, such as dietary patterns, on disease rather than the effects of a single food group.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 and cognitive function, we found that a beverage and nuts pattern with a high intake frequency of beverages, nuts, sweet foods, fruits, rice-cake, coffee, tea, and brea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prevalenc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3rd vs. 1st tertile, adjusted odds ratio [AOR], 0.333; 95 % confidence interval [CI], 0.133-0.831; p <0.05). Subsequent study reflect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nd utilize the data of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at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 large-scale study of Koreans. In Study 3, we analyzed the dietary patterns of Korean adults by factor analysis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 extracted dietary patterns on circulatory disease. We us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 on dietary intake data from Koreans aged 40-69 to derive a vegetable and seafood (men)/soup and stew (women) pattern, sweet foods and breads and rice-cake pattern, and multigrain rice and cooked white rice pattern. However, the food groups that made up the dietary pattern were highly varied that it was difficult to define the effects on the disease consistently. Therefore, large-scale follow-up studies using a scientific research approach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etary factors of diseases that had a social burden and high prevalence.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westernized Korean diets are considered to be the main causes of high chronic disease prevalence and Korean mortality. According to the 2013-2015 KNHANES data,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men aged 19-49, the mai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was 20.3%, and the prevalence in women was approximately 7.3%. In the following Study 4, the 2016 KNHANES data were used to analyze various working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factors affecting metabolic syndrome of 19-64 year old workers, who are leading the economic growth of Korea. In summary,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men was higher than that of women (28.3% in men and 16.9% in women), and men day work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metabolic syndrome compared with shift workers (adjusted odds ratio, 1.726; 95 % confidence interval, 1.077-2.765). In addition, the sleeping hour of women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8 vs. <6 hours/day, adjusted odds ratio, 2.133; 95 % confidence interval, 1.041-4.368). Weekly breakfast intake was found to reduce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in both men and women (5-7 times vs. <1 time frequency of breakfasts/week, adjusted odds ratio, 0.593; 95 % confidence interval, 0.372-0.944 in men and 1-2 times vs. <1 time frequency of breakfasts/week, adjusted odds ratio, 0.393; 95 % confidence interval, 0.161-0.962 in wom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e continual provis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appropriate drinking, control of sleep hour, and increase of the breakfast intake rate; and also that a national health promotion plan is necessary for individuals to practice a healthy dietary life.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etary and health-related factors are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and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Providing dietary guidelines to individuals in a variety of circumstances requires scientific validation of these conclusions. In addition, sensitive and useful biochemical indicators are needed when evaluating the effects of diet on disease, and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such biochemical indicators. In future, we propose to conduct clinical interventional studies of various food groups and dietary patterns for long-term large-scal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quantitative data. 최근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인지장애와 심·혈관계질환과 같은 만성질환의 발생에 식생활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경도인지장애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정상적인 인지 손상과 알츠하이머 치매 진행의 중간 단계로 정의되며, 질병의 진행을 가속화시키는 위험요인을 관리하기 위한 Practical guidelines의 수립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 Mediterranean diet와 MIND diet와 같은 식품 섭취가 기억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질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지침을 마련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생물학적 특성, 생활양식, 사회경제적 여건을 반영하여 대상자의 식품 섭취에서 나타나는 상당한 변이를 많은 인구 집단에서 정량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 1에서는 2017년 7월부터 2018년 8월까지 광주광역시 S 종합병원에 내원한 50세 이상 276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112항목의 반정량 식품 섭취 빈도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관련 선행연구 자료를 참조하여 20개 식품군으로 분류하여 각 식품군의 섭취 빈도와 인지기능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50세 이상 성인에서, ≥3 times/day에 비해 <1 time/day의 cooked white rice (p < 0.001) 섭취, cooked rice with other grains and legumes (p = 0.015), fruits (p < 0.05), milk (low fat and normal) (p = 0.044), liquid-type yogurt (p = 0.019)와 curd-type yogurt (p = 0.015)의 적절한 섭취가 경도인지장애의 유병률 감소와 연관되어 있다고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본 연구를 통해 동반된 만성질환의 관리를 통해 복용하는 약물을 줄이고, 3시간 이상의 수면 시간 유지, 적절한 알코올 섭취, 우울증상을 경감하기 위한 생활 습관의 균형적 조절이 제안되었다. 질병과의 관련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활용한 식사요인 분석은 앞서 연구한 방법과 같이 식품, 식품군 또는 계산된 영양소 섭취를 노출요인으로서 사용하여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최근에는 사람의 식단에서 섭취한 모든 식품들의 혼합된 효과를 증명하기 위한 식사패턴 연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식사패턴 분석은 영양소와 식품들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규명하며, 실제 대상자가 섭취한 식품들이 합쳐지는 방법들을 설명하는 장점이 있다. 연구 2에서는 앞서 수행된 단일 식품군 섭취와 질병과의 연관성 규명 연구에서 전체적인 섭취 식품의 식사패턴을 분석하였고, 이를 위해 표준 다변량 통계적 방법을 활용한 요인분석을 사용하였다. 식사 섭취 조사 방법으로 반정량 식품 섭취 빈도 조사 외에 영양소 섭취 분석을 위한 1일의 24-hour recall method 방법을 이용하였다. 식사패턴과 인지기능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beverages, nuts, sweet foods, fruits, rice-cake, coffee, tea, bread 의 섭취 빈도가 높은 beverage and nuts pattern이 본 연구 성인 대상자에서 경도인지장애 유병과 유의적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3th vs. 1st tertile, adjusted odds ratio [AOR], 0.333; 95% confidence interval [CI], 0.133-0.831; p-value <0.05). 그러나 본 연구는 병원에 내원한 대상자로부터 조사된 연구로 한국인 50세 이상 성인에게 일반화할 수 없으며, 식사패턴을 추출하는데 활용된 요인분석이 식품을 분류하는 데 주관적 방법이 포함되어있다는 연구 한계점을 보였다. 이어진 연구 3에서는 앞선 연구들의 한계점을 수용하여 한국인을 대표하는 대상자의 순환기계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식사패턴의 도출을 위해 질병관리본부의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얻어진 식사섭취 조사 자료로 요인분석을 활용하였다. 주성분분석으로 vegetable and seafood (men)/soup and stew (women) pattern, sweet foods and breads and rice-cake pattern, multigrain rice and cooked white rice pattern의 식사패턴이 도출되었다. 하지만 식사패턴을 구성하는 식품군이 다양하여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일관적으로 규정짓기 어렵고, 연구 대상자에게 고려되는 질환의 위험인자, 식생활 문화, 추적 기간과 분석 방법이 가변적인 이유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식사패턴이 순환기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이지 않았다. 급속한 경제 발전과 서구화된 식습관의 영향을 받아 한국인의 식생활은 변화하고 있고, 이로 인해 만성질환이 한국인 사망률의 주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따르면, 주된 경제 활동 인구인 19-49세 남성 대상자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20.3%, 60세 이상 여성의 경우에는 40% 이상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어진 연구 4에서는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의 경제 성장을 이끌고 있는 19-64세 근로자의 대사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근무 특성 및 건강관련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남성 근로자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여성보다 높았으며 (28.3% in men and 16.9% in women), 남성 주간 근로자가 교대 근무자에 비해 대사증후군 발병 상승과 유의적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AOR, 1.726; 95% CI, 1.077-2.765). 또한, 여성의 수면 시간이 대사증후군 발병에 연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8 vs. <6 hours/day, AOR, 2.133; 95 % CI, 1.041-4.368). 주당 아침 식사 섭취 빈도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대사증후군 발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5-7 times vs. <1 time frequency of breakfasts/week, AOR, 0.593; 95% CI, 0.372-0.944 in men and 1-2 times vs. <1 time frequency of breakfasts/week, AOR, 0.393; 95% CI, 0.161-0.962 in women). 위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건강관련 요인과 식생활 환경이 인지기능과 대사증후군 위험에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이런 결과들을 다양한 환경에 처한 대상자에게 식사 지침으로 마련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검증이 필요하다. 검증 절차에는 식사요인들은 잘 흡수되지 않거나 빠르게 대사 혹은 배설되고, 혈중 항상성 유지 기전에 따라 조절되는 특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질병에 대한 식사의 평가에 민감하고 유용한 생화학지표의 개발이 중요하다. 추후, 장기간-대규모 대상자에게 정량적 자료를 토대로 한 다양한 식품군과 식사패턴의 중재시험 수행을 제안한다.

      • 유제품 섭취와 전 당뇨병 발병 위험과의 연관성 연구

        김경윤 전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우리나라와 같은 아시아에서 급속히 증가하여, 2030년에는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가 50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러나 당뇨병 환자 10명 중 3명은 본인이 당뇨병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선한종합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내원한 대상자의 공복혈당(fasting blood glucose ; FBG)에 따른 유제품 섭취와 전 당뇨병 발병 위험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FBG에 따라 1) 정상군(FBG < 100 mg/dL, normal group)과 2) 전 당뇨병군(100 mg/dL ≤ FBG ≤ 125 mg/dL, pre-diabetes)으로 분류한 후, 24시간 식사기록법과 반정량 식품 섭취 빈도 조사법(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emi-quantitative FFQ, SQ-FFQ)을 사용하여 대상자들의 식사 섭취 패턴과 영양소 섭취, 유제품 섭취를 알아보았다. 두 가지 식이섭취 조사 방법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실시한 상관분석에서 총 에너지 섭취량이 상관계수가 0.3으로 유의한 양적 선형관계를 보였다. 전 당뇨병군에서 공복혈당을 상승시켜 당뇨병 위험률을 올리는 당뇨병 위험인자 변수간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전 당뇨병 발병 위험과 당뇨병 위험인자와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에서 유의적인 연관성을 나타내었다(P<0.05). 섭취 에너지 1,000 kcal로 보정한 유제품 섭취량과 전 당뇨병 발병 위험과의 연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과 나이와 체질량지수와 총 에너지 섭취량 보정 시 0.991배(95% CI: 0.984~0.999, p=0.028)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본 연구는 당뇨병 위험인자 및 전 당뇨병 발병 유무와 완전식품으로 인식되나 최근 섭취량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유제품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당뇨병 위험인자 중 특히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전 당뇨병 발병 위험과의 유의적인 연관성을 보였고, 유제품의 섭취는 전 당뇨병 발병 위험을 감소시키는 음의 연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전 당뇨병 대상자까지 대상을 확대시켜 지속적인 공복혈당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당뇨병 예방 영양중재, 유제품 식사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LMX(Leader-Member Exchange)가 팀웍,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경윤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o examine the effects among leader-member-exchange(LMX), teamwork,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for the flight attendants’ in airlines. For empirical analyses,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for 334 flight attendants of ‘A’ airlines in South Korea. The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First of all,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variables, and then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assess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variables. Path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among LMX, teamwork,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In addition, bootstrapping was also carried out to verify mediating effects of teamwork and job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customer orientation. T-test and one-way ANOVA were also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means of LMX, teamwork,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as specialized service team, job period and job position. The main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LMX on teamwork was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LMX had a positive effect on teamwork. This implies that flight attendants’ LMX enhances their teamwork. Second, the effect of teamwork on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eam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flight attendants’ teamwork increase their job satisfaction. Third, the effect of teamwork on customer orientation was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eam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This implies that flight attendants’ teamwork increase their customer orientation. Fourth,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customer orientation was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This implies that significant’ job satisfaction enhances their customer orientation. Fifth, the effect of LMX on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LMX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flight attendants’ LMX enhances their job satisfaction. Sixth, the effect of LMX on customer orientation was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LMX had no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This implies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flight attendants’ LMX and customer orientation. In this study, flight attendants’ LMX had no direct effects on customer orientation, but it had indirect effects on customer orientation by mediating effects of teamwork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for differences in means of LMX, teamwork,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as specified service, job period and job position showed that the LMX and flight attendants’ teamwork of specialized service teams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specialized service teams. Airlines, which place top priority on customer satisfaction, should ultimately increase flight attendant’s customer orientation. Therefore, airlines should prepare plans to enhance the teamwork and job satisfaction of cabin crew.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ncreasing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nd members in the airlines help improve the teamwork and job satisfaction of flight attendants.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customer orientation of flight attendants. Airline should enhance its job satisfaction by further improving the basic working environment of flight attendants and devise various ways to enhance the LMX of flight attendants by actively utilizing the existing group system. 본 연구에서는 국내 A 항공사 객실 승무원들을 대상으로 항공사 객실 승무원 리더와 구성원간의 교환관계(LMX)가 팀웍,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과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 지를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 A 항공사 객실승무원 33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들을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변수들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EFA),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수행하였으며,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각 변수 간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가설검증을 위해 경로 모형 분석(Path Model Analysis)을 실시했다. 또한, 본 연구는 가설검증 이외에 추가적으로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리더와 구성원의 교환관계(LMX)와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에 있어서 팀웍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고, 특화서비스, 근무연수 및 직급에 따른 LMX, 팀웍, 직무만족, 고객지향성의 평균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와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LMX가 팀웍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LMX는 팀웍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LMX가 높을수록 팀웍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는 것을 밝혀 냈다. 둘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LMX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LMX는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LMX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좋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팀웍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팀웍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팀웍이 좋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는 것을 밝혀냈다. 넷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팀웍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팀웍은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팀웍이 좋을수록 고객지향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직무만족은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고객지향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는 것을 밝혀냈다. 여섯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LMX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LMX는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LMX와 고객지향성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LMX가 고객지향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LMX가 높으면 직무만족이 좋아져 결과적으로 고객지향성이 높아지게 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특화서비스, 근무연수 및 직급에 따른 차이 연구에서는 특화서비스 승무원이 비특화서비스 승무원에 비해 LMX와 팀웍이 높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객만족을 최우선시 여기고 있는 국내 항공사의 경우, 궁극적으로는 객실승무원들의 고객지향성을 높여야한다. 그러므로 향후 국내 항공사는 객실승무원들의 팀웍과 직무만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한다.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항공사 객실승무원들의 리더와 구성원들의 교환관계(LMX)를 높이는 것이 객실승무원들의 팀웍과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객실승무원들의 고객지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항공사는 객실승무원들의 기본적인 근무환경을 보다 나은 방안으로 개선하여 직무만족감을 높여야 하며, 기존에 시행되어지고 있는 그룹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LMX을 높이는 방법들을 다양하게 고안해야한다.

      • 장골대퇴 심부정맥혈전증에서 카테터 혈전용해술과 장골 정맥 스텐트 삽입술의 장기간의 결과 : Long term results of catheter-directed thrombolysis combined with iliac vein stenting for iliofemoral deep vein thrombosis

        김경윤 원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및 목적 : 현재 카테터 혈전용해술의 효과와 안전성은 임상적으로 입증이 되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골대퇴 심부정맥혈전증 환자에서 카테터 혈전용해술과 더불어 스텐트 삽입술의 장기간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1년 1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장골대퇴 심부정맥혈전증으로 진단받은 51명의 환자 (일측: 46명, 양측: 5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혈전 용해술의 성공 여부는 시술 후 최종 정맥 조영술을 검토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모든 환자는 계획대로 추적관찰을 시행하였으며 환자들은 치료 방법에 따라서 두 군으로 분류하였다. : 협착으로 인해 스텐트를 삽입한 그룹(37 limbs), 스텐트를 삽입하지 않은 그룹(19 limbs). Villalta scale을 혈전 후 증후군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시행하였으며 SPSS 18.0 을 사용하여 두 치료 군간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은 Kaplan - Meier 생존 분석 및 피어슨 카이 제곱 테스트에 따라 추정되었다 결과 : 평균 연령은 57±13세 (27-76세)였고 평균 추적기간은 56±00개월 (24-144개월)이었다. 전체 환자군의 5년간의 일차 개통율(primary patency rate) 은 66.1% 이며 스텐트 삽입 그룹에서는77.8%, 스텐트를 삽입하지 않은 그룹에서는 42.1% 로 두 군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P=0.02) 심부정맥혈전증 재발률은 스텐트 삽입 그룹에서는 37 limbs중 10 limbs (27.0 %)가 스텐트를 삽입하지 않은 그룹에서는19 limbs 중 11 limbs (57.0 %)로 통계학적인 유의 수준을 보였다.(P=0.024) 이번 연구에서는 오직 30명에 대한 Villalta score 를 조사할 수 있었는데 이는 입원 당시부터 score 에 대한 정보가 없거나 추적 관찰의 소실로 인한 것이었다. Villalta score 는 각각 3.37%, 4.46% 였다. 경미한 혈전 후 증후군의 전체 발생 빈도는 30명중 8명 (26.7%)이었으며 그룹 A 에서는 13명중 4명 (30.8%)이었으며 그룹 B에서는 17명중 4명 (23.5%)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두 군간의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장골대퇴 심부정맥혈전증에서의 카테터 혈전용해술의 장기간의 결과는 받아들일 수 있으며 장골 동맥의 협착을 개선하기 위해 스텐트 삽입술을 병행하는 것은 좋은 효과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장골대퇴 심부정맥혈전증에서 적응증이 된다면 장기간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카테터 혈전 용해술 및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할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